KR101605383B1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383B1
KR101605383B1 KR1020150154484A KR20150154484A KR101605383B1 KR 101605383 B1 KR101605383 B1 KR 101605383B1 KR 1020150154484 A KR1020150154484 A KR 1020150154484A KR 20150154484 A KR20150154484 A KR 20150154484A KR 101605383 B1 KR101605383 B1 KR 10160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ead
body case
cpr
mannequ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창
이중의
조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5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83B1/ko
Priority to JP2018544009A priority patent/JP2018533084A/ja
Priority to US15/773,405 priority patent/US20180322808A1/en
Priority to EP16862316.3A priority patent/EP3373275B1/en
Priority to CN201680073271.7A priority patent/CN108369783B/zh
Priority to PCT/KR2016/011781 priority patent/WO20170783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네킹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암의 끝부분에 자석을 설치하고, 두 개의 기둥의 다른 높이게 두 개의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회전암의 위치를 파악하고, 실습자가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의 동작을 분석하여 규정에 맞는 심폐소생술을 하고 있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깊이로 압박했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실습자들이 정확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MANIKIN FOR CPR TRAINING}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네킹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암의 끝부분에 자석을 설치하고, 두 개의 기둥의 다른 높이게 두 개의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회전암의 위치를 파악하고, 실습자가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의 동작을 분석하여 규정에 맞는 심폐소생술을 하고 있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이란 심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소생시키는 처치이다. 통상 호흡기능장애나 호흡정지에 대해서는 우선 기 도를 확보한 후에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심장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심장마사지를 한다.
인공호흡이란 물에 빠지거나 중독·출혈 등으로 심장은 뛰고 있으나 호흡이 멈추어 가사상태에 있을 때, 인공적으로 폐의 기능을 소생시켜 호흡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제1차 구명처치로서의 인공호흡법에는 시술자의 날숨을 환자의 폐로 불어넣는 숨불어넣기방법과, 시술자가 손을 사용하여 환자의 흉부 등을 압박하여 들숨·날숨을 일으키는 용수인공호흡방법이 있다. 상기 숨불어넣기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것이 환자에게 구강을 통해서 불어넣은 공기에 의해 환자의 폐를 확장시키는 구강 대 구강법이다.
또한, 추락·감전·중독 등으로 인해 심장의 박동이 멎었을 때 심장기능을 소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심폐소생술에는 흉골을 척추를 향하여 3~5 아래로 누름으로써 심장을 압박하여 혈액을 박출시키는 흉골압박식 심장마사지 방법이 있다. 보통 심장마사지라고 하면 이를 가리킨다.
먼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의 유무를 확인하여 호흡정지상태라면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심장정지상태이면 인공호흡을 계속하면서 심장마사지를 시작하는 심폐소생시술은, 인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술자 혹은 실습자가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기가 적당하지 않다.
최근에는 인체의 형상과 비슷한 모양의 마네킹을 이용하여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을 연습하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훈련용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용 마네킹은, 인체 흉부 및 머리의 형상을 하고 있는 마네킹(10)과, 상기 마네킹(10) 내부에 설치되고, 심폐 소생 훈련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음을 확인시켜 주기 위하여 흉부압박시 일정한 확인음을 발생시키는 심폐소생술 확인부(20) 그리고 인체의 폐기관을 나타내는 공기주머니(30)로 구성된다.
