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638A -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638A
KR20110096638A KR1020100015981A KR20100015981A KR20110096638A KR 20110096638 A KR20110096638 A KR 20110096638A KR 1020100015981 A KR1020100015981 A KR 1020100015981A KR 20100015981 A KR20100015981 A KR 20100015981A KR 20110096638 A KR20110096638 A KR 2011009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map
image
memory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807B1 (ko
Inventor
김정행
Original Assignee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81Tile-based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74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data searching and retriev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제품의 기능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엽메모리에 분할되어 저장된 도엽들이 재활용됨으로써 맵 드로잉에 대한 연산속도가 개선됨과 아울러 새롭게 추가되는 도엽의 경계부가 보정됨으로써 이미지의 끊김현상도 보완되는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맵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를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도엽메모리에 저장하고, GPS 수신부에 수신된 차량의 위치를 이미지에 출력하는 제1단계; 1차 주관심 도엽의 이동을 위한 화면전환신호 여부를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을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하여 이동하고,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을 재활용하도록 추출하여 위치이동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 중 최외곽측 도엽들을 각각 삭제 및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위치이동이 수행된 도엽 및 생성된 도엽을 합성한 새로운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p drawing of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맵정보를 도엽메모리에 이미지화되어 분할된 도엽으로 저장하되 각 도엽의 경계부가 보정된 도엽으로 저장하여 출력시 발생되는 이미지의 끊김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량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분할된 도엽 중 최외곽에 배치된 도엽에 있어서 삭제 및 생성이 이루어져 연산속도가 현저히 향상된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항공기, 자동차 등 각종 이동체들에는 해당 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가 탑재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한 후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도 정보를 운전자에게 표시시켜 준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이동체의 진행 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 상기 이동체의 현재 이동 속도 등을 표시해 주는 등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떠있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즉, 지구상에는 다수의 GPS 위성이 떠 있는데,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창착된 이동체는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 있던지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렇게 계산된 자신의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주행 정보를 상기 차량 등의 이동체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기존에는 항공기나 선박 등 대형 이동체의 위치 계산과 항법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차량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현재의 위치정보, 상기 차량이 가고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상기 위치정보와 경로정보에 기초한 맵매칭 수행정보 및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차량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맵 드로잉이 이루어지되 상기 차량의 위치변화에 따른 해당 맵정보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맵정보가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위치변화시 해당 맵정보 전체가 추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므로 연산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맵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주행경로는 하나의 링크로 인식되어 상기 링크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출력되는데, 이때 상기 링크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 중 테두리부에 일치될 시 상기 링크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짤린 상태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맵정보를 도엽메모리에 이미지화되어 분할된 도엽으로 저장하되 각 도엽의 경계부가 보정된 도엽으로 저장하여 출력시 발생되는 이미지의 끊김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분할된 도엽 중 최외곽에 배치된 도엽에 있어서 삭제 및 생성이 이루어져 연산속도가 현저히 향상된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맵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를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도엽메모리에 저장하고, GPS 수신부에 수신된 차량의 위치를 이미지에 출력하는 제1단계; 1차 주관심 도엽의 이동을 위한 화면전환신호 여부를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을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하여 이동하고,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을 재활용하도록 추출하여 위치이동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 중 최외곽측 도엽들을 각각 삭제 및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위치이동이 수행된 도엽 및 생성된 도엽을 합성한 새로운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화면전환신호의 감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포함된 1차 주관심 도엽을 기준으로 도엽이탈 판단지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은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을 포함하는 도엽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은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경계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을 추출하여 상기 위치이동을 수행하는 것은,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 각각을 구획 단위로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이동시키되, 매칭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최외곽측 도엽들의 삭제 및 생성은,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되어 설정된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드로잉 영역으로부터 이탈된 도엽은 삭제되고 추가되는 도엽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해당 맵정보가 매칭좌표에 기초하여 새로운 도엽으로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최외곽측 중 어느 일측의 도엽 생성시,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에 의해 최외곽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의 각 경계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범위 이내에 오브젝트의 유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매칭좌표를 기준으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보정도엽으로 변환하고 상기 도엽보정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도엽을 추출하여 상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과 인접하게 생성되는 도엽의 경계부를 상기 보정도엽으로 보정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화면전환신호의 감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여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이동을 표시하기 위한 맵정보가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맵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가 구획된 도엽으로 각각 저장되는 도엽메모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들을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재활용하여 