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224B1 -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 Google Patents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224B1
KR102408224B1 KR1020210009206A KR20210009206A KR102408224B1 KR 102408224 B1 KR102408224 B1 KR 102408224B1 KR 1020210009206 A KR1020210009206 A KR 1020210009206A KR 20210009206 A KR20210009206 A KR 20210009206A KR 102408224 B1 KR102408224 B1 KR 10240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ubation
laryngeal tube
stomach
inhalation
harmful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법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이 가능하며, 정상적인 삽관 여부를 디지털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교육용 마네킹 기반의 응급처치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후두 튜브의 삽관의 적절한 위치를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관찰 후 백밸브 마스크를 이용하여 환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후두 튜브의 Suction Catheter 삽입부를 통하여 위 내용물을 제거하고, 이를 관찰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물을 제공하며 실습 검증을 위한 디지털 삽관 승인, 환기승인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First aid training device that can observe the intubation of the laryngeal tube and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stomach}
본 발명은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이 가능하며, 정상적인 삽관 여부를 디지털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교육용 마네킹 기반의 응급처치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운동부족, 식생활의 불건전성에 따른 비만, 고혈압, 당뇨 등 대사성 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저질환으로 인한 고령자의 심뇌혈관 질환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비만과 고혈압은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협심증(angina pectoris),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부정맥(cardiac dysrhythmia), 동맥류(aneurysm), 대동맥박리(aortic dissection)등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사성 질환은 일과성 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 발생할 수 있고, 거미막밑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뇌경색(cerebral infarct) 뇌혈관 질환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심뇌혈관질환은 호흡기계에 영향을 미쳐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호흡곤란(dyspnea), 호흡부전(respiratory failure), 무호흡증(apnea), 폐색전(pulmonary embolism),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을 일으키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에 의한 최종적 응급상황은 비정상적 호흡음(agonal respiration)과 함께 심폐정지(cardiopulmonary arrest)상태에 이르게 된다.
현장의 응급처치의 일환으로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기도개방(airway), 인공호흡(breathing)이루어 지게 된다.
응급처치 후 병원내에서 환자의 호흡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관내 삽관, 후두마스크, 후두튜브 등을 활용한다.
응급구조사 1급 자격 소지자의 경우는 기도유지 및 호흡처치를 위 기관내삽관 이나 후두마스크 삽관, 후두튜브의 사용이 허용되어 있다.
응급환자의 기도유지를 위한 후두경 이용 기관내삽관은 과도한 힘으로 인해 손상을 유발 위험과, 소요시간이 길고, 병원전 단계에 사용과 어두운환경에 제한적이며, 전문적기술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이유로 구급업무 수행 중에는 기관내 삽관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접기관삽관의 장애요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후두마스크기도기(Laryngeal Mask Airway)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후두마스크는 후두경 미사용과 성대나 기관을 자극이 거의 없으므로 오랫동안 이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 또한 위 내용물의 기도폐쇄의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후두 튜브(Laryngeal Tube Suction-Disposable) 기도폐쇄 위험이 후두마스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기도확보가 어려운 특수한 상황이나 두경부의 움직임 없이 삽입이 가능하며, 구강내 손가락을 넣을 필요가 없어서 최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후두튜브는 2012년에야 1급 응급구조사 국가고시에 술기 항목으로 도입 되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후두튜브 사용을 위한 마네킹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두튜브의 안전하고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 모형과 정상적 삽관의 자동화된 검증 기술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응급상황에서의 적극적 대처할 수 있고, 119 구급대의 전문기도 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620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이 가능하며, 정상적인 삽관 여부를 디지털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교육용 마네킹 기반의 응급처치 실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가 포함되어 있으며,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교육용마네킹(100);과
상기 기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와
상기 식도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위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는 투명 형상의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이 가능하며, 정상적인 삽관 여부를 디지털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교육용 마네킹 기반의 응급처치 실습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후두 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을 위하여 투명아크릴을 이용한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후두 튜브의 삽관의 적절한 위치를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관찰 후 백밸브 마스크를 이용하여 환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후두 튜브의 흡입카테터(Suction Catheter) 삽입부를 통하여 위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습 장치는 부피와 무게 매우 작아 이동성과 보관성 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구강 내와 기도와 식도 부분은 100% Silicon으로 구성하여 인체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두 튜브의 식도 삽관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알릴 수 있으며, 후두 튜브의 삽관 후 정상적 환기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후두 튜브 삽관 실기테스트를 위한 검정색 불투명 아크릴 blind 덮개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삽관감지센서부(400), 공기압측정부(500), 디지털계기판(1000)을 나타낸 개념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가 포함되어 있으며,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교육용마네킹(100);과
