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9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9299B1 KR102129299B1 KR1020130066476A KR20130066476A KR102129299B1 KR 102129299 B1 KR102129299 B1 KR 102129299B1 KR 1020130066476 A KR1020130066476 A KR 1020130066476A KR 20130066476 A KR20130066476 A KR 20130066476A KR 102129299 B1 KR102129299 B1 KR 1021292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unit
- power
- indoor unit
- remote cont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는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선로를 통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의 접속상태를 감지하는 접속불량 감지회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통신모듈과 제어부를 포함된 메인 보드 사이에 접속 불량을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실내기가 통신선로를 통하여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이다.
시스템 에어컨으로 널리 알려진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1 또는 2 이상의 실외기와 2 이상의 실내기를 포함하여, 건물 전체 또는 건물의 한 개 층에 대한 중앙 제어식의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이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2 이상의 실내기에 대하여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1 또는 2 이상의 원격제어기(유선 리모컨)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10층의 건물 각 층에 5개의 실내기가 마련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각 층 마다 하나의 원격제어기를 마련하여 각 층에 배치된 5개의 실내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일괄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원격제어기가 실내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 명령을 실내기에 전달하기 위해서 원격제어기와 실내기 사이에 마련된 통신선을 이용하여 통신할 뿐만 아니라 통신선을 이용하여 실내기가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선을 통하여 원격제어기와 실내기 사이에 통신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통신모듈과 메인 보드 사이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면 실내기는 원격제어기에 대한 잘못된 전원공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2대 이상의 실내기가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통신모듈이 파손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통신모듈과 메인 보드 사이에 접속 불량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는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선로를 통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의 접속상태를 감지하는 접속불량 감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불량 감지회로는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부가 접속되지 않으면 접속불량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불량 감지회로는 상기 접속불량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풀 다운 저항(pull-down re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선로를 통한 전원 공급에 따른 전원공급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선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전원 미공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선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전원공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선로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와 고주파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회로, 상기 고주파 통신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직류 전원은 차단하는 통신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회로는 RS-485 (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와 고주파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필터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또는 직류 신호를 차단하는 하이 패스 필터(high-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필터는 미리 정해진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모듈과 메인 보드 사이에 접속 불량을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실내기가 통신선로를 통하여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신호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a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 각각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b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 전원부와 실내기 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분배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 전원부와 원격제어기 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실내기, 원격제어기 및 제2 통신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포함된 제2 실내기 통신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회로 및 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회로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접속불량감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접속불량감지회로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신호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a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 각각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b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 전원부와 실내기 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분배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 전원부와 원격제어기 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실내기, 원격제어기 및 제2 통신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포함된 제2 실내기 통신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회로 및 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회로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접속불량감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접속불량감지회로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공기조화기(1)는 실외 공간에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100), 실내 공간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기(200), 실외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실내기(200)로 분배하고 냉방 또는 난방이 선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분배기(300),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원격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과 신호의 흐름을 분리하여 설명하되,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을 먼저 설명한 후 공기조화기의 신호의 흐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매의 흐름과 관련하여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100), 실내기(200), 분배기(30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기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120),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내기(200) 가운데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사방밸브(130), 난방 시에 실외 열교환기로 안내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외 팽창밸브(140), 액상 냉매가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150)를 포함한다.
실내기(200)는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210-1, 210-2, 210-3, ..., 210-n: 210), 냉방 시에 실내 열교환기(210)로 제공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내 팽창밸브(220-1, 220-2, 220-3, ..., 220-n: 220)를 포함한다.
분배기(300)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 사이에 마련되어 실외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실내기(200)로 안내하기 위한 냉매관과 냉매관 상에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의 운전 모드 즉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방 밸브(310-1, 310-2,..., 310-n: 310)와 난방 밸브(320-1, 320-2,..., 320-n: 320)를 포함한다.
냉매의 순환에 대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가 냉방 모드인 경우 냉매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10)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30)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된다.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되며,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외 공기로 잠열을 방출한다. 응축된 냉매는 분배기(300)를 거쳐 선택적으로 실내기(200)로 안내된다.
실내기(200)로 안내된 냉매는 실내기(200)에 마련된 실내 팽창밸브(220)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증발된다. 증발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냉방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1)는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된 냉매는 분배기(300)에 마련된 냉방 밸브(310)를 거쳐 실외기(100)로 안내되고, 실외기(100)의 어큐뮬레이터(150)에서 냉매는 미쳐 증발되지 못한 액상 냉매와 증발된 기상 냉매로 분리된 후 기상 냉매는 압축기(110)로 제공된다.
