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316A -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 Google Patents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316A
KR20110094316A KR1020117014256A KR20117014256A KR20110094316A KR 20110094316 A KR20110094316 A KR 20110094316A KR 1020117014256 A KR1020117014256 A KR 1020117014256A KR 20117014256 A KR20117014256 A KR 20117014256A KR 20110094316 A KR20110094316 A KR 20110094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ealing
housing
actuato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422B1 (ko
Inventor
조용상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94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경우 적어도 영역별로 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30)와 형태 고정식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요소(20)를 포함하고 핸들(50) 내에 통합된 버튼 또는 스위치와 같은 작동 요소(1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판(21)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돌출부(22)가 제공되며, 이때 밀봉 돌출부(22)는 상기 밀봉 돌출부(22)가 적어도 영역별로 밀봉 요소(30)의 재료 내에 삽입되도록 탄성의 밀봉 요소(30)에 작용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요소(10)의 내부(13)는 외측면(14)에 대해 밀폐된다.

Description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HANDLE FOR DOORS OR PANELS, ESPECIALLY ON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유형의,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핸들은 무엇보다 최신식 자동차에서 사용되는데, 주로 도어 또는 리드의 개폐 또는 폐쇄 메카니즘의 작동에 사용된다.
공개 공보 DE 103 31 947 A1호에는 이러한 유형의 핸들이 설명되어 있다. 상기 핸들은, 예를 들어 탄성의 멤브레인에 의해 둘러싸이고 형태 고정식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한다. 하우징과 멤브레인은 동시 사출 성형(multi-component injection moulding)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압력 액추에이터의 멤브레인을 예컨대 차량의 색상으로 도색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이는 미적 이유로 종종 요구되는 바이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상기 장치는 높은 밀봉 요건도 충족해야 하는데, 차량 분야에서 이러한 밀봉성은 부품 수명이 최대한 길어지고 기능 안전성이 양호해지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상기 공개 공보에 도시된 핸들의 경우 버튼 스위치용의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고정판이 요구된다. 고정판은 생산 공정의 마지막에 가서 주조 화합물(casting compound)을 사용하여 주조된다. 이러한 고정판은 제조 비용을 더욱 상승시킨다. 더욱이, 주조 화합물을 주입할 때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지 주의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버튼 스위치의 기능성이 줄어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방지하는 것과, 핸들 내에 통합된 전자 장치가 오염물과 습기에 대해 보호되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유형의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때 외부로 드러날 수 있는 핸들의 부품들이 임의로 도색되거나 코팅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상기 핸들은 제조가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은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특징부에는 하기와 같은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다.
하나 이상의 밀봉 돌출부를 구비한 버튼판이 제공된다. 밀봉 돌출부는 상기 밀봉 돌출부가 적어도 영역별로 밀봉 요소의 재료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탄성의 밀봉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요소의 내부는 외측면에 대해 밀폐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원에서는 더 이상 밀폐용 주조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버튼판은 종래에 사용되던 고정판보다 비용면에서 훨씬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고정판이 버튼 스위치용의 지지부로만 사용되는 반면, 버튼판 자체는 작동 요소의 내부를 이미 밀폐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 요소와 밀봉 돌출부 사이가 밀봉 관점에서 작용 연결되는 버튼판의 밀봉 위치에 상기 버튼판을 고정하는 하우징 베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버튼판 자체는 작동 요소용를 위한 지지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조립 간소화를 위해, 밀봉 요소와 밀봉 돌출부 사이의 작용 연결은 바람직하게 하우징 베이스가 조립됨으로써 구현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더 자세히 논의하기로 한다. 추가의 장점들과 실시예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종속항들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대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하우징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요소의 도면이다.
도 2는 버튼판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 베이스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a는 하우징 베이스가 조립되기 전, 하우징 요소와 버튼판을 구비한 작동 요소의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컷아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하우징 베이스가 조립된 후, 도 4a의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컷아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a에 따라 최종 조립된 구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핸들 내에 내장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라인의 유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안정화 부품을 구비한, 도 9a에 따른 도면이다.
