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723B1 -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723B1
KR102622723B1 KR1020210118604A KR20210118604A KR102622723B1 KR 102622723 B1 KR102622723 B1 KR 102622723B1 KR 1020210118604 A KR1020210118604 A KR 1020210118604A KR 20210118604 A KR20210118604 A KR 20210118604A KR 102622723 B1 KR102622723 B1 KR 10262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compression
chest
human body
tor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5972A (ko
Inventor
양승진
김남혁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to KR102021011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723B1/ko
Priority to US17/573,984 priority patent/US20230076333A1/en
Publication of KR2023003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가슴압박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몸통에 대한 가슴 압박 훈련시 가슴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인공호흡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구강을 통한 인공호흡 훈련시 호흡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몸통에 대한 자동제세동기 훈련시 패드부착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지혈압박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몸통에 구비된 상처피부모형부에 대한 지혈압박 훈련시 지혈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인체모형의 몸통에 장착되며, 가슴압박 훈련모듈과 인공호흡 훈련모듈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과 지혈압박 훈련모듈로부터 훈련정보들을 획득한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훈련정보들을 제공받아 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Simulator for emergency treatment training}
본 발명은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인체와 유사한 조건에서 응급처치를 훈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와 관련된 기술이다.
응급처치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장소나 시간에 갑자기 발생한 외상이나 질환에 대해서 최소한도의 치료를 행하는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외상에 의한 지혈, 창상의 청정화, 골절의 간이 고정 등을 행하거나, 심정지 발생 환자에게 인공호흡, 가슴압박 등의 소생술을 행하는 것 등이 있다. 응급처치는 신체적인 이상을 인지한 긴급한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회복시키는데 있어 요구되는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심폐소생술이란 심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소생시키는 처치이다. 심정지가 발생된 후 4~5분이 경과되면 뇌가 비가역적 손상을 받기 때문에, 심정지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야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을 정상 상태로 소생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에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가 구축되어 있을 때 신속하게 환자에게 자동제세동을 수행함으로써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은 인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술자 혹은 훈련자가 위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기가 적당하지 않다. 최근에는 인체의 형상과 비슷한 모양의 마네킹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이나 자동제세동기(교육용 자동제세동기)를 연습하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8659호(2017.12.04,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훈련자로 하여금 가슴압박과 인공호흡과 자동제세동과 같은 심폐소생술과 지혈압박을 사실감 있게 훈련하고 평가하여 응급처치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는 인체모형과, 가슴압박 훈련모듈과, 인공호흡 훈련모듈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과, 지혈압박 훈련모듈과, 제어부, 및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인체모형은 인체의 상반신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슴압박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몸통에 대한 가슴 압박 훈련시 가슴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인공호흡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구강을 통한 인공호흡 훈련시 호흡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몸통에 대한 자동제세동기 훈련시 패드부착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지혈압박 훈련모듈은 인체모형의 몸통에 구비된 상처피부모형부에 대한 지혈압박 훈련시 지혈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인체모형의 몸통에 장착되며, 가슴압박 훈련모듈과 인공호흡 훈련모듈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과 지혈압박 훈련모듈로부터 훈련정보들을 획득한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훈련정보들을 제공받아 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훈련자로 하여금 가슴압박 훈련모듈과 인공호흡 훈련모듈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을 통한 심폐소생술과 지혈압박 훈련모듈을 통한 지혈압박과 같은 응급처치를 사실감 있게 훈련할 수 있게 하며, 훈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자가학습을 할 수 있게 하며, 훈련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결과자료를 분석하여 평가할 수 있게 하므로, 응급처치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인공호흡 훈련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역류방지 밸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지혈압박 훈련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의 제1,2 패드 감지부가 인체모형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패드 감지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패드 감지센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1,2 훈련 패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훈련 패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모니터링 장치에 가상의 자동제세동기 훈련 시나리오가 구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가슴압박 훈련모듈이 인체모형의 몸통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가슴압박 훈련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슴압박 훈련모듈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모니터링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1000)는 인체모형(100)과, 가슴압박 훈련모듈(200)과, 인공호흡 훈련모듈(300)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과, 지혈압박 훈련모듈(500)과, 제어부(600), 및 모니터링 장치(700)를 포함한다.
