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42A -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42A
KR20110093142A KR20100013004A KR20100013004A KR20110093142A KR 20110093142 A KR20110093142 A KR 20110093142A KR 20100013004 A KR20100013004 A KR 20100013004A KR 20100013004 A KR20100013004 A KR 20100013004A KR 20110093142 A KR20110093142 A KR 2011009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area
information display
application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918B1 (ko
Inventor
김효영
황재준
서애정
신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18B1/ko
Priority to EP11154208.0A priority patent/EP2360569B1/en
Priority to JP2012552810A priority patent/JP5968788B2/ja
Priority to PCT/KR2011/000929 priority patent/WO2011099806A2/en
Priority to US13/025,424 priority patent/US9575647B2/en
Priority to CN201180008852.XA priority patent/CN102754352B/zh
Publication of KR2011009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보들을 정보표시영역들을 통해 동시에 표시하고, 정보표시영역들의 각 정보들과 연계된 각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로 이루어진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 중 특정 정보영역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인터랙션이 입력된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URAL INFORMATIONS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정보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단말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일작업(single tasking) 형식으로 동작하였다. 즉, 종래의 휴대단말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해당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멀티태스킹에 의해 백그라운드 처리 후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의 화면을 표시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각각의 정보들을 동시에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의해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복수의 정보들을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정보들을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맞추어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정보표시영역들을 제공하고, 각 정보표시영역들에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해당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세 정보 표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복수의 정보들을 표시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변경된 정보를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자동 업데이트하도록 하여 휴대단말의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로 이루어진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 중 특정 정보영역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인터랙션이 입력된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휴대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로 구성된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 중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복수의 정보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맞추어 표시하고 표시된 정보들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의하여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복수의 정보들을 동시에 확인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상세 정보 표시 및 관리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어플리케이션별 해당 정보 수정을 위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access)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를 통해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 간 전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편집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정보표시영역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정보표시영역에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해당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정보 표시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정보들을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맞추어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정보 관리가 가능한 휴대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부(100), 저장부(200), 표시부(300), 그리고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방송모듈, 사진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표시영역 선택, 통합 어플리케이션들 간 전환 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표시부(3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복수의 정보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 실행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통합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실제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된 정보들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동안 관련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영역(예컨대, 버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책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촬영 기능, 사진보기 기능,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30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각 정보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정보표시영역들을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정보들을 표시한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복수의 정보들을 동시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합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정보표시영역들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정보표시영역들에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들을 표시할 시 해당 정보들을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정보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정보들은 실제 정보들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부(200)에 지속적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정보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여 그들의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200)에 지속적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복수의 다른 정보들을 표시한 후 정보표시영역을 통해 특정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입력된 인터랙션에 따라 인터랙션이 입력된 해당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정보의 실제 정보를 표시하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운용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실행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다른 각각의 정보들을 자동으로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맞추어 표시한다. 그리고 정보표시영역에 제공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가 변경될 시 변경된 실제 데이터의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복수의 정보들을 자동적으로 포맷팅하여 표시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표시 정보영역에서 특정 정보에 입력된 인터랙션에 따라 그에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하고 실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한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어플리케이션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기능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복수의 정보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동시 표시 및 그의 제어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특정 날짜의 사진정보와 메모정보와 같은 두 개의 정보들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시에 제공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일정정보&메모정보, 일정정보&사진정보, 메시지정보&사진정보, 메일정보&사진정보, 사진정보&동영상정보, 메모정보&동영상정보, 일정정보&메모정보&사진정보 등과 같이 두 개의 다른 정보들 또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정보들이 분할된 정보표시영역들에 각각 표시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300)는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610, 630)로 구분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500), 옵션 설정,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메뉴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영역(700) 등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 메뉴영역(700)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정보표시영역(600)이 두 개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다. 