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237B1 -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237B1
KR101679237B1 KR1020150178480A KR20150178480A KR101679237B1 KR 101679237 B1 KR101679237 B1 KR 101679237B1 KR 1020150178480 A KR1020150178480 A KR 1020150178480A KR 20150178480 A KR20150178480 A KR 20150178480A KR 101679237 B1 KR101679237 B1 KR 10167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r
unit
information
tim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이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15017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237B1/ko
Priority to CN201680017551.6A priority patent/CN107430828A/zh
Priority to PCT/KR2016/013245 priority patent/WO201710498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가상의 혈액이동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발광 모듈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투명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소정 영역에서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박부;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정보 출력부; 및 상기 압박부에 인가되는 가압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적응적으로 발광되는 상태정보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APPARATUS FOR EXERCI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심폐소생술 연습 정책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호흡이 정지된 후 비교적 짧은 시간안에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소방서 또는 병원 등의 단체에서 사람 모형의 마네킹을 통해 일반인에게 연습 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심폐소생술을 연습하기 위한 마네킹은 단순히 압박만을 실시하기 위해 소정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기도 확보 연습을 위해 머리 부분과 몸체 부분이 단순히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일부 기술에서는 마네킹 내부에 발광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마네킹을 압박함에 따라 상기 발광라인을 통해 발광 효과가 나타나는 심폐소생 훈련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6055호
종래 심폐소생술을 위한 훈련 기기는 단순히 압박 동작만을 실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상기 압박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가 교육자에게 인식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발광라인을 구비한 마네킹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마네킹은 단순히 압박에 따라 발광라인이 발광되는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심폐소생술 훈련 정책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와 정보에 따라 심폐소생술 연습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환경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실전 상황을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가상의 혈액이동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발광 모듈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투명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소정 영역에서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박부;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정보 출력부; 및 상기 압박부에 인가되는 가압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적응적으로 발광되는 상태정보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는 상태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태정보 출력부는 상태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는 진동 알림부 및 오디오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제1 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진동 알림부 및 상기 오디오 알림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경과시간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제2 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진동 알림부 및 상기 오디오 알림부 모두를 통해 상기 경과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박부 중 상기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라 설정된 임계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의 가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경과시간 정보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심폐소생술의 연습성공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의 가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카운트되는 시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발광되는 색들과 구별되는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가상체온 정보 및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가상연령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체온 정보 및 상기 가상연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표면은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각 영역이 가상의 혈액이동 라인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저장부 및 입/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시간 동안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바디는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부착되는 영역인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과 미리 설정된 영역 이상 대응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통해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심폐소생술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는 정보를 알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카운트 정보를 복수의 구성을 통해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호흡 정지 후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하는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 또는 미리 정해진 횟수의 가압 조건을 가상체온 정보 및 가상연령 정보에 따라 변경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피대상자의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광원을 반사시키기 위해 표면이 소정의 음각 영역으로 형성된 바디를 구비함으로써, 소수의 발광소자만으로도 심폐소생술 연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부착될 수 있는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방법을 보다 정확하게 숙지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입/출력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의 휴대폰 등)를 기반으로 심폐소생술 연습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분류함으로써, 사용자별 교육 결과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각 영역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 출력부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언급하는 “교육자”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 문서에서 교육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의미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먼저,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마스크(100)와 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크(100) 및 바디(200)는 사람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인체모형일 수 있다. 이러한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처리를 위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 실리콘이 도포될 수 있다.
바디(200)는 압박부(210), 상태정보 출력부(220), 음각 영역(250), 고정 스위치(260), 입/출력 단자(270) 및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바디(20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가상의 혈액이동 경로가 프린팅된 혈액경로 인쇄면이 적층되거나 포함될 수 있으며, 바디(200)는 상기 혈액경로 인쇄면 방향으로 빛을 발산시키는 발광 모듈(230)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00)는 발광 모듈(23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투명도의 재질 및 발광 모듈(230)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210)는 바디(200)의 소정 영역(예: 흉부)에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압박부(210)는 바디(200)의 탄성력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박부(210)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압박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사용자는 팔을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깍지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로 바디(20)와 수직이 되도록 규치적으로 상기 압박부(210)를 압박할 수 있다.