상기 마네킹(10)은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하판(40)과 가슴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판(50), 그리고 머리의 형상을 나타내는 두부(60)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40)은 상기 심폐소생술 확인부(20)와 공기주머니(30)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고 전면이 개구되어 있는 캐비닛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50)은 상기 하판(4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두부(60)는 상기 하판(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60)의 전반부 하단에는 사람의 턱의 형상을 하고 있는 회동부(62)가 설치되어 회동부(62)가 상하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판(40)과 상판(50) 사이에는 그 중심에 상판(50)이 외력에 대하여 탄성을 갖도록 압축스프링(7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50)을 내측으로 압박하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70)에 의하여 일정한 저항을 받으면서 상판(50)이 내측으로 들어간다. 상기 하판(40)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확인부(20)는 일측에 볼록부를 구비한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6)은 상기 하판(40)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판스프링이 스토퍼와 충돌시 소리를 발생하도록 판스프링의 볼록부가 스토퍼와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50)에는 상기 스토퍼 및 판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판스프링을 압박하는 압박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50)을 외측에서 가압하면 상기 압박부(52)가 상기 판스프링을 압박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마네킹(10)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을 할 때에는 실습자가 강한 힘으로 마네킹(10)의 상판(50)을 눌러서 판스프링에서 소리가 나면 적절한 압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마네킹(10)을 오래 사용하면 소리가 잘 안 나거나 소리의 크기가 작아져서 실습자나 교관이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KR 10-2015-0086207 A KR 10-2012-0053728 A KR 10-0887375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의 상반신 모양으로 만들어진 마네킹 내부에 회전암을 설치하여 실습자의 압박에 따라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고, 두 개의 센서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하고, 두 개의 센서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암의 높이를 확인하도록 하여 실습자가 충분한 깊이와 높이만큼 압박과 이완 동작을 실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습자가 실시하고 있는 심폐소생술이 정확한 깊이와 주기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머리 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과 음성으로 표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심폐소생술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과 머리를 연결하는 목관절부에 두 개의 회전축을 평행하게 설치하여 사람의 목 움직임과 유사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되어 실습자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훈련용 마네킹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 케이스(106)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머리 커버(108)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10)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는 제1기둥(112)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2센서(114a)가 상기 제1센서(112a)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114)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일정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말단에는 자석(118a)이 설치되는 회전암(118);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암(118)의 말단은 상기 제1기둥(112)과 상기 제2기둥(114)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제1센서(112a)와 상기 제2센서(114a)는 상기 자석(118a)의 접근에 따른 자기력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에 설치되며, 문자나 숫자, 도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문자나 숫자, 도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색깔이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디스플레이(1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122)는 심장 압박시 눌러야 하는 최소한의 깊이를 표시하는 깊이표시부(122a)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심장 압박의 주기 또는 단위시간당 횟수를 표시하는 횟수표시부(12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를 연결하는 목관절부(1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목관절부(120)는 상기 몸통 케이스(10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축(120a)과, 상기 머리 케이스(106)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축(12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폐소생술의 실습 과정에서 제어부는 상기 회전암(118)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석(118a)이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센서(112a)와 상기 제2센서(114a)를 지나쳤다가 다시 위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센서(112a)를 지나치는 경우에 정상적인 압박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2)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깊이로 압박했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실습자들이 정확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훈련용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네킹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8은 회전암의 위치에 따른 센서의 감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목관절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 및 11은 목관절부의 회전에 따른 머리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몸통의 좌측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머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이하, '마네킹'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마네킹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네킹(100)은 사람의 상반신과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몸통과 머리로 구성되어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구성하는 심장압박과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몸통과 머리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심폐소생술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설치된다.
몸통은 상체의 뒷부분을 형성하면서 일정한 수용공간(전면이 개방)을 가지고 있는 몸통 케이스(102)와,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 그대로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로 이루어진다.
머리도 몸통과 유사하게 머리 케이스(106)와 머리 커버(108)로 구성되며, 내부의 공간에는 디스플레이와 기타 장치들이 설치된다.
머리 커버(108)는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된다.
몸통과 머리는 목관절부(120)로 연결되어 있어서 일정한 각도만큼 전후방향으로 회전된다. 머리의 회전은 사람의 몸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프링(1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110)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110)은 심장압박 동작시에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 스프링(110)은 몸통 케이스(102)의 중앙에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두 개의 기둥이 설치되는데, 각각 제1기둥(112)과 제2기둥(114)으로 정의한다. 제1기둥(112)에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고, 제2기둥(114)에는 제2센서(114a)가 설치된다. 제1센서(112a)와 제2센서는 자기력측정센서로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자석 등)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도면 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는 동일한 형태의 장치로서 동일한 특성(자기력)을 감지하지만,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곳에 설치된다. 편의상 제1기둥(112)에 설치되는 제1센서(112a)는 바닥면으로부터 더 높은 곳에 설치되며, 제2기둥(114)에 설치되는 제2센서(114a)는 더 낮은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분한다.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가운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기둥(116)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기둥(116)에 설치된 회전축에는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암(118)의 일측 말단이 설치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은 몸통 커버(104)의 상하 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자석(118a)이 사용된다.
