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834B1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834B1 KR102531834B1 KR1020220056513A KR20220056513A KR102531834B1 KR 102531834 B1 KR102531834 B1 KR 102531834B1 KR 1020220056513 A KR1020220056513 A KR 1020220056513A KR 20220056513 A KR20220056513 A KR 20220056513A KR 102531834 B1 KR102531834 B1 KR 102531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infrared sensor
- case
- mannequin
- cp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68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38669 Respiratory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612 cardio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217 heart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62 stern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647 Drow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네킹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암의 끝부분에 자석을 설치하고, 두 개의 기둥의 다른 높이에 두 개의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회전암의 위치를 파악하고, 수직으로 움직이는 수직센서가 통과하는 경로상에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좌우로 한 쌍 설치하여 수직센서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확인하여 실습자가 규정에 맞는 심폐소생술을 하고 있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깊이로 압박했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으며, 압박의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인 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실습자들이 정확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깊이로 압박했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으며, 압박의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인 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실습자들이 정확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네킹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암의 끝부분에 자석을 설치하고, 두 개의 기둥의 다른 높이에 두 개의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회전암의 위치를 파악하고, 수직으로 움직이는 수직센서가 통과하는 경로상에 복수의 적외선센서를 좌우로 한 쌍 설치하여 수직센서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확인하여 실습자가 규정에 맞는 심폐소생술을 하고 있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이란 심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소생시키는 처치이다. 통상 호흡기능장애나 호흡정지에 대해서는 우선 기 도를 확보한 후에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심장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심장마사지를 한다.
인공호흡이란 물에 빠지거나 중독·출혈 등으로 심장은 뛰고 있으나 호흡이 멈추어 가사상태에 있을 때, 인공적으로 폐의 기능을 소생시켜 호흡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제1차 구명처치로서의 인공호흡법에는 시술자의 날숨을 환자의 폐로 불어넣는 숨불어넣기방법과, 시술자가 손을 사용하여 환자의 흉부 등을 압박하여 들숨·날숨을 일으키는 용수인공호흡방법이 있다. 상기 숨불어넣기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것이 환자에게 구강을 통해서 불어넣은 공기에 의해 환자의 폐를 확장시키는 구강 대 구강법이다.
또한, 추락·감전·중독 등으로 인해 심장의 박동이 멎었을 때 심장기능을 소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심폐소생술에는 흉골을 척추를 향하여 5㎝ 내지 6㎝ 정도 아래로 누름으로써 심장을 압박하여 혈액을 박출시키는 흉골압박식 심장마사지 방법이 있다. 보통 심장마사지라고 하면 이를 가리킨다.
먼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의 유무를 확인하여 호흡정지상태라면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심장정지상태이면 인공호흡을 계속하면서 심장마사지를 시작하는 심폐소생시술은, 인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술자 혹은 실습자가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기가 적당하지 않다.
최근에는 인체의 형상과 비슷한 모양의 마네킹을 이용하여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을 연습하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훈련용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용 마네킹은, 인체 흉부 및 머리의 형상을 하고 있는 마네킹(10)과, 상기 마네킹(10) 내부에 설치되고, 심폐 소생 훈련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음을 확인시켜 주기 위하여 흉부압박시 일정한 확인음을 발생시키는 심폐소생술 확인부(20) 그리고 인체의 폐기관을 나타내는 공기주머니(30)로 구성된다.
