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24A -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 Google Patents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24A
KR20160055624A KR1020140155654A KR20140155654A KR20160055624A KR 20160055624 A KR20160055624 A KR 20160055624A KR 1020140155654 A KR1020140155654 A KR 1020140155654A KR 20140155654 A KR20140155654 A KR 20140155654A KR 20160055624 A KR20160055624 A KR 2016005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way
human body
permanent magnet
hall sensor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진
김대용
김병진
장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to KR102014015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5624A/ko
Publication of KR2016005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atomic physics or neucleon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도삽관 실습용 인체모형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개구된 입과 상기 입 내부에 형성된 윗니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턱을 포함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는 몸통부와, 상기 입과 연통되어 상기 목부와 몸통부에 내장되는 기도와 식도, 상기 목부에 대한 상기 머리부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힌지에 장착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턱의 승강 여부를 검출하도록 상기 턱에 장착된 제1홀센서 및 상기 머리부에 장착된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인체모형 및 상기 인체모형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실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습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intubation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도삽관 실습용 인체모형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도삽관(Airway Intubation)은 환자의 입이나 코를 통하여 튜브를 기관 내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가장 확실한 기도유지 방법의 하나이며, 심정지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응급소생대책 중 하나이다. 기도삽관이 필요한 경우는 부종, 외상, 종양, 출혈로 인한 이차적인 상기도 폐쇄, 무호흡, 호흡 기능을 상실한 경우, 기계적 호흡이 요구되는 경우,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기도삽관은 대부분이 응급한 상황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기도삽관의 시행은 응급환자의 생명을 소생시키고 건강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환자의 생명은 시행자의 안전하고 능숙한 기도삽관 능력에 달려있다. 즉, 기도삽관은 지식과 능력이 동시에 요구되는 술기로, 시행자는 숙달되기까지 많은 시간의 반복연습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교육, 규칙적인 연습,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실기 과정을 통해서 기도삽관 실습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제 인체를 대상으로 반복적인 기도삽관 실습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의식이 있는 사람의 경우 구역반사 등의 반응으로 인하여 구강내 실습기구의 삽입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후두경 조작 중 치아손상 등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기도삽관 실습을 위하여 기도삽관 훈련이 가능한 인체모형이 사용된다. 인체모형을 사용하여 미숙련 응급의료 종사자 및 관련학과 학생들이 응급환자를 연상하며 사실감 있는 기도삽관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인체모형을 활용한 교육은 이론적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대상자에게 위험을 수반하는 의료과오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실습자는 문제해결 능력향상 및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기도삽관은 다음의 절차로 진행이 된다. 먼저,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법 또는 외상환자의 경우 턱밀어올리기법을 시행하여 기도를 확보한다. 이후, 입인두기도기를 구강내로 삽입하여 혀를 들어올린 다음 백밸브마스크를 사용하여 환기를 실시한다. 이어서, 기도삽관을 위한 후두경, 기관내삽관튜브 등이 준비되면 이전에 삽입한 입인두기도기를 제거하고 후두경을 사용하여 아래턱뼈를 들어올려 성대가 확인되면 기관내삽관튜브를 삽입하고, 기관내삽관튜브를 튜브 하단의 커프가 성대 아래쪽과 용골의 위쪽에 놓이는 위치까지 밀어 넣고 백밸브마스크와 연결하여 환자에게 환기를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청진기로 환기시 양쪽 폐음이 고르게 들리는지 확인하여 튜브가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현재 상용화된 기도삽관 인체모형은 환자의 기도개방을 위한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법과 턱밀어올리기법, 백밸브 마스크 환기, 입인두 기도기 삽입, 코인두 기도기 삽입 등의 기본인명소생술기의 기도관리 과정과 후두경 조작을 통한 기관내삽관 등의 전문인명소생술기의 기도관리 과정을 훈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제품들은 센서 등의 전자장치와 모니터링 장치 없이 인체모형만으로 구성되어 기도삽관 훈련시 실습과정을 측정하여 기록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따라서 인체모형을 이용한 실습 후 실습과정에 대한 분석 및 객관적인 평가는 불가능한 상태이다.
