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151A -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151A
KR20050107151A KR1020040032379A KR20040032379A KR20050107151A KR 20050107151 A KR20050107151 A KR 20050107151A KR 1020040032379 A KR1020040032379 A KR 1020040032379A KR 20040032379 A KR20040032379 A KR 20040032379A KR 20050107151 A KR20050107151 A KR 2005010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data
storage
microprocessor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람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람디지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람디지탈
Priority to KR102004003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151A/ko
Publication of KR2005010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고정식 스토리지; 다른 단말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 다른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마스터(master)로 설정되면 다른 단말장치의 고정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슬레이브(slave)로 설정되면 다른 단말장치에 제어권을 넘겨주며,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고정식 스토리지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Terminal device for storing data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herebetween}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재하지 않고 데이터 스토리지를 구비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단말장치의 대용량 저장 매체인 하드 디스크 등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USB 2.0을 지원하는 USB 포트나 1394 포트 등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항상 컴퓨터 시스템이 개재되어야 하므로 컴퓨터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의존하여야 하고, 컴퓨터 시스템에는 USB 포트와 1394 포트가 항상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MP3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서는 복사용 MP3 플레이어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여 컴퓨터 시스템으로 원하는 MP3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하고 다시 피복사용 MP3 플레이어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하여 이미 복사된 MP3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저장용 고정식 스토리지를 구비한 단말장치 상호간에 컴퓨터 시스템을 개재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CFC(Compact Flash Card) 슬롯과 여기에 삽입되는 CFC 타입 커넥터만을 이용하여 단말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빠르고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고정식 스토리지; 다른 단말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 다른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마스터(master)로 설정되면 다른 단말장치의 고정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슬레이브(slave)로 설정되면 다른 단말장치에 제어권을 넘겨주며,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고정식 스토리지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인터페이스 유닛은 휴대형 메모리를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휴대형 메모리는 CFC(Compact Flash Card), SM(Smart Media), SD(Secur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연결상태와 데이터의 전송상태를 포함하는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식 스토리지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하나를 다른 하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고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마스터(master) 단말장치와 슬레이브(slave) 단말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슬레이브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연결된 고정식 스토리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게 해당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넘기는 단계; 및 마스터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마스터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권을 넘겨받은 후 슬레이브 단말장치의 스토리지의 FAT(File Allocation Table) 정보를 읽어 스토리지의 구조를 저장한다.
데이터의 전송은 스토리지 전체, 폴더 단위 또는 파일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고정식 스토리지(140)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가 이용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대용량 저장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54)은 다른 단말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 CFC(Compact Flash Card) 슬롯(152)이 적용된다.
CFC 슬롯(152)은 HDD 타입의 MP3 플레이어나 디빅스(DivX) 플레이어 등 대부분의 휴대형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CFC 메모리가 끼워져 하드 디스크(140)에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하드 디스크(140)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한다.
CFC 슬롯(152)에는 CFC 타입의 커넥터(156)가 끼워져 다른 단말장치(156)에 끼워지는 CFC 슬롯(256)과 쌍을 이루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로 이용된다. CFC 슬롯(152)에 있어서 CFC 메모리가 사용하지 않는 핀들은 슬레이브 단말장치(200)의 하드 디스크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CFC 슬롯 대신에 SM(Smart Media), SD(Secur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수용하는 슬롯이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CFC 슬롯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다른 단말장치(200)와 연결되어 마스터(master)로 설정되면 다른 단말장치의 고정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슬레이브(slave)로 설정되면 다른 단말장치에 제어권을 넘겨주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단말장치(100) 자체에 입력패드(1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LCD 패널(160)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LCD 패널(160)은 단말장치들 간의 연결 상태와 데이터의 전송상태를 포함하는 진행상황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LCD 이외에 VFD 소자나 EL 소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코더(120)는 고정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며 비디오와 오디오 출력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전원공급유닛(130)은 상기한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나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 포트(154)를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USB 포트 대신에 1394 포트도 가능하다.
CFC 슬롯(112)은 이동식 저장 매체인 CFC의 데이타를 읽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은 물론, 두 단말기 간 데이타 전송을 할 때, 연결 잭(111)으로 하드디스크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한 단말기가 두 대의 하드디스크를 제어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로 연결 될 때, 사용하지 않는 핀은 마스터 단말기(110)가 슬레이브 단말기(120)에게 전송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먼저 제 1 단말장치(100)의 CFC 슬롯(152)에 커넥터(156)를 끼우고, 제 2 단말장치(200)에도 같은 방식으로 커넥터(256)를 끼워 제 1 및 제 2 단말장치(100, 200)를 물리적으로 연결한다(단계 S21).
이어 각 단발장치(100, 200)에 전원을 인가한다(단계 S22).
제 1 단말장치(100)의 LCD 패널(160)에 표시되는 메뉴로부터 제 1 단말장치(100)를 마스터(master) 단말장치로 하고 제 2 단말장치(200)를 슬레이브(slave) 단말장치로 각각 설정한다(단계 S23). 이때, 입력패드(170)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장치(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자체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의 연결을 끊고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0)에게 해당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넘긴다(단계 S24). 슬레이브 단말장치(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하드 디스크의 연결이 끊어짐에 따라 하드 디스크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슬레이브 단말장치(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아이들(idle)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제어권을 넘겨받은 후 슬레이브 단말장치(200)의 하드 디스크의 FAT(File Allocation Table) 정보를 읽어 하드 디스크의 구조를 저장한다.
이어 마스터 단말장치(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0)의 제어하에 제 1 단말장치(100)로부터 제 2 단말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25).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하드 디스크 전체나 폴더 단위 또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서술되는 특허청구범위를 중심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이 없어도 단말장치 간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전송할 수 있으며, 특별히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휴대형 메모리 슬롯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Claims (9)

