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179B1 - 휴대형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179B1
KR100576179B1 KR1020040038680A KR20040038680A KR100576179B1 KR 100576179 B1 KR100576179 B1 KR 100576179B1 KR 1020040038680 A KR1020040038680 A KR 1020040038680A KR 20040038680 A KR20040038680 A KR 20040038680A KR 100576179 B1 KR100576179 B1 KR 10057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ortable
module
port
portabl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480A (ko
Inventor
허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바스
Priority to KR102004003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1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컴퓨터 시스템과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USB 슬레이브 모듈과,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 및 휴대형 스토리지에 대응하는 드라이버들을 가지고 상기 저장모듈로/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다양한 형식의 휴대형 스토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호스트 포트를 구비한 입력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입력유닛이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스토리지 포트 중의 어느 하나에 장착된 휴대형 스토리지로부터, 또는 상기 USB 호스트 포트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거나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장치가 개시된다. 컴퓨터 없이 휴대형 스토리지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휴대형 스토리지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부담을 없앨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휴대형 스토리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입력유닛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는 이점이 있다.
포터블, USB, storage, 메모리 카드, 복합기, 대용량

Description

휴대형 복합장치{Portable complex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복합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출력유닛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입출력 유닛을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기능을 구비한 베이스 유닛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를 구비한 입력유닛과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재생기능을 구비한 출력유닛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휴대형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전자기기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저장장치가 휴대형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종류는 USB 대용 량 저장장치와 메모리 카드 형태로 나누어지며, 이들 휴대형 저장장치에는 휴대성, 이동성 및 확장성이 강조되고 있다.
USB 대용량 저장장치로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저장장치(Portable Flash Driver), 휴대용 하드디스크 저장장치 등이 있다.
메모리 카드로는,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CF(Compact Flash), SMC(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SD(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S(Memory Stick) 등이 있다.
USB 대용량 저장장치나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장치,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재생장치 등과 복합장치 형태를 갖추어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
최근의 휴대형 저장장치 또는 복합장치는 고화질 또는 고품질의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또는 음악 파일로 인해서 메모리에 대한 대용량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고, 데이터 전송이라는 측면에서 컴퓨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컴퓨터 주변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 주변기기라는 측면과 이동성 측면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게 저장 용량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장치 또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재생장치를 휴대하고 여행을 한다면, 찍을 수 있는 사진, 들을 수 있는 노래 또는 볼 수 있는 영상은 해당 장치의 저장 용량에 의해 제한된다.
사용자 측면에서 각 장치에 대한 저장 용량에 대한 비용을 계속적으로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여행 중 불필요할 수 있는 노트북을 가지고 다니거나 주위의 PC방을 찾아 자신의 웹 하드 등으로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갱신한 후 다시 사용하는 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저장 용량에 대한 추가 비용 지불이나 데이터 갱신에 대한 불편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형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지기에 적합한 또는 사용자 자신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입력유닛과 출력유닛의 종류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는 휴대형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컴퓨터 시스템과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USB 슬레이브 모듈과,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 및 휴대형 스토리지에 대응하는 드라이버들을 가지고 상기 저장모듈로/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다양한 형식의 휴대형 스토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호스트 포트를 구비한 입력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입력유닛이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스토리지 포트 중의 어느 하나에 장착된 휴대형 스토리지로부터, 또는 상기 USB 호스트 포트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거나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는 CF(Compact Flash) 포트, SMC(Smart Media Card) 포트, MMC(Multi-Media Card) 포트, SD(Secure Digital) 포트, xD(Extreme Digital) 포트, MS(Memory Stick)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유닛은 자체에 오디오 또는 비디오 출력유닛을 구비한 휴대형 또는 별도의 오디오장치나 비디오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모듈은 저장모듈에 대응하는 용량을 갖는 2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복합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입력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출력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복합장치는 베이스 유닛(100)과 이 베이스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유닛(200)과 출력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유닛(100)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04)과, 컴퓨터 시스템과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USB 슬레이브 모듈(108)과,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106) 및 휴대형 스토리지에 대응하는 드라이버들을 가지고 저장모듈(104)로/로부 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02)로 구성된다.
저장모듈(104)로는 3.5인치나 2.5인치 등의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저장 모듈(104)의 종류에 따라서 베이스 유닛(100)은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또는 휴대용 하드디스크 저장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USB 대용량 저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106)은 USB 슬레이브 모듈(108)을 통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에 제공하거나, 리튬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 등의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다.
제어모듈(102)은 다양한 휴대형 스토리지에 대응하는 드라이버 펌웨어를 지원하며, 전체적인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며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베이스 유닛(100)에는 입력유닛(200)과 출력유닛(300)과의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120, 14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입력유닛(200)과 출력유닛(300)에 탄성력을 갖는 돌출된 단자를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베이스 유닛(100)에 접점을 형성하여 단자와 접점이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고, 후크와 결합홈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로는 CF(Compact Flash) 포트(220), SMC(Smart Media Card) 포트(230), MMC(Multi-Media Card) 포트(240), SD(Secure Digital) 포트(250), xD(Extreme Digital) 포트(260), MS(Memory Stick) 포트(270) 또는 USB 호스트 포트(210) 중의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유닛(200)에 상기한 포트들 중의 어느 하나의 포트만을 설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필요로 하는 포트가 설치된 입력유닛(200)을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포트를 구비한 입력유닛(200)을 결합하고 필요한 포트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유닛(200)은 베이스 유닛(100)과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202)을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유닛(300)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모듈(310) 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모듈(32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베이스 유닛(100)과 전기적 그리고 물리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302)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출력유닛(300)은 휴대형이거나 거치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휴대형 복합장치의 기능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복합장치를 단순히 저장장치로 이용할 경우에는 베이스 유닛(100)만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유닛(100)의 USB 슬레이브 모듈(108)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면, 휴대형 하드디스크 저장장치와 같은 기능을 갖는 USB 대용량 저장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모듈(104)을 구동하는 전원은 USB 슬레이브 모듈(108)을 이용하여 컴퓨터로부터 제공되거나 내장된 배터리를 이 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입력유닛(200)을 베이스 유닛(100)에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유닛(200)의 인터페이스 모듈(202)과 베이스 유닛(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입력유닛(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들(220, 230, 230, 250, 260, 27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거나 USB 호스트 포트(210)와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들 중의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모리 스틱 포트(270)만이 형성된 입력유닛(200) 또는 기본적으로 USB 호스트 포트(210)와 메모리 스틱 포트(270)가 형성된 입력유닛(200)을 베이스 유닛(100)에 결합할 수 있다.
입력유닛(200)과 베이스 유닛(100)이 결합하면, 제어모듈(102)은 전기적 결합을 인식하고 USB 호스트 포트(210) 또는 메모리 스틱 포트(270)에 대응하는 드라이버를 구동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의 USB 단자나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의 USB 단자를 USB 호스트 포트(210)에 연결하여 디지털 카메라 내의 이미지 파일이나 재생장치 내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모듈(104) 백업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스틱(272)을 전자기기로부터 분리하여 메모리 스틱 포트(270)에 삽입하면, 제어모듈(102)은 구동 드라이버에 의해 메모리 스틱 포트(270)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저장모듈(104)에 저장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베이스 유닛(100)이 USB 슬레이브 모듈(108)을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되면, 베이스 유닛(100)은 입력유닛(200)으로 연결된 각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에 삽입되는 스토리지에 대해 리더(reader)의 역할을 수행하여 스토리지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 유닛(100)에 출력유닛(300)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출력유닛(3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재생모듈이나 디지털 비디오 재생모듈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유닛 자체에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장치나 LCD와 같은 비디오장치를 갖는 휴대형과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오디오나 비디오장치에 연결하는 거치형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유닛(100)과 출력유닛(300)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양자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양자 모두를 갖는 경우에는 입력유닛(100)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로부터 읽혀지는 데이터를 출력유닛(300)을 통하여 곧바로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없이 휴대형 스토리지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휴대형 스토리지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부담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휴대형 스토리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입력유닛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다양한 휴대형 디지털 재생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휴대형 저장장치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스토리지 포트뿐만 아니라 무선이나 신규 사양의 휴대형 스토리지가 출시되어도 이에 대응하여 포트를 확장하면 되므로 개발이 용이하여 더욱 다양한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컴퓨터 시스템과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USB 슬레이브 모듈과,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 및 휴대형 스토리지에 대응하는 드라이버들을 가지고 상기 저장모듈로/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다양한 형식의 휴대형 스토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호스트 포트를 구비한 입력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입력유닛이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스토리지 포트 중의 어느 하나에 장착된 휴대형 스토리지로부터, 또는 상기 USB 호스트 포트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거나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스토리지 포트는 CF(Compact Flash) 포트, SMC(Smart Media Card) 포트, MMC(Multi-Media Card) 포트, SD(Secure Digital) 포트, xD(Extreme Digital) 포트 및 MS(Memory Stick)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에는 자체에 오디오 또는 비디오 출력유닛을 구비한 휴대형 또는 별도의 오디오장치나 비디오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저장모듈에 대응하는 용량을 갖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장치.
KR1020040038680A 2004-05-29 2004-05-29 휴대형 복합장치 KR10057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680A KR100576179B1 (ko) 2004-05-29 2004-05-29 휴대형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680A KR100576179B1 (ko) 2004-05-29 2004-05-29 휴대형 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480A KR20050113480A (ko) 2005-12-02
KR100576179B1 true KR100576179B1 (ko) 2006-05-03