미국공개특허 US 20110010155 'Tracheal intubation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도삽관 실습용 인체모형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기록함으로써 실습과정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구된 입과 상기 입 내부에 형성된 윗니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턱을 포함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는 몸통부와, 상기 입과 연통되어 상기 목부와 몸통부에 내장되는 기도와 식도, 상기 목부에 대한 상기 머리부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힌지에 장착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턱의 승강 여부를 검출하도록 상기 턱에 장착된 제1홀센서 및 상기 머리부에 장착된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인체모형 및 상기 인체모형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실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습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도와 식도는 윗니와 아랫니, 턱, 반지연골과 하나의 모듈로 결합되어 상기 머리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도는, 인체의 성문 부분의 양측에 제2홀센서와 제2영구자석을 장착하고, 인체의 폐와 근접한 부분의 양측에 제4홀센서와 제4영구자석을 장착하며, 상기 제2홀센서와 제4홀센서 사이에 제3홀센서를 장착하고, 제2영구자석과 제4영구자석 사이에 제3영구자석을 장착한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도는, 인체의 입과 근접한 부분의 양측에 제5홀센서와 제5영구자석을 장착한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도에는 인체의 반지연골이 형성된 부분에 식도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식도에는 상기 돌기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돌기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가 장착된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는 상기 기도와 기도유량관을 통해 연결된 폐공기주머니가 구비되고, 상기 폐공기주머니의 하단과 마주보는 몸통부의 내측면에는 거리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폐공기주머니의 상단에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부착되어 상기 폐공기주머니의 볼륨변화를 측정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는 상기 식도와 식도유량관을 통해 연결된 복부공기주머니가 구비되고, 상기 복부공기주머니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6홀센서 및 제6영구자석이 장착되어 복부공기주머니의 볼륨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체모형의 내부에는 상기 표시수단과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도삽관 실습용 인체모형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저장함으로서 실습과정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기도삽관 실습모형은 해부학적으로 인체와 유사한 인체모형에 다양한 센서가 내장되어 기도삽관 실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기도삽관 실습모형을 통하여 응급구조사, 소방구급대원, 의사, 간호사 등의 전문 응급의료진에서부터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까지 기도폐쇄 등으로 인한 기도삽관이 시급한 응급환자를 연상하며 사실감 있는 기도삽관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실습의 객관적인 성과 및 현황을 기록하고 평가함으로써 실제적인 환자대응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머리부와 목부의 단면도,
도 3은 머리부와 목부의 측면도,
도 4는 식도와 기도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식도와 기도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머리부와 결합모듈의 탈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몸통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는, 기도삽관 실습용 인체모형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머리부와 목부의 단면도이며,도 3은 머리부와 목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삽관 실습장치는 인체의 상반신과 유사하 외형을 갖는 인체모형(100)과 상기 인체모형(1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실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습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인체모형(100)은 개구된 입과 상기 입 내부에 형성된 윗니(104)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턱(102)을 포함하는 머리부(101)와, 상기 머리부(101)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목부(103)와, 상기 목부(103)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101)와 연결되고, 상기 입과 연통되는 기도(106)와 식도(107)를 내장하는 몸통부(112)와, 상기 목부(103)에 대한 상기 머리부(101)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힌지에 장착되는 가변저항(201)과, 상기 턱(102)의 승강 여부를 검출하도록 상기 턱(102)에 장착된 제1홀센서(202) 및 상기 머리부(101)에 장착된 제1영구자석(203)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기도확보는 혀가 기도를 폐쇄시키지 않고 성문을 볼 수 있는 시야를 넓혀주기 때문에 기관내삽관시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기도확보를 위한 머리기울임-턱들어올리기법 시행시 머리부(101)와 목부(103)의 회전각도 측정은 필수이며, 머리부(101)와 