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466B1 -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466B1
KR101627466B1 KR1020150093045A KR20150093045A KR101627466B1 KR 101627466 B1 KR101627466 B1 KR 101627466B1 KR 1020150093045 A KR1020150093045 A KR 1020150093045A KR 20150093045 A KR20150093045 A KR 20150093045A KR 101627466 B1 KR101627466 B1 KR 10162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pr
patient
perio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웅
오제혁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45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은, 심폐소생을 위한 환자에게 제1 주기 및 제2 주기로 제1 시간 동안 시행되는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심폐소생술 시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 중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는 제2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행자가 효과적으로 상기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심 박동이 정지된 환자에게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하여 온몸에 산소화된 혈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흉부압박을 하여 혈류를 유발하는 인공순환과 호흡을 보조하는 인공호흡으로 나누어진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중에 자발적으로 혈류의 순환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 5 cm 이상의 깊이로 환자의 흉부가 압박되어야 하며 이는 대략 500N(50Kg중)의 압력에 해당된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행자는 본인이 시행하는 압박 정도 및 속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가늠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제2011-0033935호)를 참조하면, 시행자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압박 정도 및 속도를 체크하여 이를 시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시행자는 그 압박 정도 및 속도만을 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행하여야 하는지 또 언제 쉬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즉, 시행자는 체력이 소진되어 지속적으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환자는 위급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시행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압박 정도 및 속도를 제공하고, 시행자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심폐소생술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행자에게 환자에게 유효한 압박 시행시간을 제공하여 상기 시행자가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은, 심폐소생을 위한 환자에게 제1 주기 및 제2 주기로 제1 시간 동안 시행되는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심폐소생술 시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 중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는 제2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 정보와 기설정된 비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시간에 따른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비율이 되도록 하는 제3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의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이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의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0.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행자가 환자에게 유효한 압박 시행시간을 제공받음으로써,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행자가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에 관한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심폐소생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심폐소생술은 환자(P)의 심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시행하는 응급처치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시행될 수 있다.
먼저, 환자(P)의 의식상태를 먼저 파악한다. 즉, 쓰러진 환자(P)를 자극하여 환자(P)의 몸 움직임이나 눈깜박임, 대답 등으로 반응을 확인한 후 숨을 쉬는 지 또는 비정상 호흡을 보이는지 관찰한다.
다음, CPR(심폐소생술)은 흉부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의 비율을 원칙으로 하며, 손을 모아 포개고 깍지를 낀 후 환자(P) 가슴 중앙에 손바닥 뒤꿈치를 대고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 환자(P)의 몸과 팔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 가슴이 5cm 이상 깊이로 눌릴 정도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한다.
여기서, 만약 환자가 의료기관 내에 있을 경우에는 기관내삽관을 시행하여 흉부압박이 중단 없이 연속하여 시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1)은 상술한 심폐소생술 중 환자(P)의 가슴을 압박하는 정도와 시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1)은, 심폐소생을 위한 환자(P)에게 제1 주기 및 제2 주기로 제1 시간 동안 시행되는 심폐소생술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는, 심폐소생을 시행하는 시행자(E)가 환자(P)에게 심폐소생을 시행하면서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압력의 시간에 따른 주기에 해당된다.