도 10은 핸들 내에 조립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도 9a 및 도 9b의 요소의 도면이다.
도 11a는 핸들 내에 조립된 구성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부품들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a는 내장된 구성 유닛을 핸들 및 액추에이터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컷아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액추에이터와 함께 핸들 내에 내장된 구성 유닛의 추가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컷아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하우징 요소(20)를 구비한 작동 요소(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작동 요소(10) 중에서 밀봉 요소(30)만을 볼 수 있다. 또한, 작동 요소(1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는 전기 라인(11)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에는 버튼판(21)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버튼판은 형태 안정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환형 리브(22)로서 형성된 2개의 밀봉 돌출부를 갖는다. 리브(22)가 밀봉 요소(30)의 재료 내에 삽입되면, 작동 요소(10)의 내부(13)를 외측면(14)에 대해 밀폐하는 밀봉 연결부가 형성된다.
버튼판(21)과 밀봉 요소(30) 사이의 연결부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베이스(23)에 의해 고정된다. 하우징 베이스도 형태 안정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전술한 부품들의 상호 작용은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도 4a 및 도 4a에는 하우징 베이스(23)의 조립 전, 전술한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리브(22)로서 구현된 밀봉 돌출부들은 작동 요소(10)의 밀봉 요소(30)와 이미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틈(31)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밀봉 돌출부(22)가 밀봉 요소(30)의 재료 내로 아직 삽입되지는 않는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돌출부(22)는 하우징 베이스(23)가 조립됨으로써 이제 밀봉 요소(30)와 작용 연결된다. 이때 리브(22)는 밀봉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밀봉 요소(30)의 재료 내에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23)가 하우징 요소(20)에 유지되므로, 이와 동시에 하우징 베이스는 밀봉 요소(30)와 밀봉 돌출부(22) 사이에 형성되는 작용 연결을 보장한다. 하우징 요소(20)에 대해 하우징 베이스(23)는 추가로 래칭되거나 클립핑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연결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본 하우징 베이스(23)의 조립 시, 하우징 베이스는 하우징 요소(20) 상에서만 슬라이딩되었으며, 이때 하우징 요소(20)의 가이드부(26)는 하우징 베이스(23)의 대응 가이드부(27)와 중간 연결된다.
최종 조립된 구성 유닛(24)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베이스(23)는 하우징 요소(20)에 유지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외부에서 전기 라인(11) 및 작동 요소(10)의 밀봉 요소(30)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23)의 클립 요소(28)를 인지할 수 있으며, 클립 요소의 의미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는 조립된 구성 유닛(24)이 핸들(50)에 배치되어 있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작동 요소(10)의 밀봉 요소(30)의 상부에 배치된 액추에이터(40)도 인지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가 수동으로 작동됨으로써, 밀봉 요소(30)가 중간 위치에 있게 됨에 따라 작동 요소(10)가 개시된다. 작동 요소(10)로부터 뻗어 나온 전기 라인(11)은 본원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제어 유닛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작동 요소(10)의 내부(13)는 외측면(14)에 대해 밀폐되므로, 작동 요소(10) 안으로 습기가 침투해서 기능을 마비시키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액추에이터(40) 뿐만 아니라 하우징 요소(20)와, 버튼판(21)과, 하우징 베이스(23)도 형태 안정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이로써 제조가 특히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유리해진다. 예를 들어 전술한 요소들은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에는 전기 라인(11)의 유지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유지부(25)는 버튼판(21)과 하우징 요소(20)로 형성된다. 유지부(25) 내에는 전기 라인(11)이 거의 끼어 있는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기 라인(11)의 움직임은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이는 구성 유닛(24)의 밀봉성에도 도움이 된다. 전기 라인(11)은 밀봉 요소(30)를 통해 안내된다. 전기 라인(11)의 더 심한 움직임이 허용된다면, 전기 라인(11)을 위해 제공된 밀봉 요소(30)의 개구(32)를 통해 작동 요소(10)의 내부(13)로 습기가 들어올 수도 있다. 그러나, 전기 라인(11)의 바로 이러한 이동성은 전기 라인(11)의 유지부(25)에 의해 방지된다. 이로써 작동 요소(10)의 내부(13)는 개구(32)를 통한 습기의 침투에 대해서도 보호된다.