목부(103)이 결합되는 힌지부분에 회전식 가변저항(201)을 설치하여 머리부(101)의 회전에 의한 출력전압의 변화를 각도로 환산하여 머리부(101) 또는 목부(103)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후,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목뼈척추손상 등이 의심되는 외상환자의 기도확보를 위해서는 턱밀어올리기법 시행되는데, 턱밀어올리기법의 시행여부 측정은 턱(102)과 머리부(101)의 연결부위에 각각 제1홀센서(202)와 제1영구자석(203)을 설치하여 턱(102)이 일반적인 위치에서는 제1홀센서(202)의 신호가 켜짐(ON)되고, 턱(102)을 상부로 밀어올렸을 때 제1홀센서(202)의 신호가 꺼짐(OFF)되는 것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상하방향은 인체모형(100)이 누워져있는 상태에서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해부학적으로 인체와 유사한 상반신 인체모형(100)과, 인체모형(100) 내부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할 수 있는 표시수단(300)에 출력하고 저장함으로서 실습과정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머리부와 결합모듈의 탈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도(106)와 식도(107)는 윗니(104)와 아랫니(105), 턱(102), 반지연골과 하나의 결합모듈(130)로 이루어져 상기 머리부(10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101)에는 눈과 광대뼈 아래 부분에 상기 결합모듈(130)이 끼워지는 빈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목부(103)는 상기 머리부(101)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부(1030에는 기도(106) 및 식도(107)가 끼워지는 통골(103a)이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기도(106)와 식도(107)는 윗니(104)와 아랫니(105), 턱(102), 반지연골과 하나의 결합모듈(130)로 이루어져 상기 머리부(10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각 구성요소의 점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기관의 외부로 꺼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식도와 기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식도와 기도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도(106)는, 인체의 성문 부분의 양측에 제2홀센서(211)와 제2영구자석(212)을 장착하고, 인체의 폐와 근접한 부분의 양측에 제4홀센서(215)와 제4영구자석(216)을 장착하며, 상기 제2홀센서(211)와 제4홀센서(215) 사이에 제3홀센서(213)를 장착하고, 제2영구자석(212)과 제4영구자석(216) 사이에 제3영구자석(214)을 장착하여, 기관내삽관튜브의 삽입 시, 삽관깊이를 측정한다. 기관내삽관튜브 삽입시 삽관튜브의 깊이는 튜브 끝단의 커프가 성대에서 1~2cm 더 삽입되도록 해야 한다. 삽관깊이가 부족할 경우 기도(106)를 통한 폐내부로 산소가 충분한 공급이 안 될 수 있으며, 삽관깊이가 과도하면 폐의 한쪽으로만 산소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삽관깊이가 적절한지는 중요한 요소이다. 삽관깊이의 측정을 위하여 튜브의 삽입깊이가 부족,정상,과도의 위치에 홀센서(211,213,215)와 영구자석(212,214,216)을 대칭이 되도록 설치한다. 기관내삽관튜브가 홀센서(211,213,215)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가게 되면 홀센서(211,213,215)와 영구자석(212,214,216)의 거리변화에 의한 센서 출력전압의 변화가 발생하여 삽관깊이 위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도(107)는, 인체의 입과 근접한 부분의 양측에 제5홀센서(221)와 제5영구자석(222)을 장착한다. 기관내삽관튜브 삽입시 튜브가 기도(106)가 아닌 식도(107)로 잘못 삽입 될 경우 환자에게 적절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기관내삽관튜브가 식도(107)로 삽입되는지의 감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식도삽관 측정을 위하여 식도(107)의 시작위치에 제5홀센서(221)와 제5영구자석(222)을 마주보게 설치한다. 기관내삽관튜브가 식도(107)위치에 설치된 제5홀센서(221)와 제5영구자석(222)를 지나가게 되면 제5홀센서(221)와 제5영구자석(222)의 거리변화에 의한 센서 출력전압의 변화가 발생하여 식도삽관 여부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도(106)에는 인체의 반지연골이 형성된 부분에 식도(107)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108)를 형성하고, 상기 식도(107)에는 상기 돌기부(108)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돌기부(108)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223)가 장착된다. 반지연골압박은 기관내삽관 시행시 기도(106) 윗부분에 위치한 반지연골부를 손으로 압박하여 기도(106)로 삽관튜브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위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지연골압박 측정을 위하여 반지연골 아래 기도(106)에 돌기부(108)를 형성하고, 식도(107)에는 제2압력센서(223)를 설치하여 반지연골을 손으로 압박하였을 때 제2압력센서(223)의 출력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반지연골압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몸통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통부(112)의 내부에는 상기 기도(106)와 기도유량관(113)을 통해 연결된 폐공기주머니(109)가 구비되고, 상기 폐공기주머니(109)의 하단과 마주보는 몸통부(112)의 내측면에는 거리센서(231)가 장착되며, 상기 폐공기주머니(109)의 상단에는 상기 거리센서(231)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234)이 부착되어 상기 폐공기주머니(109)의 볼륨변화를 측정한다. 기관내 튜브삽입이 완료되면 백밸브마스크를 사용하여 환기를 시행하게 된다. 기관내삽관이 적절히 시행되었을 경우 양쪽 폐로 산소가 공급되게 된다. 