상기 마네킹(10)은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하판(40)과 가슴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판(50), 그리고 머리의 형상을 나타내는 두부(60)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40)은 상기 심폐소생술 확인부(20)와 공기주머니(30)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고 전면이 개구되어 있는 캐비닛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50)은 상기 하판(4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두부(60)는 상기 하판(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60)의 전반부 하단에는 사람의 턱의 형상을 하고 있는 회동부(62)가 설치되어 회동부(62)가 상하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판(40)과 상판(50) 사이에는 그 중심에 상판(50)이 외력에 대하여 탄성을 갖도록 압축스프링(7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50)을 내측으로 압박하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70)에 의하여 일정한 저항을 받으면서 상판(50)이 내측으로 들어간다. 상기 하판(40)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심폐소생술 확인부(20)는 일측에 볼록부를 구비한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6)은 상기 하판(40)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판스프링이 스토퍼와 충돌시 소리를 발생하도록 판스프링의 볼록부가 스토퍼와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50)에는 상기 스토퍼 및 판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판스프링을 압박하는 압박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50)을 외측에서 가압하면 상기 압박부(52)가 상기 판스프링을 압박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마네킹(10)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을 할 때에는 실습자가 강한 힘으로 마네킹(10)의 상판(50)을 눌러서 판스프링에서 소리가 나면 적절한 압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마네킹(10)을 오래 사용하면 소리가 잘 안 나거나 소리의 크기가 작아져서 실습자나 교관이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실습자가 상판(50)을 수직 방향으로 눌러야 정확한 심폐소생술이 되는데, 실습자의 동작이 정확한 수직 방향의 움직임인지를 확인할 수 없어서 정확한 훈련 성과 분석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의 상반신 모양으로 만들어진 마네킹 내부에 회전암을 설치하여 실습자의 압박에 따라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고, 두 개의 센서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하고, 두 개의 센서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암의 높이를 확인하도록 하여 실습자가 충분한 깊이와 높이만큼 압박과 이완 동작을 실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습자가 실시하고 있는 심폐소생술이 정확한 깊이와 주기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영상과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몸통커버와 함께 아래 위로 움직이는 차단봉을 설치하여 압박의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인지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심폐소생술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되어 실습자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훈련용 마네킹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 케이스(106)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머리 커버(108)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10)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는 제1기둥(112)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2센서(114a)와 제3센서(114b)가 상기 제1센서(112a)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114)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말단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말단에는 자석(118a)이 설치되는 회전암(118);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센서(114a)는 상기 제3센서(114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암(118)의 말단은 상기 제1기둥(112)과 상기 제2기둥(114) 사이에서 원호의 일부를 따라 일정한 각도 만큼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제1센서(112a), 상기 제2센서(114a), 상기 제3센서(114b)는 상기 자석(118a)의 접근에 따른 자기력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며, 심폐소생술의 실습 과정에서 제어부는 상기 회전암(118)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석(118a)이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상기 제3센서(114b)를 지나치면 과압박으로 판단하여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석(118a)의 자기력이 상기 제2센서(114a)에서 감지되었다가 사라지고, 상기 제3센서(114b)에서 최대값으로 감지되면, 상기 자석(118a)이 상기 제3센서(114b)를 지나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되어 실습자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훈련용 마네킹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 케이스(106)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머리 커버(108)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10)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는 제1기둥(112)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2센서(114a)가 상기 제1센서(112a)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114)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말단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말단에는 자석(118a)이 설치되는 회전암(118)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센서케이스(132)와; 상기 센서케이스(132)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적외선센서(134) 및 제2적외선센서(136)와; 상기 몸통 커버(104)의 밑면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의 압박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실습자의 압박 동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 또는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의 감지를 차단하는 차단판(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차단판(140)이 상기 센서케이스(132)의 앞면을 가리면, 적외선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판(140)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가 이격된 거리 보다 더 길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상기 차단판(140)의 좌우측 말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를 가리면서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 미만의 간격을 두고 신호 감지가 차단되는 경우에 압박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상기 차단판(140)의 좌우측 말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를 일정 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신호 감지가 차단되는 경우에 압박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영상 또는 음성으로 실습자에게 알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할 때, 어느 정도의 깊이로 압박했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으며, 압박의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인 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실습자들이 정확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훈련용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네킹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9는 회전암의 위치에 따른 센서의 감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수직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수직센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수직센서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차단판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차단판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5는 차단판이 비스듬하게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네킹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9는 회전암의 위치에 따른 센서의 감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수직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수직센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수직센서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차단판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차단판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5는 차단판이 비스듬하게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이하, '마네킹'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마네킹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9는 회전암의 위치에 따른 센서의 감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네킹(100)은 사람의 상반신과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몸통과 머리로 구성되어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구성하는 심장압박과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몸통과 머리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심폐소생술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설치된다.
몸통은 상체의 뒷부분을 형성하면서 일정한 수용공간(전면이 개방)을 가지고 있는 몸통 케이스(102)와,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 그대로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로 이루어진다.