이동시키는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도엽들의 기설정된 개수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의 삭제 및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구획연산부; 및 상기 위치이동, 삭제 및 생성된 도엽들이 합성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도엽의 각 경계부에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오브젝트의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보정도엽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도엽보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맵정보가 도엽메모리에서 구획되어 이미지화된 도엽으로 저장되되 차량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도엽이 이동되면서 상기 도엽메모리에 추가될 도엽에 대해서만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므로 기저장된 도엽이 재활용됨으로써 맵 드로잉에 대한 연산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이 이미지메모리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이미지로 합성되는 경우 각 도엽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매칭좌표를 검색하여 각각의 상기 매칭좌표를 대응시켜 합성시키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기 매칭좌표의 검색으로 인해 상기 매칭좌표의 검색속도도 향상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도엽메모리에 상기 도엽이 저장될 시 도엽의 경계부가 보정도엽에 의해 보정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각 도엽의 경계부에 경로 등의 오브젝트가 겹치거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 중 최외곽측에 해당하는 도엽의 경계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겹치더라도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인 이미지로 출력되므로 사용자의 경로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여주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이 기설정된 도엽의 개수만큼 유지되도록 상기 도엽의 생성과 삭제가 이루어지므로 항상 최적의 개수로 구성된 도엽으로 맵 드로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기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맵 드로잉에 대한 처리속도가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오류도 보정되었으므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우수한 품질성으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엽메모리에서의 도엽 생성에 대한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엽메모리에서 위치이동이 이루어진 도엽을 나타낸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메모리에서의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1)는 제어부(3), GPS 수신부(5), 구획연산부(7), 도엽보정부(9), 이미지연산부(11), 지도 데이터베이스(13), 도엽메모리(15), 도엽보정메모리(17), 이미지메모리(19), 디스플레이부(21) 및 키 입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는 현재 위치를 알려주거나 혹은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해 주는 장치를 말하며,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1)는 크게 상기 GPS 수신부(5)를 통하여 들어온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과 이동 통신회사에서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대부분 GPS 수신부(5)를 이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가 상기 차량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주행경로 및 이에 따른 다양한 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GPS 수신부(5)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위치정보들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GPS 수신부(5)를 통하여 들어온 정보를 위도와 경도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해놓은 지도에 대입시켜 주고 사용자는 지도를 통하여 아주 쉽게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GPS 위성이 송신한 GPS 신호를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GPS 위성에서 신호를 받는다면 삼각 측량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GPS 수신부(5)는 다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차량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제어부(3)에 의해 상기 계산된 차량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3)는 상기 GPS 수신부(5)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이동에 따른 맵정보가 저장되어 있되, 상기 맵정보에는 2차원적인 맵을 비롯한 상기 2차원적인 맵 상에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포함된다. 물론, 상기 맵정보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모드의 맵이 제공 가능하도록 상기 2차원적인 맵 뿐만 아니라 2.5D 맵 및 3D 맵을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는 경로, 건물 등의 폭, 길이, 부피 및 크기 등을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획연산부(7)는 도엽메모리(15)에 저장된 도엽들을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재활용하여 이동시키는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도엽들의 기설정된 개수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의 삭제 및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엽메모리(15)에는 상기 구획연산부(7)에 의해 분할되어 이미지화된 상기 도엽이 저장되되,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에 따라 기설정된 드로잉 영역에 해당하는 도엽의 개수가 유지되도록 상기 드로잉 영역에 포함되고 이탈되는 도엽의 삭제 및 생성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3)에서 추출된 맵정보가 이미지로 출력되어 상기 도엽메모리(15)에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된 도엽으로 저장되며,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도엽 중 최외곽의 일측에 배치된 도엽이 삭제됨과 아울러 타측에 새로운 도엽이 생성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드로잉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출력될 이미지의 영역으로서 상기 도엽메모리(15)에 저장된 각 도엽이 상기 이미지메모리(19)로 추출되어 상기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가 생성될 시 상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한정한 영역이 상기 드로잉 영역에 해당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도엽메모리(15)에 저장되는 도엽은 상기 도엽보정부(9)에 의해 상기 도엽의 경계부가 보정되어 저장되는데, 이때 상기 보정에 이용되는 보정도엽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해당 맵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맵정보가 이미지화된 보정도엽으로 변환되어 상기 도엽보정메모리(1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엽보정메모리(17)와 연동되는 상기 도엽보정부(9)에 의해 각 도엽의 경계부가 보정되는데, 상기 도엽의 각 경계부에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를 검색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상기 보정이 이루어지며, 이후 상기 이미지연산부(11)에 의해 각 도엽의 합성이 이루어져 상기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가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는 기설정된 상기 드로잉 영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출력되는데, 상기 도엽의 합성은 각 도엽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매칭좌표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매칭좌표를 대응되게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매칭좌표는 상기 도엽메모리(15)에 저장된 상기 도엽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표로서 상기 규칙화된 매칭좌표가 검색되어 각 도엽의 합성에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의 연산속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경로에 대응되는 링크 상에 포함된 좌표가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엽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규칙화된 4개의 좌표가 매칭좌표로 이용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검색 및 