양쪽 폐로 산소가 공급되는지에 대한 여부는 양쪽 폐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거나 청진기로 청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유량의 측정을 위하여 몸통부(112) 내부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한쌍의 폐공기주머니(109)의 하단과 마주보는 몸통부(112)의 내측면에는 각각 거리센서(231)를 설치하고, 폐공기주머니(109)의의 상단에는 상기 거리센서(231)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234)을 부착하여 양측의 폐공기주머니(109)로 산소가 공급되면 변화하는 폐공기주머니(109)의 높이를 거리센서(231)로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에 따른 출력전압을 유량으로 환산하고, 양측의 폐공기주머니(109)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삽관튜브가 과도하게 삽입되어 좌,우폐 중 한쪽 폐에만 산소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유량의 측정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통부(112)의 내부에는 상기 식도(107)와 식도유량관(114)을 통해 연결된 복부공기주머니(110)가 구비되고, 상기 복부공기주머니(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6홀센서(232) 및 제6영구자석(233)이 장착되어 복부공기주머니(110)의 볼륨변화를 감지한다. 삽관튜브가 기도(106)로 삽입되지 않고 식도(107)로 삽입된 상태에서 백밸브마스크 환기를 시행하게 되면 산소가 위로 공급되어 복부팽만이 발생하게 된다. 복부팽만 측정을 위하여 복부공기주머니(110)의 상단에 제6홀센서(232)를 설치하고 복부공기주머니(110)의 하단의 지지판에 제6영구자석(233)을 설치하여 복부공기주머니(110)의 팽창에 의한 제6홀센서(232) 출력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하게 되고, 그 결과를 표시수단(300)으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체모형(100)의 내부에는 상기 표시수단(300)과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120)가 장착된다. 기도삽관 실습에서 가변저항(201), 홀센서(202,211,213,215,221,232), 압력센서(223), 거리센서(231)에서 측정된 신호는 제어부(120)를 통해 표시수단(300)으로 저송되어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서 실습과정에 대한 분석과 실습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도삽관 실습용 인체모형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습과정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저장함으로서 실습과정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기도삽관 실습모형은 해부학적으로 인체와 유사한 인체모형에 다양한 센서가 내장되어 기도삽관 실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기도삽관 실습모형을 통하여 응급구조사, 소방구급대원, 의사, 간호사 등의 전문 응급의료진에서부터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까지 기도폐쇄 등으로 인한 기도삽관이 시급한 응급환자를 연상하며 사실감 있는 기도삽관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실습의 객관적인 성과 및 현황을 기록하고 평가함으로써 실제적인 환자대응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인체모형 101 : 머리부
102 : 턱 103 : 목부
104 : 윗니 105 : 아랫니
106 : 기도 107 : 식도
108 : 돌기부 109 : 폐공기주머니
110 : 복부공기주머니 111 : 지지판
112 : 몸통부 113 : 기도유량관
114 : 식도유량관 120 : 제어부
130 : 결합모듈 201 : 가변저항
202 : 제1홀센서 203 : 제1영구자석
211 : 제2홀센서 212 : 제2영구자석
213 : 제3홀센서 214 : 제3영구자석
215 : 제4홀센서 216 : 제4영구자석
221 : 제5홀센서 222 : 제5영구자석
223 : 제2압력센서 231 : 거리센서
232 : 제6홀센서 233 : 제6영구자석
234 : 반사판 300 : 표시수단

Claims (8)

  1. 기도삽관을 훈련하기 위한 기도삽관 실습장치에 있어서,
    개구된 입과 상기 입 내부에 형성된 윗니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턱을 포함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를 통해서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는 몸통부와, 상기 입과 연통되어 상기 목부와 몸통부에 내장되는 기도와 식도, 상기 목부에 대한 상기 머리부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힌지에 장착되는 가변저항과, 상기 턱의 승강 여부를 검출하도록 상기 턱에 장착된 제1홀센서 및 상기 머리부에 장착된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인체모형;
    상기 인체모형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실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습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와 식도는 윗니와 아랫니, 턱, 반지연골과 하나의 모듈로 결합되어 상기 머리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는, 인체의 성문 부분의 양측에 제2홀센서와 제2영구자석을 장착하고, 인체의 폐와 근접한 부분의 양측에 제4홀센서와 제4영구자석을 장착하며, 상기 제2홀센서와 제4홀센서 사이에 제3홀센서를 장착하고, 제2영구자석과 제4영구자석 사이에 제3영구자석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도는, 인체의 입과 근접한 부분의 양측에 제5홀센서와 제5영구자석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에는 인체의 반지연골이 형성된 부분에 식도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식도에는 상기 돌기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돌기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는 상기 기도와 기도유량관을 통해 연결된 폐공기주머니가 구비되고, 상기 폐공기주머니의 하단과 마주보는 몸통부의 내측면에는 거리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폐공기주머니의 