머리도 몸통과 유사하게 머리 케이스(106)와 머리 커버(108)로 구성되며, 내부의 공간에는 디스플레이와 기타 장치들이 설치된다.
머리 커버(108)는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된다.
몸통과 머리는 목관절부(120)로 연결되어 있어서 일정한 각도만큼 전후방향으로 회전된다. 머리의 회전은 사람의 몸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프링(1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110)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110)은 심장압박 동작시에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 스프링(110)은 몸통 케이스(102)의 중앙에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두 개의 기둥이 설치되는데, 각각 제1기둥(112)과 제2기둥(114)으로 정의한다. 제1기둥(112)에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고, 제2기둥(114)에는 제2센서(114a)와 제3센서(114b)가 설치된다.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제3센서(114b)는 자기력측정센서로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자석 등)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도면 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제3센서(114b)는 동일한 형태의 장치로서 동일한 특성(자기력)을 감지하지만,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곳에 설치된다. 편의상 제1기둥(112)에 설치되는 제1센서(112a)는 바닥면으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제2기둥(114)에 설치되는 제2센서(114a)는 중간 위치에, 그리고 제3센서(114b)는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분한다.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가운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기둥(116)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기둥(116)에 설치된 회전축에는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암(118)의 일측 말단이 설치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은 몸통 커버(104)의 상하 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자석(118a)이 사용된다.
도 4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회전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내지 9는 회전암의 위치에 따른 센서의 감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회전암(118)은 회전축기둥(116)에 설치된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의 상단은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몸통 커버(104)의 밑면과 접촉하거나 근접한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를 강하게 누르면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 역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은 평행하게 설치된 제1기둥(112)과 제2기둥(114)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암(118)이 두 개의 기둥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면, 제1센서(112a)로부터 제3센서(114b) 사이를 자석(118a)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제1센서(112a) 내지 제3센서(114b)는 왕복운동을 하는 자석(118a)으로부터 발산되는 자기력을 감지하여 자석(118a)의 위치를 확인한다. 자석(118a)의 위치는 회전암(118)의 타측 말단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제어부는 회전암(118)이 어느 높이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같이, 회전암(118)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자석(118a)이 제1센서(112a)를 지나쳐서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의 중간 높이까지 내려오면 제1센서(112a)에는 자석(118a)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없어지고, 제2센서(114a)에는 아직 자기력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자석(118a)이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사이의 높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습자가 심장압박 동작을 하는 중이지만 아직 최저점까지 누르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실습자가 압박을 더 해서 도 7과 같이 회전암(118)이 더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제2센서(114a)에서도 자기력이 감지된다. 제어부는 이때 압박의 깊이가 충분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를 누르던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해 몸통 커버(104)가 원래의 높이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회전암(118)도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올라가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18a)은 제2센서(114a)와 제1센서(112a)를 순서대로 지나치면서 올라간다. 즉 제어부는 제2센서(114a)에서 감지되는 자기력과, 제1센서(112a)에서 감지되는 자기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회전암(118)이 다시 원래의 높이로 올라갔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1회의 압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제1센서(112a)에서만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진 후, 제2센서(114a)에서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전에 다시 제1센서(112a)에서 감지가 되었다가 사라졌다면, 회전암(118)이 충분히 아래쪽으로 내려가기 전에 다시 올라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에서 이루어지는 심장압박은 최소 5㎝의 깊이만큼 눌러줘야 한다. 만약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 사이의 높이의 차이를 5㎝ 정도로 설정하면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에서 정상적으로 모두 감지가 이루어진 경우에 충분한 압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센서(114a)가 있는 깊이까지 충분히 압박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마네킹(100)은 "압박 깊이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취지의 음성 안내를 출력한다.
또한 제1센서(112a)와 제2센서(114a)에서 순차적으로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진 후, 제2센서(114a)에서 다시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지고, 다시 한 번 제2센서(114a)에서 자기력이 감지되었다가 사라졌다면, 회전암(118)이 제1센서(112a)의 높이까지 못 올라온 상태에서 다시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심장의 압박 동작은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 압박과 압력해제가 정상적으로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압력의 해제는 회전암(118)이 충분히 위쪽으로 올라오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즉, 아래로 내려갔던 자석(118a)이 다시 올라오면서 제1센서(112a)를 지나칠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압력의 해제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경고를 보낼 수 있다.