인체모형(100)은 인체의 상반신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인체모형(100)은 몸통(110)과 목(120)과 머리(130)를 포함한다. 몸통(110)은 가슴압박 훈련모듈(200)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과 지혈압박 훈련모듈(500)을 내장한다. 몸통(110)의 외부는 등판(111)과 몸통 피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몸통 피부(112)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인체의 피부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몸통(110)은 상처피부모형부(140)를 갖는다. 상처피부모형부(140)는 몸통 피부(112)를 관통해서 고정된다.
목(120)은 몸통(110)에 연결된다. 머리(130)는 몸통(110) 및 목(120)과 함께 인공호흡 훈련모듈(300)을 내장한다. 머리(130)는 후두부(131)와 안면부(132)를 갖는다. 후두부(131)는 목(120)에 연결된다. 안면부(132)에는 얼굴 피부를 탈착할 수 있다. 얼굴 피부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면부(132)는 인체모형(100)이 수평으로 뉘어진 기준으로 턱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후두부(13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안면부(132)는 턱이 하측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머리 스프링(133, 도 3 참조)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훈련자가 손으로 힘을 가해 안면부(132)의 턱을 상부로 젖힌 후 힘을 제거하면, 안면부(132)는 머리 스프링(133)에 의해 원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인체모형(100)은 인체의 전신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슴압박 훈련모듈(200)은 인체모형(110)의 몸통(110)에 대한 가슴 압박 훈련시 가슴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가슴압박 훈련모듈(200)은 가슴압박 변위센서(240)와 압박 위치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된 가슴압박 훈련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다.
인공호흡 훈련모듈(300)은 인체모형(100)의 구강을 통한 인공호흡 훈련시 호흡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인공호흡 훈련모듈(300)은 인공호흡용 변위센서(330)와 기도폐쇄 감지센서(360)에 의해 측정된 호흡 훈련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은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에 대한 자동제세동기 훈련시 패드부착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은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의 패드 감지센서(422)들에 의해 측정된 패드부착 훈련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다.
지혈압박 훈련모듈(500)은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에 구비된 상처피부모형부(140)에 대한 지혈압박 훈련시 지혈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한다. 지혈압박 훈련모듈(500)은 차압센서(550)에 의해 측정된 지혈압박 훈련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에 장착되며, 가슴압박 훈련모듈(200)과 인공호흡 훈련모듈(300)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과 지혈압박 훈련모듈(500)로부터 훈련정보들을 획득한다.
제어부(600)는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몸통(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몸통(110)에는 배터리와 통신 모듈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슴압박 훈련모듈(200)에 의해 측정된 압박 훈련정보를 기초로 압박 위치와 압박 깊이와 압박 속도 및 압박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인공호흡 훈련모듈(300)에 의해 측정된 호흡 훈련정보를 기초로 호흡량과 호흡시간 및 호흡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로부터 감지된 패드부착 유무 정보를 획득하고, 지혈압박 훈련모듈(500)로부터 지혈압박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700)는 제어부(6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600)로부터 훈련정보들을 제공받아 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한다. 모니터링 장치(7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700)는 케이블에 의해 제어부(600)와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또는 RF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어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800)가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인체모형(100)의 몸통(110) 하측 앞면에 장착되거나, 몸통(110) 하부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제어부(600)에 의해 확인된 전원 연결 확인과 통신 연결 확인 및 배터리 잔량 확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제어부(600)에 의해 획득된 훈련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1000)에 의하면, 훈련자로 하여금 가슴압박 훈련모듈(200)과 인공호흡 훈련모듈(300)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을 통한 심폐소생술과 지혈압박 훈련모듈(500)을 통한 지혈압박과 같은 응급처치를 사실감 있게 훈련할 수 있게 하며, 훈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자가학습을 할 수 있게 하며, 훈련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결과자료를 분석하여 평가할 수 있게 하므로, 응급처치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인공호흡 훈련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역류방지 밸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인공호흡 훈련모듈(300)은 인공 기도(310)와, 인공 폐주머니(320)와, 인공호흡용 변위센서(330)와, 기도 폐쇄부(340)와, 역류방지 밸브(350), 및 기도 폐쇄 감지센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기도(310)는 인체모형(100)의 구강에 장착되어 훈련자의 인공호흡에 따른 공기가 주입되게 한다. 