연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연산부(11)에 의해 상기 도엽의 합성이 이루어진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메모리(19)에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가 기설정된 드로잉 영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1)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키입력부(23)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와 일체화된 터치패드로 구성되어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모든 메뉴환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여 상기 그래픽 화면의 특정위치를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1)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위치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맵 드로잉이 이루어져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보다 신속하면서 정확한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엽메모리에서의 도엽 생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GPS 수신부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맵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이미지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를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도엽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GPS 수신부에 수신된 차량의 위치를 이미지에 출력한다.(s101)
즉, 상기 차량의 위치에 해당하는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출력하되, 출력된 상기 이미지를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분할된 도엽으로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장된 각 도엽이 이미지연산부에 의해 합성되어 각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GPS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이미지 상에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미지는 각 도엽이 합성된 합성도엽에 대한 이미지로서 기설정된 드로잉 영역에 포함되는 이미지이며, 상기 이미지에는 맵 정보에 포함된 오브젝트 즉, 폭, 길이, 부피 및 크기 등을 가지는 경로, 건물 등이 더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 영역은 상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서 키 입력부에 의한 설정 및 기설정된 형식에 따라 상기 드로잉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전체가 상기 드로잉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이미지의 일정부분이 상기 드로잉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1차 주관심 도엽의 이동을 위한 화면전환신호 여부를 감지한다.(s103)
여기서,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은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으로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표시되는 도엽이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이 될 수도 있고,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도엽이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 중 상기 1차 주관심 도엽 이외의 나머지 도엽은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에 대한 주변도엽이 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도엽메모리에는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된 다수의 도엽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도엽이 9개의 도엽으로 분할되어 중앙에 배치된 도엽이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이 되면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에 인접한 주변 즉, 최외곽측에 배치된 8개의 도엽이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이 된다. 물론, 상기 도엽은 9개 이상의 도엽으로 분할되어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출력되는 상기 1차 주관심 도엽 이외의 나머지 도엽이 상기 주변도엽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이 상기 화면전환신호의 감지를 통해 주관심 도엽에 대한 이동이 발생된다. 즉, 상기 화면전환신호의 감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포함된 1차 주관심 도엽을 기준으로 도엽이탈 판단지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여 상기 화면전환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은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경계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지점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을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을 재활용하도록 추출하여 위치이동을 수행한다.(s105)
여기서,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은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이 포함된 도엽일 수도 있고, 키 입력부를 통해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선택된 도엽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이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되고,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이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으로 대체됨과 동시에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나머지 도엽은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이 이동되는 방향 및 거리에 대응되어 위치이동된다.
이때, 이미지메모리와 상기 도엽메모리는 상호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의 위치이동은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정된 다수의 도엽메모리에 기초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 중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이 포함된 주변도엽이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미지메모리에서는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의 위치이동에 따라 각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도 위치이동된다.
또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에 대해 원하는 영역이 터치나 드래그되면 이를 화면전환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상기 1차 주관심도엽의 주변도엽이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미지메모리에서는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의 위치이동에 따라 각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도 위치이동된다.
즉,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에서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으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도엽메모리에 기저장된 다수의 도엽이 재활용되어 위치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이동을 위해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모든 도엽에 대한 맵정보를 다시 추출하여 도엽화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1차 주관심 도엽 및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을 재활용하여 상기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되, 이와 같이 위치이동된 도엽은 상기 도엽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매칭좌표에 대응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맵정보의 추출작업에 불필요한 반복작업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엽이 상기 규칙적으로 나열된 상기 매칭좌표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기 때문에 상기 위치이동에 대한 연산속도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 중 최외곽측 도엽을 각각 삭제 및 생성한다.(s107)
즉,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가 위치이동되는데, 상기 이미지가 위치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도엽메모리에서는 설정된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 중 상기 드로잉 영역에서 이탈된 도엽은 상기 도엽메모리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 영역에 새롭게 포함될 도엽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해당 맵정보가 상기 매칭좌표에 기초하여 새로운 도엽으로 생성된다.