액추에이터(40)의 조립 시, 액추에이터(40)의 의도하지 않은 틸팅 운동 및/또는 변위 운동(44)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작동이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 그러나, 액추에이터(40) 또는 밀봉 요소(30)의 바람직한 구조가 제공되면, 액추에이터(40)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44)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가능성은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밀봉 요소(30)의 상부면(33)은 4개의 로브(lobe)(34)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브(34)에는 조립 상태에서 액추에이터(40)의 유지 수단(41)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대응 유지 수단(12)이 배치된다. 이때 유지 수단(41)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화 부품(4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부품(43)은 액추에이터(40)에 또는 작동 요소(10)에 또는 작동 요소의 밀봉 요소(30)에 일부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정화 부품(43)은 유지 수단(41)을 포함한다. 물론, 예를 들어 안정화 부품(43)이 작동 요소(10)와 일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응 유지 수단(12)을 안정화 부품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핸들(50) 내에 조립된 액추에이터(40)의 변위 운동 또는 틸팅 운동(44)(도 10에 도시되어 있음)은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40)는 액추에이터의 표면 영역(42)에 복수의 작동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차량에서 상이한 기능들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및/또는 작동 요소는 차량의 폐쇄 시스템에 작용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또는 리드에 있는 잠금 장치의 개폐, 로킹 및/또는 언로킹을 구현하므로, "개방", "폐쇄", "쾌적한 폐쇄" 등을 위해 상이한 작동 영역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쾌적한 폐쇄"라 함은, 도어 외에도 전체 윈도 또한 닫혀서 로킹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의 액추에이터(40)에는 트렁크 리드를 열기 위해 고유의 작동 영역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이한 작동 영역은, 작동 요소(10)의 다양한 작동 영역들을 통해서 제공되거나 복수의 작동 요소(10)가 사용됨으로써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핸들(50) 내에 조립된 상태에 있는 구성 유닛(24)이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구성 유닛(24)을 고정하기 위해 클립 연결부(51)가 사용된다. 예컨대 클립 연결부는 본원에서 하우징 베이스(23)에 배치된 클립 요소(28)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물론, 하우징 요소(20) 또는 핸들(50)에 클립 요소(28)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얼마나 많은 클립 요소(28) 또는 클립 연결부(51)가 제공되는지와, 상기 부품들이 어떻게 배치되는지는 구체적인 사용예에 따라 좌우된다.
도 12a 및 도 12b에는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이 나타나 있다. 특히 핸들(50) 및 하우징 요소(20)가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작동 요소(10)가 확실히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미작동 상태에서는 기계적 힘이 밀봉 요소(30)에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하우징 요소(20)와 하우징 베이스(23)는 핸들(50)에 의해 상기 부품들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액추에이터(40)도 핸들(50)에 고정된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추가의 장점들이 뚜렷해진다. 하우징 요소(20)와, 액추에이터(40)와, 핸들(50)과 밀봉 요소(30)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치된 경우, 액추에이터(40)로부터 작동 요소(10)로 과부하력이 전달될 수 없는 것이 나타나는데, 이는 이미 액추에이터(40)가 사전에 하우징 요소(2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0)에 작용하는 과부하력으로 인한 작동 요소(10)의 손상은 방지된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본원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개선예 및 변형예도 가능하다.