이때에는 "압박의 이완이 부족하다"는 취지의 음성 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실습자에게 자신의 압박 동작의 품질을 알려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상적인 깊이만큼 충분한 압박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①제1센서 감지 후 소멸, ②제2센서 감지 후 소멸, ③제2센서 감지 후 소멸, ④제1센서 감지 후 소멸"의 과정으로 자기력이 측정될 것이다.
한편, 심폐소생술에서는 최소한 5㎝의 깊이로 가슴을 눌러야 심장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더 깊은 깊이까지 가슴을 누른다면, 갈비뼈가 부러지거나 다른 장기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실습자가 과도하게 깊이 가슴을 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압박을 감지하여 경고를 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제2센서(114a)는 최소한 깊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지만, 제3센서(114b)는 과도한 깊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회전암(118)이 과도하게 회전하면서 자석(118a)이 제3센서(114b)를 지나쳐서 내려간다면, 제어부는 과압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센서(114a)를 5㎝ 정도의 깊이에 설치한다면, 제3센서(114b)는 6㎝ 내지 7㎝ 정도의 깊이에 설치하도록 한다. 되도록 제2센서(114a)가 설치된 위치에서 1~2㎝ 아래쪽에 제3센서(114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와 같이, 자석(118a)의 자기력이 제2센서(114a)에서 감지되었다가 사라지고, 그 직후에 제3센서(114b)에서 최대값으로 감지되면, 회전암(118)이 제3센서(114b)가 설치된 높이 보다 더 아래쪽까지 회전한 것으로 보아서 제어부는 과압박이 발생했음을 음성이나 영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는 자기장이 감지되는 시간이나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몇 회의 정상적인 압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단위시간당 압박 회수가 정상적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경우에 실습자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대체로 실습자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슴압박의 간격은 실습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미국심장협회(AHA)의 2020년 CPR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분당 100회 내지 120회의 속도로 가슴압박을 시행하라고 이를 권장하고 있다.
한편, 도 10은 수직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수직센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수직센서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차단판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차단판이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5는 차단판이 비스듬하게 내려오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심폐소생술에서는 압박 동작에 있어서 충분한 깊이와 일정한 속도 등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리고 압박 대상이 되는 심장에 효과적으로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눌러주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박 동작이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행해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직센서를 추가로 구비한다.
수직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감지 대상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좌우측의 센서가 감지하고, 좌측 또는 우측 센서가 대상물을 동시에 감지하는 지를 확인하여 압박의 방향이 수직인지 비스듬한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센서는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센서케이스(132)와, 그 앞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차단판(140)으로 구성된다. 센서케이스(132)에는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는 센서케이스(132)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수광부가 감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차단판(140)이 센서케이스(132)의 앞면을 가리면, 적외선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가 적외선을 발광하고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LED를 사용하여 가시광선을 수발광하는 형태의 센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초음파 등 직진성을 갖는 빛이나 음파, 전자파 등을 사용하는 방식의 센서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센서케이스(132)의 전면에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센서케이스(132)의 높이는 차단판(140)이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판(140)의 상부는 기둥 모양의 세로바(138)로 구성되며, 세로바(138)는 상단의 연결부(142)에 의해 몸통 커버(104)의 밑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의 중심 부분을 눌러서 압박 동작을 하면, 그 아래로 연결된 차단판(140)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센서케이스(132)의 앞쪽까지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충분한 깊이까지 내려가면, 두 개의 적외선센서와 만나게 된다.