인공 기도(310)는 공기 주입기(311)와 튜브(31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주입기(311)는 주입관(312)을 통해 공기를 주입해서 배출관(313)을 통해 배출한다. 공기 주입기(311)는 주입관(312)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314)을 가질 수 있다. 분기관(314)은 역류방지 밸브(350)를 장착할 수 있다. 튜브(316)는 배출관(313)과 인공 폐주머니(320)를 연결한다. 튜브(316)는 주름 형태 등으로 플렉시블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인공 폐주머니(320)는 인체모형(100)의 몸통(110) 내에서 힌지 결합된 제1 가슴판(113)과 제2 가슴판(114) 사이에 배치되어 인공 기도(310)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저장함에 따라 제2 가슴판(114)을 회동시킨다.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이 수평으로 뉘어진 기준으로 제2 가슴판(114)은 제1 가슴판(1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슴판(114)은 목(120)에 가까운 단부가 수평축과 나란한 힌지축으로 제1 가슴판(113)에 연결된다. 제2 가슴판(114)은 인공 폐주머니(320)의 공기 저장량에 따른 팽창과 수축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인공 폐주머니(320)는 고정커넥터(321)에 의해 제1 가슴판(113)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커넥터(321)는 튜브(316)에 의해 공기 주입기(311)에 연결되어 인공 폐주머니(320)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인공호흡용 변위센서(330)는 인공 폐주머니(320)의 공기 저장량에 따른 제2 가슴판(114)의 변위를 측정해서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인공호흡용 변위센서(330)는 제2 가슴판(114)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인공호흡용 변위센서(330)는 공지의 다양한 변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훈련자가 머리의 구강을 통해 인공호흡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주면 인공 기도(310)를 거쳐 인공 폐주머니(320)에 공기가 주입되고 인공 폐주머니(320)가 상승하여 인공호흡 측정용 변위센서(330)를 통해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인공호흡용 변위센서(330)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호흡량과 호흡시간 및 호흡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기도 폐쇄부(340)는 인체모형(100)의 목(120)에 장착된다. 기도 폐쇄부(340)는 인체모형(100)의 머리(130)가 목(120)에 대해 접히거나 젖혀짐에 따라 역류방지 밸브(350)와 연계하여 인공 기도(310)의 개폐 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
역류방지 밸브(350)는 인체모형(100)의 머리(130)가 목(120)에 대해 접히거나 젖혀짐에 따라 기도 폐쇄부(340)와 연계하여 인공 기도(310)를 통한 공기 주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함과 아울러 인공 폐주머니(320)에 저장된 공기가 인공 기도(310)를 거쳐 구강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인공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머리 기울임-턱 들어올리기(Head tilt-Chin lift) 방법을 통해 기도를 개방한다. 또는, 목을 다쳐 머리를 움직이면 안 되는 상태에서는 턱 밀어올리기(Jaw Thrust)로 턱을 앞으로 당겨 기도를 개방하는 방법으로 기도를 개방한다.
머리 기울임-턱 들어올리기를 통해 머리(130)를 뒤로 젖히면 역류방지 밸브(350)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인공 폐주머니(320)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머리(130)를 젖히지 않으면 역류방지 밸브(350)가 열릴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인공호흡을 할 수 없게 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안면부(132)의 턱은 상부로 수직으로 움직여 턱 밀어올리기 방법으로 기도를 개방하는 것을 모사할 수도 있다.
기도 폐쇄 감지센서(360)는 인체모형(100)의 머리(130)가 목(120)에 대해 접히거나 젖혀짐에 따른 인공 기도(310)의 폐쇄 유무를 측정해서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기도 폐쇄 감지센서(360)는 기도폐쇄부(340)에 배치되어 후두부(131)에 대한 안면부(132)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기도 폐쇄 감지센서(360)는 접촉형 스위치 센서 또는 포토인터럽터와 같은 기계적인 마찰이 없는 비접촉 센서 등과 같이 공지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기도폐쇄 감지센서(360)는 안면부(132)가 젖히지 않으면 기도가 막혔다는 것을 판단하여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고, 안면부(132)가 젖혀지면 기도가 개방되었다는 것을 판단하여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훈련자의 기도 개폐 훈련정보가 제어부(6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도폐쇄 감지센서(360)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600)를 거쳐 모니터링 장치(70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자동 밸브를 구성하여 기도 폐쇄 및 기도 개방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역류방지 밸브(350)는 역류방지 판막(351)과, 역류방지 핀(352), 및 역류방지 가이드(353)를 포함할 수 있다. 역류방지 판막(351)은 인공 기도(310)의 유로를 탄성력에 의해 폐쇄한 상태로 유지해 있다가, 인체모형(100)의 머리(130)가 목(120)에 대해 젖혀진 상태에서 인공호흡에 따른 공기 주입력에 의해 개방시키도록 동작한다.
