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394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394A
KR20110093394A KR1020100013421A KR20100013421A KR20110093394A KR 20110093394 A KR20110093394 A KR 20110093394A KR 1020100013421 A KR1020100013421 A KR 1020100013421A KR 20100013421 A KR20100013421 A KR 20100013421A KR 20110093394 A KR20110093394 A KR 2011009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ement
indoor unit
remote controller
power
de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102B1 (ko
Inventor
이승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02B1/ko
Priority to US13/024,507 priority patent/US8788102B2/en
Priority to CN201110037643.XA priority patent/CN102162669B/zh
Publication of KR2011009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실내기와 두 개의 선을 통해 연결되고, 실내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고, 실내기는, 원격 조정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변조하는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와, 원격 조정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와, 원격 조정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고, 원격 조정기는, 실내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와,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변조된 전원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와,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는 제 2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고 변조된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선을 브리지 다이오드를 통해 연결하여 전원 공급과 통신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오결선으로 인한 병행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저항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병행 회로를 설계 및 제조하기 때문에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통신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병행 회로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토출시켜 특정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독립된 실내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와, 이 실내기에 연결되고 외부에 설치된 실외기와,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원격 조정기로 이루어지고, 실외기와 실내기는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즉, 4 선)을 통해 연결되며,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또한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즉, 4 선)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실외기와 실내기,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는 각각 2개의 통신선을 통해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간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는 냉매관이 설치되고, 이 냉매관은 냉매사이클에 따라 상호간 냉매가 순환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설치 시에 설치자가 실외기와 실내기를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으로 연결하고 냉매관을 연결하며, 또한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를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으로 연결한다.
이때 실외기와 실내기,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를 각각 연결하는 선(Wire)은 2개의 전원선과 2개의 통신선으로 분리되어 있어, 설치자가 선 설치 시 4개의 선을 각각 연결하므로 작업량이 많고 선 사용량이 많으며, 선 구매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전원선과 통신선 간의 오결선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통신 회로가 고장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오결선으로 이한 통신 회로 고장 시 수리 비용이 발생하고, 또는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장치가 추가되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복수의 독립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각각 조화시키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실외기와 복수 실내기, 복수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에는 2개의 전원선 및 2개의 통신선이 각각 연결되어 선 사용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각 선 사이에서의 노이즈 영향도 커져 통신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멀티 공기 조화기에 있어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통신선 및 전원선의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를 2개의 선을 통해 연결하여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고, 실내기에서 원격 조정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를 2개의 선을 통해 연결하고, 이 사이에 무극성부를 연결하여 오결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며, 통신 시 선 사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원가가 저렴한 저항과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회로를 이용하여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통신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고,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통신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회로의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 실내기와 두 개의 선을 통해 연결되고, 실내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고, 실내기는, 원격 조정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변조하는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와, 원격 조정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와, 원격 조정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고, 원격 조정기는, 실내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와,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변조된 전원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와,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는 제 2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고 변조된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이용한다.
실내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과, 전원단 및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고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전원단에서 전달된 전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 1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1 변조 저항 소자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과 컬렉터 단 사이에 연결된다.
실내기는,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에 대응하여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제 1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원격 조정기는, 실내기에서 로 신호 송 신 시 전원단의 전원이 제 1 변조 저항 소자 및 제 1 복조 저항 소자를 통해 감소되어 전달되고, 감소된 전원에 의해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어 로 신호가 수신된다.
실내기는, 원격 조정기에 통신 신호 비 전달 시 하이 신호를 송신한다.
실내기는, 제 1 송신단과, 제 1 수신단과, 제 1 수신단에 연결되고 제1 송신단에서 송신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구동 신호를 제 1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제 3 복조 스위치 소자를 더 가진다.
제 3 복조 스위치 소자는, 원격 조정기를 통해 하이 신호 송신 시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되어 제1송신단의 하이 신호가 유지되면 유지된 하이 신호에 의해 온 구동되고, 원격 조정기를 통해 로 신호 송신 시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어 제1송신단의 하이 신호가 차단되면 차단된 하이 신호에 의해 오프 구동된다.
원격 조정기는,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전달된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부를 더 가진다.
원격 조정기는, 전원부 및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고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전원부에서 전달된 전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 2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2 변조 저항 소자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과 컬렉터 단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에 대응하여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제 2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원격 조정기는, 제 2 송신단과, 제 2 수신단과, 제 2 수신단에 연결되고 제 2 송신단에서 송신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구동 신호를 제 2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제 4 복조 스위치 소자를 더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변조하는 변조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실내기; 실내기와 두 선을 통해 연결되고,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고, 변조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한다.
실내기는, 원격 조정기로부터 통신 신호가 전달되면, 하이 신호를 송신하고 하이 신호에 의해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되어 원격 조정기로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
원격 조정기는, 실내기로 하이 신호 전달 시 실내기의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실내기로 로 신호 전달 시 실내기의 전원 공급 유지를 차단시킨다.
실내기는, 전원 공급 유지 여부에 기초하여 원격 조정기의 통신 신호를 판단한다.
실내기에서 변조된 전원은 하이 신호 및 로 신호에 대응하여 펄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격 조정기는, 실내기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더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원단;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단의 전원을 변조하는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실내기는, 제1 변조 스위치 소자와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가 연결되어 제1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되면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 되어 변조된 전원이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로 전달되고,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로부터 전달된 변조된 전원에서 통신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실내기는, 통신 신호가 하이 신호이면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를 온 구동시키고, 통신 신호가 로 신호이면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 변조 스위치가 오프 구동되면 전원이 흐르는 제 1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실내기는, 제 1 변조 저항 소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 전원을 조정하는 제 1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외부 기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을 공급받고 변조된 전원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와 연결되어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는 제 2 분배 저항 소자;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한다.
원격 조정기는,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여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가진다.
원격 조정기는, 외부 기기로 로 신호 송신 시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전원부의 전원을 감소시키는 제 2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원격 조정기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에 대응하여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제 2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진다.