압박부(210)의 형성 위치는 심폐소생술의 가이드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박부(210)는 가슴중앙 또는 가슴중앙의 흉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210)는 바디(200)의 두 가슴 유두선과 가슴 중앙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박부(210)의 형태를 도 1과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210)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심폐소생술의 동작 과정은 흉부를 압박하면 흉골과 척추사이의 가장 큰 기관인 심장이 압박되고, 이로 인해 실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그 압력에 의해 혈액순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상기와 같은 원리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압박부(210)의 압박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모듈(230)을 바디(200)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230)을 발광시키기 위해,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상기 압박부(210)를 통해 가압되는 압력을 제어부(400) 또는 스위칭 모듈(265)로 전달하는 기계적인 구성(예: 스프링, 펜 벨트)을 구비할 수 있다.
음각 영역(250)은 및 상기 발광 모듈(230)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바디(200)의 표면이 물리적으로 변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각 영역(250)은 바디(200)의 외부면에서 상기 혈액경로 인쇄면의 혈액 라인을 따라 복수개가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LED 소자와 같은 발광 모듈(23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복수개의 음각 영역(250)에서 반사됨으로써 가상의 혈액이동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슴 압박에 따른 가상의 혈액이동을 나타내기 위해 불필요한 LED 소자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상기 발광 모듈(230) 및 적어도 하나의 음각 영역(250)만으로 가상의 혈액이동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음각 영역(250)에 대한 예시적인 구조는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 스위치(260)는 압박하는 동작과 관계없이 발광 모듈(230)을 발광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고정 스위치(260)는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를 때마다 발광 모듈(230)이 온/오프(ON/OFF)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스위치(260)에 의해 발광 모듈(230)이 발광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경우, 전시용 및 학습용으로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 포함된 혈액경로 인쇄면을 사람들에게 보다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기능의 운용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가상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상기 가상의 상태정보를 변경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태정보 출력부(22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태정보 출력부(220)의 화면은 입력을 위한 구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상태정보는 경과시간 정보, 가상체온 정보, 가상연령 정보, 및 교육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과시간 정보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카운트되는 정보로서, 특정 시점은 예컨대,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호흡이 정지한 경우를 나타내도록 설정된 시점일 수 있다. 즉, 특정 시점은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연습시작 시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이 정지한 환자는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뇌 손상에 따른 상태정보가 단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0~4분이 경과되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뇌손상 가능성의 거의 없다. 그리고,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4~6분이 경과되는 경우 뇌 손상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6~10분이 경과되는 경우 뇌 손상이 확실하며,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10분 이상이 경과되는 경우 심한 뇌 손상 또는 뇌사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상기 경과시간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알림으로써 상기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는 교육 내용을 교육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가상체온 정보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 해당하는 가상의 체온정보일 수 있다.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르면, 저체온 환자 등의 경우에는 상기 경과시간 정보와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교육자로 하여금 체온과 관련된 심폐소생술 방법을 숙지시키기 위해 이러한 가상의 체온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가상연령 정보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 해당하는 가상의 연령정보일 수 있다.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르면,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다른 압력 및 다른 횟수로 가슴압박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교육자로 하여금 연령과 관련된 심폐소생술 방법을 숙지시키기 위해 이러한 가상의 연령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교육자 정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단자(270)와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예: 교육자)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예컨대, 교육자의 식별 정보(예: 외부 전자 장치에서 설정한 교육자의 아이디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예: 기기명, 기기 모델번호, 심 카드 정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교육자 정보 별로 심폐소생술 연습 시간 동안 수집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이후 저장된 정보들을 요청받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교육자 정보 별로 수집된 정보들을 출력하거나 요청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교육자들은 심폐소생술 연습에 따라 수집된 정보들을 보고 자신의 교육 결과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상태특정 발광부 및 상태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정보 출력부(2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발광 모듈(230)은 가상의 혈액이동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소자(예: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230)은 압박부(210)에 대한 사용자 가압에 응답하여 혈액경로 인쇄면으로 광원을 방출시킴으로써 가상의 혈액이동을 바디(200)의 외부에서 인식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입/출력 단자(270)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 접속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 단자(270)는 예컨대, 마이크로 5핀과 같은 다양한 접속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거나 포괄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자는 자신의 핸드폰과 같은 외부 전자 장치를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입/출력 단자(270)에 연결시켜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에 인식시킬 수 있다.