역류방지 판막(351)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역류방지 판막(351)은 한쪽 끝이 공기 주입기(311)의 주입관(312)의 출구 주변에 고정되어 회동함에 따라 주입관(312)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주입관(312)의 출구는 분기관(314)의 입구와 연결되는 곳이다.
역류방지 핀(352)은 인체모형(100)의 머리(130)가 목(120)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기도 폐쇄부(340)에 의해 밀려 역류방지 판막(351)의 개방을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인체모형(100)의 머리(130)가 목(120)에 대해 젖혀진 상태에서 기도 폐쇄부(340)로부터 이격되어 역류방지 판막(351)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동작한다. 역류방지 핀(352)은 역류방지 가이드(353)의 안내를 받아 분기관(314)을 출입할 수 있다.
역류방지 가이드(353)는 인공 기도(310)의 유로에 장착되어 역류방지 핀(352)의 동작을 안내하고, 역류방지 판막(351)의 개방 동작에 따라 배기 통로(353a)가 폐쇄된 상태로 급기 통로(353b)에 의해 인공 폐주머니(320)로 공기를 공급하며, 역류방지 판막(351)의 폐쇄 동작에 따라 배기 통로(353a)가 개방되어 인공 폐주머니(320)로부터 급기 통로(353b)로 역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역류방지 가이드(353)는 배기 통로(353a)가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역류방지 가이드(353)는 역류방지 판막(351)과 마주하는 면이 경사진다. 배기 통로(353a)의 입구는 역류방지 판막(351)의 개방 동작에 따라 폐쇄되고, 역류방지 판막(351)의 폐쇄 동작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역류방지 가이드(353)는 내측 부위가 분기관(314)의 내면과 이격되어 급기 통로(353b)를 형성할 수 있다. 역류방지 가이드(353)는 외측 부위가 분기관(314)의 출구 주변을 따라 밀봉된다.
역류방지 밸브(35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머리 기울임-턱 들어올리기 방법이나 턱 밀어올리기 방법을 통해 기도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역류방지 핀(352)이 역류방지 가이드(353)를 이동하여 하부로 내려오게 되고, 역류방지 판막(351)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공기를 인공 폐주머니(320)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역류방지 판막(351)은 탄성체로 다시 인공 기도(310)의 구강으로 올라가는 공기를 차단하게 되고, 인공 폐주머니(320)로 공급된 공기는 역류방지 가이드(353)의 배기 통로(35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훈련자가 손으로 힘을 가해 안면부(132)를 뒤로 젖힌 후 힘을 제거하면 안면부(132)는 머리 스프링(133)에 의해 원상태로 자동 복귀되어 기도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역류방지 핀(352)은 기도 폐쇄부(340)에 의해 역류방지 가이드(353)를 따라 상부로 올라가며, 역류방지 판막(351)은 강제로 닫히게 되어 구강으로부터 인공 기도(31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할 수 없게 된다.
도 6은 지혈압박 훈련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혈압박 훈련모듈(500)은 누름판(510)과, 피스톤(520)과, 피스톤 하우징(530)과, 지혈압박 스프링(540), 및 차압센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판(510)은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이 수평으로 뉘어진 기준으로 상처피부모형부(140)의 하측에 고정되어 몸통(110) 내에 배치된다. 피스톤(520)은 누름판(510)의 하측에 고정되어 몸통(1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상처피부모형부(140)의 압박에 따라 하강 동작한다.
피스톤 하우징(530)은 상부 개구를 통해 피스톤(520)을 끼운 상태로 몸통(110) 내에 고정되어 피스톤(520)의 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압력이 변화된다. 피스톤(520)의 외주에는 실링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피스톤 하우징(530)의 내주는 피스톤(520)의 실링 부재를 압착하여 실링한 상태로 피스톤(520)의 승강 동작을 안내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피스톤 하우징(530)은 하단에 내부와 통하게 공기관(531)이 연결된다.