10 : 작동 요소
11 : 전기 라인
12 : 대응 유지 수단
13 : 작동 요소(10)의 내부
14 : 외측면
20 : 하우징 요소
21 : 버튼판
22 : 밀봉 돌출부, 리브
23 : 하우징 베이스
24 : 구성 유닛
25 : 유지부
26 : 하우징 요소(20)의 가이드부
27 : 하우징 베이스(23)의 가이드부
28 : 클립 요소
30 : 밀봉 요소
31 : 틈
32 : 전기 라인(11)을 위한 개구
33 : 밀봉 요소(30)의 상부면
34 : 로브
40 : 액추에이터
41 : 유지 수단
42 : 액추에이터(40)의 표면 영역
43 : 안정화 부품
44 : 변위 방향
50 : 핸들
51 : 핸들(50)의 클립 연결부

Claims (17)

  1. 핸들(50) 내에 통합되고 적어도 영역별로 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30)와 형태 고정식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요소(20)를 포함하는, 버튼 또는 스위치와 같은, 작동 요소(10)를 구비한,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에 있어서,
    버튼판(21)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돌출부(22)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밀봉 돌출부(22)가 적어도 영역별로 밀봉 요소(30)의 재료 내에 삽입됨으로써 작동 요소(10)의 내부(13)를 외측면(14)에 대해 밀폐하도록 밀봉 돌출부(22)는 탄성의 밀봉 요소(30)에 작용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30)와 밀봉 돌출부(22) 사이의 작용 연결을 보장하는 하우징 베이스(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30)와 밀봉 돌출부(22) 사이의 작용 연결은 하우징 베이스(23)가 조립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 요소(20)의 가이드부(26)와 하우징 베이스(23)의 대응 가이드부(27)가 중간 연결되면서, 바람직하게는 스냅인 연결부, 클립 연결부, 플러그인 연결부에 의해 또는 밀어 넣기에 의해 하우징 베이스(23)가 하우징 요소(20)에 유지되는, 특히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환형 리브(22)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10)와, 하우징 베이스(23)와, 하우징 요소(20)와 버튼판(21)이 하나의 구성 유닛(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1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제어 유닛에 전달할 수 있는 전기 라인(11)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라인(11)은 바람직하게 하우징 요소(20)와 버튼판(21)에 의해 형성된 유지부(25) 내에 적어도 영역별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10)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4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9. 제8항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액추에이터(40)와 작동 요소(10) 사이에 밀봉 요소(3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40)는 유지 수단(41)을, 작동 요소(10)는 대응 유지 수단(12)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들은 조립 상태에서 액추에이터(40)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44)를 방지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고, 이때 유지 수단(41) 또는 대응 유지 수단(12)은 액추에이터(40) 또는 작동 요소(10)와 일부재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대응 유지 수단(12)은 밀봉 요소(30)의 상부면(33)에서 바람직하게 로브(34)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41)과 대응 유지 수단(12) 사이의 작용 연결에 중간 연결되는 안정화 부품(4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요소(20)와, 하우징 베이스(23) 및/또는 구성 유닛(24)은 바람직하게는 스냅인 연결부, 플러그인 연결부 또는 클립 연결부(51)에 의해 특히 분리 가능하게 핸들(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 하우징 요소(20) 및/또는 하우징 베이스(23)에 클립 요소(2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요소(20)와, 하우징 베이스(23) 및/또는 구성 유닛(24)은 조립 상태에서 핸들(50)에 의해 상기 부품들의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4. 제8항 내지 제11항과,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40)와, 작동 요소(10)와, 하우징 요소(20) 및/또는 구성 유닛(24)은, 액추에이터(40)의 작동에 의해 작동 요소(10)는 기계적 과부하가 전혀 가해지지 못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50) 및/또는 작동 요소(10)는 수동 작동 시, 차량의 도어 또는 리드에 있는 잠금 장치의 개폐, 로킹 및/또는 언로킹에 사용되는 차량의 폐쇄 시스템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10) 및/또는 액추에이터(40)는 복수의 작동 영역들(42)을 포함하며, 상이한 작동 영역들이 작동될 때 차량 또는 폐쇄 시스템에서 상이한 기능들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40) 및/또는 하우징 요소(20) 및/또는 버튼판(21) 및/또는 하우징 베이스(23)는 플라스틱, 특히 형태 안정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KR1020117014256A 2008-12-22 2009-12-14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KR101628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4212.6 2008-12-22
DE200810064212 DE102008064212A1 (de) 2008-12-22 2008-12-22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316A true KR20110094316A (ko) 2011-08-23