  1.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고정식 스토리지;
    다른 단말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
    상기 다른 단말장치와 연결되어 마스터(master)로 설정되면 상기 다른 단말장치의 고정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슬레이브(slave)로 설정되면 상기 다른 단말장치에 제어권을 넘겨주며,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고정식 스토리지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휴대형 메모리를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는 CFC(Compact Flash Card), SM(Smart Media), SD(Secur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중의 어느 하나인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상태와 데이터의 전송상태를 포함하는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상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패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7. 고정식 스토리지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 하나를 다른 하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고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마스터(master) 단말장치와 슬레이브(slave) 단말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연결된 고정식 스토리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게 해당 스토리지의 제어권을 넘기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단말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권을 넘겨받은 후 상기 슬레이브 단말장치의 스토리지의 FAT(File Allocation Table) 정보를 읽어 스토리지의 구조를 저장하는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스토리지 전체, 폴더 단위 또는 파일 단위로 이루어지는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40032379A 2004-05-07 2004-05-07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KR20050107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79A KR20050107151A (ko) 2004-05-07 2004-05-07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79A KR20050107151A (ko) 2004-05-07 2004-05-07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51A true KR20050107151A (ko) 2005-11-11

Family

ID=3728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79A KR20050107151A (ko) 2004-05-07 2004-05-07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1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71B1 (ko) * 2006-07-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간 원격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108399B1 (ko) * 2005-12-06 2012-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기기에 의한 호스트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399B1 (ko) * 2005-12-06 2012-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기기에 의한 호스트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기기
KR100784971B1 (ko) * 2006-07-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간 원격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US7925288B2 (en) 2006-07-06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handheld terminals ov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0452B2 (en)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 memory medium of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US7426595B2 (en) Desktop holder and portable terminal system
US20090292831A1 (en) Hot unpluggable media storage device
US20040039876A1 (en) Portable mass memory device with memory card reader
US10334145B2 (en) Camera supporting removable storage divided into a journaled partition and a non-journaled partition
JP2002082777A (ja) 携帯式デジタル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ならびに携帯式手持型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の動作方法
CN1971533A (zh) 在便携存储器上显示存储信息
US8725924B2 (en) Information backup system with sto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13527509A (ja) Usbメモリデバイス
JP2010511923A (ja) メモリカードを回復するためのメモリカード読取装置
CA2929999C (en) Camera supporting removable storage divided into multiple partitions
JP5215449B2 (ja)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の適応装置及び方法
KR20050107151A (ko) 데이터 저장용 단말장치와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EP2929922A2 (en) Game apparatus, spee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4178535A (ja) ストレージコントローラー、ストレージカード、磁気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4055102A (ja) ストレージカード転換インターフェースを具えた大容量ストレージ媒体
JP2005057311A (ja) 携帯電話の充電アダプタ接続用データ転送装置
US2010018587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content of external storage device
KR20180083488A (ko) 스마트 유에스비 저장 장치
US20080074299A1 (en) Electrical signal converting system
US20070036463A1 (en) Platform-independent preference setting method
KR100576179B1 (ko) 휴대형 복합장치
KR200385960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파일 송수신을 위한 호스트/슬레이브 복합 기능
JP395226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125726U (ja) 自動実行式コレステリック液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