하지만, 정보표시영역(600)은 휴대단말의 기본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세 개 이상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500)은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두 개의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들(510, 530)이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실행화면들(510, 530) 간의 전환 방법은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휴대단말은 설정된 방법으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미도시) 입력, 표시부(300) 상에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할당된 터치영역의 입력, 메뉴영역(700)의 메뉴 선택 입력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입력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에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두 개의 실행화면들(510, 530)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1 실행화면(510)과 제2 실행화면(530)이 나타난다. 제2 실행화면(530)은 그 윤곽만 제공되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각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이루어지면 제1 실행화면(510)에 두 개의 영역들로 구분된 정보표시영역들(610, 630) 각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각각의 정보들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메모정보가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10)에는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사진정보가 나타난다. 그리고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메모정보와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사진정보는 동일 날짜에 기록 및 촬영되어 저장된 정보들을 나타낸다. 이에 실행화면(500)은 날짜정보를 정보표시영역(600) 중 설정된 특정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정보표시영역, 제2 정보표시영역, 메모 어플리케이션, 사진 어플리케이션, 제1 실행화면, 제2 실행화면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정보표시영역(600)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00)에 표시 가능하도록 실제 데이터가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대응하도록 변경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표시영역(510)의 메모정보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실제 데이터가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규격에 대응하는 포맷으로 변환된 아이템으로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사진정보는 사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된 실제 데이터가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규격에 대응하는 포맷으로 변환된 아이템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이템은 정보표시영역(600)에 제공되는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정적인 이미지 형태로 제공되거나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 간 전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제1 실행화면(510)과 제2 실행화면(530)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행화면(510)은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메모정보가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사진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참조번호 301과 같이 표시부(300)에 제1 실행화면(510)이 메인으로 나타난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제2 실행화면(530)을 메인 화면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행화면(530)을 선택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인터랙션 입력은 실행화면(530)을 선택하는 입력이거나 화면 전환을 명령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 입력은 탭 인터랙션, 스윕 인터랙션, 플릭 인터랙션, 드래그 인터랙션, 무브 인터랙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제2 실행화면(530)이 나타난다. 제1 실행화면(510)에 나타난 정보들과 제2 실행화면(530)에 나타난 정보들은 동일 날짜의 다른 정보들이거나 또는 다른 날짜의 다른 정보들일 수 있다. 이때, 제1 실행화면(510)의 표시는 생략되고 제2 실행화면(530)의 위치에 제3 실행화면(550)의 윤곽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설정된 정보들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실행화면(510)의 정보들과 제2 실행화면(530)의 정보들만 존재할 시 제3 실행화면(550) 대신 제1 실행화면(510)의 윤곽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500)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화면(500)은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메모정보가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사진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메모정보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성되고 저장된 실제 메모 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의해 표시되고, 사진정보는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되고 저장된 실제 사진 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진 데이터는 실제 사진만을 제공하거나 또는 실제 사진과 그에 따라 기록된 메모(예컨대, 촬영 장소, 시간, 관련 내용 등)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401과 같이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표시영역(600)에 인터랙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예컨대, 메모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예컨대, 사진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도 4에서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메모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예컨대, 실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정보가 나타난 제1 정보표시영역(610)을 선택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은 입력부(100)에 의한 물리적인 키 입력 또는 표시부(300)에서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의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참조번호 403에서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나타난 메모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메모 데이터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예컨대, 메모 데이터)를 추적하고 그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메모 데이터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을 통해 나타난 메모정보를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전체 메모정보가 제공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403과 같은 상태에서 표시부(300)에 표시된 메모 데이터의 편집 또는 다른 메모 데이터(예컨대, 이전 메모 데이터, 다음 메모 데이터)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메모 데이터와 같은 실제 데이터의 편집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참조번호 4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300)의 화면에서 이전 또는 이후의 데이터 표시를 명령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전 데이터 표시를 명령하는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의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 후 우측으로 이동하는 스윕 입력과 같은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전환을 위한 인터랙션은 입력부(100)의 물리적인 키(예컨대, 방향키)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403의 메모 데이터 이전의 메모 데이터가 표시부(300)에 나타난다. 