도 4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8은 회전암의 위치에 따른 센서의 감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회전암(118)은 회전축기둥(116)에 설치된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의 상단은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몸통 커버(104)의 밑면과 접촉하거나 근접한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를 강하게 누르면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 역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은 평행하게 설치된 제1기둥(112)과 제2기둥(114)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암(118)이 두 개의 기둥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면,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사이를 자석(118a)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는 왕복운동을 하는 자석(118a)으로부터 발산되는 자기력을 감지하여 자석(118a)의 위치를 확인한다. 자석(118a)의 위치는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제어부는 회전암(118)이 어느 높이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같이, 회전암(118)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자석(118a)이 제1센서(112a)를 지나쳐서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의 중간 높이까지 내려오면 제1센서(112a)에는 자석(118a)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없어지고, 제2센서(114a)에는 아직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자석(118a)이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사이의 높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습자가 심장압박 동작을 하는 중이지만 아직 최저점까지 누르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실습자가 압박을 더 해서 도 7과 같이 회전암(118)이 더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제2센서(114a)에서도 자기력이 감지된다. 제어부는 이때 압박의 깊이가 충분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를 누르던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몸통 커버(104)가 원래의 높이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회전암(118)도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올라가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18a)은 제2센서(114a)와 제1센서(112a)를 순서대로 지나치면서 올라간다. 즉 제어부는 제2센서(114a)에서 감지되는 자기력과, 제1센서(112a)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회전암(118)이 다시 원래의 높이로 올라갔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1회의 압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제1센서(112a)에서만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진 후, 제2센서(114a)에서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전에 다시 제1센서(112a)에서 감지가 되었다가 사라졌다면, 회전암(118)이 충분히 아래쪽으로 내려가기 전에 다시 올라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에서 이루어지는 심장압박은 최소 5㎝의 깊이만큼 눌러줘야 한다. 만약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사이의 높이의 차이를 5㎝ 정도로 설정하면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에서 정상적으로 모두 감지가 이루어진 경우에 충분한 압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센서(114a)가 있는 깊이까지 충분히 압박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마네킹(100)은 "압박 깊이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취지의 음성 안내를 출력한다.
또한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에서 순차적으로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진 후, 제2센서(114a)에서 다시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지고, 다시 한 번 제2센서(114a)에서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졌다면, 회전암(118)이 제1센서(112a)의 높이까지 못 올라온 상태에서 다시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심장의 압박 동작은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 압박과 압력해제가 정상적으로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압력의 해제는 회전암(118)이 충분히 위쪽으로 올라오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즉, 아래로 내려갔던 자석(118a)이 다시 올라오면서 제1센서(112a)를 지나칠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압력의 해제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경고를 보낼 수 있다.
이때에는 "압박의 이완이 부족하다"는 취지의 음성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실습자에게 자신의 압박 동작의 품질을 알려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상적인 깊이만큼 충분한 압박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①제1센서 감지 후 소멸, ②제2센서 감지 후 소멸, ③제2센서 감지 후 소멸, ④제1센서 감지 후 소멸"의 과정으로 자기력이 측정될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자기장이 감지되는 시간이나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몇 회의 정상적인 압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단위시간당 압박 회수가 정상적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경우에 실습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대체로 정상적인 압박은 분당 90 내지 130회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분당 100 내지 110회일 경우에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도 9는 목관절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0 및 11은 목관절부의 회전에 따른 머리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네킹(100)의 몸통과 머리는 사람의 관절과 비슷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몸통과 머리는 목관절부(120)로 연결되는데, 목관절부(120)에는 두 개의 회전축이 구비된다.
목관절부(120)가 몸통과 만나는 위치에는 제1회전축(120a)이 설치되며, 머리와 만나는 위치에는 제2회전축(120b)이 설치된다. 제1회전축(120a)과 제2회전축(120b)은 모두 사람 모양의 마네킹(100)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머리는 몸통에 대해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제1회전축(120a)은 목관절부(120)와 몸통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므로, "머리+목관절부" 전체가 몸통에 대해서 앞뒤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제2회전축은 목관절부(120)와 머리가 만나는 곳에 설치되므로, "몸통+목관절부" 전체가 머리에 대해서 회전운동을 한다. 그러나 몸통은 실습자가 바닥에 내려놓고 동작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1회전축(120a)을 중심으로 머리와 목관절부(120)가 회전하며, 제2회전축(120b)을 중심으로는 머리가 회전을 하게 된다.
