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378A -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378A
KR20110100378A KR1020100019322A KR20100019322A KR20110100378A KR 20110100378 A KR20110100378 A KR 20110100378A KR 1020100019322 A KR1020100019322 A KR 1020100019322A KR 20100019322 A KR20100019322 A KR 20100019322A KR 20110100378 A KR20110100378 A KR 20110100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ound source
source information
recognized
system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0378A/ko
Publication of KR2011010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2Pianofortes with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된 컬러별 음원정보를 시각적인 출력 및 청각적인 출력을 통해 새로운 연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연주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모드 실행 시 컬러센서를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된 컬러에 따라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COLOR SENSOR}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컬러센서를 통해 컬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정보 출력을 통해 새로운 연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컬러센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연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러센서를 통해 컬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컬러에 해당하는 음원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정모드에서 인식된 컬러를 특정 음원과 매핑하여 음원정보로 저장하고, 연주모드에서 컬러 인식에 따라 해당 음원정보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로운 연주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컬러센서에서 인식된 컬러에 해당하는 음원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하여 휴대단말의 연주 기능에 따른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연주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모드 실행 시 컬러센서를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된 컬러에 따라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연주모드 및 설정모드 실행에 따른 관련 화면데이터 표시와 상기 연주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컬러를 검출하는 컬러센서와, 연주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설정모드에서 인식된 컬러별 음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설정모드에서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컬러별 음원정보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연주모드에서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컬러별 음원정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컬러 인식에 의한 연주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제한적인 기능을 컬러센서 접목에 의하여 새로운 연주 기능의 추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인식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하여 연주 기능에 대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컬러 인식에 따른 새로운 연주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흥미롭고 새로운 연주 방법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차별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컬러센서를 이용하여 연주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주모드 실행에 따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주모드 설정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주모드 실행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컬러센서(Color Sensor)를 이용하여 컬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컬러를 이용하여 새로운 연주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컬러센서를 구비한 휴대단말 및 그의 연주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주모드 실행 시 컬러센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주모드에서 컬러센서를 통해 컬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컬러에 따른 음원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컬러센서에 의한 컬러 인식 기반으로 새로운 연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저장부(130), 컬러센서(140), 표시부(150), 그리고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방송모듈, 사진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10)는 컬러센서(140) 활성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설정모드 실행, 연주모드 설정, 연주모드 실행,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 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사용자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20)는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신호는 비디오데이터 또는 오디오데이터(예컨대, 음원데이터)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신호, 특정 기능(예컨대, 컬러센서를 이용하는 연주 기능 등) 실행 및 그의 운용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예컨대, 음원정보의 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130)는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컬러센서(140)의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15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컬러센서(140)에 의한 컬러 인식에 따른 연주 기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음계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음원, 컬러센서(140)에 의해 인식된 컬러 및 그의 관련 정보(예컨대, 계이름)를 음원정보로 매핑하여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30)는 연주모드에서 인식된 컬러에 따라 재생되어 출력된 음원정보들을 음원데이터로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컬러센서(140)는 신호 정보의 하나인 컬러의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센서를 나타내며, 컬러필터(color filter)와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센서(140)는 주변의 광량 및 컬러를 측정하여 빛의 삼원색인 레드(Red, 이하 'R'이라 칭함), 그린(Green, 이하 'G'라 칭함), 블루(Blue, 이하 'B'라 칭함)를 컬러 고유 파장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별하고 그 양을 아날로그나 디지털 값으로 상기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상기 컬러센서(140)는 측정물을 광원으로 조명하고 그 반사광을 센서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컬러센서(140)는 상기 센서로부터 RGB 3가지 컬러의 출력 비교에 의해 컬러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컬러센서(14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자동 구동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촬영 기능, 사진보기 기능,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연주 기능, 위젯 기능 등의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는 컬러센서(140)를 이용한 연주모드 실행 시 그의 화면데이터, 인식된 컬러 및 음원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여러 신호들과 컬러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는 컬러센서(140)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연주모드가 실행될 시 컬러센서(140)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컬러센서(140)에서 검출된 컬러데이터(예컨대, 컬러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예컨대, RGB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15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컬러센서(140)를 통해 인식된 컬러를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컬러체계에 의해서 컬러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CIE 컬러체계에 의한 표시 방법은 세 가지 기본색인 빨강(X), 노랑(Y), 파랑(Z)의 3원색을 서로 혼합하여 모든 컬러들을 만들어 놓고 컬러센서(140)를 통해 인식된 컬러를 X, Y, Z로 표시하여 그의 컬러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제어부(160)는 컬러센서(140)를 이용하는 연주모드 실행에 따른 기능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연주모드에서 