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입/출력 단자(270)에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됨을 인식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예: 기기 정보, 심 카드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아이디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단자(270)는,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심폐소생술 연습 중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 정보 별로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은,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부착되는 영역으로서, 바디(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은 가슴압박과 병행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자동제세동기가 실시될 수 있는 교육내용을 실습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제세동기는 일반적으로 2개의 패드를 구비하며, 자동제세동기 방법 정책을 참조하면, 상기 2개의 패드들은 도 1에서 보여지는 자동제세동기 영역(301, 303)과 같이 각각 부착되어야 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과 미리 설정된 영역 이상 대응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220)를 통해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제세동기의 접합 위치는 일반인이 숙지하기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접합되는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자에게 자동제세동기의 원리를 숙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측면도이다.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압박부(210), 상태정보 출력부(220), 발광 모듈(230), 스위칭 모듈(265), 입/출력 단자(270), 저장부(280) 및 전원공급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도 2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구성요소들 중 도 1의 내용과 중복된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될 수 있다.
스위칭 모듈(265)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전원공급 모듈(290)에서 발광 모듈(210)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칭 모듈(265)은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동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듈(265)은 고정 스위치(260) 및 압박부(210)를 통해 전달된 기계에너지에 의한 접촉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스위치(260) 또는 접촉 스위치에 대한 입력에 의해 제어부(400) 제어 없이 직접 동작될 수도 있다.
저장부(280)는 제어부(400) 또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8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가 운용되는 동안 수집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별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80)는 압박부(210)에 대하여 심페소생술 정책에 따라 설정된 임계 영역, 상기 압박부(21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 및 상기 압박부(21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290)은 스위칭 모듈(265) 또는 제어부(400)의 요청에 따라 발광 모듈(230) 또는 상태정보 출력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 모듈(29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예: 건전지 등)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전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전원 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어부(400)가 별도의 모듈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상태정보 출력부(220)와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프로세서, 발광 소자 및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압박부(210)와 연결된 가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연결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박부(210)에 인가되는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계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연결부는 압박부(210), 제어부(400), 스위칭 모듈(265) 및 전원공급 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압박부(210), 제어부(400), 스위칭 모듈(265) 및 전원공급 모듈(290) 중 적어도 2개의 구성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압박부(210)에 인가되는 가압에 따라 발광 모듈(230) 및 상태정보 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압박부(210) 중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라 설정된 임계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의 가압이 인가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압박부(210)에 해당하는 영역 또는 상기 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서는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압박부(210)를 가압하는 사용자 가압 입력의 영역, 압력 및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심페소생술 정책에 따라 설정된 임계 영역,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 및 미리 정해진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은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저장부(280)에 저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압박부(210)에 대하여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라 설정된 임계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의 가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태정보 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경과시간 정보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심폐소생술의 연습성공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태정보 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의 연습성공 정보는 상태정보 발광부 또는 상태정보 표시부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가상체온 정보 및 가상연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400)는 체온과 연령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방법을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폐소생술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자동제세동기의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과 미리 설정된 영역 이상 대응되는 경우, 자동제세동기가 성공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태정보 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에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부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 사용 정책을 참조하면, 자동제세동기를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태정보 출력부(220)를 통해 상기 심폐소생술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는 정보(예: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제세동기의 활성화는 예컨대,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에 미리 설정된 영역 이상 대응된 경우 또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전원이 턴 온(TURN ON)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301, 303)는 자동제세동기의 전원이 턴 