즉, 상기 시행자(E)는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상기 제1 시간 동안, 제1 주기 또는 제2 주기로 압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이란, 이하 제2 시간 및 제3 시간과의 구별을 위한 임의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시행자(E)가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빈도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행자(E)가 상기 환자(P)에게 심폐소생을 시행하는 시간은 상기 제1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제1 시간동안 상기 시행자(E)는 상기 제1 주기 또는 상기 제2 주기의 빈도수로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1)은 감지부(10), 제어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환자(P)의 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은 상기 환자(P)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상기 시행자(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환자(P)의 흉부에 부착되어 상기 흉부를 압박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내장된 일종의 패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시행자(E)가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손에 장착되는 압력센서가 장착된 장갑의 일종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에 의한 압력 정도의 측정은 공지된 압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되어 측정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 중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는 제2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와 상기 제어부(20)의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사항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 중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는 압력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는 압력 정보 및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된 시간인 상기 제2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시행되는 제1 주기 또는 제2 주기의 상기 흉부에 대한 압박 중,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된 제2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디지털화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 정보와 기설정된 비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비율이 되도록 하는 제3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비율 정보란, 의식이 저하된 환자(P)를 소생시키기 위한 유효한 압박 지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기란 상기 시행자(E)가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빈도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주기란 상기 시행자(E)의 체력이 소진되어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지 못하는 빈도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환자(P)의 흉부에 자극을 주는 제1 주기의 압박은 상기 환자(P)의 심폐소생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상기 제2 주기의 압박은 상기 환자(P)의 흉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이는 상기 환자(P)에게 도움을 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시행자(E)는 바람직한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을 기설정(유효한 압박 지수)하여, 상기 제어부(20)로 하여금 상기 유효한 압박 지수가 유지되는데 필요한 제3 시간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각 다른 상황에서 시행자(E)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설명하며, 제1 시간은 경과시간으로, 제2 시간은 압박시간으로, 제3 시간은 남은 시간으로 표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유효압박지수는 0.8(80%), 상기 시행자(E)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경과된 시간인 제1 시간은 55초, 상기 시행자(E)가 제1 주기로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시간인 제2 시간은 50초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1 시간(55초)에 대한 상기 제2 시간(50초)의 비율은 50/55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주기로 시행되는 시간은 5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55초)에 대한 상기 제2 시간(50초)의 비율(50/55)은 대략 0.9이며, 상기 유효압박지수는 0.8이므로, 상기 제2 주기로 7초가 경과되어야 상기 유효압박지수가 될 수 있다.
즉, 7초가 경과되면, 제1 시간은 62초가 되며, 상기 제2 시간은 50초가 되므로, 상기 제1 시간(62초)에 대한 상기 제2 시간(50초)의 비율은 50/62, 즉, 대략 0.8이 되어 상기 유효압박지수(0.8)와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7초가 제3 시간이 될 수 있으며, 이를 +7 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상기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정보가 도 3에 해당될 경우, 시행자(E)는 대략 7초 정도로 제2 주기 즉,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지 않은 채, 7초 정도를 경과하여도 상기 유효압박지수(0.8)가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예를 설명하면, 제1 시간은 60초, 제2 시간은 50초가 되며,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은 50/60(약 0.83)이 될 수 있다.
이 때, 유효압박지수는 0.8이므로, 제3 시간은 +2 값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주기로 2초가 경과되면, 제1 시간은 62초, 제2 시간은 50초가 되므로, 상기 제1 시간(62초)에 대한 상기 제2 시간(50초)의 비율은 50/62(0.80)이 될 수 있으므로, 제3 시간은 +2초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상기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정보가 도 4에 해당될 경우, 시행자(E)는 대략 2초 정도로 제2 주기 즉,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지 않은 채, 2초 정도를 경과하여도 상기 유효압박지수(0.8)가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또 다른 예를 설명하면, 제1 시간은 70초, 제2 시간은 50초가 되므로, 상기 제1 시간(70초)에 대한 상기 제2 시간(50초)의 비율은 50/70(약 0.71)이 될 수 있다.