지혈압박 스프링(540)은 상처피부모형부(140)에 대한 압박 해제에 따라 피스톤(520)을 복귀시킨다. 지혈압박 스프링(540)은 피스톤 하우징(530)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스톤(520)을 상승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지혈압박 스프링(540)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압센서(550)는 피스톤 하우징(530)의 내부 압력 변화를 측정해서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차압센서(550)는 공기관(531)에 장착되어 피스톤 하우징(530)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 간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지혈압박 훈련모듈(500)은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훈련자가 상처피부모형부(140)를 누르면 누름판(510)에 의해 피스톤(520)이 하부로 내려오고 피스톤 하우징(530)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는 것을 차압센서(550)를 통해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상처피부모형부(140)에 압박이 없어지면 지혈압박 스프링(540)에 의해 피스톤(520)이 복귀하여 차압센서(55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600)는 차압센서(550)를 통해 지혈압박 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지혈압박 훈련의 일 예로 사람의 특정부위의 지혈을 압박하기 위해서는 수축기 혈압 이상의 압력으로 지혈을 직접 압박하여야 하며 이 정보를 제어부(600)를 통해 압박 압력정보를 훈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의 제1,2 패드 감지부가 인체모형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패드 감지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패드 감지센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1,2 훈련 패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훈련 패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모니터링 장치에 가상의 자동제세동기 훈련 시나리오가 구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400)은 제1,2 훈련 패드(410a, 410b)와,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훈련 패드(410a)는 표면에 해당 패드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판(411)과, 위치 표시판(411)의 이면에 부착된 비철금속판(412), 및 비철금속판(412)의 이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철판(413)을 구비한다. 제2 훈련 패드(410b)도 제1 훈련 패드(410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위치 표시판(411)은 실제 자동제세동기 사용시 해당 훈련 패드를 올바른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위치 표시판(411)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철금속판(412)은 얇은 두께로 위치 표시판(411)보다 작고 위치 표시판(41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비철금속판(412)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비철금속판(412)은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의 패드 감지센서(422)들이 비철금속 성분을 인식한 정보를 제어부(600)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플렉시블 철판(413)은 위치 표시판(411)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철판(413)은 철 성분을 포함하여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의 자석(421)들에 부착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1,2 훈련 패드((410a, 410b)를 구성한다.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는 해당 플렉시블 철판(413)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421)들과 해당 비철금속판(412)을 감지하는 패드 감지센서(422)를 각각 구비하여, 인체모형(100)의 오른쪽 쇄골 아래와 왼쪽 젖꼭지 아래에 배치된다.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는 제1,2 훈련 패드(410a, 410b)의 부착 유무를 감지한다. 제어부(600)는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패드부착 유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패드 감지센서(422)는 회로 기판(423)의 중앙에 실장될 수 있다. 자석(421)들은 회로 기판(423)에 패드 감지센서(42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장착될 수 있다. 패드 감지센서(422)는 비접촉 방식으로 비철금속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일 예로, 패드 감지센서(422)는 고주파발진 와전류 탐지 방식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콜피츠 발진 회로의 검출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고주파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때, 외부에 제1,2 훈련 패드(410a, 410b)의 비철금속판(412)이 접근하면 비철금속판(412)의 표면에 와전류가 형성되고 1차 전자기장과 반대방향의 2차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2차 전자기장의 변화는 검출코일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고, 임피던스 변화를 탐지하는 회로를 통해 제1,2 훈련 패드(410a, 410b)의 부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화는 금속에 따라 변화하는 폭이 달라질 수 있다.
검출코일의 임피던스 측정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RC 정류 회로와, RC 정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기(422c)와, 피크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판별하기 위한 신호판별기(OP AMP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코일의 임피던스 측정 회로는 제1,2 훈련 패드(410a, 410b)의 유효 감지 거리 및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민감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민감도 조절기는 가변 저항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공지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모니터링 장치(700)는 가상의 자동제세동기 훈련 시나리오를 탑재하여 패드 감지센서들에 의한 패드 감지정보와 연계하여 훈련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모니터링 장치(700)는 화면이 터치 입력 방식으로 구성된다. 모니터링 장치(700)는 화면에 인체모형(100)과 유사한 상반신 모형(710)과 가상의 자동제세동기(720)가 표시된다.