압축기(110)로 안내된 냉매는 압축되고, 다시 사방밸브(130)로 제공됨으로써 상술한 냉매 순환을 반복한다.
요약하면, 냉방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200)에서 실내 공기의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실외기(100)에서 실외로 열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실내의 열에너지를 실외로 방출한다.
공기조화기(1)가 난방 모드인 경우 냉매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10)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30)에 의하여 분배기(300)로 안내된다. 분배기(300)에서 냉매는 분배기(300)의 난방 밸브(320)를 거쳐 선택적으로 실내기(200)로 안내된다.
냉매는 실내기(200)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응축된다.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로 잠열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난방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1)는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220)에서 감압된 후 분배기(300)를 거쳐 실외기(100)로 안내된다.
실외기(100)로 안내된 냉매는 실외기(100)에 마련된 실외 팽창밸브(140)에서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50)에서 냉매는 미쳐 증발되지 못한 액상 냉매와 증발된 기상 냉매로 분리된 후 기상 냉매는 압축기(110)로 제공된다. 압축기(110)로 안내된 냉매는 압축되고, 다시 사방밸브(130)로 제공됨으로써 상술한 냉매 순환을 반복한다.
요약하면, 난방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100)에서 실외 공기의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실내기(200)에서 실내로 열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실외의 열에너지를 실내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구성들 사이의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실외기, 실내기 및 분배기 등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을 포괄적으로 "구성기기"라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통신 신호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신호의 흐름과 관련하여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100), 실내기(200), 분배기(300), 원격제어기(400) 및 공기조화기(1)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기기(100, 200, 300, 400)를 서로 연결하는 통신선로(510, 52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기기(100, 200, 300, 400)는 서로 공간적으로 상당한 거리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층의 높이 2.5m인 16층 건물의 각각 층에 하나의 실내기(200)가 마련된 경우, 16층에 마련된 제16 실내기(200-16)과 1층에 마련된 제1 실내기(200-1) 사이에는 적어도 40m의 거리가 떨어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기기(100, 200, 300, 400) 각각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실외기(100), 실내기(200), 분배기(300), 원격제어기(400) 사이에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은 통신선로(510, 520)를 이용한 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예에서 1층에 마련된 제1 실내기(200-1)가 1층 실내에 대하여 냉방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제1 실내기(200-1)는 통신선로(510, 520)를 통하여 실외기(100)에 냉방의 순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실외기(200)는 통신선로(510, 520)를 통하여 제1 실내기(200-1)의 요청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실내기(200-1)에 전송한다. 또한, 실외기(100)는 압축기(도 2의 110)를 가동하고 통신선로(510, 520)를 통하여 분배기(300)에 제1 실내기(200-1)로 연결되는 냉방 밸브를 개방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분배기(100)는 통신선로(510, 520)를 통하여 실외기(100)의 요청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선로(510, 520)를 통하여 전송되는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 등의 신호는 헤더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전송된다. 여기서 헤더 영역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성기기의 주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구성기기의 주소,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의 종류 등의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데이터 영역은 각각의 구성기기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즉, 요청 또는 응답 등이 포함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데이터 프레임을 "데이터"로 약칭한다.
통신선로(510, 520)에 대하여 설명하면, 통신선로(510, 520)는 실외기(100), 실내기(200), 분배기(300)를 연결하는 제1 통신선로(510)와 실내기(200)과 원격제어기(400)를 연결하는 제1 통신선로(5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통신선로(510)와 제2 통신선로(520)는 공기조화기(1)가 이용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가 통신과 관련하여 RS-485 (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방식을 이용하면 통신선로(510, 520)는 플러스 통신선과 마이너스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고, RS-232C 통신방식을 이용하면 통신선로(510, 52)는 신호선과 접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공기조화기(1)는 구성기기(100, 200, 300, 400) 사이의 통신과 관련하여 차동 모드로 고주파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RS-485 통신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하겠지만, 원격제어기(4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며, 복수의 실내기(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하여 실내기(200)와 원격제어기(40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통신선로(520)는 실내기(200)와 원격제어기(400) 사이의 통신신호의 통로가 될 뿐만 아니라 실내기(200)로부터 원격제어기(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다시 말해, 통신의 통로가 되는 한 쌍의 통신선을 통하여 실내기(200)와 원격제어기(400)는 고주파 통신신호를 송수하면서 실내기(200) 가운데 어느 하나가 원격제어기(4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실외기 조작부(102),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외기 표시부(103), 실외기(100)에 포함된 압축기(110)와 사방밸브(130)를 구동하는 실외기 구동부(106), 실외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외기 저장부(107),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실내기(200) 및 분배기(300)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부(108), 실내기(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외기 전원부(109), 실외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부(101)를 포함한다.