상기 기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와
상기 식도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위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는 투명 형상의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강 내에 후두 튜브를 삽입한 후, 후두 튜브에 백밸브 마스크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 해당 공기가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로 유입되어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를 팽창시키고, 환기를 수행하며,
이후, 흡입 카테터를 구강 내에 삽입한 후, 흡입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에 포함된 위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은,
투명아크릴, 반투명 실리콘, 투명 플라스틱, 투명유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식도(13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삽관감지센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식도(13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삽관감지센서부(400);와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기관(12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 삽입 후, 백밸브마스크에 의한 환기시 공기압을 측정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측정 공기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측정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관감지센서부(400)에 의해 제공된 감지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이를 표시하며, 상기 공기압측정부(500)에 의해 제공된 측정 공기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계기판(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구강(110)의 끝단이 일측에 결합되며,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타측이 결합되는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은,
후두튜브 삽관 실기 테스트를 위하여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1);와
상기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0)의 외관에 형성되어 일측을 구강의 끝단에, 타측을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결합시키는 투명 재질의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고정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은,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교육용마네킹(100),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은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가 포함되어 있으며, 투명 아크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체와 유사하게 구강, 기관, 식도를 내부에 형성시키게 되는데, 기관의 경우에는 좌측 폐와 우측 폐에 해당하는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부터 2개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실습자가 현재 상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교육용마네킹(100)은,
투명아크릴, 반투명 실리콘, 투명 플라스틱, 투명유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는 상기 기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관의 끝단이 2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 각각 좌폐형상풍선부, 우폐형상풍선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식도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위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는 투명 형상의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즉, 위에 내용물이 존재하여 역류하게 되면 기도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를 구성하고 이를 실습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실습장치를 제공하게 되면, 구강 내에 후두 튜브를 삽입한 후, 후두 튜브에 백밸브 마스크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 해당 공기가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로 유입되어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를 팽창시키고, 환기를 수행하며,
이후, 흡입 카테터를 구강 내에 삽입한 후, 흡입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에 포함된 위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습은 후두 튜브 삽입, 백밸브 마스크를 통한 팽창 및 환기, 흡입 카테터 삽입 및 주사기를 이용한 위 내용물 배출 등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신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실습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피와 무게가 매우 작아 이동성과 보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삽관감지센서부(400), 공기압측정부(500), 디지털계기판(1000)을 나타낸 개념 구성도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식도(13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삽관감지센서부(400);와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기관(12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 삽입 후, 백밸브마스크에 의한 환기시 공기압을 측정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측정 공기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측정부(500);와
상기 삽관감지센서부(400)에 의해 제공된 감지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이를 표시하며, 상기 공기압측정부(500)에 의해 제공된 측정 공기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계기판(10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삽관감지센서부(400)는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식도(13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로 구성할 경우에 식도 내에 후두 튜브를 삽입하게 되면압력을 감지하게 되며, 감지된 압력 정보를 디지털계기판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실습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삽관감지센서부(400)는,