본 명세서에서 이전 메모 데이터, 다음 메모 데이터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5의 이전 메모 데이터는 참조번호 403의 메모 데이터보다 이전에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403의 메모 데이터보다 이전 날짜에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 데이터이거나 참조번호 403의 메모 데이터와 동일 날짜에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403 또는 참조번호 405와 같은 상태에서 다음 메모 데이터 표시를 명령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입력에 따라 현재 표시부(300) 상에 표시된 메모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음에 위치하는 메모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3 또는 참조번호 405와 같은 상태에서 표시부(300)의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 후 좌측으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표시부(300)에 다음 메모 데이터가 나타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500)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화면(500)은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메모정보가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사진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정보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성되고 저장된 실제 메모 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의해 표시되고, 사진정보는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되고 저장된 실제 사진 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501과 같이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표시영역(600)에 인터랙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도 5에서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참조번호 5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사진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예컨대, 실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정보가 나타난 제2 정보표시영역(630)을 선택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100)에 의한 물리적인 키 입력 또는 표시부(300)에서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의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참조번호 503에서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나타난 사진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사진 데이터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예컨대, 사진 데이터)를 추적하고 그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사진 데이터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을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원본크기로 확대하고 사진 데이터와 관련된 전체 내용이 제공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503과 같은 상태에서 표시부(300)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의 편집 또는 다른 사진 데이터(예컨대, 이전 사진 데이터, 다음 사진 데이터)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사진 데이터와 같은 실제 데이터의 편집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참조번호 5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300)의 화면에서 이전 또는 이후의 데이터 표시를 명령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전 데이터 표시를 명령하는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의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 후 우측으로 이동하는 스윕 입력과 같은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전환을 위한 인터랙션은 입력부(100)의 물리적인 키(예컨대, 방향키)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503의 사진 데이터 이전의 사진 데이터가 표시부(300)에 나타난다. 본 명세서에서 이전 사진 데이터, 다음 사진 데이터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5의 이전 사진 데이터는 참조번호 503의 사진 데이터보다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503의 사진 데이터보다 이전 날짜에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 데이터이거나 참조번호 503의 사진 데이터와 동일 날짜에 촬영되어 저장된 사진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503 또는 참조번호 505와 같은 상태에서 다음 사진 데이터 표시를 명령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입력에 따라 현재 표시부(300) 상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음에 위치하는 사진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3 또는 참조번호 505와 같은 상태에서 표시부(300)의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 후 좌측으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표시부(300)에 다음 사진 데이터가 나타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500)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화면(500)은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메모정보가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사진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601과 같이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표시영역(600)에 인터랙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경우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메모정보와 연계된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경우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사진정보와 연계된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난다.
참조번호 603 또는 참조번호 605와 같이 정보표시영역(60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이 나타난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미도시) 입력, 표시부(300) 상의 더블 탭 입력, 메뉴 선택에 의한 백(back) 기능 선택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환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부(300) 상에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을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603과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화면에서 특정 영역에 더블 탭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603의 메모 어플리케이션 또는 참조번호 605의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전의 화면이 나타난다. 즉,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00)이 나타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편집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상에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500)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화면(500)은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메모정보가 나타나고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사진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정된 방법으로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메모정보와 연계된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사진정보와 연계된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하다. 도 7에서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입력된 인터랙션에 따라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의 화면이 나타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상기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은 참조번호 701에서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나타난 사진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사진 데이터의 화면이 나타난다.
참조번호 703과 같은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표시부(300)에 나타난 사진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3과 같은 상태에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 입력, 표시부(300)를 이용한 설정된 제스처 입력, 메뉴를 이용한 편집메뉴 선택 입력 등과 같은 인터랙션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진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참조번호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모드의 화면이 나타난다.
참조번호 7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진 데이터에서 사진 및 관련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사진 데이터와 그에 관련된 내용을 변경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동작은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편집 툴을 이용하여 첨부 사진 선택, 메모 입력, 사진 수정, 이펙트 부여 등 다양한 편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참조번호 707과 같이 사진 데이터의 편집 완료를 입력하면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모드를 종료하고 편집 완료된 사진 데이터의 화면이 나타난다.