실외기 조작부(102)는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외기 표시부(103)는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외기 조작부(102)와 실외기 표시부(103)는 실외기 조작부(102)와 실외기 표시부(103)를 일체화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기 구동부(106)는 실외기 제어부(10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110), 사방밸브(130)를 구동한다. 특히, 실외기 구동부(106)는 압축기(110)를 구동하기 위하여 압축기 모터(미도시)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저장부(107)는 실외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실외기(1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D-RAM), S-램(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부(108)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내기(200) 및 분배기(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전원부(109)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101)는 실외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실외기 통신부(108)를 통하여 제3 실내기(200-3)로부터 냉방 요청이 수신되면, 실외기 제어부(101)는 냉방 요청 수신 신호를 제3 실내기(300-3)에 전송하기 위하여 실외기 통신부(108)를 제어하고, 압축기(110)가 가동되도록 실외기 구동부(106)를 제어하고, 제3 냉방밸브(도 2의 310-3) 개방 요청 신호를 분배기(300)에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108)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실외기 제어부(101)는 실외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 각각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b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 전원부와 실내기 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실내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실내기 조작부(202),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내기 표시부(203), 실내기(200)가 위치하는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204), 실내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내기 저장부(207),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실외기(100), 다른 실내기, 분배기(300) 및 원격제어기(400)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부(208), 실내기(20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내기 전원부(209), 실내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201)를 포함한다.
실내기 조작부(202)는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별도의 원격제어기(400)를 포함하므로 실내기(200)의 실내기 조작부(202)는 실내기(2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미도시)를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실내기 표시부(203)는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별도의 원격제어기(400)를 포함하므로 실내기(200)의 실내기 조작부(202)는 해당 실내기(200)의 전원 공급 여부 및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 엘이디(미도시) 및 동작 표시 엘이디(미도시)를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온도검출부(204)는 실내기(200)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온도검출부(204)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저장부(207)는 실내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실내기(2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 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208)는 제1 통신선로(510)를 통하여 RS-485 통신방식으로 실외기(100), 다른 실내기 및 분배기(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실내기 통신모듈(208a),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RS-485 통신방식으로 원격제어기(4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실내기 전원부(600)가 생성한 전원을 원격제어기(400)에 공급하는 제2 실내기 통신모듈(600)을 포함한다.
제2 실내기 통신모듈(6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내기 전원부(209)는 실내기(200) 또는 원격제어기(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201)는 실내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온도검출부(204)의 검출결과 실내 온도가 냉방 목표 온도보다 높으며, 실내기 제어부(201)는 실외기(100)에 냉방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실내기 통신부(208)를 제어하고, 공기조화기(1)가 냉방 동작 중임을 표시하도록 실내기 표시부(203)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실내기 제어부(101)는 실내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분배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배기(30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분배기(3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분배기 조작부(302), 분배기(3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분배기 표시부(303), 분배기(300)에 포함된 난방밸브(320) 및 냉방밸브(310)를 구동하는 분배기 구동부(306), 분배기(3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배기 저장부(307),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실외기(100),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분배기 통신부(308), 분배기(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배기 전원부(309), 분배기(3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분배기 제어부(301)를 포함한다.
분배기 조작부(302)는 전원 입력 등의 분배기(3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배기 표시부(103)는 분배기의 연결 상태 등의 분배기(3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분배기(300)는 분배기 조작부(302) 또는 분배기 표시부(30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분배기 구동부(306)는 분배기 제어부(30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난방밸브(320) 및 냉방 밸브(310)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난방밸브(320)및 냉방 밸브(310)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동 전류를 생성하여 난방밸브(320)및 냉방 밸브(310)에 제공한다.