이 때, 유효압박지수는 0.8이므로, 제3 시간은 -30 값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주기로 대략 30초 정도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면, 제1 시간은 100초, 제2 시간은 80초가 되므로, 상기 제1 시간(100초)에 대한 상기 제2 시간(80초)의 비율은 80/100(0.80)이 될 수 있으므로, 제3 시간은 -30초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3 시간의 + 값 또는 - 값은 더하기 또는 빼기의 값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어야 하는 시간과 상기 제2 주기로 시행되어야 하는 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로 시행되어야 하는 시간을 다른 색으로 표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유효압박지수는 0.8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설정한 바에 따라 임의로 바뀔 수 있는 수치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시행자(E)가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평균압력 및 평균속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평균압력은 상기 시행자(E)가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하는 압력의 크기이며, 상기 평균속도는 상기 환자(P)의 흉부를 압박한 횟수를 시간(분)으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상기 평균압력과 평균압박속도의 수치값을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는 본 발명은 상술한 유효압박지수, 경과시간, 압박시간 및 남은 시간에 기술적 특징이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부(50)는, 상기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기(A1 ~ A4)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전송부(50)에 의해 인가된 복수의 단말기(A1 ~ A4)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A1~A4)는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가 발생한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행자와 상기 시행자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자들이 소지하여 상기 시행자의 심폐소생술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외의 공간에서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관내삽관(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보조장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30:2의 비율로 시행하지만, 환자가 의료기관 내에 있는 경우에는 환자에 대한 흉부압박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시행자는 환자의 맥박을 촉지하거나 제세동을 시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환자의 흉부를 연속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시행자는 환자의 맥박을 촉지하거나 제세동을 시행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지 못한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시행자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자가 상기 시행자의 심폐소생술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A1~A4)는 상기 시행자 또는 복수의 보조자들이 몸에 소지할 수 있도록(일례로, 스마트시계 등) 제공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이 발생한 상황과 그에 대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는 실시간 상황을 상기 단말기(A1~A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부(50)는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기기와 전자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5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전자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전자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10: 감지부
20: 제어부
30: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심폐소생을 위한 환자에게 제1 주기 및 제2 주기로 제1 시간 동안 시행되는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 정보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 중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는 제2 시간 동안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흉부에 제공되는 압력이 없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 정보와 기설정된 비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시간의 비율이 상기 기설정된 비율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제1 주기 또는 상기 제2 주기로 시행되어야 하는 제3 시간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주기로 시행되어야 하는 제3 시간과 상기 제2 주기로 시행되어야 하는 제3 시간이 구별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KR1020150093045A 2015-06-30 2015-06-30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KR10162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45A KR101627466B1 (ko) 2015-06-30 2015-06-30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45A KR101627466B1 (ko) 2015-06-30 2015-06-30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466B1 true KR101627466B1 (ko) 2016-06-07

Family

ID=5619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045A KR101627466B1 (ko) 2015-06-30 2015-06-30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573A1 (ko) * 2021-03-12 2022-09-15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입력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935A (ko) * 2008-07-23 2011-04-01 아트리오 메디컬, 아이엔씨.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동안, 압박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심폐소생술 보조 장치
KR2011009673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509364B2 (ja) * 2002-10-25 2014-06-04 ゾール・サーキュレイ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心肺蘇生中の胸部圧迫深度を決定するシステム
KR20150066988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아이엠랩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9364B2 (ja) * 2002-10-25 2014-06-04 ゾール・サーキュレイ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心肺蘇生中の胸部圧迫深度を決定するシステム
KR20110033935A (ko) * 2008-07-23 2011-04-01 아트리오 메디컬, 아이엔씨.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동안, 압박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심폐소생술 보조 장치
KR2011009673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6988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아이엠랩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573A1 (ko) * 2021-03-12 2022-09-15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입력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709B2 (en) Hand mounted CPR chest compression monitor
KR101592873B1 (ko) 운동 및 개인 안전을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947991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799124B2 (en) Data transfer of a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he same
US201202238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y Feedback
JP2017515623A5 (ko)
AU2014346672A1 (en) Selectively available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190274556A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Wearable Device
EP3133571A1 (en) Early-warning device and early-warning method
CN104042193A (zh) 具有生命系数感测及处理功能的表环
US20190378614A1 (en) Telemedicine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TW200807339A (en) Moveable monitoring equipment and remote monitoring and directing system
KR101627466B1 (ko)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CN112655048A (zh) 同步生理测量数据流
KR101179997B1 (ko) 휴대용 신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92301A (ko) IoT기반 운동부하 평가용 심폐 및 심박수 측정시스템
KR20170017648A (ko) 휴식 심박동 측정 방법
US11495351B2 (en)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30225116A1 (en)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CN103812980A (zh) 利用手机应用检测健康的方法
CN105496382A (zh) 一种基于鼠标垫的健康监测系统
KR20130037950A (ko) 인체의 심장 박동수 측정장치
CN105311810A (zh) 穿戴式人体运动监测系统及方法
US20200390391A1 (en) False tooth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signal interaction system
KR2016011057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세 교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