참조번호 709와 같은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미도시) 입력, 표시부(300) 상의 더블 탭 입력, 메뉴 선택에 의한 백 기능 선택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환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부(300) 상에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을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0) 화면에서 특정 영역에 더블 탭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00)이 나타난다. 이때, 참조번호 711에서 실행화면(500)의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나타나는 메모정보는 참조번호 701에서 실행화면(500)의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나타나는 메모정보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반면, 참조번호 711에서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나타나는 사진정보는 참조번호 701에서 실행화면(500)의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나타나는 사진정보와 다르게 나타난다. 즉, 참조번호 705 내지 참조번호 709의 진행을 통해 변경된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진정보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개별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실행하여 편집 희망 데이터를 선택하는 절차 없이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바로 진입을 통해 편집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메모정보의 편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입력된 인터랙션을 통해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실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고, 실제 메모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이후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로 전환 시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사진정보는 유지되고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메모정보는 상기 편집에 따라 변경된 정보가 나타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메모정보 및 사진정보를 모두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801단계).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00)을 구성한다(8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실행화면(500)의 정보표시영역(600)의 분할 개수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실행화면(예컨대, 제1 정보표시영역(610)과 제2 정보표시영역(630)으로 구분된 실행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00) 중 메인으로 표시되는 실행화면(예컨대, 실행화면(510))의 정보표시영역(600)에 제공되는 정보들을 추출한다(8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제공될 정보의 데이터 주소와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제공될 정보의 데이터 주소를 추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각 정보들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들의 포맷을 변환한다(8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각 정보들의 데이터 주소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제1 정보표시영역(610)과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표시 규격에 대응하는 포맷으로 각각 변환한다(807단계). 그리고 제어부(400)는 실제 데이터가 변환된 정보들을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보표시영역(610)과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각각 표시한다(809단계).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실행화면(500)의 제1 정보표시영역(610)과 제2 정보표시영역(630)을 통해 복수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설정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다(8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가 제1 정보표시영역(610) 또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하면 인터랙션이 입력된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8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에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하면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고 그의 실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에 인터랙션 입력을 감지하면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고 그의 실행을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과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타입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하지만, 각 정보표시영역들의 정보들과 연계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동일한 타입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정보표시영역들에 표시 설정되는 정보들의 타입에 따라 결정되거나, 정보표시영역들에 대한 사용자의 지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실제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8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1 정보표시영역(610)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추적하여 표시부(30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2 정보표시영역(630)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추적하여 표시부(30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실제 데이터의 화면 표시 상태에서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8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전 데이터 또는 다음 데이터로 전환하는 인터랙션(예컨대, 스윕 인터랙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랙션의 진행에 따라 이전 데이터 또는 다음 데이터로 전환하여 해당 데이터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인터랙션(예컨대, 더블 탭 인터랙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랙션에 따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종료하고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편집모드로 전환하는 인터랙션(예컨대, 탭 인터랙션, 편집메뉴 선택 인터랙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랙션에 따라 편집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편집모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편집 동작(예컨대, 실제 데이터 변경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편집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편집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변경된 실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시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실행화면 표시 시 변경된 실제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여 해당 정보표시영역에 변경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00)는 변경된 실제 데이터에 따라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고 그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저장부
300: 표시부 400: 제어부
500, 510, 530: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600, 610, 630: 정보표시영역

Claims (15)

  1.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로 이루어진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 중 특정 정보영역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인터랙션이 입력된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은
    제1 정보표시영역과 제2 정보표시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실행화면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표시영역과 상기 제2 정보표시영역을 통해 제공할 실제 데이터들의 포맷을 변환하는 과정과,
    실제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된 정보들을 상기 제1 정보표시영역과 상기 제2 정보표시영역 각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표시영역 또는 제2 정보표시영역에 인터랙션이 입력될 시 상기 인터랙션이 입력된 정보표시영역의 해당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를 추적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실제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 또는 다음 데이터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편집모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모드에 따라 실제 데이터가 변경될 시 상기 실제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정보표시영역의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모드에서 상기 실제 데이터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실제 데이터 변경 후 상기 편집모드를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실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화면 표시 시 변경된 실제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여 해당 정보표시영역에 변경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데이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타입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정보 제공 방법.
