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788A -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788A
KR20110094788A KR1020100014407A KR20100014407A KR20110094788A KR 20110094788 A KR20110094788 A KR 20110094788A KR 1020100014407 A KR1020100014407 A KR 1020100014407A KR 20100014407 A KR20100014407 A KR 20100014407A KR 20110094788 A KR20110094788 A KR 2011009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emory device
file
usb memo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수
김기영
박종철
고범석
명민수
장형윤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788A/ko
Publication of KR2011009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및 메모리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플래쉬메모리, 상기 플래쉬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USB 메모리 장치의 양 끝단에 마련되고, 정보단말장치의 단말기 포트(-)에 삽입되는 USB 아웃커넥터(+) 및 다른 USB 메모리 장치의 USB 아웃커넥터(+)가 삽치되는 USB 인커넥터(-)에 접속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USB 아웃커넥터와 USB 인커넥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상기 USB 아웃커넥터 및 USB 인커넥터를 결합하여 서로 다른 USB 메모리 장치의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File Exchanging Typ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USB 메모리 장치 상호 간에 파일의 교환이 가능하고 파일의 이동, 추가, 삭제 등의 관리행위가 간편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PC, 노트북, MP3, 디지털카메라 등의 정보 단말 장치는 각종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오류로 인해 주요한 데이터 손실의 우려가 있어 하드디스크나 자기테이프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로는 CD-ROM 등의 광디스크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접근속도는 느리나, 저렴한 가격으로 상당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CD-ROM은 일단 기록 및 저장하면, 다시 지우거나 기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CD-ROM은 부피가 커서 이동시에 불편하며, 이동 중 먼지나 전자기에 의해 데이터 훼손이 있어 안정성에서도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CD-ROM 등의 광디스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휴대용 저장 장치 중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 USB 포트를 이용한 USB 메모리 장치이다. USB 메모리 장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하며,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시켜 데이터를 읽거나 쓰게 하는 장치로서, 정보 단말 장치의 접속과 함께 정보 단말 장치가 인식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USB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소자로는 접속 방식에 따라 IEEE 1394, MS(Memory Stick), CFC(Compact Flash Card), MMC(Multi-Media Card), SMC(Smart Media Card) 등이 있다. USB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은 1GB 내지 32GB 이상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고 USB 메모리 장치의 최대저장용량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한정되므로 저장공간의 한계가 있는 경우 추가 용량을 확충하기 위하여 USB 메모리 장치를 추가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USB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매체(파일)의 이동, 추가, 삭제 등의 관리를 원할 때에는 사용자가 반드시 중간 하드웨어(컴퓨터 등)를 거쳐서 이동, 복사 등의 2중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파일교환 매체의 필요없이 파일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중 작업이 필요 없고, USB 메모리 장치만의 파일 교환이 가능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및 메모리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플래쉬메모리; 상기 플래쉬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USB 메모리 장치의 양 끝단에 마련 되고, 정보단말장치의 단말기 포트(-)에 삽입되는 USB 아웃커넥터(+) 및 다른 USB 메모리 장치의 USB 아웃커넥터(+)가 삽치되는 USB 인커넥터(-)에 접속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USB 아웃커넥터와 USB 인커넥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USB 아웃커넥터 및 USB 인커넥터를 결합하여 서로 다른 USB 메모리 장치의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송 및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는 별개의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가 결합된 경우, 이송할 파일이 저장된 USB 메모리 장치를 선택하는 USB 선택부; 선택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하여 지정된 파일이 결합된 다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이동되도록 사용자가 컨트롤하는 작동부; 및, 상기 플래쉬메모리의 사용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USB 아웃커넥터와 USB 인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도성 기판 또는 플랙시블 케이블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는 상, 하, 좌, 우 네 방향으로 제어되어 이송할 파일을 선택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가 결합된 경우, 상기 작동부를 소정시간동안 가압하여 결합상태가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는 플래쉬메모리, 제어부, 다수의 USB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USB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USB 인터페이스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가 구비되고, USB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저장매체를 결합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정보를 이송 및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의하면,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파일의 이동 또는 교환 등의 관리작업 시 별도의 파일교환 매체가 필요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이중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외부전력 및 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파일을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임의의 장소에서 짧은 시간 내에 상호간에 파일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USB 메모리 장치를 결합하여 파일을 교환할 수 있어서 저장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 및
도 6은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지식에 의하여 판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측단면도, 도 5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 및 도 6은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케이스(110) 내측에는 플래쉬메모리(140), 제어부(135), USB 인터페이스부(130, 145), 접속부재(160)가 구비된다. 플래쉬메모리(140)는 데이터 및 메모리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고 플래쉬메모리모듈(143) 및 상기 메모리모듈(143)이 장착되는 메모리장착소켓(142)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35)는 플래쉬메모리(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USB 인터페이스부(130, 145)는 USB 메모리 장치(100)의 양 끝단에 마련되고, 컴퓨터나 외장 하드디스크와 같은 정보단말장치(300)의 단말기 포트(310)에 삽입되는 USB 아웃커넥터(+)(105) 및 다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의 USB 아웃커넥터(205)가 삽치되는 USB 인커넥터(-)(125)에 접속한다. USB 아웃커넥터(105, 205)는 정보단말장치(300), USB 인커넥터(125, 225) 또는 다른 형태의 USB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저장매체에 삽입될 수 있다.