훈련자가 제1,2 훈련 패드(410a, 410b)를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에 부착하면 인체모형(100)과 유사한 상반신 모형(710)에 패드 부착 여부가 표시된다. 가상의 자동제세동기(720)는 실제 자동제세동기와 같은 시나리오로 구성될 수 있다. 훈련자가 가상의 자동제세동기(720)의 전원 버튼을 누른 후 제1,2 훈련 패드(410a, 410b)를 오른쪽 쇄골 아래와 왼쪽 젖꼭지 아래의 제1,2 패드 감지부(420a, 420b)에 부착하면, 자동으로 환자의 심장의 리듬을 분석한다.
제세동이 필요할 경우 제세동 시행 멘트가 나오며, 전기를 충전하고 제세동 버튼을 누르게 되면 가상의 자동제세동기(720)가 동작될 수 있다. 추가로, 제세동 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반복적으로 제세동기를 수행하는 시나리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시나리오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가슴압박 훈련모듈이 인체모형의 몸통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가슴압박 훈련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슴압박 훈련모듈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가슴압박 훈련모듈(200)은 가동 가이드(210)와, 고정 가이드(220)와, 가슴압박 스프링(230)과, 가슴압박 변위센서(240)와, 압박 위치측정부(250), 및 압박 충격 흡수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가이드(210)는 인체모형(100)의 몸통(110)이 수평으로 뉘어진 기준으로 몸통(110) 내에 배치된 제1 가슴판(113)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가슴판(113)의 압박 또는 해제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가동 가이드(210)는 원형 봉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동 가이드(210)는 외면에 상하로 길게 일정 단면 형상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211)들을 가질 수 있다.
고정 가이드(220)는 인체모형(100)의 몸통(110) 내에서 가동 가이드(2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고정 가이드(220)는 원형 중공에 가동 가이드(210)를 끼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가이드(220)는 중공 내면에 가이드 돌기(221)들이 형성되어 가이드 홈(211)들에 끼워진다.
고정 가이드(220)는 가이드 돌기(221)들과 가이드 홈(211)들에 의해 가동 가이드(210)를 좌우 뒤틀림 없이 수직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홈(211)이 고정 가이드(220)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221)이 가동 가이드(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슴압박 스프링(230)은 제1 가슴판(113)에 대한 압박 해제에 따라 제1 가슴판(113)을 복귀시킨다. 가슴압박 스프링(230)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고정 가이드(22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슴압박 스프링(230)의 상,하단은 제1 가슴판(113)과 고정 가이드(220)의 지지홈들에 각각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가슴압박 변위센서(240)는 제1 가슴판(113)의 압박시 제1 가슴판(113)의 변위를 측정해서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가슴압박 변위센서(240)는 등판(111)에 고정 브라켓(241)을 매개로 고정되어 제1 가슴판(113)의 높이를 측정함에 따라 제1 가슴판(113)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가슴압박 변위센서(24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압박 위치와 압박 깊이와 압박 속도 및 압박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가슴압박 변위센서(240)는 공지의 다양한 변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압박 위치측정부(250)는 제1 가슴판(113)의 상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2 가슴판(114)과 제3 가슴판(115) 사이에 배치되어 제3 가슴판(115)의 압박에 따른 훈련자의 압박 위치를 측정해서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제3 가슴판(115)은 인체와 유사한 갈비뼈형상과 검상돌기가 구현되어 있으며, 압박 위치측정부(250)와 고정될 수 있다. 압박위치 측정부(250)는 제3 가슴판(115)에 형성된 캔틸레버 구조의 돌기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가슴 압박시 손위치의 상, 하, 좌, 우를 감지해서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압박위치 측정부(25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압박위치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압박위치 측정부(250)는 지지판의 상, 하, 좌, 우에 위치센서를 각각 실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센서는 공지의 다양한 위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압박 충격 흡수부(260)는 제3 가슴판(114)과 몸통 피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압박 충격을 흡수한다. 압박 충격 흡수부(260)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제3 가슴판(114)에 고정되며, 가슴압박 정확한 위치에 가슴 압박시 손바닥의 충격을 흡수하고 압박 위치측정부(250)를 보호한다.