Family

ID=3728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680A KR100576179B1 (ko) 2004-05-29 2004-05-29 휴대형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1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480A (ko) 200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26407A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装置
JP2007534034A (ja) 複数のコネクタ標準と互換性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
US20100138580A1 (en) Memory card adapter
KR20070107514A (ko) 복수개의 메모리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67072B2 (en) Mobile power device with memory storage feature which switches between master and slave roles
US8725924B2 (en) Information backup system with sto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60194612A1 (en) Portable electronic assembly with media playback function
US7066392B1 (en) Multimedia connector reader device
KR20040074432A (ko) 이동형 데이터 저장 장치
JP2000148310A (ja) 携帯用情報機器の選択型電源供給システム
JP5215449B2 (ja)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の適応装置及び方法
KR100576179B1 (ko) 휴대형 복합장치
KR200317611Y1 (ko) 개선된 구조의 휴대용 디지탈 영상음악 포착장치
JP2004055102A (ja) ストレージカード転換インターフェースを具えた大容量ストレージ媒体
KR101792503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91449A1 (en) OTG type storage device and notebook computer using the same
JP2008052406A (ja) 端末充電システム、充電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端末充電方法
RU2781396C2 (ru) Станция зарядки и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анных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CN101727294A (zh) 一种数据存储器间的数据交换方法及其装置
KR200386732Y1 (ko) 멀티미디어 연결 판독장치
KR20110094788A (ko) 파일 교환형 usb메모리 장치
KR200366033Y1 (ko) 유에스비 메모리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KR200281479Y1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JP3099746U (ja) デジタルデータ転送装置
KR20050107151A (ko)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