실제 심폐소생술에서는 기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목을 앞쪽으로 15˚ 정도 들어올린 후, 턱을 위쪽으로 35˚들어올리도록 하고 있다. 두 개의 회전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10과 같이 먼저 목을 앞쪽으로 들어올린 후, 도 11과 같이 턱을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인체에 대한 동작과 동일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몸통의 좌측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사용하는 전기충격기 또는 제세동기는 두 개의 전극패드를 상체에 붙여야 한다. 두 개의 전극패드는 우측 어깨 쇄골 근처와 좌측 옆구리 근처에 붙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마네킹(100)에 사용되는 몸통 커버(104)에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좌측 옆구리 근처를 더 넓게 만든 연장부(104a)가 구비된다. 연장부(104a)는 몸통 커버(104)의 좌측 옆구리 부분을 옆구리와 등의 경계선까지 넓게 연장한 면으로서, 실습자는 전극패드를 붙일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머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실습자에게 심장압박의 깊이와 횟수를 표시하여 정확한 동작을 하고 있는지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사용한다.
몸통 케이스(102)의 하단에는 전원스위치(124)와 음성스위치(126), 주기표시버튼(130), 스피커(128)가 구비된다.
전원스위치(124)는 마네킹(100)에 포함된 전기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이며, 음성스위치(126)는 음성으로 안내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주기표시버튼(130)은 스피커(128)를 통해 일정한 주기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머리(바람직하게는 이마 부분)에는 디스플레이(122)가 설치되어 압박 동작에 대한 내용을 영상으로 표시한다.
실습자가 전원스위치(124)를 켜면 제어부는 내부의 장치를 동작시키면서 심폐소생술의 훈련 과정을 시작한다. 그리고 음성스위치(126)를 켜면 음성으로 동작의 과정을 안내하게 되는데, 실습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스위치(126)를 끄고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실습자가 주기표시버튼(130)을 켜면, 제어부는 심폐소생술의 압박 횟수에 해당하는 주기로 규칙적인 음향을 출력하도록 한다. 즉, 분당 100회의 압박이 표준이라면, 메트로놈과 유사하게 분당 100회의 음향이 스피커(128)를 통해 출력된다. 실습자는 규칙적으로 출력되는 음성에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2)에는 심장압박의 동작을 숫자나 문자, 도형, 색깔, 밝기 등으로 표시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깊이표시부(122a)와 횟수표시부(122b)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깊이표시부(122a)에는 심장 압박시 눌러야 하는 최소한의 깊이가 숫자 등으로 표시되며, 횟수표시부(122b)에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심장 압박의 주기(또는 단위시간당 횟수)가 표시된다.
깊이표시부(122a)와 횟수표시부(122b)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심장 압박의 정확한 깊이 또는 횟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지만, 정해진 규정에 부합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숫자나 문자가 켜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깊이표시부(122a)에는 "5"라는 숫자를 표시하고, 횟수표시부(122b)에는 "100"이라는 숫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 계산한 압박 깊이가 5㎝ 이상인 경우에는 깊이표시부(122a)의 숫자를 정상적으로 표시하고, 5㎝ 미만인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정상적일 때에는 숫자가 초록색으로, 비정상적일 때에는 숫자가 적색으로 깜빡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일 때에는 숫자가 상대적으로 더 밝아지도록 하고, 비정상적일 때에는 더 어두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숫자나 문자의 크기 또는 표시되는 범위의 변화 등을 통해서도 표시해줄 수 있다.