온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회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후술할 상태정보 출력부(220)의 진동 알림부 및 오디오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특정 시점(예: 심폐소생술 연습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제1 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진동 알림부 및 상기 오디오 알림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경과시간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진동 알림부 및 오디오 알림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제2 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진동 알림부 및 상기 오디오 알림부 모두를 통해 상기 경과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경과시간 정보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교육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각 영역(25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음각 영역(250)은 발광 모듈(2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발광 모듈(230)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음각 영역(250)은 혈액경로 인쇄면(201)을 감싸는 바디(200)의 적어도 일부가 음각 처리됨에 따라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경사면은 음각 처리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의 각도(예: a 각도)를 가지며, 경사면은 상기 소정의 각도에 따라 발광 모듈(230)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킨다. 이를 위해, 바디(200)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예: 아크릴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각 처리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라, 음각 영역(250)은 사용자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 출력부(220)의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상태정보 발광부(221) 및 상태정보 표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 발광부(221)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적응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 발광부(221)는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4분까지는 노란색으로 발광되고,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4~6분이 경과되기까지는 파란색으로 발광되며, 호흡정지 시점으로부터 6~10분이 경과되기 까지는 녹색으로 발광될 수 있고, 10분 경과후에는 빨간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그러나, 적응적으로 발광되는 효과가 반드시 색으로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 발광부(221)는 하나의 색이 발광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간마다 다른 속도로 광원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태정보 표시부(225)는 전술한 경과시간 정보, 가상연령 정보, 가상체온 정보, 교육자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시되는 상태정보 표시부(225)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연습시작 시점으로부터 2분 34초가 경과되었으며, 상기 심폐소생술의 연습 기기(10)는 24세이고, 체온 정보는 37도 임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를 사용하는 교육자 정보는 SCH250이라는 외부 전자 장치로서 저장된다.
도 4의 정보들을 통해, SCH250이라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교육자는 일단 현재 저체온 현상이 아니므로 경과 시간을 유의하여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하고, 24세인 성인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압력 및 횟수에 따른 가압을 실시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 출력부(220)는 진동 알림부 및 오디오 알림부를 더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알림부 및 오디오 알림부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기능 운용에 따른 다양한 상태정보를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예시도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개시하고 있으나 모든 실시예를 도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를 도 5의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는 교육자가 일정 압력으로 압박부(210)를 가압하는 것에 응답하여 발광 모듈(230), 음각 영역(250) 및 혈액경로 인쇄면을 통해 심폐소생술 연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 경우, 빨간색 및 파란색의 LED 소자를 이용한 발광 모듈(230)을 통해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10)의 동맥과 정맥을 표현함으로써, 교육자로 하여금 심폐소생술에 따른 가상의 혈액흐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100: 마스크
200: 바디 210: 압박부
220: 상태정보 출력부 230: 발광 모듈
250: 음각 영역 260: 고정 스위치
265: 스위칭 모듈 270: 입/출력 단자
280: 저장부 290: 전원공급 모듈
301, 303: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 400: 제어부

Claims (10)

  1.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로서,
    가상의 혈액이동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발광 모듈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투명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소정 영역에서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박부;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정보 출력부; 및
    상기 압박부에 인가되는 가압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상기 특정 시점 이후 소정 시간에 따른 구간마다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되는 상태정보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는 상태정보 표시부, 진동 알림부 및 오디오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제1 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진동 알림부 및 상기 오디오 알림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시점에 도달함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제2 시점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진동 알림부 및 상기 오디오 알림부 모두를 통해 상기 제2 시점에 도달함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압박부 중 심폐소생술 정책에 따라 설정된 임계 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의 가압이 인가되는 경우, 시간 정보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심폐소생술의 연습성공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가상체온 정보 및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의 가상연령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체온 정보 및 상기 가상연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 조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를 변경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표시부를 제어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의 가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소정 시간에 따른 구간마다 발광되는 색들 모두와 구별되는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상태정보 발광부를 제어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표면은 상기 발광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을 