접속부재(160)는 USB 아웃커넥터(105) 및 USB 인커넥터(125)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기능하고, 전도성 기판 또는 플랙시블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케이스(110) 외측에는 조작부(114), 작동부(126), USB 선택부(128),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된다. USB 선택부(128)는 별개의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가 결합된 경우, 이송 및 교환할 파일이 저장된 USB 메모리 장치를 선택하도록 기능한다. 조작부(114)는 선택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지정하도록 기능하고, 작동부(126)는 조작부(114)에 의하여 지정된 파일이, 결합된 다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장치(200)에 이동되도록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플래쉬메모리(140)의 사용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기능한다. 충전 배터리(170)는 케이스(11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도록 작동된다.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USB 아웃커넥터(105)를 컴퓨터와 같은 정보단말장치(300)와 연결할 경우 기존의 USB 메모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정보단말장치와의 파일 교환이 가능하다. 이때 정보단말장치(300)의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170)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서로 다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가 결합된 경우, 작동부(126)를 소정시간, 약 2초 정도 가압하면, 각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200)의 결합상태가 인식되도록 작동된다. 이후, USB 선택부(128)의 조작에 의하여 이송 대상 파일이 저장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를 선택한 후, 조작부(114)의 상부버튼(115), 하부버튼(119), 좌부버튼(117), 우부버튼(118), 선택버튼(115)을 제어함으로써 상, 하, 좌, 우 네방향으로 조작하여 이송할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파일을 선택한 후, 작동부(126)를 컨트롤하여 파일을 이송 및 교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파일의 선택, 이송 및 교환에 따른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가 결합된 경우,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USB 인커넥터(125)에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의 아웃커넥터(205)가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부(126)를 소정 시간, 약 2 초 이상 누르면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제 1, 2의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 200)의 연결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USB 선택부(128)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가 주가 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내부 파일이 도시된다. 이후, 조작부(114)의 상부버튼(116)과 하부버튼(119)을 조작하여 선택커서를 상/하로 조작하여 이동 및 교환을 원하는 파일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조작부(114)의 좌부버튼(117)을 조작하면 현재 위치에서 상위로, 우부버튼(118)을 눌렀을 경우 현재 위치에서 하위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상부버튼(116)과 하부버튼(119)을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 및 교환을 원하는 파일에 도달할 경우 선택버튼(115)을 눌러 차례로 파일을 선택한 후, 작동부(126)를 조작하여 상기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에서 USB 인커넥터(125)에 연결된 다른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의 플래쉬메모리(240)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USB 선택부(128)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작동부(126)를 2초 이상 누르면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가 주된 메모리 장치가 되고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가 종된 메모리 장치가 된다. 이때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의 내부 저장 파일이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도시되고, 조작부(미도시)를 컨트롤 하여 파일을 선택한 후, 작동부를 조작하면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에서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로 파일이 복사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일이 이동된 후, 작동부를 조작하면 내부 전원이 해제되고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의 전원이 OFF된다.
또한,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USB 인커넥터(125)를 통하여 제 2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의 USB 선택부(128)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다면,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저장된 파일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외부로 도시되어 저장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USB 선택부(128)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다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다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알림과 함께 제 1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원이 OFF 된다.
상기의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는 USB 아웃커넥터에 USB 인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할 수 있고, USB 메모리 장치가 아닌 USB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다른 저장매체를 연결함으로써 대상 파일을 이송 및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의하면,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파일의 이동 또는 교환 등의 관리작업 시 별도의 파일교환 매체가 필요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이중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외부전력 및 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파일을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임의의 장소에서 짧은 시간 내에 상호간에 파일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USB 메모리 장치를 결합하여 파일을 교환할 수 있어서 저장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105, 205 : USB 아웃커넥터
110 : 케이스 114 : 조작부
116 : 작동부 118 : USB 선택부
120 : 디스플레이부 126 : 작동부
128 : USB 선택부 125, 225 : USB 인커넥터
130, 230 : USB 인터페이스부 135, 235 : 제어부
140, 240 : 플래쉬메모리 142, 242 : 메모리 장착 소켓
143, 243 : 플래쉬메모리모듈 145, 245 : USB 인터페이스부
150, 250 : 디스플레이부 160, 260 : 접속부재
300 : 정보단말장치