횟수표시부(122b) 역시 정상적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경우를 다르게 표시되도록 하여 실습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압박 깊이나 단위시간당 횟수의 경우에는 개별 압박 동작을 매번 분석하여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일정한 시간 동안 이루어진 동작을 취합하여 판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수 초 동안 행해지는 압박의 깊이가 매번 차이가 있겠지만, 해당 시간 동안의 평균 압박의 깊이가 규정에 맞거나 미세한 오차만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동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압박 주기나 횟수에 대해서도 짧은 시간 동안의 동작 내용을 평균하여 결과를 판단 및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실습자에게 정확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네킹 102 : 몸통 케이스
104 : 몸통 커버 104a : 연장부
106 : 머리 케이스 108 : 머리 커버
110 : 스프링 112 : 제1기둥
112a : 제1센서 114 : 제2기둥
114a : 제2센서 116 : 회전축기둥
118 : 회전암 118a : 자석
120 : 목관절부 120a : 제1회전축
120b : 제2회전축 122 : 디스플레이
122a : 깊이 표시부 122b : 횟수 표시부
124 : 전원스위치 126 : 음성스위치
128 : 스피커 130 : 주기표시버튼

Claims (4)

  1.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되어 실습자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훈련용 마네킹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 케이스(106)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머리 커버(108)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10)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는 제1기둥(112)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2센서(114a)가 상기 제1센서(112a)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114)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말단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말단에는 자석(118a)이 설치되는 회전암(118);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암(118)의 말단은 상기 제1기둥(112)과 상기 제2기둥(114) 사이에서 원호의 일부를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제1센서(112a)와 상기 제2센서(114a)는 상기 자석(118a)의 접근에 따른 자기력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에 설치되며, 문자나 숫자, 도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문자나 숫자, 도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색깔이나 밝기, 크기, 표시되는 범위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디스플레이(1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122)는 심장 압박시 눌러야 하는 최소한의 깊이를 표시하는 깊이표시부(122a)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심장 압박의 주기 또는 단위시간당 횟수를 표시하는 횟수표시부(12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를 연결하는 목관절부(1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목관절부(120)는 상기 몸통 케이스(10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축(120a)과, 상기 머리 케이스(106)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축(12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4. 제2항에 있어서,
    심폐소생술의 실습 과정에서 제어부는 상기 회전암(118)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석(118a)이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상기 제1센서(112a)와 상기 제2센서(114a)를 지나쳤다가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서 상기 제1센서(112a)를 지나치는 경우에 정상적인 압박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2)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KR1020150154484A 2015-11-04 2015-11-04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KR101605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84A KR101605383B1 (ko) 2015-11-04 2015-11-04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JP2018544009A JP2018533084A (ja) 2015-11-04 2016-10-20 心肺蘇生術の訓練用マネキン
US15/773,405 US20180322808A1 (en) 2015-11-04 2016-10-20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P16862316.3A EP3373275B1 (en) 2015-11-04 2016-10-2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mannequin
CN201680073271.7A CN108369783B (zh) 2015-11-04 2016-10-20 用于心肺复苏训练的人体模型
PCT/KR2016/011781 WO2017078300A1 (ko) 2015-11-04 2016-10-20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84A KR101605383B1 (ko) 2015-11-04 2015-11-04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383B1 true KR101605383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484A KR101605383B1 (ko) 2015-11-04 2015-11-04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22808A1 (ko)
EP (1) EP3373275B1 (ko)
JP (1) JP2018533084A (ko)
KR (1) KR101605383B1 (ko)
CN (1) CN108369783B (ko)
WO (1) WO20170783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22A1 (en) * 2016-04-08 2017-10-12 I.M.Lab Inc.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20200137672A (ko) 2019-05-31 2020-12-09 (주)컬러룬 심폐소생 훈련용 모형
KR20210000312U (ko) 2021-01-27 2021-02-09 (주)컬러룬 심폐소생 훈련용 모형
KR102531834B1 (ko) 2022-05-09 2023-05-16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3614A (zh) * 2017-01-27 2022-01-21 科玛科学公司 患者模拟器及相关设备、系统和方法
CN109754691A (zh) * 2018-12-07 2019-05-14 广西英腾教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心肺复苏教学训练装置、数据处理方法和存储介质