상세히, 상기 매칭좌표는 각 도엽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표로서 상기 매칭좌표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정되므로 이에 대응되는 크기 및 해당 영역에 따라 상기 새로운 도엽이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엽메모리와 상기 이미지메모리는 상호 연동되어 작동되며, 상기 드로잉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에 따른 상기 도엽의 삭제 및 생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역인 상기 드로잉 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도엽은 삭제되고 새롭게 포함되는 도엽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가될 도엽에 해당하는 맵정보를 추출하여 분할된 추가 도엽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엽메모리의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에 대한 주변도엽 중 최외곽측에 배치된 도엽에서 상기 도엽의 삭제 및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외곽측 도엽 중 상기 위치이동에 따라 어느 일측의 도엽이 생성될 시 내측으로 이동되는 도엽 상의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상기 도엽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내측이로 이동된 도엽의 경계부에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잘려서 표시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에 의해 최외곽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의 각 경계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범위 이내에 오브젝트의 유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매칭좌표를 기준으로 검색한다.(s111)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는 경로, 건물 등의 폭, 길이, 부피 및 크기 등을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유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매칭좌표를 기준으로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보정도엽으로 변환하고 상기 도엽보정메모리에 저장한다.(s113) 이때, 상기 보정도엽은 상기 맵정보가 기설정된 크기로 이미지화됨으로써 상기 도엽보정메모리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정도엽의 크기 또한 기설정되는 형식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보정도엽을 추출하여 상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과 인접하게 생성되는 도엽의 경계부를 상기 보정도엽으로 보정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한다.(s115) 그러나, 상기 일정범위 이내에서 상기 경로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보정과정이 생략되며 상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도엽을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한다.(s117)
이와 같이, 상기 도엽메모리에서 상기 위치이동에 따라 최외곽측의 도엽에 대한 삭제 및 생성이 수행된 이후, 상기 위치이동이 수행된 도엽 및 생성된 도엽을 합성한 새로운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s109) 즉, 상기 이미지메모리에는 상기 위치이동에 따라 재배치된 상기 2차 주관심 도엽 및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이 합성된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생성된 도엽을 상기 도엽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에 합성시킴으로써 상기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이미지가 상기 드로잉 영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의 맵 드로잉 방법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하고, 이와 같이 분할된 각 도엽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위치이동에 따라 필요한 도엽만을 생성하여 이를 합성된 이미지로 생성하기 때문에 맵 드로잉을 위한 연산속도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이동에 따라 새롭운 도엽에 대한 보정작업도 내측으로 이동되는 도엽 상의 경로를 고려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보정도엽의 생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도엽의 경계부에 상기 경로가 겹침으로써 발생되는 이미지의 끊김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엽메모리에서 위치이동이 이루어진 도엽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메모리에서의 도엽이 합성된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관심 도엽의 이동에 따라 도엽메모리(31)에 기저장된 상기 도엽(37)이 좌측으로 위치이동된다면 상기 도엽메모리(31)의 최외곽측 중 우측에서는 새로운 도엽(33)이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위치이동 또는 사용자의 키 입력부를 통한 터치 등의 입력에 의해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됨으로써 상기 주관심 도엽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도엽(33)이 생성되는데, 이때 상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37)의 경계부(39)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범위 이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인 경로(47)가 검색되면 상기 경로(47)가 포함된 맵정보를 보정도엽(35)으로 변환하여 추가 생성되는 새로운 도엽(33)의 경계부를 상기 보정도엽(35)으로 보정한다.