분배기 저장부(307)는 분배기(3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분배기(3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통신부(308)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전원부(309)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제어부(301)는 분배기(3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분배기 통신부(308)를 통하여 실외기(100)로부터 제3 냉방밸브(도 2의 310-3)에 대한 개방 요청이 수신되면 분배기 제어부(301)는 실외기(100)로 밸브 개방 요청 수신 신호를 실외기(100)에 전송하도록 분배기 통신부(308)를 제어하고, 제3 냉방밸브(도 2의 310-3)를 개방하도록 분배기 구동부(30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분배기 제어부(301)는 분배기(3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7b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 전원부와 원격제어기 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원격제어기(40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원격제어기 조작부(402),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 표시부(403), 원격제어기(4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격제어기 저장부(407), 실내기(200) 및 다른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는 원격제어기 통신부(408), 원격제어기(4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원격제어기 전원부(409), 원격제어기(4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 제어부(401)를 포함한다.
원격제어기 조작부(402)는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기 표시부(403)는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 저장부(407)는 원격제어기(4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기(4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 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 통신부(408)는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RS-485 통신 방식으로 실내기(200)와 통신하고, 제2 통신선로(520)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후술할 원격제어기 전원부(409)에 전달하는 원격제어기 통신모듈(408a)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 전원부(409)는 원격제어기 통신부(408)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원격제어기(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부분에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기 제어부(401)는 원격제어기(4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기 조작부(402)를 통하여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변경하면 원격제어기 제어부(401)는 변경된 희망 온도를 표시하도록 원격제어기 표시부(403)를 제어하고, 변경된 희망 온도를 실내기(200)에 전달하도록 원격제어기 통신부(408)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원격제어기 제어부(401)는 원격제어기(4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실내기가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 일 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실내기, 원격제어기 및 제2 통신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통신선로(520)는 제2 양의 통신선(521) 및 제2 음의 통신선(522)를 포함하며, 실내기(200) 및 원격제어기(400)는 한 쌍의 통신선(521, 522)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실내기(2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원격제어기(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시 말해, 복수의 실내기(20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실내기는 한 쌍의 통신선(521, 522) 가운데 어느 하나의 통신선에는 직류 전압을 인가되고 다른 하나의 통신선을 접지한다. 이때 실내기(200)에 포함된 제2 실내기 통신모듈(600, 도 5b 참조)은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2 통신선로(520)에 실내기 전원부(209)가 생성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포함된 제2 실내기 통신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실내기 통신모듈(600)는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직류 전원을 차단하는 실내기 통신필터(620),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실내기 통신회로(630),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공급회로(610)를 포함한다.
실내기 통신필터(620)는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해 전송되는 직류 전원과 고주파 통신신호 가운데 고주파 통신신호를 통과시키고 직류 전원을 차단하며,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하이 패스 필터(high-pass filter) 또는 미리 정해진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회로(630)는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신호를 디코딩하거나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통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485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실내기 통신회로(630)는 실내기 제어부(201, 도 3 참조)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차동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제2 통신선로(520)를 통하여 수신된 차동 모드 신호를 5V의 2진 신호(binary signal)로 변환한다.
전원공급회로(610)는 제2 통신선로(520)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실내기 전원부(209)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 통신선로(52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공급회로(6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제2 실내기 통신모듈(60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의 다른 구성과 분리되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기(200)에 포함되는 실내기 제어부(201), 실내기 저장부(207), 실내기 전원부(209) 등은 도 10a에 도시된 제1 인쇄 회로 기판(11)에 실장되는 반면 실내기 통신부(208)에 포함되는 제2 실내기 통신모듈(600)은 도 10a에 도시된 제2 인쇄 회로 기판(12)에 실장되고, 제1 인쇄 회로 기판(1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2)는 커넥터(13)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인쇄 회로 기판(1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2)이 별도로 마련된 경우,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는 설치자의 착오로 인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쇄 회로 기판(1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 접속이 제대로 이루지지 않을 염려가 있다. 즉, 제1 인쇄 회로 기판(1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불량을 판단하기 위해서 공기조화기(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불량 감지회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불량 감지회로(700)는 커넥터(13)의 접속 불량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실내기 제어부(201, 도 5a)d에 제공한다.