소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각 영역이 가상의 혈액이동 라인에 따라 형성되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는 저장부 및 입/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시간 동안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부착되는 영역인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패드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부착 영역과 미리 설정된 영역 이상 접합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통해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출력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상태정보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심폐소생술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는 정보를 알리는,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KR1020150178480A 2015-12-14 2015-12-14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KR10167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80A KR101679237B1 (ko) 2015-12-14 2015-12-14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CN201680017551.6A CN107430828A (zh) 2015-12-14 2016-11-17 心肺复苏术练习器具
PCT/KR2016/013245 WO2017104982A1 (ko) 2015-12-14 2016-11-17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80A KR101679237B1 (ko) 2015-12-14 2015-12-14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237B1 true KR101679237B1 (ko) 2016-12-06

Family

ID=5757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480A KR101679237B1 (ko) 2015-12-14 2015-12-14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79237B1 (ko)
CN (1) CN107430828A (ko)
WO (1) WO20171049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308A (ko) 2017-08-02 2019-02-12 윤정아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KR20210075461A (ko) * 2019-12-13 2021-06-23 이창훈 심폐소생 및 심장충격 실습 장치
KR20210077454A (ko) * 2019-12-17 2021-06-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cpr 및 aed ar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0080A (zh) * 2018-05-17 2018-10-09 葛云艳 医护教学用灌肠训练模型
CN110751890A (zh) * 2019-09-19 2020-02-04 南昌彤坤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心肺复苏培训和考核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593A (ja) * 1993-03-02 1994-09-16 Shimadzu Corp 生物体機能説明装置
KR2011009673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9785B1 (ko) * 2012-08-02 2014-02-07 김기창 훈련용 제세동 시스템
KR20150086055A (ko)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5293B2 (en) * 2005-09-01 2013-06-18 Prestan Products Llc Medical training device
CN105662832B (zh) * 2009-02-18 2018-11-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具有辅助的cpr的监视器/除颤器的cpr显示器
CN101901564B (zh) * 2009-05-26 2011-11-30 上海市青浦区实验中学 心肺复苏训练仪
KR101248881B1 (ko) * 2011-09-26 2013-04-01 주식회사 유진테크 기판지지유닛 및 기판처리장치, 그리고 기판지지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CN105078422B (zh) * 2014-05-16 2020-06-30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监测心肺复苏按压中断时间的方法及设备
CN204542111U (zh) * 2015-03-30 2015-08-12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生命迹象探测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593A (ja) * 1993-03-02 1994-09-16 Shimadzu Corp 生物体機能説明装置
KR2011009673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9785B1 (ko) * 2012-08-02 2014-02-07 김기창 훈련용 제세동 시스템
KR20150086055A (ko)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308A (ko) 2017-08-02 2019-02-12 윤정아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KR20210075461A (ko) * 2019-12-13 2021-06-23 이창훈 심폐소생 및 심장충격 실습 장치
KR102334313B1 (ko) * 2019-12-13 2021-12-01 이창훈 심폐소생 및 심장충격 실습 장치
KR20210077454A (ko) * 2019-12-17 2021-06-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cpr 및 aed ar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2298B1 (ko) * 2019-12-17 2021-10-1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cpr 및 aed ar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0828A (zh) 2017-12-01
WO2017104982A1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237B1 (ko)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US10980690B2 (en) Automated caregiving device with prompting based on caregiver progress
US10269267B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pparatus
US9262943B2 (en) CPR mannequin
US9724266B2 (en) Enhanced guided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90000374A1 (e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mart watch
CN108369783B (zh) 用于心肺复苏训练的人体模型
EP2747732B1 (en) Peel and stick cpr assistance device
US11701295B2 (en)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 feedback
US10117804B2 (en) CPR chest compression machine with camera
JP6182142B2 (ja) 分娩室のための呼吸ガイダンス装置
US20180158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medical simulator
CN109166433B (zh) 一种医疗模拟人系统
KR10144597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US20180092804A1 (en) Maintaining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Device Adherence
US201801612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during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214312323U (zh) 一种多机互联群体化心肺复苏急救考核模型
KR102039218B1 (ko)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WO2020006355A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networked devices
TW201301215A (zh) 按摩施力訓練裝置
KR20170013091A (ko)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교육안내 시스템
US20220304890A1 (en) Real tim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eedback with instruc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230084663A (ko) 복합 응급처치 교육용 인체모형 교보재
KR20160041440A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102571004B1 (ko)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튜브형 교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