여기서, 상기 도엽의 경계부를 기준으로 하는 일정범위는 상기 경계부와 상기 경계부에 평행하면서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설정된 보조선이 이루는 사잇공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선은 상기 경계부의 내측이나 외측에 하나의 보조선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경계부의 양측으로 두개의 보조선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계부와 상기 보조선이 이루는 사잇공간이 상기 일정범위로 되거나 상기 두개의 보조선이 이루는 사잇공간이 상기 일정범위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은 상하좌우 및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곽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되는 도엽의 경계부를 기준으로 상기 경계부의 일정범위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이에 해당하는 보정도엽이 생성됨으로써 새롭게 추가되는 도엽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저장된 도엽(37) 및 경계부(39)가 보정된 상기 새로운 도엽(33)이 이미지메모리(41)로 추출되어 추출된 상기 다수의 도엽(33, 37)이 이미지연산부에 의해 합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될 합성도엽의 이미지(43)가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엽메모리(31)와 상기 이미지메모리(41)는 상호 연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위치가 도엽이탈 판단지점에 도달됨과 동시에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에 포함된 도엽이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메모리(41)의 이미지(43)와 상기 도엽메모리(31)의 기저장된 도엽(37)이 위치이동된다.
예컨대, 상기 도엽메모리(31)의 중앙에 배치된 도엽에 상기 차량의 위치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중앙에 배치된 도엽이 1차 주관심 도엽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 중 하나로 이동되어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이 속한 주변도엽이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엽메모리(31)에 기저장된 다수의 도엽(37)과 이를 추출하여 생성된 이미지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되고, 기설정된 드로잉 영역(45)으로부터 이탈되는 도엽은 상기 도엽메모리(31)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새롭게 상기 드로잉 영역(45)에 포함되는 도엽(33)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맵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화된 도엽으로 상기 도엽메모리(31)에 저장된다.
물론, 사용자가 키 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영역을 터치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된 도엽이 상기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되어,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메모리(41)의 이미지(43)와 상기 도엽메모리(31)의 기저장된 도엽(37)이 위치이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43)가 위치이동될 시 상기 드로잉 영역에 그대로 포함되는 도엽(37)은 이미 상기 도엽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새롭게 추가된 도엽(33)만을 기존의 이미지에 합성하여 새로운 이미지(43)가 생성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연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로잉 영역(45)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역이므로, 상기 드로잉 영역(45)에 해당하는 도엽(37)이 상기 도엽메모리(31)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이후 상기 이미지(43)를 위한 합성에 상기 도엽(37)이 재활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엽메모리(31)의 구획단위는 도 4a와 같이 9개의 도엽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9개 이상의 도엽 또는 9개 이하의 도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이 이미지메모리로 추출됨과 동시에 상기 도엽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매칭좌표(51)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매칭좌표(51)가 대응되도록 상기 도엽(53)을 합성시킴으로써 상기 도엽(53)이 합성된 이미지(55)가 생성된다. 즉, 상기 매칭좌표(51)가 경로에 대응되는 링크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엽의 꼭지점에 포함되므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기 매칭좌표(51)를 검색하기 때문에 검색속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위치(57)가 포함되는 1차 주관심 도엽에서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 중 하나로 이동되는 경우, 오브젝트인 상기 경로에 도엽이탈 판단지점(65)이 포함되면 상기 경로에 대응되는 링크(59)와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경계부(61)가 접하는 접점(63)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이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65)이 되고 상기 차량의 위치(57)가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65)에 도달하면 상기 도엽이탈지점(65)이 포함된 주변도엽이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이미지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진다.
물론,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을 설정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설정된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을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터치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상기 이미지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시 상기 경로의 링크가 상기 드로잉 영역의 경계부와 상기 도엽의 경계부가 일치되거나 상기 링크, 상기 드로잉 영역(71)의 경계부 및 상기 도엽의 경계부가 일치되더라도 상기 도엽의 경계부는 보정도엽으로 보정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인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어 이미지의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링크가 상기 도엽의 경계부와 일정거리 일치하더라도 상기 링크가 소정의 각을 이루는 지점과 상기 경계부가 접하는 접점으로부터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65)이 연산되기 때문에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을 설정도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성능이 향상된 네비게이션 장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영역 또는 차량의 위치이동에 따른 영역이 자동적으로 맵 드로잉되되,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이 재활용됨으로써 연산속도가 현저히 향상됨과 아울러 보정도엽으로 인해 이미지의 끊김 현상도 방지되어 네비게이션 장치의 품질이 향상되므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네비게이션 장치 3: 제어부
5: GPS 수신부 7: 구획연산부
9: 도엽보정부 11: 이미지연산부
13: 지도 데이터베이스 15, 31: 도엽메모리
17: 도엽보정메모리 19, 41: 이미지메모리
21: 디스플레이부 23: 키 입력부
33, 53: 도엽 35: 보정도엽
39, 61: 도엽의 경계부 43, 55: 이미지
45, 71: 드로잉 영역 51: 매칭좌표
47: 경로 57: 차량의 위치
59: 링크 63: 접점
65: 도엽이탈 판단지점

Claims (9)

  1.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맵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를 기설정된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도엽메모리에 저장하고, GPS 수신부에 수신된 차량의 위치를 이미지에 출력하는 제1단계;