접속불량 감지회로(7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회로 및 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회로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전원공급회로(610)는 제2 통신선로(521, 522)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 및 그 방향을 감지하는 한 쌍의 포토 커플러(611, 612), 한 쌍의 포토 커플러(611, 612)의 동작에 따라 전원 전압(Vcc) 또는 접지 전압(GND)를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풀업 저항(Rpu1, Rpu2)과 한 쌍의 로드 커패시터(Co1, Co2)를 포함한다.
전원공급회로(610)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커플러(611, 612)는 모두 오프된다. 그 결과, 전원공급회로(610)의 제1 출력단자(Out1)와 제2 출력단자(Out2)는 제1 풀업 저항(Rpu1)과 제2 풀업 저항(Rpu2)에 통하여 각각 전원 전압 즉 "1"의 논리값을 출력한다.
다른 실내기에 의하여 제2 통신선로(520) 가운데 제2 양의 통신선(521)을 양극으로 하고 제2 음의 통신선(522)을 음극으로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토 커플러(611)는 온되고 제2 포토 커플러(612)는 오프된다. 그 결과, 제1 출력단자(Out1)는 제1 포토 커플러(611)를 통하여 접지 전압 즉 "0"의 논리값을 출력하고, 제2 출력단자(Out2)는 제2 풀업 저항(Rpu2)를 통하여 전원 전압 즉, "1"의 논리값을 출력한다.
다른 실내기에 의하여 제2 통신선로(520) 가운데 제2 양의 통신선(521)을 음극으로 하고 제2 음의 통신선(522)을 양극으로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터 커플러(611)는 오프되고 제2 포토 커플러(612)는 온된다. 그 결과, 제1 출력단자(Out1)는 제1 풀업 저항(Rpu1)를 통하여 전원 전압 즉 "1"의 논리값을 출력하고, 제2 출력단자(Out2)는 제2 포토 커플러(612)를 통하여 접지 전압 즉, "0"의 논리값을 출력한다.
요약 하면, 전원공급회로(6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공급정보를 실내기 제어부(201, 도 5a 참조)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전원공급회로(610)는 "11"을 출력하고, 제2 통신선로(520)의 제2 양의 통신선(521)을 양극으로 하고 제2 음의 통신선(522)을 음극으로 하는 전원이 공급되면 즉, 제2 통신선로(520)에 실내기(200)와 같은 방향(정상 전원)의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공급회로(610)는 "01"을 출력한다. 또한, 제2 통신선로(520)의 제2 양의 통신선(521)을 음극으로 하고 제2 음의 통신선(522)을 양극으로 하는 전원이 공급되면 즉, 제2 통신선로(520)에 실내기(200)와 반대 방향의 전원(역극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공급회로(610)는 "10"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 통신선로(520)에 대한 전원공급정보는 제1 인쇄 회로 기판(11, 도 10a 참조)과 제2 인쇄 회로 기판(12, 도 10a 참조)을 연결하는 커넥터(13, 도 10a 참조)를 통하여 실내기 제어부(201, 도 5a 참조)에 전달한다.
이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3, 도 10a 참조)의 접속이 불량하면 실내기 제어부(201, 도 5a 참조)에는 임의의 정보가 입력된다. 즉, 실내기 제어부(201, 도 5a 참조)에 전원공급정보가 입력되는 전원공급정보 입력단자는 전원(Vcc)과 접지(GND)가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므로 전원공급정보 입력단자에는 임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제어부(201, 도 5a 참조)와 커넥터(13, 도 10a 참조) 사이에 접촉불량 감지회로(700)를 포함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접속불량감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은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접속불량감지회로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실내기 제어부(201)에 전원공급정보가 입력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정보 입력단자와 커넥터(13)를 연결하는 한 쌍의 도선과 접지(GND)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풀다운 저항(Rpd1, Rpd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3)를 통하여 전원공급정보가 입력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입력된 전원공급정보를 실내기 제어부(201)에 그대로 전달하고, 커넥터(13)가 개방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실내기 제어부(201)의 한 쌍의 전원공급정보 입력단자를 접지(GND)와 연결시킨다. 즉, 커넥터(13)가 개방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00"의 논리값을 출력한다.