원격 조정기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제 1 변조 저항 소자 및 제 2 복조 저항 소자로 전원이 전달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를 2개의 선을 통해 연결하여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의 통신을 수행하고, 실내기에서 원격 조정기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선 설치가 용이하며 선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선 간의 통신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선 사이에 마련된 무극성부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과 통신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오결선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가가 저렴한 저항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통신 및 전원 공급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설계 및 제조하기 때문에, 병행 회로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병행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병행 회로도의 ㅌ전류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병행 회로도의 통신 신호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로서,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이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원격 조정기(20)와, 실내기와 냉매관을 통해 연결되고 실내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을 분배 및 제어하는 실외기(30)를 포함한다.
실내기(10)와 원격 조정기(20)는 두 개의 선(41, 42)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 두 선(41, 42)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내기(10)는 이 두 개의 선(41, 42)을 통해 원격 조정기(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실내기(10)와 원격 조정기(20)는 전원 공급 및 통신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병행 회로를 각각 가진다. 여기서 각 병행 회로는 두 개의 선(41, 4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복수 실내기(10)는 자신의 식별자(ID) 정보도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자(ID) 정보는 원격 조정기(20)와 통신 시 자신이 어느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인지를 알리기 위한 정보로, 각 실내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기(10)는 제1전원부(11), 제1변환부(12), 제1통신부(13), 제1제어부(14)를 포함한다.
제1전원부(11)는 원격 조정기(2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 전원은 대략 12V의 직류(DC) 전원이다.
이러한 제1전원부(11)는 직류(DC) 정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단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전원단은 제1변환부(12)에 연결된다. 즉, 제1전원부(11)의 전원은 제1변환부(12)를 통해 원격 조정기(20)로 공급한다.
제1변환부(12)는 제1전원부(11)와 제1통신부(13)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변환부(12)는 제1전원부(1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제1통신부(13)를 통해 제1제어부(14)의 지시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통신 신호에 따라 변조시키고 변조된 신호를 원격 조정기(20)의 무극성부(21)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변환부(12)는 제1연결단(a)과 제2연결단(b)를 가지고, 이 제1연결단(a)과 제2연결단(b)은 무극성부(21)의 제3연결단(c), 제4연결단(d)과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1변환부(12)는 제1변조부(12a)와 제1복조부(12b)를 가진다.
제1변조부(12a)는 제1전원부(1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제1통신부(13)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에 따라 변조시키고, 제1복조부(12b)는 전원과 통신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원래의 신호로 복구시킨다.
여기서 제1복조부(12b)는 복구된 통신 신호를 실내기(10)의 제1수신단(Rx1) 및 원격 조정기(20)의 제1수신단(Rx1)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실내기(10)는 원격 조정기(20)로 통신 신호 전송 시, 자신이 전송한 통신 신호가 정확히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변환부(12)는 원격 조정기(20)로부터 실내기 운전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가 수신된다. 이때 제1변환부(12)는 원격 조정기(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고 복구된 통신 신호를 실내기(10)의 제1통신부(13)의 제1수신단(Rx1)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실내기(10)는 원격 조정기(2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때 실내기(10)의 제1통신부(1)의 제1송신단(Tx1)은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즉, 원격 조정기(20)로부터 실내기 운전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 수신 시 실내기(10)의 제1통신부(13)의 제1송신단(Tx1)은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원격 조정기(20)로부터 하이(High)의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는 전류의 양이 유지되어 제1통신부(13)의 제1송신단(TX1)을 통해 하이(High)의 통신 신호가 수신되고, 원격 조정기(20)로부터 로(Low)의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는 전류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신호의 흐름이 차단되어 제1통신부(13)의 송신단(TX1)을 통해 로(Low)의 통신 신호가 수신된다.
제1통신부(13)는 제1변환부(12)와 제1제어부(14) 사이에 설치된다.
제1통신부(13)는 제1제어부(14)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제1변환부(12)로 송신하고, 원격 조정부(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제어부(14)의 제1수신단(Rx1)으로 전송한다.
제1제어부(14)는 원격 조정기(20)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1제어부(14)는 원격 조정기(20)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목표 온도로 실내 공간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실내팬(미도시), 블레이드(미도시)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14)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의 정보, 운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를 제1통신부(13)로 전송한다.
아울러, 실내기(10)는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30)와 연결되고 이 실외기(30)의 팽창수단에서 팽창되어 이송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로 송풍시키는 실내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 열교환기는 냉매관이 연결되어 있고 이 냉매관은 외부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30)와 연결된다.
원격 조정기(20)는 실내기(10)와 원격에 설치되고, 두 개의 선(41, 42)을 통해 실내기(10)와 유선 연결된다. 이러한 원격 조정기(20)는 두 개의 선(41, 42)을 통해 실내기(1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실내기(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원격 조정기(20)는 실내기(10)의 운전 모드, 목표 온도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와, 실내기(10)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가진다.
원격 조정기(20)는 조작부를 통해 조작된 실내기(10)의 운전 모드, 목표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를 실내기(10)로 전송하고, 실내기(10)로부터 전송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정보, 실내기(10)의 운전 상태 정보 등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원격 조정기(20)는 무극성부(21), 제2변환부(22), 제12신부(23), 제2제어부(24), 제2전원부(25)를 포함한다.
무극성부(21)는 제3, 4연결단(c, d)을 가지고, 이 제 3, 4 연결단(c, d)은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의 제1, 2연결단(a, b)과 두 개의 선(41, 42)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무극성부(21)는 두 개의 선(41, 42)이 오결선되어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양 전압단과 음 전압단인 접지(GND)가 바뀌어도 전원이 정상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무극성부(21)는 음의 전압을 반전시켜 양 전압만을 출력하는 전파 정류 회로(Full wave rectification circuit)인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로 이루어진다. 즉,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는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에 각각 다이오드가 교대로 동작하여 전파 정류 파형을 얻을 수 있다.
무극성부(21)는 제2변환부(22)와 연결되어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를 통해 입력된 통신 신호에 따라 변조된 전원을 제2변환부(22)로 전송한다.