KR101628422B1 KR101628422B1 (ko) 2016-06-08

Family

ID=4182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256A KR101628422B1 (ko) 2008-12-22 2009-12-14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2857B2 (ko)
EP (1) EP2361338B1 (ko)
KR (1) KR101628422B1 (ko)
CN (1) CN102264991B (ko)
DE (1) DE102008064212A1 (ko)
WO (1) WO2010072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4212A1 (de) 2008-12-22 2010-06-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EP2282316B1 (fr) * 2009-07-29 2017-07-26 U-Shin Spain, SL Commutateur électrique pour portière ou haillo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DE102012010095A1 (de) * 2012-05-23 2013-11-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FR3024485A1 (fr) * 2014-08-04 2016-02-05 Filec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mmand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poignee d'ouvrant correspondante
CN105332552A (zh) * 2015-12-04 2016-02-17 陈光次 一种执手门锁手柄及其制造工艺
FR3066212B1 (fr) * 2017-05-12 2021-01-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Bouton poussoir electronique pour poigne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forme d’activation composee de plots
EP3726552B1 (en) 2019-04-17 2023-06-07 Premo, S.A. A sealed electric switch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484A (ja) * 2005-05-12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0789B2 (ja) 1998-12-21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ES2166658B1 (es) * 1999-04-23 2003-10-01 Valeo Sist S De Seguridad S A Manecilla para puerta de vehiculo con apertura del pestillo por microrruptor.
JP3619505B2 (ja) 2001-11-20 2005-02-0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ハンドル装置
DE10331947A1 (de) *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DE102006037790B4 (de) * 2006-03-07 2009-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shi Elektronische Vorrichtung
DE102008064212A1 (de) 2008-12-22 2010-06-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484A (ja) * 2005-05-12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1338B1 (de) 2017-08-16
EP2361338A1 (de) 2011-08-31
DE102008064212A1 (de) 2010-06-24
KR101628422B1 (ko) 2016-06-08
US20110254290A1 (en) 2011-10-20
CN102264991A (zh) 2011-11-30
CN102264991B (zh) 2014-03-05
US8822857B2 (en) 2014-09-02
WO2010072377A1 (de)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4316A (ko)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KR100646073B1 (ko) 활꼴 핸들 및 상기 활꼴 핸들 내에 통합된 압력 작동부재를 갖는 자동차용 아웃 도어 핸들
US20100088856A1 (en) External handle on doors or hatches of vehicle
KR102017931B1 (ko) 차량 도어 록
US8479546B2 (en) Key having a retractable insert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US20080034821A1 (en) Latch-release actuating apparatus
US10438758B2 (en) Trunk switch module for vehicle
KR20020062991A (ko) 자동차 잠금 장치용 기계 전자 복합 키
KR102178772B1 (ko) 자동차 로킹 장치
RU2368029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узел переключателя
WO2012132457A1 (ja) 電子キー
WO2014141874A1 (ja)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US10604969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2002175736A (ja) 防水スイッチ
KR100905761B1 (ko) 래치해제 조작장치
WO2014141750A1 (ja)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CN108291415B (zh) 用于可运动地设置在车辆上的油箱盖的操纵装置
JP4607697B2 (ja) 防水型押釦スイッチ装置
JP4537858B2 (ja) 車両のドアまたはトランクのための開放スイッチ
US20140346020A1 (en) Operator control device with push buttons, in particular, a remote key fob with push buttons for motor vehicles
JP2013500561A (ja) 車輌のリアドアまたはテールゲート用電気スイッチ
JP4204372B2 (ja) スイッチ用二次成形品
KR101984319B1 (ko) 차량용 록킹 모듈
JP635288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623386B1 (ko) 차량용 래치조립체의 램프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