차단판(140)은 좌우 길이가 충분히 길어서 두 개의 적외선센서를 가릴 수 있을 정도가 되는데, 이를 위해 차단판(140)의 좌우 길이는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가 이격된 거리 보다 더 길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 13과 도 14에서와 같이,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를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에는 좌우로 길쭉한 형태의 차단판(140)이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아래로 내려간다. 이로 인해 차단판(140)의 좌우측 말단부가 서로 이격된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를 동시에 또는 아주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가리게 된다. 제어부는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의 신호 감지가 거의 동시에 차단되는 경우에 압박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알람을 울리지 않거나, 수직으로 압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서는 물리적으로 동시에 센서를 차단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시간 간격 이내에 센서를 차단한다면, 동시에 가린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간 간격은 장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초 내지 0.5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도 15에서와 같이,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의 표면에서 비스듬하게 압박을 하는 경우에는 차단판(140)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비스듬하게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실습자가 몸통 커버(104)를 상체의 길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누를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체의 길이 방향으로 차단판(140)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데, 상체의 길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도 심장을 압박하는 효과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상체의 폭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면, 심장을 정확하게 압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센서를 상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면 차단판(140)의 좌우측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를 동시에 가리지 못하게 된다. 제어부는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의 신호 감지가 일정 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차단되는 경우에 압박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에는 경고음이나 음성, 영상 등의 방법으로 정상 압박 동작이 아님을 실습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시간 차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가 상대적으로 가깝게 설치된 경우에는 차단판(140)이 비스듬하게 내려오는 경우에도 양쪽 센서의 감지 시간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두 개의 적외선센서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차단판(140)이 조금만 기울어진 상태로 내려오더라도 감지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면서 기울어짐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습자 또는 장치의 관리자가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단판(14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정도(정밀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을 적게 받은 실습자와 많이 받은 실습자의 수준에 따라 두 개의 적외선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훈련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단판(14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고무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의 효과적인 반사를 위해 색깔을 조절하거나, 반사 효과가 큰 필름을 부착하는 등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차단판의 소재나 반사효율 등에 대하여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구성의 변경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네킹 102 : 몸통 케이스
104 : 몸통 커버 104a : 연장부
106 : 머리 케이스 108 : 머리 커버
110 : 스프링 112 : 제1기둥
112a : 제1센서 114 : 제2기둥
114a : 제2센서 114b : 제3센서
116 : 회전축기둥 118 : 회전암
118a : 자석 120 : 목관절부
120a : 제1회전축 120b : 제2회전축
122 : 디스플레이 122a : 깊이 표시부
122b : 횟수 표시부 124 : 전원스위치
126 : 음성스위치 128 : 스피커
130 : 주기표시버튼 132 : 센서케이스
134 : 제1적외선센서 136 : 제2적외선센서
138 : 세로바 140 : 차단판
142 : 연결부
104 : 몸통 커버 104a : 연장부
106 : 머리 케이스 108 : 머리 커버
110 : 스프링 112 : 제1기둥
112a : 제1센서 114 : 제2기둥
114a : 제2센서 114b : 제3센서
116 : 회전축기둥 118 : 회전암
118a : 자석 120 : 목관절부
120a : 제1회전축 120b : 제2회전축
122 : 디스플레이 122a : 깊이 표시부
122b : 횟수 표시부 124 : 전원스위치
126 : 음성스위치 128 : 스피커
130 : 주기표시버튼 132 : 센서케이스
134 : 제1적외선센서 136 : 제2적외선센서
138 : 세로바 140 : 차단판
142 : 연결부
Claims (6)
- 삭제
- 삭제
-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되어 실습자에게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기 위해 사용되는 훈련용 마네킹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통 케이스(102)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상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몸통 커버(104)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 케이스(106)와;
상기 머리 케이스(106)의 전면을 덮으면서 사람의 얼굴의 앞모습과 유사하게 제작되는 머리 커버(108)와;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10)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1센서(112a)가 설치되는 제1기둥(112)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감지하는 제2센서(114a)가 상기 제1센서(112a)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제2기둥(114)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말단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말단에는 자석(118a)이 설치되는 회전암(118)과;
상기 몸통 케이스(102)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센서케이스(132)와;
상기 센서케이스(132)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적외선센서(134) 및 제2적외선센서(136)와;