또한 무극성부(21)는 제2변환부(22)로부터 전송된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로 전송한다.
제2변환부(22)는 실내기(10)로부터 통신 신호가 전송되면 전원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복구하여 제2통신부(23)의 제2수신단(Rx2)으로 전송하고 제2전원부(25)로 전원을 공급하며, 제2제어부(24)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에 통신 신호를 중첩하여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2변환부(22)는 제2변조부(22a)와 제2복조부(22b)를 가진다.
제2변환부(22)는 제2통신부(23)를 통해 제2제어부(24)의 지시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통신 신호를 실내기(10)로 전송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변환부(22)의 제2변조부(22a)는 제2제어부(24)의 송신단(Tx2)을 통해 통신 신호가 입력되고, 이 통신 신호와 제2변조부(22a)에 흐르는 전원을 중첩하여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에 전송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변환부(22)의 제2변조부(22a)는 제2통신부(23)의 송신단(Tx2)을 통해 하이(High)의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는 전류의 흐름이 유지되고, 실내기(10)는 제1통신부(13)을 통해 제1제어부(14)의 송신단(Tx1)으로 하이(High)의 통신 신호가 수신된다.
반면 제2변환부(22)의 제2변조부(22a)는 제2통신부(23)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로(Low)의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는 전류의 흐름이 감소되고, 실내기(10)는 제1통신부(13)을 통해 제1제어부(14)의 제1송신단(Tx1)으로 로(Low)의 통신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제2변환부(22)의 제2복조부(22b)는 제2통신부(23)를 통해 입력된 통신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고, 복구된 통신 신호를 제2통신부(23)을 통해 제2제어부(24)의 제2수신단(Rx2)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조정기(20)는 자신이 실내기(10)로 전송한 통신 신호가 정확히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변환부(22)의 제2복조부(22b)는 실내기(10)로부터 통신 신호가 전송되면 실내기(10)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고 복구된 통신 신호를 제2제어부(24)의 제2수신단(Rx2)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23)는 제2변환부(22)와 제2제어부(24) 사이에 설치된다.
제2통신부(23)는 제2제어부(24)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제2변환부(22)로 송신하고, 실내기(10)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제2제어부(24)로 송신한다.
제2제어부(24)는 실내기(10)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10)의 전반적인 운전 상태의 표시를 제어하고, 조작부(미도시)의 조작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2전원부(25)는 제2변환부(22)와 연결되어 제2변환부(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원격 조정기(20)에 마련된 각 구성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2전원부(25)는 충전 소자를 가지고, 제2변환부(22)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일부를 충전한다. 이에 따라 실내기(10)로부터 전원 차단 시 충전된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원격 조정기(20)의 구동이 유지되도록 한다.
제2전원부(25)는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가지고, 이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대략 12V의 직류(DC) 전원을 조정하여 대략 5V의 직류(DC) 전원을 각 구성부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
실외기(30)는 실내기(10)와 냉매관(미도시), 전원선 및 통신선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실외기(3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액상으로 변환시키면서 내부 잠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액상으로 변환된 냉매의 유량 조절로 압력을 저하시키는 모세관과 같은 팽창수단과, 실외 열교환기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과, 실내기(10)의 제1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외팬 및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각 실내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을 분배 및 제어한다.
여기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수단은 냉매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팽창수단에 연결된 냉매관은 외부 냉매관을 통해 실내기(10)와 연결되고, 실외팬, 실외 제어부 등은 전원선 및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실외 제어부에 연결된 통신선 및 전원선은 실내기(10)의 제1제어부(14) 및 제1통신부(13)와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의 전원 및 통신 수행 방법을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실내기(10)에서 원격 조정기(20)로 통신 신호 전송 시, 실내기(10)의 제1제어부(14)의 송신단(Tx1)을 통해 통신 신호를 출력하면, 제1제어부(14)의 송신단(Tx1)에서 출력된 통신 신호는 제1변환부(12)에 입력된다.
이때 제1변환부(12)는 통신 신호를 제1전원부(11)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중첩시켜 원격 조정기(20)로 전송한다.
다음, 원격 조정기(20)의 무극성부(21)를 통해 전원에 중첩된 실내기(10)의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이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제2변환부(22)로 전송하고, 제2변환부(22)는 전원에 중첩된 통신 신호를 복구하고, 복구된 통신 신호를 원격 조정기(20)의 제2통신부(23)를 통해 제2제어부(24)의 제2수신단(Rx2)으로 전송한다.
즉, 원격 조정기(20)의 제2제어부(24)는 제2수신단(Rx2)을 통해 실내기(10)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조정기(20)의 제2전원부(25)는 제2변환부(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고, 일부는 충전한다.
아울러, 실내기(10)의 제1제어부(14)의 송신단(Tx1)을 통해 출력된 통신 신호를 제1제어부(14)의 제1수신단(Rx1)에서 수신하여 제1제어부(14)의 제1송신단(Tx1)을 통해 정확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원격 조정기(20)에서 실내기(10)로 통신 신호 전송 시, 원격 조정기(20)의 제2제어부(24)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통신 신호를 출력하면, 제2제어부(24)의 제1송신단(Tx1)에서 출력된 통신 신호는 제2변환부(22)에 입력된다.
이때 제2변환부(22)는 통신 신호를 실내기(1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에 중첩시키고, 중첩된 신호를 실내기(10)의 제1변환부(21)로 전송한다.
아울러, 원격 조정기(20)에서 실내기(10)로 통신 신호 전송 시,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은 하이의 통신 신호 출력을 유지한다.
다음 실내기(10)의 제1변환부(12)에 전송된 신호는 제1변환부(12)에서 분리되어 실내기(10)의 제1통신부(13)를 통해 제1제어부(14)의 제1수신단(Rx1)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1제어부(14)의 제1수신단(Rx1)은 제1변환부(12)에 유기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하이 또는 로 신호가 입력된다.