도 16은 모니터링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예컨대 2020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을 30:2로 가슴 압박 깊이는 5~6cm 이며, 가슴 압박 속도는 100회/분 ~ 120회/분으로 가슴 압박을 수행하고, 인공호흡은 가슴이 충분히 이완되도록 1~2초간 인공호흡을 하도록 명시되어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700)의 화면을 통해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인체모형 110..몸통
120..목 130..머리
200..가슴압박 훈련모듈 210..가동 가이드
220..고정 가이드 230..가슴압박 스프링
240..가슴압박 변위센서 250..압박 위치측정부
260..압박 충격 흡수부 300..인공호흡 훈련모듈
310..인공 기도 320..인공 폐주머니
330..인공호흡용 변위센서 340..기도 폐쇄부
350..역류방지 밸브 351..역류방지 판막
352..역류방지 핀 353..역류방지 가이드
360..기도 폐쇄 감지센서 400..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
410a..제1 훈련 패드 410b..제2 훈련 패드
411..위치 표시판 412..비철금속판
413..플렉시블 철판 420a..제1 패드 감지부
420b.. 제1 패드 감지부 421..자석
422..패드 감지센서 500..지혈압박 훈련모듈
510..누름판 520..피스톤
530..피스톤 하우징 540..지혈압박 스프링
550..차압센서 700..제어부
700..모니터링 장치 800..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8)

  1. 인체의 상반신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체모형;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에 대한 가슴 압박 훈련시 가슴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하는 가슴압박 훈련모듈;
    상기 인체모형의 구강을 통한 인공호흡 훈련시 호흡 훈련정보를 측정하는 인공호흡 훈련모듈;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에 대한 자동제세동기 훈련시 패드부착 훈련정보를 측정하는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에 구비된 상처피부모형부에 대한 지혈압박 훈련시 지혈압박 훈련정보를 측정하는 지혈압박 훈련모듈;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에 장착되며, 상기 가슴압박 훈련모듈과 인공호흡 훈련모듈과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과 지혈압박 훈련모듈로부터 훈련정보들을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훈련정보들을 제공받아 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과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혈압박 훈련모듈은,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이 수평으로 뉘어진 기준으로 상기 상처피부모형부의 하측에 고정되어 몸통 내에 배치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측에 고정되어 몸통 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상처피부모형부의 압박에 따라 하강 동작하는 피스톤과,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을 끼운 상태로 몸통 내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의 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압력이 변화되는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상처피부모형부에 대한 압박 해제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복귀시키는 지혈압박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내부 압력 변화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차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호흡 훈련모듈은,
    상기 인체모형의 구강에 장착되어 훈련자의 인공호흡에 따른 공기가 주입되게 하는 인공 기도와,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 내에서 힌지 결합된 제1 가슴판과 제2 가슴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공 기도로부터 주입되는 공기를 저장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슴판을 회동시키는 인공 폐주머니와,
    상기 인공 폐주머니의 공기 저장량에 따른 상기 제2 가슴판의 변위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인공호흡용 변위센서와,
    상기 인체모형의 목에 장착된 기도 폐쇄부와,
    상기 인체모형의 머리가 목에 대해 접히거나 젖혀짐에 따라 상기 기도 폐쇄부와 연계하여 상기 인공 기도를 통한 공기 주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인공 폐주머니에 저장된 공기가 상기 인공 기도를 거쳐 구강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 및
    상기 인체모형의 머리가 목에 대해 접히거나 젖혀짐에 따른 상기 인공 기도의 폐쇄 유무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기도폐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밸브는,
    상기 인공 기도의 유로를 탄성력에 의해 폐쇄한 상태로 유지해 있다가, 상기 인체모형의 머리가 목에 대해 젖혀진 상태에서 인공호흡에 따른 공기 주입력에 의해 개방시키도록 동작하는 역류방지 판막;
    상기 인체모형의 머리가 목에 대해 접힌 상태에서 상기 기도 폐쇄부에 의해 밀려 상기 역류방지 판막의 개방을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인체모형의 머리가 목에 대해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기도 폐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역류방지 판막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동작하는 역류방지 핀; 및
    상기 인공 기도의 유로에 장착되어 상기 역류방지 핀의 동작을 안내하고, 상기 역류방지 판막의 개방 동작에 따라 배기 통로가 폐쇄된 상태로 급기 통로에 의해 상기 인공 폐주머니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역류방지 판막의 폐쇄 동작에 따라 배기 통로가 개방되어 상기 인공 폐주머니로부터 급기 통로로 역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류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 훈련모듈은,
    표면에 해당 패드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판과, 상기 위치 표시판의 이면에 부착된 비철금속판, 및 상기 비철금속판의 이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철판을 각각 구비하는 제1,2 훈련 패드;