  11. 휴대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로 구성된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 중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정보표시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표시영역들은
    실제 데이터가 상기 정보표시영역들의 표시 규격에 대응하게 그 포맷이 변환된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정보표시영역과 제2 정보표시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실행화면을 구성할 시 제1 정보표시영역에 제공될 정보의 데이터 주소와 제2 정보표시영역에 제공될 정보의 데이터 주소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주소에 따라 추적하는 실제 데이터들을 상기 제1 정보표시영역과 상기 제2 정보표시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각 정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제 데이터가 변경될 시 실제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정보표시영역의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00013004A 2010-02-11 2010-02-11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04A KR101673918B1 (ko) 2010-02-11 2010-02-11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11154208.0A EP2360569B1 (en) 2010-02-11 2011-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s of multiple applications
JP2012552810A JP5968788B2 (ja) 2010-02-11 2011-02-11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PCT/KR2011/000929 WO2011099806A2 (en) 2010-02-11 2011-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US13/025,424 US9575647B2 (en) 2010-02-11 2011-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CN201180008852.XA CN102754352B (zh) 2010-02-11 2011-02-11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04A KR101673918B1 (ko) 2010-02-11 2010-02-11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42A true KR20110093142A (ko) 2011-08-18
KR101673918B1 KR101673918B1 (ko) 2016-11-09

Family

ID=4366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04A KR101673918B1 (ko) 2010-02-11 2010-02-11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5647B2 (ko)
EP (1) EP2360569B1 (ko)
JP (1) JP5968788B2 (ko)
KR (1) KR101673918B1 (ko)
CN (1) CN102754352B (ko)
WO (1) WO20110998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0604B2 (en) 2011-04-20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421973B2 (ja) * 2011-10-24 2014-02-19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生産機械の表示装置
US8874162B2 (en) 2011-12-23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467834B2 (en) 2011-12-23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emergency service
US20130305354A1 (en) 2011-12-23 2013-11-14 Microsoft Corporation Restricted execution modes
US9325752B2 (en) 2011-12-23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te interaction hubs
US9363250B2 (en) 2011-12-23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coordination service
US9420432B2 (en) 2011-12-23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s control
KR102006470B1 (ko) 2011-12-28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US9202433B2 (en) 2012-03-06 2015-12-01 Apple Inc. Multi operation slider
US9131192B2 (en) 2012-03-06 2015-09-08 Apple Inc. Unified slider control for modifying multiple image properties
US20130238747A1 (en) 2012-03-06 2013-09-12 Apple Inc. Image beaming for a media editing application
US9041727B2 (en) 2012-03-06 2015-05-26 Apple Inc. User interface tools for selectively applying effects to image
AU2012376152A1 (en) * 2012-04-07 2014-10-23 Motorola Mobility Llc Text select and enter
CN108897420B (zh) 2012-05-09 2021-10-22 苹果公司 用于响应于手势在显示状态之间过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CN108287651B (zh) 2012-05-09 2021-04-13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方法和装置
CN104487929B (zh) 2012-05-09 2018-08-17 苹果公司 用于响应于用户接触来显示附加信息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EP3410287B1 (en) 2012-05-09 2022-08-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CN104487930A (zh) 2012-05-09 2015-04-01 苹果公司 用于移动和放置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AU2013259614B2 (en) 2012-05-09 2016-08-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KR20140003944A (ko) * 2012-07-02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전자책 제어장치 장치 및 방법
KR101984673B1 (ko) 2012-07-27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30076B2 (en) 2012-08-30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hild share
EP3435220B1 (en) 2012-12-29 2020-09-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EP2939097B1 (en) 2012-12-29 2018-12-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user interface hierarchies
CN104885050B (zh) 2012-12-29 2017-12-08 苹果公司 用于确定是滚动还是选择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4903835B (zh) 2012-12-29 2018-05-04 苹果公司 用于针对多接触手势而放弃生成触觉输出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EP2939095B1 (en) 2012-12-29 2018-10-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WO2014176744A1 (en) * 2013-04-28 2014-11-0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An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and sharing platform
US9998866B2 (en) 2013-06-14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geo-fence events using varying confidence levels
US9820231B2 (en) 2013-06-14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lescing geo-fence even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EP3620903A1 (en) * 2013-09-03 2020-03-1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CN104683548B (zh) * 2013-11-28 2017-05-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手持设备的信息显示方法及其系统