아울러, 원격 조정기(20)의 제2제어부(24)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출력된 통신 신호를 제2제어부(24)의 제2수신단(Rx2)에서 수신하여 제2제어부(24)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정확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실내기(10)와 원격 조정기(20) 사이에 통신 신호가 반복적으로 송수신되어 실내기(10)와 원격 조정기(20)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병행 회로도이다. 이 병행회로는 실내기(10)와 원격 조정기(20)에 마련되어 실내기(10)와 원격 조정기(20) 간의 전원 공급 및 통신을 함께 수행한다. 이 병행 회로도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내기(10)에 마련된 병행 회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실내기(10)의 제1전원부(11)는 대략 12V의 직류 전원단과, 접지단을 가진다.
그리고 실내기(10)의 제1제어부(14)는 제1송신단(Tx1)과 제1수신단(Rx1)을 가지고, 이 제1송신단(Tx1)과 제수신단(Rx1)은 제1통신부(13)와 연결된다. 즉, 제1제어부(14)의 제1송신단(Tx1)과 제1수신단(Rx1)은 제1통신부의 송신단(미도시)과 수신단(미도시)과 각각 연결된다.
제1변환부(12)의 변조부(12a)는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변조 스위치 소자인 제 1 스위치 소자(TR1)와 제1저항 소자(R1)를 가진다.
여기서 제1스위치 소자(TR1)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1스위치 소자(TR1)의 이미터단은 전원단과 연결되고, 이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는 제1 저항 소자(R1)가 연결된다.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은 하이 신호 또는 로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스위치 소자(TR2)가 연결된다.
이 제2스위치 소자(TR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2스위치 소자(TR2)의 베이스 단은 제2 저항 소자(R2)를 통해 제1송신단(Tx1)과 연결되고, 컬렉터단은 제3 저항 소자(R3)를 통해 제1스위치 소자(TR1)의 베이스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스위치 소자(TR2)의 베이스단과 접지단 사이에는 제4저항 소자(R4)가 연결된다.
제1변환부(12)의 복조부(12b)는 제 3 스위치 소자(TR3: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 제4스위치 소자(TR4: 제 3 복조 스위치 소자), 제 5 저항 소자(R5), 제 6 저항 소자(R6), 제 7 저항 소자(R7), 제 8 저항 소자(R8), 제 9 저항 소자(R9)를 가진다.
여기서 제3스위치 소자(TR3)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3스위치 소자(TR3)의 베이스 단은 제1 스위치 소자(TR1)의 컬렉터단과 연결되고, 베이스 단과 이터 단 사이에는 제 5 저항 소자(R5)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3스위치 소자(TR3)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제6 저항 소자(R6)가 연결되고, 제3스위치 소자(TR3)의 컬렉터 단은 제 7 저항 소자(R7)을 통해 제4 스위치 소자(TR4)의 베이스 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6 저항 소자(R6)과 제3스위치 소자(TR3)의 이미터단은 제1복조부(12b)의 제1연결단(a)에 연결되고, 접지단은 제1복조부(12b)의 제2연결단(b)에 연결된다.
제4 스위치 소자(TR4)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4 스위치 소자(TR4)의 이미터단은 제1스위치 소자(TR1)의 컬렉터단과 연결되고, 컬렉터 단은 직렬 연결된 제8 저항 소자(R8)와 제9 저항 소자(R9)를 통해 접지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8 저항 소자(R8)와 제9 저항 소자(R9)는 제 1 분배 저항 소자이다.
그리고 제9 저항 소자(R9)에는 제1콘덴서(C1)가 병렬 연결된다.
이러한 제1변환부(12)의 복조부(12b)는 변조부(12a)와 제 10 저항 소자(R10: 제 1 변조 저항 소자)를 통해 연결된다. 이 제10저항 소자(R10)는 제1스위치 소자(TR1)의 이미터단과 컬렉터단 사이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4스위치 소자(TR4)의 이미터 단에 연결되며, 또한 제3 스위치 소자(TR3)의 베이스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병행 회로는, 실내기(10)의 제1수신단(Rx1)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제5스위치 소자(TR5), 제6스위치 소자(TR6), 제 11 저항 소자(R11), 제 12 저항 소자(R12), 제 13 저항 소자(R13), 제 14 저항 소자(R14), 제 15 저항 소자(R15), 제 16 저항 소자(R16), 제 17 저항 소자(R17)를 더 가진다.
제5스위치 소자(TR5)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5스위치 소자(TR5)의 베이스 단은 제11 저항 소자(R11)를 통해 제 8 저항 소자(R8) 및 제 9 저항 소자(R9)와 연결되고, 제5스위치 소자(TR5)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제 12 저항 소자(R12)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5스위치 소자(TR5)의 컬렉터단은 제 13 저항 소자(R13)를 통해 제6스위치 소자(TR6)의 베이스단과 연결된다.
제6스위치 소자(TR6)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6스위치 소자(TR6)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제 14 저항 소자(R14)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6스위치 소자(TR6)의 컬렉터단은 제 15 저항 소자(R15)를 통해 5V 전원단과 연결되고, 동시에 제1수신단(Rx1)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5스위치 소자(TR5)의 컬렉터 단과 5V 전원단 사이에는 제 16 저항 소자(R16)가 연결되고, 5V 전원단과 제1수신단(Rx1) 사이에는 제 17저항 소자(R17)과 제1발광 다이오드(LED1)가 직렬 연결된다.
원격 조정기(20)에 마련된 병행 회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원격 조정기(20)의 제2전원부(12)는 대략 5V의 직류 전원단과, 접지단을 가진다.
그리고 원격 조정기(20)의 제2제어부(24)는 제2송신단(Tx2)과 제2수신단(Rx2)을 가지고, 이 제2송신단(Tx2)과 제2수신단(Rx2)은 제2통신부(23)와 연결된다. 즉, 제2제어부(24)의 제2송신단(Tx2)과 제2수신단(Rx2)은 제2통신부(23)의 송신단(미도시)과 수신단(미도시)과 각각 연결된다.
원격 조정기(20)의 무극성부(21)는 브리지 다이오드(BD)로 이루어진다.