벨로즈 센서, 스트레인게이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압력센서,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빛센서, 온도, 자기, 진동,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측정부(500)는,
브르동관, 벨로즈, 스트레인게이지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빛, 온도, 자기, 진동,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기압측정부(500)는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기관(12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 삽입 후, 백밸브마스크에 의한 환기시 공기압을 측정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측정 공기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실습자가 후두 튜브를 삽입하고, 백밸브마스크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압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된 공기압 정보를 디지털계기판(1000)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계기판(1000)은 상기 삽관감지센서부(400)에 의해 제공된 감지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이를 표시하며, 상기 공기압측정부(500)에 의해 제공된 측정 공기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삽입 감지 신호를 획득하게 되면 엘이디 램프 혹은 버저 혹은 디지털 표시 등을 이용하여 실습자에게 이를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디지털계기판(1000)은,
압력 감지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승인을 표시하기 위한 삽관승인확인부;와
측정 공기압 정보를 승인 임계치 정보와 비교하여 승인 임계치 정보를 만족할 경우에 승인을 표시하기 위한 환기승인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삽관승인확인부를 통해 압력 감지 신호를 획득하였다면 제대로 후두 튜브가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환기승인확인부를 통해 제대로 공기 투입 및 환기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삽관승인확인부는 승인 임계치 정보와 비교하여 이를 만족하게 되면 적당한 공기압을 투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실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구강(110)의 끝단이 일측에 결합되며,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타측이 결합되는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은,
후두튜브 삽관 실기 테스트를 위하여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1);와
상기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0)의 외관에 형성되어 일측을 구강의 끝단에, 타측을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결합시키는 투명 재질의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고정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기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1)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0)의 외관에 형성되어 일측을 구강의 끝단에, 타측을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결합시키는 투명 재질의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고정부(152)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구강의 끝단과 기관 및 식도의 끝단에도 이와 돌려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에는 이를 결합시킨 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교육 프로세스의 경우에는 교육용마네킹(100)에 후두 튜브를 삽관하고, 백밸브 마스크의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후, 백밸브 마스크로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의 환기를 점검하게 된다.
이후, 흡입 카테터를 삽입하고, 흡입용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에 존재하는 위 내용물이 배출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기 프로세스의 경우에는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에 형성된 교육용마네킹(100)에 후두 튜브를 삽관하고, 백밸브 마스크의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디지털 계기판의 승인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백밸브 마스크로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의 환기를 점검하게 된다.
이후, 흡입 카테터를 삽입하고, 흡입용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에 존재하는 위 내용물이 배출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후두 튜브의 삽관의 적절한 위치를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관찰 후 백밸브 마스크를 이용하여 환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후두 튜브의 Suction Catheter 삽입부를 통하여 위 내용물을 제거하고, 이를 관찰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물을 제공하며 실습 검증을 위한 디지털 삽관 승인, 환기승인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교육용마네킹
200 : 좌폐/우폐형상풍선부
300 :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

Claims (12)

  1.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에 있어서,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가 포함되어 있으며,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교육용마네킹(100);과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구강(110)의 끝단이 일측에 결합되며,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타측이 결합되는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과
    상기 기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와
    상기 식도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위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는 투명 형상의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강 내에 후두 튜브를 삽입한 후, 후두 튜브에 백밸브 마스크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 해당 공기가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로 유입되어 좌폐/우폐형상풍선부(200)를 팽창시키고, 환기를 수행하며,
    이후, 흡입 카테터를 구강 내에 삽입한 후, 흡입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위내용물확인용풍선부(300)에 포함된 위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구강(110)과 기관(120) 및 식도(13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은,
    투명아크릴, 반투명 실리콘, 투명 플라스틱, 투명유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식도(13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삽관감지센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식도(13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삽관감지센서부(400);와