요약 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불량정보를 실내기 제어부(201)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선로(5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11" 즉 전원 미공급 신호를 출력하고, 제2 통신선로(520)에 실내기(200)와 같은 방향의 전원(정상 전원)이 공급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01" 정상 전원공급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2 통신선로(520)에 실내기(200)와 반대 방향의 전원(역극 전원)이 공급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의 제1 출력단자(Out1)와 제2 출력단자(Out2)는 "10" 즉 역극 전원공급 신호를 출력하고, 커넥터(13)의 접속이 불량하면 접속불량감지회로(700)는 "00" 즉 접속불량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전원공급회로(610)와 접속불량감지회로(700)를 통하여 실내기(200)는 전원공급정보와 함께 접속불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200)는 접속불량감지회로(700)의 출력이 "11"이면 실내기 통신모듈(600)을 제어하여 제2 통신선로(52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접속불량감지회로(700)의 출력이 "01"이거나 "10"이면 실내기 통신모듈(600)을 제어하여 제2 통신선로(520)로의 직류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실내기(200)는 접속불량감지회로(700)의 출력이 "00"이면 사용자에게 통신모듈 접속불량을 경고한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개시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0: 실외기
200: 실내기 300: 분배기
400: 원격제어기 510: 제1 통신선로
520: 제2 통신선로 600: 제2 실내기 통신모듈
610: 전원공급회로 620: 실내기 전원필터
630: 실내기 통신회로 700: 접속불량 감지회로
200: 실내기 300: 분배기
400: 원격제어기 510: 제1 통신선로
520: 제2 통신선로 600: 제2 실내기 통신모듈
610: 전원공급회로 620: 실내기 전원필터
630: 실내기 통신회로 700: 접속불량 감지회로
Claims (11)
-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는,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하고,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전원 미공급 신호와,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정상 극성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상 전원 공급 신호와,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반전 극성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는 역극 전원 공급 신호와,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의 접속이 불량한 것을 나타내는 전속 불량 신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선로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
상기 통신선로를 통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와 고주파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회로;
상기 고주파 통신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직류 전원은 차단하는 통신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RS-485 (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제어기와 상기 고주파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공기조화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필터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또는 직류 신호를 차단하는 하이 패스 필터(high-pass filter)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필터는 미리 정해진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476A KR102129299B1 (ko) | 2013-06-11 | 2013-06-11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476A KR102129299B1 (ko) | 2013-06-11 | 2013-06-11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483A KR20140144483A (ko) | 2014-12-19 |
KR102129299B1 true KR102129299B1 (ko) | 2020-07-06 |
Family
ID=5267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476A KR102129299B1 (ko) | 2013-06-11 | 2013-06-11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929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13041B2 (ja) * | 1992-08-11 | 1998-02-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装置 |
KR100286549B1 (ko) * | 1997-12-24 | 2001-04-16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 통신제어장치 |
JP4179763B2 (ja) * | 2000-04-24 | 2008-11-12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通信制御システム |
JP2013113519A (ja) | 2011-11-30 | 2013-06-10 | Fujitsu General Ltd | マルチ型空気調和機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066B1 (ko) * | 2010-08-05 | 2016-01-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통신 방법 |
-
2013
- 2013-06-11 KR KR1020130066476A patent/KR1021292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13041B2 (ja) * | 1992-08-11 | 1998-02-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装置 |
KR100286549B1 (ko) * | 1997-12-24 | 2001-04-16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 통신제어장치 |
JP4179763B2 (ja) * | 2000-04-24 | 2008-11-12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通信制御システム |
JP2013113519A (ja) | 2011-11-30 | 2013-06-10 | Fujitsu General Ltd | マルチ型空気調和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483A (ko) | 2014-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9294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US9217578B2 (en) | Power device and safety control method thereof | |
US8788102B2 (en) | Air conditioner | |
JP2008249233A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KR20140129779A (ko)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 |
US9104188B2 (en) |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0619875B2 (en) | Air-conditioning system | |
KR10212929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167330B1 (ko) | 공기조화기 | |
US9581349B2 (en) |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949276B1 (ko)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2129912B1 (ko) | 공기조화기 | |
CN102287872A (zh) | 室内单元和具有该室内单元的空调系统 | |
JP2002164822A (ja) | 電力線搬送用端末設定装置 | |
KR102327681B1 (ko) | 공기 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 |
KR102295972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40100651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2205163B1 (ko)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 |
KR102114310B1 (ko)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 |
KR102295973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80616B1 (ko) | 내부 통신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달리하는 공기 조화 장치 | |
KR102197318B1 (ko)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노이즈를 방지하는 공기 조화 장치 | |
KR101064372B1 (ko) |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 |
KR20220095970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 | |
CN115900026A (zh) | 一种空调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