브리지 다이오드(BD)는 제1변환부(12)의 제1연결단(a)에 연결되는 제3연결단(c)과 제1변환부(12)의 제2연결단(b)에 연결되는 제4연결단(d) 사이에 연결된다.
제2변환부(22)의 제2복조부(22b)는 제 7 스위치 소자(TR7: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 제 8 스위치 소자(TR8: 제 4 복조 스위치 소자), 제 18 저항 소자(R18), 제 19 저항 소자(R19), 제 20 저항 소자(R20), 제 21 저항 소자(R21), 제 22 저항 소자(R22)를 가진다.
제 7 스위치 소자(TR7)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7 스위치 소자(TR7)의 이미터단은 브리지다이오드(DB)와 연결되고, 컬렉터 단은 직렬 연결된 제 18 저항 소자(R18)와 제 19 저항 소자(R19)를 통해 접지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 18 저항 소자(R18)와 제 19 저항 소자(R19)는 제 2 분배 저항 소자이다.
그리고 제 19 저항 소자(R9)에는 제2콘덴서(C2)가 병렬 연결된다.
그리고 제 7 스위치 소자(TR7)의 베이스단은 제 20 저항 소자(R20)를 통해 제8스위치 소자(TR8)와 연결된다.
제 8 스위치 소자(TR8)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8 스위치 소자(TR8)의 베이스 단과 컬렉터단 사이에는 제 21 저항 소자(R21)가 연결되고, 베이스 단과 이터 단 사이에는 제 22 저항 소자(R22)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2변환부(22)의 복조부(22b)는 변조부(22a)와 제 23 저항 소자(R23)를 통해 연결된다.
제2변환부(22)의 변조부(22a)는 제 9 스위치 소자(TR9: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와 제 24 저항 소자(R24)를 가진다.
여기서 제9스위치 소자(TR9)는 PNP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9스위치 소자(TR9)의 컬렉터단은 제2전원부(25)와 연결되고, 이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는 제24저항 소자(R24)가 연결된다.
원격 조정기(20)의 제2송신단(Tx2)은 하이 신호 또는 로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0스위치 소자(TR10)가 연결된다.
이 제 10 스위치 소자(TR10)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10스위치 소자(TR10)의 베이스 단은 제25 저항 소자(R25)를 통해 제2송신단(Tx2)과 연결되고, 베이스단과 접지단 사이에는 제26저항 소자(R26)가 연결되며, 컬렉터단은 제27 저항 소자(R27)를 통해 제9스위치 소자(TR9)의 베이스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원격 조정기(20)의 병행 회로는, 원격 조정기(20)의 제2수신단(Rx2)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제11스위치 소자(TR11), 제12스위치 소자(TR12), 제 28 저항 소자(R28), 제 29 저항 소자(R29), 제 30 저항 소자(R30), 제 31 저항 소자(R31), 제 32 저항 소자(R32), 제 33 저항 소자(R33), 제 34 저항 소자(R34)를 더 가진다.
제11스위치 소자(TR11)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11스위치 소자(TR11)의 베이스 단은 제28 저항 소자(R28)를 통해 제 18 저항 소자(R18) 및 제 19 저항 소자(R19)와 연결되고, 제11스위치 소자(TR11)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제 29 저항 소자(R29)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1스위치 소자(TR11)의 컬렉터단은 제 30 저항 소자(R30)를 통해 제12스위치 소자(TR12)의 베이스단과 연결된다.
제12스위치 소자(TR1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12스위치 소자(TR12)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 사이에는 제 31 저항 소자(R31)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2스위치 소자(TR12)의 컬렉터단은 제 32 저항 소자(R32)를 통해 5V 전원단과 연결되고, 동시에 제1수신단(Rx1)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1스위치 소자(TR11의 컬렉터 단과 5V 전원단 사이에는 제 33 저항 소자(R33)가 연결되고, 5V 전원단과 제2수신단(Rx2) 사이에는 제 34저항 소자(R34)과 제2발광 다이오드(LED2)가 직렬 연결된다.
원격 조정기(20)의 제2전원부(25)는 정전압 레귤레이터(U)와 복수의 콘덴서(C3 내지 C7)을 가진다.
정전압 레귤레이터(U)는 대략 12V의 직류 전원을 대략 5V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대략 5 V의 직류 전원을 각 구성부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
정전압 레귤레이터(U)의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는 제 3, 4, 5 콘덴서(C3, C4, C5)가 병렬 연결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U)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는 제 6, 7 콘덴서(C6, C7)가 병렬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콘덴서는 충전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실내기(10)에서 원격 조정기(20)로 전원 및 통신 신호의 전송 시 공기 조화기에 마련된 병행 회로의 전류 흐름이다.
도 3은 실내기(10)에서 원격 조정기(20)로 하이(High)의 통신 신호 전송 시 전류 흐름이고, 도 4는 실내기(10)에서 원격 조정기(20)로 로(Low)의 통신 신호 전송 시 전류 흐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을 통해 하이(High)의 통신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된 하이 신호는 제 2스위치 소자(TR2)를 온(On) 구동시키고, 제 2스위치 소자(TR2)가 온(On) 구동에 의해 제 1스위치 소자(TR1)가 온(On) 구동된다.
이때 제 1스위치 소자(TR1)를 통과한 전류는 제 3스위치 소자(TR3)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어 제 3스위치 소자(TR3)를 온 구동 시키고, 제 3스위치 소자(TR3)의 온 구동에 의해 제 4스위치 소자(TR4)가 온 구동된다.
그리고 제 1스위치 소자(TR1)를 통과한 전류는 제 6 저항 소자(R6: 제 1 복조 저항 소자)에 전압을 유기시키게 되고, 유기된 전압에 의해 제 3스위치 소자(TR3)이 온 구동된다.
여기서 제 6 저항 소자(R6)는 전류 감지 소자로 대체 가능하고, 제 3스위치 소자(TR3)는 감지된 전류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 구동하는 소자로 대체 가능하다.