    해당 플렉시블 철판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들과 해당 비철금속판을 감지하는 패드 감지센서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인체모형의 오른쪽 쇄골 아래와 왼쪽 젖꼭지 아래에 배치되는 제1,2 패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가상의 자동제세동기 훈련 시나리오를 탑재하여 상기 패드 감지센서들에 의한 패드 감지정보와 연계하여 훈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압박 훈련모듈은,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이 수평으로 뉘어진 기준으로 몸통 내에 배치된 제1 가슴판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슴판의 압박 또는 해제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동 가이드와,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 내에서 상기 가동 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슴판에 대한 압박 해제에 따라 상기 제1 가슴판을 복귀시키는 가슴압박 스프링과,
    상기 제1 가슴판의 압박시 상기 제1 가슴판의 변위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가슴압박 변위센서와,
    상기 제1 가슴판의 상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2 가슴판과 제3 가슴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가슴판의 압박에 따른 훈련자의 압박 위치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압박 위치측정부, 및
    상기 제3 가슴판과 몸통 피부 사이에 배치되어 압박 충격을 흡수하는 압박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모형의 몸통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획득된 훈련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20210118604A 2021-09-06 2021-09-06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262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604A KR102622723B1 (ko) 2021-09-06 2021-09-06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US17/573,984 US20230076333A1 (en) 2021-09-06 2022-01-12 Simulator for emergency treatment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604A KR102622723B1 (ko) 2021-09-06 2021-09-06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972A KR20230035972A (ko) 2023-03-14
KR102622723B1 true KR102622723B1 (ko) 2024-01-09

Family

ID=8538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604A KR102622723B1 (ko) 2021-09-06 2021-09-06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76333A1 (ko)
KR (1) KR1026227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39B1 (ko) * 2018-01-09 2019-04-26 주식회사 비티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KR101992603B1 (ko) * 2017-12-26 2019-06-25 주식회사 비티 제세동 및 가슴압박 훈련모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6315B1 (no) * 1998-09-15 1999-10-18 Laerdal Medical As System for kommunikasjon mellom sensorer i treningsutstyr og elektroder til en defibrillator (AED) eller defibrillator-trener (AED-T)
CA2644974A1 (en) * 2007-11-22 2009-05-22 Steve Carkner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erification of training
KR200472895Y1 (ko) * 2010-02-23 2014-05-2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인공 호흡 연습 장치
KR20150058382A (ko) * 2012-09-21 2015-05-28 지-메디카 엘엘씨 출혈 제어 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1001B1 (ko) * 2012-10-10 2014-05-02 주식회사 비티 반복적 제세동기 훈련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KR101858659B1 (ko) 2016-05-24 2018-05-17 주식회사 비티 응급의료 훈련용 시뮬레이터
WO2019035889A1 (en) * 2017-08-16 2019-02-21 Gaumard Scientific Company, Inc. INCREASED REALITY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03B1 (ko) * 2017-12-26 2019-06-25 주식회사 비티 제세동 및 가슴압박 훈련모형
KR101973139B1 (ko) * 2018-01-09 2019-04-26 주식회사 비티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972A (ko) 2023-03-14
US20230076333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783B (zh) 用于心肺复苏训练的人体模型
KR101232869B1 (ko)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973139B1 (ko)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US9235992B2 (en) Simulator for CPR and defibrillator training
ES2738591T3 (es) Aparato de entrenamiento para la reanimación cardiopulmonar
US5277194A (en) Breathing monitor and stimulator
HU203420B (en) Training apparatus for teqching a process of emergency reviving
EP3030326A1 (en)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sensors and methods
KR102039218B1 (ko)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CN109887370B (zh) 一种用于磁共振检查前的头盔式训练模拟装置
KR102622723B1 (ko)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터
KR101298488B1 (ko)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KR102679149B1 (ko) 응급처치 훈련용 영아 모형
KR20170013091A (ko)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교육안내 시스템
KR20190016700A (ko)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KR102622724B1 (ko) 인공호흡 훈련용 장치
KR20140140700A (ko) 심폐소생술을 위한 글로브
KR102367680B1 (ko)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US20230128620A1 (en) A portable automated life-saving system with dynamic adaptation
KR101995675B1 (ko) 영아용 흉부 압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CN209122226U (zh) 一种磁共振机一体化心电监护报警装置
KR20160001260U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CN219738371U (zh) 人体急救演示装置
KR101437835B1 (ko) 조끼 형태의 자동 및 수동 심폐 소생술 장치
WO2023219323A1 (ko)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