KR102561200B1 (ko) 2014-02-10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161603B1 (en) 2014-06-27 2019-10-16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US10146409B2 (en) * 2014-08-29 2018-1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erized dynamic splitting of interaction across multiple content
CN113824998A (zh) 2014-09-02 2021-12-2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WO2016036414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297002B2 (en) * 2015-03-10 2019-05-21 Intel Corporation Virtual touch pa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isplay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CN107172110A (zh) 2016-03-07 2017-09-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app的资源加载方法、业务功能实现方法及装置
CN106201249B (zh) * 2016-06-28 2022-05-31 联想(北京)有限公司 通知信息的显示方法和显示装置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7943A (ja) * 2000-05-25 2001-12-07 Sony Corp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202482A (ja) * 2004-01-13 2005-07-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70049243A (ko) * 2004-10-08 2007-05-10 노키아 코포레이션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US20080288857A1 (en) * 2007-05-14 2008-11-20 Microsoft Corporation Sharing editable ink annotated images with annotation-unawar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5565A (en) * 1994-06-21 1996-02-27 Wang Laboratories, Inc. Integrated form document editor with form descriptor table, background bitmap, graphics editor and text editor, composite image generator and intelligent autofill
JP3986326B2 (ja) 2002-02-28 2007-10-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解像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030206197A1 (en) 2002-05-06 2003-11-06 Mcinerney Joh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s with persistent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ethods
JP4546072B2 (ja) 2003-12-12 2010-09-15 東京海上日動調査サービス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50164688A1 (en) 2004-01-27 2005-07-28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mobile telephone terminal
KR100594050B1 (ko) 2005-05-1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89088B1 (ko) 2006-04-24 2009-03-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의 다중작업 화면표시 방법
GB2443444A (en) * 2006-10-30 2008-05-0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Remotely editing a template document
KR101391602B1 (ko) * 2007-05-2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션 방법 및 멀티 미디어 단말 기기
KR20090058073A (ko) * 2007-12-04 2009-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090066368A (ko) 2007-12-20 200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US8375336B2 (en) * 2008-05-23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Panning content utilizing a drag operation
JP5049908B2 (ja) 2008-07-30 2012-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ンテンツ文書再生データ作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7943A (ja) * 2000-05-25 2001-12-07 Sony Corp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202482A (ja) * 2004-01-13 2005-07-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70049243A (ko) * 2004-10-08 2007-05-10 노키아 코포레이션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US20080288857A1 (en) * 2007-05-14 2008-11-20 Microsoft Corporation Sharing editable ink annotated images with annotation-unaware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7160A1 (en) 2011-08-11
US9575647B2 (en) 2017-02-21
WO2011099806A3 (en) 2011-11-24
CN102754352B (zh) 2014-12-17
JP5968788B2 (ja) 2016-08-10
CN102754352A (zh) 2012-10-24
KR101673918B1 (ko) 2016-11-09
EP2360569B1 (en) 2019-06-12
WO2011099806A2 (en) 2011-08-18
EP2360569A3 (en) 2015-02-18
JP2013519936A (ja) 2013-05-30
EP2360569A2 (en)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18B1 (ko)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US20220342519A1 (en)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US95355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multi-touch input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EP2503440B1 (en)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KR101857561B1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90614A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KR20120012541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10193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US20090063542A1 (en) Cluster Presentation of Digital Assets for Electronic Devices
CN105872683A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KR20110093099A (ko) 시간정보에 연계된 정보의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31357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WO2022083241A1 (zh) 信息引导方法及装置
CN103970411A (zh) 用于配制屏幕的方法和电子装置
KR20120076485A (ko)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55877A1 (zh) 应用图标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6389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779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23168B1 (ko)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10100378A (ko)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