다음 제 4스위치 소자(TR4)에 흐르는 전류는 실내기(10)의 제1수신단(Rx1)으로 흐른다.
이때 제 8, 9 저항 소자(R8, R9) 사이에서 전압 분배가 발생하고,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제 4스위치 소자(TR4)에 흐름으로써, 전원에 중첩된 통신 신호(대략 5V의 전압 신호)만을 분리하여 제 5 스위치 소자(TR5)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제 4스위치 소자(TR4)의 온 구동에 의해 제 5 스위치 소자(TR5)가 온 구동되고, 이때 제 6 스위치 소자(TR6)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제 6 스위치 소자(TR6)는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제 4스위치 소자(TR4)에 흐르는 전류는 제 16, 17 저항 소자(R16, R17) 및 제1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해 제1수신단(Rx1)에 하이 신호가 수신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에서 송신된 신호를 실내기(10)의 제1수신단(Rx1)에서 수신함으로써 통신 신호가 정확히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 3스위치 소자(TR3)에 흐르는 전류는 원격 조정기(20)의 브리지 다이오드(BD)로 흐르고,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통해 정류된 전류는 제 7 스위치 소자(TR7)를 온 구동시키고, 제 7스위치 소자(TR2)의 온 구동에 의해 제 8 스위치 소자(TR8)가 온 구동된다.
그리고 제 7스위치 소자(TR7)에 흐르는 전류는 원격 조정기(20)의 제2수신단(Rx2)으로 흐른다.
이때 제 18, 19 저항 소자(R18, R19) 사이에서 전압 분배가 발생하고,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원에 중첩된 통신 신호만을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제 7스위치 소자(TR7)의 온 구동에 의해 제 11스위치 소자(TR11)를 온 구동시키고, 제 11 스위치 소자(R11)의 온 구동에 의해 제 12 스위치 소자(TR12)의 베이스단으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제 12 스위치 소자(TR12)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제 11스위치 소자(TR11)에 흐르는 전류는 제 33, 34 저항 소자(R33, R34) 및 제2발광다이오드(LED2)를 통해 제2수신단(Rx2)에 하이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제 7스위치 소자(TR2)의 온 구동에 의해 제 8스위치 소자(TR8)가 온 구동되면, 제 8스위치 소자(TR8)의 온 구동에 의해 제 9스위치 소자(TR9)가 온 구동되고, 이로 인해 제2전원부(25)에 전원이 공급되고 일부의 전원은 충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을 통해 로(Low)의 통신 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된 로 신호는 제 2스위치 소자(TR2)를 오프(Off) 구동시키고, 제 2스위치 소자(TR2)가 오프됨에 따라 제 1스위치 소자(TR1)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원단의 12V의 직류 전원은 제 10 저항 소자(R10)를 통해 제1복조부(12a)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 10 저항 소자(R10)를 통해 제 6 저항 소자(R6)에 전류가 인가되지만, 제 10 저항 소자(R10)를 통해 전달된 전류값이 작아서 제 6 저항 소자(R6)에 충분한 전압을 유기시키지 못하게 되어 제 3스위치 소자(TR3)를 온 구동시키지 못한다.
제 3스위치 소자(TR3)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4스위치 소자(TR4)가 오프 구동되고 제 4스위치 소자(TR4)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5 스위치 소자(TR5)가 오프 구동되고, 이때 제 6 스위치 소자(TR6)는 단락된다. 이에 따라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에서 로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제 6 저항 소자(R6)에 흐르는 전류는 원격 조정기(20)의 브리지 다이오드(BD)로 흐르고,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통해 정류된 전류는 그 전류값이 작아서 제 22 저항 소자(R22)에 충분한 전압을 유기시키지 못하게 되어 제 8스위치 소자(TR8)를 온 구동시키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제 8스위치 소자(TR8)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7스위치 소자(TR7)가 오프 구동되고 제 7스위치 소자(TR7)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11 스위치 소자(TR11)가 오프 구동되고, 이때 제 12 스위치 소자(TR12)는 단락된다. 이에 따라 원격 조정기(20)의 제2수신단(Rx2)에 로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제 22저항 소자(R22)에 흐르는 전류는 제2전원부(25)로 공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조정기(20)의 제2송신단(Tx2)은 계속적으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이 하이 신호에 의해 제 10 스위치 소자(TR10)가 온 구동되고, 제 10 스위치 소자(TR10)의 온 구동에 의해 제 9 스위치 소자(TR9)가 온구동 되어 제 9 스위치 소자(TR9)를 따라 제2전원부(25)에 전원이 공급된다.
도 2에 도시된 병행 회로도에 기초하여 원격 조정기(20)에서 실내기(1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에서 원격 조정기(2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경우,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은 계속적으로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원격 조정기(20)의 제2송신단(Tx2)으로부터 하이의 통신 신호를 실내기(10)로 송신 시 제 10 스위치 소자(TR10)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제 10 스위치 소자(TR10)는 온 구동되고, 제 10 스위치 소자(TR10)의 온 구동에 의해 제 9 스위치 소자(TR9)가 온 구동된다.
그리고 제 9 스위치 소자(TR9)는 온 구동되어 제2전원부(25)로부터 대략 5V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전원에 하이 신호를 중첩된다.
다음, 제 22 저항 소자(R22)에 전압이 유기되고, 제 22 저항 소자(R22)에 유기된 전압은 제 8 스위치 소자(TR8)를 온 구동시키고, 제 8 스위치 소자(TR8)의 온 구동에 의해 제 7 스위치 소자(TR7)가 온 구동된다.
이때 제 7 스위치 소자(TR7)에 흐르는 전류는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통해 실내기(10)의 제1복조부(12b)에 마련된 제 3스위치 소자(TR3)를 온 구동시키고, 제 3스위치 소자(TR3)의 온 구동에 의해 제 4 스위치 소자(TR4)가 온 구동되고, 제 4 스위치 소자(TR4)의 온 구동에 의해 제 5 스위치 소자(TR5)가 온 구동되고, 제 5 스위치 소자(TR5)의 온 구동에 의해 제 6 스위치 소자(TR6)의 베이스 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 6 스위치 소자(TR6)는 오프된다.