    1차 주관심 도엽의 이동을 위한 화면전환신호 여부를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을 2차 주관심 도엽으로 설정하여 이동하고,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을 재활용하도록 추출하여 위치이동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 중 최외곽측 도엽들을 각각 삭제 및 생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위치이동이 수행된 도엽 및 생성된 도엽을 합성한 새로운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화면전환신호의 감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포함된 1차 주관심 도엽을 기준으로 도엽이탈 판단지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된 도엽은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을 포함하는 도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엽이탈 판단지점은 상기 1차 주관심 도엽의 경계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을 추출하여 상기 위치이동을 수행하는 것은,
    구획단위로 분할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 각각을 구획 단위로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이동시키되, 매칭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최외곽측 도엽들의 삭제 및 생성은,
    상기 화면전환신호가 감지되어 설정된 상기 2차 주관심 도엽의 주변도엽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드로잉 영역으로부터 이탈된 도엽은 삭제되고 추가되는 도엽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해당 맵정보가 매칭좌표에 기초하여 새로운 도엽으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최외곽측 중 어느 일측의 도엽 생성시,
    상기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에 의해 최외곽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의 각 경계부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범위 이내에 오브젝트의 유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매칭좌표를 기준으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보정도엽으로 변환하고 상기 도엽보정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도엽을 추출하여 상기 내측으로 이동된 도엽과 인접하게 생성되는 도엽의 경계부를 상기 보정도엽으로 보정하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화면전환신호의 감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여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8.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이동을 표시하기 위한 맵정보가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맵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가 구획된 도엽으로 각각 저장되는 도엽메모리;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들을 주관심 도엽의 위치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재활용하여 이동시키는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도엽들의 기설정된 개수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도엽의 삭제 및 생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구획연산부; 및
    상기 위치이동, 삭제 및 생성된 도엽들이 합성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엽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도엽의 각 경계부에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오브젝트의 맵정보를 이미지화하여 보정도엽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도엽보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KR1020100015981A 2010-02-23 2010-02-23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KR10111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981A KR101113807B1 (ko) 2010-02-23 2010-02-23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981A KR101113807B1 (ko) 2010-02-23 2010-02-23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38A true KR20110096638A (ko) 2011-08-31
KR101113807B1 KR101113807B1 (ko) 2012-02-29

Family

ID=4493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981A KR101113807B1 (ko) 2010-02-23 2010-02-23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73A1 (ko) * 2012-07-03 2014-01-09 주식회사 엔지스테크널러지 분리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CN112433662A (zh) * 2020-11-26 2021-03-0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矫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58B1 (ko) * 2003-10-20 2010-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체의 지도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663026B1 (ko) 2004-12-15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표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73A1 (ko) * 2012-07-03 2014-01-09 주식회사 엔지스테크널러지 분리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US9791293B2 (en) 2012-07-03 2017-10-17 Engis Technologies, Inc. Detachable navigation system
CN112433662A (zh) * 2020-11-26 2021-03-0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矫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433662B (zh) * 2020-11-26 2022-08-1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矫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807B1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1402B (zh) 用于确定相对于数字地图的位置的方法及系统
JP6425913B2 (ja) 情報表示装置
US950048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130085630A1 (en) Fishfinder data display device, fishfinder device, method of specifying destin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JPWO2009084135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10227948A1 (en) Map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EP2610589B1 (en) Method of displaying points of interest
WO2013051046A1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装置、レーダ装置、プロッタ装置、舶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1802888A (zh) 地图显示装置
JPH09138136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5296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298301A (ja) 地図表示装置
JP2002288800A (ja) 航法装置
KR101113807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맵 드로잉 방법 및 그 장치
JP66831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61326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 radio based navigation system
JP488468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73455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안내방법
KR101273258B1 (ko) 경로정보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KR20040038870A (ko) 내비게이션 장치
JP201122074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230374B1 (ko) 목적지 주소 축약정보를 사용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작동방법
KR101199330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KR20110051348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복합정보 안내방법
JP493704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地図情報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