상기 몸통 커버(104)의 밑면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 커버(104)의 압박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실습자의 압박 동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 또는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의 감지를 차단하는 차단판(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제2적외선센서(136)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차단판(140)이 상기 센서케이스(132)의 앞면을 가리면, 적외선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40)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가 이격된 거리 보다 더 길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차단판(140)의 좌우측 말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를 가리면서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 미만의 간격을 두고 신호 감지가 차단되는 경우에 압박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차단판(140)의 좌우측 말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적외선센서(134)와 상기 제2적외선센서(136)를 일정 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신호 감지가 차단되는 경우에 압박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영상 또는 음성으로 실습자에게 알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6513A KR102531834B1 (ko) | 2022-05-09 | 2022-05-09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PCT/KR2023/005975 WO2023219323A1 (ko) | 2022-05-09 | 2023-05-02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JP2023553137A JP2024523083A (ja) | 2022-05-09 | 2023-05-02 | 心肺蘇生術訓練用マネキン |
US18/242,524 US20230410687A1 (en) | 2022-05-09 | 2023-09-06 |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6513A KR102531834B1 (ko) | 2022-05-09 | 2022-05-09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1834B1 true KR102531834B1 (ko) | 2023-05-16 |
Family
ID=8654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6513A KR102531834B1 (ko) | 2022-05-09 | 2022-05-09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410687A1 (ko) |
JP (1) | JP2024523083A (ko) |
KR (1) | KR102531834B1 (ko) |
WO (1) | WO2023219323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6207A (ko) | 2015-04-30 | 2015-07-27 |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 심폐소생 훈련장치 |
KR101605383B1 (ko) | 2015-11-04 | 2016-03-22 |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KR20190014308A (ko) * | 2017-08-02 | 2019-02-12 | 윤정아 |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5994A (ko) * | 2011-10-06 | 2011-10-24 | 한상현 | 응급구호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방법 |
WO2017091032A1 (ko) * | 2015-11-27 | 2017-06-01 | 주식회사 아이엠랩 | 휴대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및 방법 |
KR101856203B1 (ko) * | 2017-07-04 | 2018-05-10 |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
-
2022
- 2022-05-09 KR KR1020220056513A patent/KR1025318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5-02 JP JP2023553137A patent/JP2024523083A/ja active Pending
- 2023-05-02 WO PCT/KR2023/005975 patent/WO2023219323A1/ko unknown
- 2023-09-06 US US18/242,524 patent/US2023041068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6207A (ko) | 2015-04-30 | 2015-07-27 |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 심폐소생 훈련장치 |
KR101605383B1 (ko) | 2015-11-04 | 2016-03-22 |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KR20190014308A (ko) * | 2017-08-02 | 2019-02-12 | 윤정아 |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219323A1 (ko) | 2023-11-16 |
US20230410687A1 (en) | 2023-12-21 |
JP2024523083A (ja) | 2024-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369783B (zh) | 用于心肺复苏训练的人体模型 | |
US9262943B2 (en) | CPR mannequin | |
KR101232869B1 (ko) |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 |
US11944582B2 (en) | Compression depth monitor with variable release velocity feedback | |
US9235992B2 (en) | Simulator for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 |
KR20100031116A (ko) | 소생술에서 구조자를 보조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
KR20120053727A (ko) |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인공호흡 량 검출 및 표시장치 | |
KR102120609B1 (ko) | 흉부압박 정보수집장치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 |
KR101737090B1 (ko) |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의 흉부모형 장치 | |
KR20110096730A (ko) |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679149B1 (ko) | 응급처치 훈련용 영아 모형 | |
KR102039218B1 (ko) |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 |
KR102531834B1 (ko)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
KR20120053728A (ko) |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흉부압박 정확도 검출 및 표시장치 | |
KR101798534B1 (ko) | 흉부모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 |
KR101267384B1 (ko)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
KR20190016700A (ko) |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 |
JP7164147B2 (ja) | 胸骨圧迫訓練モデル | |
CN218568252U (zh) | 一种心肺复苏模拟系统 | |
KR20160001260U (ko) |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 |
KR102467942B1 (ko) | 의료 심폐소생술 실습 시스템 | |
KR101995675B1 (ko) | 영아용 흉부 압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 |
KR102622723B1 (ko) |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 |
KR102678348B1 (ko) | 보드형 심폐소생술 피드백 장치 | |
KR20160041440A (ko) |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