제 5 스위치 소자(TR5)가 온 구동 시, 제 8, 9 저항 소자(R8, R9) 사이에서 전압 분배가 발생하고,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제 4스위치 소자(TR4)에 흐름으로써, 전원에 중첩된 통신 신호(대략 5V의 전압 신호)만을 분리하게 되어 제 5 스위치 소자(TR5)에 인가된다.
다음, 제 5스위치 소자(TR5)에 흐르는 전류는 제 16, 17 저항 소자(R16, R17) 및 제1발광다이오드(LED1)으로 흐르고 이로 인해 실내기(10)의 제1수신단(Rx1)에 하이 신호가 수신된다.
즉, 실내기(10)에서 원격 조정기(2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경우 실내기(10)의 제1송신단(Tx1)은 계속적으로 하이 신호를 출력되기 때문에, 원격 조정기(20)로부터 실내기(10)로 하이의 통신 신호 전송 시는 실내기(10)로부터 원격 조정기(20)로 하이의 통신 신호 전송 시와 동일한 전류 흐름을 가진다.
아울러, 제 7스위치 소자(TR7)의 온 구동에 의해 제 11스위치 소자(TR11)를 온 구동시키고, 제 11 스위치 소자(R11)의 온 구동에 의해 제 12 스위치 소자(TR12)기 오프된다.
제 11 스위치 소자(TR11)가 온 구동 시, 제 18, 19 저항 소자(R18, R19) 사이에서 전압 분배가 발생하고,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제 4스위치 소자(TR4)에 흐른다. 즉 전원에 중첩된 통신 신호(대략 5V의 전압 신호)만 분리되어 제 11 스위치 소자(TR11)에 인가된다.
다음 제 11스위치 소자(TR11)에 흐르는 전류는 제 33, 34저항 소자(R33, R34) 및 제2발광다이오드(LED2)를 통해 제2수신단(Rx2)에 하이 신호가 수신된다.
반면, 원격 조정기(20)의 제2송신단(Tx2)으로부터 로의 통신 신호를 실내기(10)로 송신 시 제 10 스위치 소자(TR10)로 로 신호가 입력되어 제 10 스위치 소자(TR10)는 오프 구동되고, 제 10 스위치 소자(TR10)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9 스위치 소자(TR9)가 오프 구동된다.
이때, 제 9 스위치 소자(TR9)가 오프 구동되어, 제2전원부(25)의 직류 전원은 제 23 저항 소자(R23: 제 2 변조 저항 소자)를 통해 제 22 저항 소자(R22: 제 2 복조 저항 소자)로 흐른다.
이때 제 22저항 소자(R22)에 흐르는 전류는 그 값이 매우 작아 제 22저항 소자(R22)에 유기되는 전압 또한 매우 작다. 이로 인해 제 8 스위치 소자(TR8)를 온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제 8 스위치 소자(TR8)는 오프 구동하고, 제 8 스위치 소자(TR8)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7 스위치 소자(TR7)가 오프 구동된다.
다음 제 7 스위치 소자(TR7)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11 스위치 소자(TR11) 가 오프구동 되고, 이로 인해 제 12 스위치 소자(TR12)가 온 구동되어 및 제 12 스위치 소자(TR12)가 단락되어 제2수신단(Rx2)에 로 신호가 수신된다.
그리고 제 7 스위치 소자(TR7)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22 저항 소자(R22)에 흐르는 전류는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통해 실내기(10)의 제1복조부(12b)에 마련된 제 6 저항 소자(R6)로 흐른다.
즉 제 6 저항 소자(R6)에 흐르는 전류는 그 값이 매우 작아 제 6 저항 소자(R22)에 유기되는 전압 또한 매우 작다. 이로 인해 제 3 스위치 소자(TR3)를 온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제 3 스위치 소자(TR3)는 오프 구동하고, 제 3 스위치 소자(TR3)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4 스위치 소자(TR4)가 오프 구동된다.
다음, 제 4 스위치 소자(TR4)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5 스위치 소자(TR5)가 오프 구동되고, 제 5 스위치 소자(TR5)의 오프 구동에 의해 제 6 스위치 소자(TR6)가 단락되어 실내기(10)의 제1수신단(Rx1)에 로 신호가 수신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를 2개의 선으로 연결하여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의 통신을 수행하고, 실내기에서 원격 조정기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선 설치가 용이하며 선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선 간의 통신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선을 브리지 다이오드를 통해 연결하여 전원 공급과 통신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오결선으로 인한 병행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저항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병행 회로를 설계 및 제조하기 때문에 실내기와 원격 조정기 사이의 통신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병행 회로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10: 실내기 11: 제1 전원부
12: 제1변환부 12a: 제1변조부
12b: 제1복조부 13: 제1통신부
14: 제1제어부 20: 원격 조정기
21: 무극성부 22: 제2변환부
22a: 제2변조부 22b: 제2복조부
23: 제2통신부 24: 제2제어부
25: 제2전원부 30: 실외기

Claims (28)

  1.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두 개의 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원격 조정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변조하는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와, 상기 원격 조정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와, 상기 원격 조정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고,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실내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와, 상기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상기 변조된 전원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와, 상기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는 제 2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고 상기 변조된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과, 상기 전원단 및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상기 전원단에서 전달된 전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 1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변조 저항 소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과 컬렉터 단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상기 제 1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실내기에서 로 신호 송 신 시 상기 전원단의 전원이 상기 제 1 변조 저항 소자 및 제 1 복조 저항 소자를 통해 감소되어 전달되고, 상기 감소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어 로 신호가 수신되는 공기 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원격 조정기에 통신 신호 비 전달 시 하이 신호를 송신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제 1 송신단과, 제 1 수신단과, 상기 제 1 수신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송신단에서 송신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제 1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제 3 복조 스위치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복조 스위치 소자는,
    상기 원격 조정기를 통해 하이 신호 송신 시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되어 상기 제1송신단의 하이 신호가 유지되면 상기 유지된 하이 신호에 의해 온 구동되고, 상기 원격 조정기를 통해 로 신호 송신 시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어 상기 제1송신단의 하이 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차단된 하이 신호에 의해 오프 구동되는 공기 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부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전원부 및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전달된 전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 2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변조 저항 소자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과 컬렉터 단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상기 제 2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제 2 송신단과, 제 2 수신단과, 상기 제 2 수신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송신단에서 송신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제 4 복조 스위치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14.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변조하는 변조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두 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이 전달되면, 상기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변조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원격 조정기로부터 통신 신호가 전달되면, 하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하이 신호에 의해 상기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되어 상기 원격 조정기로 전원 공급을 유지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실내기로 하이 신호 전달 시 상기 실내기의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상기 실내기로 로 신호 전달 시 상기 실내기의 전원 공급 유지를 차단시키는 공기 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전원 공급 유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조정기의 통신 신호를 판단하는 공기 조화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서 변조된 전원은 하이 신호 및 로 신호에 대응하여 펄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0.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원단;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단의 전원을 변조하는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1 변조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되면 상기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가 온 구동 되어 상기 변조된 전원이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로 전달되고, 상기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로부터 전달된 변조된 전원에서 통신 신호를 복조하는 제 1 분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통신 신호가 하이 신호이면 상기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를 온 구동시키고, 상기 통신 신호가 로 신호이면 상기 제 1 변조 스위치 소자를 오프 구동시키고,