CN109599018B (zh) * 2018-12-25 2023-12-29 上海爱姆森医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心肺复苏训练与考核一体装置
DE102019117441A1 (de) * 2019-06-27 2020-12-31 AA-REA GmbH HLW-Übungspuppe
CN112037600B (zh) * 2020-08-28 2022-05-17 马全胜 关节松动术教具
CN112914584B (zh) * 2021-02-25 2022-11-01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具有引导功能的心电图采集系统
RU205748U1 (ru) * 2021-03-02 2021-08-06 Алексей Валерьевич Буб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ботов-тренажеров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обучения навыкам сердечно-легочной реанимации
CN114387861A (zh) * 2022-02-15 2022-04-22 四川大学 一种心肺复苏集训练与考核一体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375B1 (ko) 2008-09-23 2009-03-06 이은숙 심폐소생 시술 훈련용 마네킹
KR101267384B1 (ko) 2011-11-24 2013-05-24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20585A (zh) * 1999-11-18 2004-08-11 生命迹象公司 选择性自动外部去纤颤cpr人体模型
JP2002221897A (ja) * 2001-01-24 2002-08-09 Yagami Inc 蘇生法訓練用人体モデル
CN2765273Y (zh) * 2004-11-25 2006-03-15 刘霄飞 全功能护理人模型
US8465293B2 (en) * 2005-09-01 2013-06-18 Prestan Products Llc Medical training device
JP2009103824A (ja) * 2007-10-22 2009-05-14 Mitaka Supply Co Ltd 心肺蘇生訓練システム
CN201235218Y (zh) * 2008-06-27 2009-05-13 黄国威 一种仿真人体模型
KR2011009673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47504A1 (en) * 2010-10-05 2012-04-12 Scientific Pathways International, Llc System, components and methodologies for training and testing on cardiac compressions
KR20120053727A (ko) * 2010-11-18 2012-05-29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인공호흡 량 검출 및 표시장치
US20120329022A1 (en) * 2011-06-27 2012-12-27 Eirik Hetland Chest compression training assembly
JP5593275B2 (ja) * 2011-06-29 2014-09-17 東京瓦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20150086958A1 (en) * 2013-09-25 2015-03-26 University Of Delaware Medical treatment simulation devices
KR101606096B1 (ko) * 2014-01-17 2016-03-24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375B1 (ko) 2008-09-23 2009-03-06 이은숙 심폐소생 시술 훈련용 마네킹
KR101267384B1 (ko) 2011-11-24 2013-05-24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922A1 (en) * 2016-04-08 2017-10-12 I.M.Lab Inc.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9805623B1 (en) 2016-04-08 2017-10-31 I.M.Lab Inc.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9812037B2 (en) 2016-04-08 2017-11-07 I.M.Lab Inc.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20200137672A (ko) 2019-05-31 2020-12-09 (주)컬러룬 심폐소생 훈련용 모형
KR20210000312U (ko) 2021-01-27 2021-02-09 (주)컬러룬 심폐소생 훈련용 모형
KR102531834B1 (ko) 2022-05-09 2023-05-16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WO2023219323A1 (ko) * 2022-05-09 2023-11-16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3275A1 (en) 2018-09-12
EP3373275A4 (en) 2019-04-24
WO2017078300A1 (ko) 2017-05-11
CN108369783A (zh) 2018-08-03
US20180322808A1 (en) 2018-11-08
EP3373275B1 (en) 2021-01-06
CN108369783B (zh) 2020-06-26
JP2018533084A (ja)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383B1 (ko)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EP3096307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pparatus
KR101232869B1 (ko)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973139B1 (ko)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US2008030051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rescuer in resuscitation
KR10144597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JP2009103824A (ja) 心肺蘇生訓練システム
KR100985078B1 (ko)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실습상태와 정확도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3727A (ko)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인공호흡 량 검출 및 표시장치
CN214312323U (zh) 一种多机互联群体化心肺复苏急救考核模型
KR20110096730A (ko)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7090B1 (ko)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의 흉부모형 장치
KR101798534B1 (ko) 흉부모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KR20170013091A (ko)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교육안내 시스템
KR101267384B1 (ko)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KR20190139431A (ko) 초보자를 위한 심폐소생술 학습 교구
KR101554429B1 (ko)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KR20160001260U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JP7164147B2 (ja) 胸骨圧迫訓練モデル
KR101995675B1 (ko) 영아용 흉부 압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KR20150086207A (ko) 심폐소생 훈련장치
KR102531834B1 (ko)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KR20170013090A (ko)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방법
US11626034B2 (en) Thorax and manik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delivery of gaseous CO2
KR20110070223A (ko) 마네킹용 심폐소생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