상단에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부착되어 상기 폐공기주머니의 볼륨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는 상기 식도와 식도유량관을 통해 연결된 복부공기주머니가 구비되고, 상기 복부공기주머니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6홀센서 및 제6영구자석이 장착되어 복부공기주머니의 볼륨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모형의 내부에는 상기 표시수단과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KR1020140155654A 2014-11-10 2014-11-10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KR20160055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54A KR20160055624A (ko) 2014-11-10 2014-11-10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54A KR20160055624A (ko) 2014-11-10 2014-11-10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96A Division KR101883321B1 (ko) 2017-11-16 2017-11-16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24A true KR20160055624A (ko) 2016-05-18

Family

ID=5611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54A KR20160055624A (ko) 2014-11-10 2014-11-10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56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258A (ko) * 2016-07-12 2018-01-22 (주)패스텍 인체 실습 기구의 압력 표시 장치
WO2018136905A1 (en) * 2017-01-20 2018-07-26 Intuvat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endotracheal intubation
AT519853A1 (de) * 2016-07-05 2018-10-15 Simcharacters Gmbh Patientensimulator
CN111341167A (zh) * 2020-02-12 2020-06-26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护理教学用吸痰练习模拟装置
KR102408224B1 (ko) * 2021-01-22 2022-06-13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9853A1 (de) * 2016-07-05 2018-10-15 Simcharacters Gmbh Patientensimulator
AT519853B1 (de) * 2016-07-05 2019-01-15 Simcharacters Gmbh Patientensimulator
KR20180007258A (ko) * 2016-07-12 2018-01-22 (주)패스텍 인체 실습 기구의 압력 표시 장치
WO2018136905A1 (en) * 2017-01-20 2018-07-26 Intuvat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endotracheal intubation
CN111341167A (zh) * 2020-02-12 2020-06-26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护理教学用吸痰练习模拟装置
KR102408224B1 (ko) * 2021-01-22 2022-06-13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21B1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US9697750B2 (en) Lung compliance simu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EP2537150B1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JP4932768B2 (ja) 気管挿管訓練装置
KR20160055624A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US20070218438A1 (en) Tracheotomy teaching aid
HU203420B (en) Training apparatus for teqching a process of emergency reviving
EP291965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uscitation or respiratory mechanics of a patient
US105072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racticing and performing effective rescue breathing
JP2019522237A (ja) 患者シミュレータ
JP2015018152A (ja) 介護実習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
CN212434059U (zh) 一种气道管理模型
KR20110096730A (ko)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770566B2 (en) Spirometer device with visual aid for therapeutic breathing
US11037467B2 (en) Suction simulation system
CN109003497A (zh) 气道管理训练方法及系统
WO2002037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pplication of pressure to an imitation body part
US11488495B2 (en) Patient simulator
US20220246062A1 (en) Emergency surgical airway surgery simulation device
US20220338724A1 (en) Medical apparatus for insertion into a body passage and methods for use
KR101753780B1 (ko) 기도삽관 실습장치용 치아모듈
US20240173495A1 (en) Ventilation assistance
Takebe et al. Development of Neonatal Airway Management Simulator for Evaluation of Tracheal Intubation
Dogra et al. The long and short of it: Nonstandardised length of nasopharyngeal airways
Alson Automatic Esophageal Intubation Detection Using Giant Magneto Resistance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