    상기 제1 변조 스위치가 오프 구동되면 상기 전원이 흐르는 제 1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 1 변조 저항 소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복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 전원을 조정하는 제 1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4. 외부 기기로부터 변조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변조된 전원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
    상기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변조된 전원을 복조하여 통신 신호를 획득하는 제 2 분배 저항 소자;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를 가지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여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외부 기기로 로 신호 송신 시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감소시키는 제 2 변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의 구동에 대응하여 제 2 복조 스위치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제 2 복조 저항 소자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상기 제 2 변조 스위치 소자가 오프 구동되면 상기 제 1 변조 저항 소자 및 제 2 복조 저항 소자로 전원이 전달되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00013421A 2010-02-12 2010-02-12 공기 조화기 KR10170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21A KR101706102B1 (ko) 2010-02-12 2010-02-12 공기 조화기
US13/024,507 US8788102B2 (en) 2010-02-12 2011-02-10 Air conditioner
CN201110037643.XA CN102162669B (zh) 2010-02-12 2011-02-11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21A KR101706102B1 (ko) 2010-02-12 2010-02-12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394A true KR20110093394A (ko) 2011-08-18
KR101706102B1 KR101706102B1 (ko) 2017-02-27

Family

ID=4437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421A KR101706102B1 (ko) 2010-02-12 2010-02-12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88102B2 (ko)
KR (1) KR101706102B1 (ko)
CN (1) CN102162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0369B2 (en) 2005-08-03 2007-08-21 Kamilo Feher Location finder, tracker, communication and remote control system
US10009956B1 (en) 2017-09-02 2018-06-26 Kamilo Feher OFDM, 3G and 4G cellular multimode systems and wireless mobile networks
CN103810974B (zh) * 2012-11-14 2016-08-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液晶彩色显示控制电路及空调器
CN103839505B (zh) * 2012-11-23 2017-05-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液晶彩色显示控制电路及空调器
US20160173290A1 (en) * 2013-05-23 2016-06-16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control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P3660406B1 (en) * 2017-07-26 2023-05-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CN112833520B (zh) * 2021-01-19 2022-02-22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控制装置、空调控制器、空调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009A (ko) * 2007-08-13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7959B1 (en) * 1992-02-25 1998-04-22 Sony Corporation Modulation/demodul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5777545A (en) * 1995-05-09 1998-07-07 Elcom Technologies Corporatio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US6255961B1 (en) * 1998-05-08 2001-07-03 Sony Corporation Two-way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 control unit and one or more device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CN1227486C (zh) * 2000-04-24 2005-11-16 三洋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通信系统
IT1320622B1 (it) * 2000-09-05 2003-12-10 Wrap Spa Sistema e dispositivo per il monitoraggio di almeno una utenzaelettrica domestica, in particolare un elettrodomestico.
EP1486092A1 (en) * 2002-02-21 2004-12-15 Hyun-Oh Shin A remote control equ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4129594B2 (ja) * 2003-04-15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調システム
JP4196804B2 (ja) * 2003-10-17 2008-12-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インバータ空気調和機
US7775452B2 (en) * 2004-01-07 2010-08-17 Carrier Corporation Serial communicating HVAC system
US8550368B2 (en) * 2005-02-23 2013-10-08 Emerson Electric Co. Interactive control system for an HVAC system
CN101464038B (zh) * 2008-12-11 2011-06-01 谭晖 空调设备及其遥控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009A (ko) * 2007-08-13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2669B (zh) 2015-01-28
US20110202182A1 (en) 2011-08-18
KR101706102B1 (ko) 2017-02-27
CN102162669A (zh) 2011-08-24
US8788102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3394A (ko) 공기 조화기
KR10158706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통신 방법
EP2570745B1 (en) Air conditioner
CN110207342B (zh) 室内机、空调机组的控制电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US2011014539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2083227A1 (en) Sett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KR102068181B1 (ko) 공기조화기
KR10249315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3457043B1 (en) Air conditioner
KR102167330B1 (ko) 공기조화기
KR201200337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10197601U (zh) 一种空调压力保护装置及空调
KR102136414B1 (ko) 실외기의 절연 회로
KR2017008533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534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KR20080021961A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86549B1 (ko) 공기조화기의 통신제어장치
KR10018728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0329424B1 (ko) 공기조화기의통신장치및통신방법
KR20190087903A (ko) 전력 변환 장치의 스위치 소손 방지 회로
JP426057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H0434744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情報表示システム
JPH0476341A (ja) 空気調和機
JP2011038665A (ja) 換気装置
KR10212929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