Claims (6)

  1. USB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및 메모리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플래쉬메모리;
    상기 플래쉬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USB 메모리 장치의 양 끝단에 마련되고, 정보단말장치의 단말기 포트(-)에 삽입되는 USB 아웃커넥터(+) 및 다른 USB 메모리 장치의 USB 아웃커넥터(+)가 삽치되는 USB 인커넥터(-)에 접속하는 USB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USB 아웃커넥터와 USB 인커넥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USB 아웃커넥터 및 USB 인커넥터를 결합하여 서로 다른 USB 메모리 장치의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는
    별개의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가 결합된 경우, 이송할 파일이 저장된 USB 메모리 장치를 선택하는 USB 선택부;
    선택된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하여 지정된 파일이 결합된 다른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에 이동되도록 사용자가 컨트롤하는 작동부; 및,
    상기 플래쉬메모리의 사용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USB 아웃커넥터와 USB 인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도성 기판 또는 플랙시블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 하, 좌, 우 네 방향으로 제어되어 이송할 파일을 선택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가 결합된 경우, 상기 작동부를 소정시간동안 가압하여 결합상태가 인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6. 플래쉬메모리, 제어부, 다수의 USB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USB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USB 인터페이스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가 구비되고, USB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저장매체를 결합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정보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교환형 USB 메모리 장치.

KR1020100014407A 2010-02-18 2010-02-18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KR20110094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07A KR20110094788A (ko) 2010-02-18 2010-02-18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07A KR20110094788A (ko) 2010-02-18 2010-02-18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788A true KR20110094788A (ko) 2011-08-24

Family

ID=4493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07A KR20110094788A (ko) 2010-02-18 2010-02-18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7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7082A1 (de) 2011-09-20 2013-03-21 Hyundai Motor Co. Pumpenstruktur für harnstoff-scr-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7082A1 (de) 2011-09-20 2013-03-21 Hyundai Motor Co. Pumpenstruktur für harnstoff-scr-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5761A1 (en) Displaying storage information on portable storage device
US9667072B2 (en) Mobile power device with memory storage feature which switches between master and slave roles
US8725924B2 (en) Information backup system with sto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40074432A (ko)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
JP2003331249A (ja) 多機能フラッシュメモリカード構造
US20100078470A1 (en) Media reader docking system
US20050002217A1 (en) Large volume storage device
US20060232922A1 (en) Portable digital storage device
JP5215449B2 (ja)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の適応装置及び方法
KR20110094788A (ko)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US20100223402A1 (en) Netbook synchronization chip device
KR100726432B1 (ko) 외장저장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CN210377451U (zh) 一种小型移动硬盘的存储系统
KR200448431Y1 (ko) 충전기 겸용 데이터 저장 장치
CN100501634C (zh) 数据处理装置
JP2004055102A (ja) ストレージカード転換インターフェースを具えた大容量ストレージ媒体
GB2397191A (en) A portable digital image and sound recording device providing an interface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JP2005057311A (ja) 携帯電話の充電アダプタ接続用データ転送装置
CN216412148U (zh) 一种无需物理驱动器的具有高移动储存容量的多口hub
KR100464096B1 (ko) 메모리 확장이 가능한 usb 저장 장치
TWI812284B (zh) 固態硬碟外接盒及固態硬碟外接盒組
KR101314379B1 (ko) Usb 허브를 겸비한 usb 메모리 스틱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117405U (ja) マルチメディア接続読取装置
KR200386732Y1 (ko) 멀티미디어 연결 판독장치
KR100576179B1 (ko) 휴대형 복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