    교육용마네킹(100)에 형성된 기관(120) 내에 형성되어 후두 튜브 삽입 후, 백밸브마스크에 의한 환기시 공기압을 측정하여 디지털계기판(1000)에 측정 공기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측정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감지센서부(400)에 의해 제공된 감지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이를 표시하며, 상기 공기압측정부(500)에 의해 제공된 측정 공기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계기판(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기테스트용결합수단(150)은,
    후두튜브 삽관 실기 테스트를 위하여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1);와
    상기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부(151)의 외관에 형성되어 일측을 구강의 끝단에, 타측을 기관(120) 및 식도(130)의 끝단에 결합시키는 투명 재질의 불투명아크릴블라인드덮개고정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마네킹(100)은,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의 위해물질 흡입의 가시적 관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감지센서부(400)는,
    벨로즈 센서, 스트레인게이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압력센서,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빛센서, 온도, 자기, 진동,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측정부(500)는,
    브르동관, 벨로즈, 스트레인게이지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빛, 온도, 자기, 진동,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KR1020210009206A 2021-01-22 2021-01-22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KR10240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06A KR102408224B1 (ko) 2021-01-22 2021-01-22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06A KR102408224B1 (ko) 2021-01-22 2021-01-22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224B1 true KR102408224B1 (ko) 2022-06-13

Family

ID=8198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206A KR102408224B1 (ko) 2021-01-22 2021-01-22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2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667U (ja) * 1991-10-22 1993-05-25 株式会社高研 新生児挿管訓練人形
KR101374023B1 (ko) * 2013-06-12 2014-03-12 김명삼 인체기관내 흡인 실습용 의료교구
KR20160055624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비티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KR101856203B1 (ko) 2017-07-04 2018-05-10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WO2020090945A1 (ja) * 2018-10-31 2020-05-07 株式会社Micotoテクノロジー 医療シミュレータ
JP2020090945A (ja) * 2018-12-07 2020-06-11 横河電機株式会社 検知装置、検知方法、及び検知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667U (ja) * 1991-10-22 1993-05-25 株式会社高研 新生児挿管訓練人形
KR101374023B1 (ko) * 2013-06-12 2014-03-12 김명삼 인체기관내 흡인 실습용 의료교구
KR20160055624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비티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KR101856203B1 (ko) 2017-07-04 2018-05-10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WO2020090945A1 (ja) * 2018-10-31 2020-05-07 株式会社Micotoテクノロジー 医療シミュレータ
JP2020090945A (ja) * 2018-12-07 2020-06-11 横河電機株式会社 検知装置、検知方法、及び検知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20090945 A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llard et al. Accidental intubation of the oesophagus
Lim et al. A comparison of the GlideScope® with the Macintosh laryngoscope for tracheal intubation in patients with simulated difficult airway
US9132253B2 (en) Asthma resuscitation system and method
JP4932768B2 (ja) 気管挿管訓練装置
Pelucio et al. Out‐of‐hospital experience with the syringe esophageal detector device
US200803054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imulation of the adverse cardiovascular effects of dynamic hyperinflation
Van Zundert et al. The case for a 3rd generation supraglottic airway device facilitating direct vision placement
ES2546769T3 (es) Simulador destinado al aprendizaje de la intubación traqueal
US20040099263A1 (en) Novel device for assessing endotracheal tube placement
JP2017532129A (ja) 有効な人工呼吸を教授、演習及び遂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83321B1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JP5038276B2 (ja) 位置検出装置、そのプログラム、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気管挿管訓練装置
JP4993971B2 (ja) 気管挿管訓練装置
KR20160055624A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KR102408224B1 (ko) 후두튜브의 삽관과 위 내 위해물질 흡입의 관찰이 가능한 응급처치 실습장치
Zhang et al. Blind nasal intubation: teaching a dying art
Moustafa et al. Fiberoptic assessment of the laryngeal mask airway (Laryseal) position after one hour of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an observational study
Schmölzer et al. Assessment of gas flow waves for endotracheal tube placement in an ovine model of neonatal resuscitation
WO2011068741A1 (en) Sensing endotracheal tube location
Rose et al. Minimal occlusive volume cuff inflation: a survey of current practice
Denman et al. The Fenem CO2 detector device An apparatus to prevent unnoticed oesophageal intubation
Van Zundert et al. Supraglottic airway devices: present state and outlook for 2050
Acott Extraglottic airway devices for use in diving medicine-part 3: The i-gel
US11488495B2 (en) Patient simulator
Bedolla Airway Management: Review of Current Devices and Development of a Novel Endotracheal Tube for Emergency Combat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