인식된 컬러를 기반으로 연주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을 기반으로 연주 기능 제어 시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표시부(150)의 화면데이터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스피커(SPK)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에 의한 연주모드 실행 시 인식된 컬러에 따라 연주된 음원들에 대한 음원정보들을 누적하여 음원데이터로 생성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센서(140)를 이용한 연주 기능 제어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컬러센서(140)를 이용하여 연주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연주 기능 설정을 위한 설정모드가 실행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부호 201과 같이 설정모드가 실행되면 참조부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기능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포함되는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데이터는 음계가 표시되는 오선지 형태의 음계 표시영역(210), 컬러센서(140) 기반으로 인식된 컬러를 표시하는 인식컬러 표시영역(230), 인식컬러와 매핑되는 음원의 계이름을 표시하는 계이름 표시영역(250) 등이 포함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 밖에도 도 2에서는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음계 표시영역(210)과 계이름 표시영역(250)은 '낮은 도' 음에서 다음의 '높은 도' 음까지의 음계가 한 옥타브(Octave)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주어진 옵션(option)을 이용하여 음원의 음장, 강약, 저음, 고음 등의 세부 설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음계 표시영역(210)에서는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아이템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원정보, 음계, 계이름, 음원, 음계 표시영역(210), 인식컬러 표시영역(230), 계이름 표시영역(250)과 그들의 화면데이터 배치 형태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참조부호 203과 같은 상태에서 특정 계이름의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이름 표시영역(250)에서 '라' 음을 선택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참조부호 2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센서(140)가 활성화 되고 참조부호 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센서(140)를 이용한 컬러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참조부호 209와 같이 컬러 인식이 수행되면 참조부호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컬러가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센서(140)가 전달하는 컬러를 기반으로 휴대단말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 기반으로 컬러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컬러를 상기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인식된 컬러 제공 시 인식컬러와 상기 인식컬러의 일정한 레인지(range)에 속하는 주변컬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인식된 컬러의 일정한 레인지를 지정하여 유사한 컬러에서도 같은 음원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범위화 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은 컬러센서(140)에 의해 인식된 컬러를 나타내는 제1영역(233), 상기 제1영역(233)의 양측에 인식컬러의 주변컬러를 나타내는 제2영역(235)으로 구분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컬러센서(140)에 의해 인식된 컬러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위해 상기 제1영역(233)의 컬러가 현재 인식된 컬러임을 지시하는 지시박스(27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5)의 주변컬러는 상기 인식된 컬러를 중심으로 배치되며, 예를 들어 좌측은 상기 인식된 컬러에서 파생될 수 있는 연한 컬러가 배치되고, 우측은 상기 인식된 컬러에서 파생될 수 있는 진한 컬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한 컬러는 좌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차적으로 보다 연한 컬러를 나타내고, 상기 진한 컬러는 우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차적으로 보다 진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컬러바(230)를 이용하여 상기 컬러센서(150)에 의해 인식된 컬러 외에 주변컬러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표시되는 컬러는 휴대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컬러센서(140)에서 인식되는 컬러가 계속하여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참조부호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컬러가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나타나면 선택된 계이름과 인식된 인식컬러의 매핑을 명령하는 인터랙션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인터랙션은 음계 표시영역(210), 인식컬러 표시영역(230), 계이름 표시영역(25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터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입력부(110)의 물리적인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참조부호 2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컬러, 상기 인식컬러에 해당하는 계이름, 상기 계이름에 해당하는 음원을 매핑하여 음원정보로 저장한다.
참조부호 213과 같이 음원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참조부호 2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음원정보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2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 표시영역(210)에 '라' 음에 해당하는 음원아이템(290)이 나타나고,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인식컬러가 나타나고, 계이름 표시영역(250) 중 '라' 영역이 인식된 컬러가 마킹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라' 음에 해당하는 음원아이템(290)은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컬러가 마킹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와 같은 절차에 한 옥타브(예컨대, 1옥타브)의 음계에 대한 컬러별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옵션 선택에 따라 다음 옥타브(예컨대, 2옥타브)의 음계에 대한 컬러별 설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인식된 컬러별로 각 음원들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시 참조부호 215에서 음계 표시영역(210)에 제공되는 음원아이템들은 각각에 해당하는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계이름 표시영역(250)에 표시되는 계이름의 각 영역들도 설정된 해당 컬러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컬러센서(140)에 의한 컬러 인식을 먼저 수행하고 인식된 컬러에 대한 음원(계이름)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컬러별 음원정보 설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컬러센서(140)를 통해 컬러를 인식하고. 컬러 인식 시 입력모드 전환에 의해 인식된 컬러의 계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인식컬러와 입력된 계이름의 음원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주모드 실행에 따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연주모드가 실행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부호 301과 같이 연주모드가 실행되면 참조부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센서(140)가 활성화되고 참조부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센서(140)에 의한 컬러 인식을 수행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305와 같이 컬러 인식이 수행되면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정보가 출력된다. 본 명세서에서 음원정보는 컬러, 계이름, 음원 등을 포함하며, 음원정보 출력은 표시부(150)에 의한 시각적인 출력과 스피커(SPK)를 통한 청각적인 출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305에서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음원정보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즉, 참조부호 305와 같이 컬러센서(140)를 통해 컬러가 인식될 시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원정보에 따른 컬러(인식컬러)가 인식컬러 표시영역(310)에 입력되어 나타난다. 상기 인식컬러 표시영역(310)에 입력되는 컬러는 휴대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컬러센서(140)에서 인식되는 컬러가 계속하여 업데이트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정보에 따른 계이름(예컨대, '솔')은 계이름 표시영역(330)에 입력되어 나타난다. 상기 계이름 표시영역(330)에 입력되는 계이름은 휴대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컬러센서(140)에서 인식되는 컬러가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데이터는 인식컬러가 제공되는 인식컬러 표시영역(310)과 인식컬러에 대한 계이름이 제공되는 계이름 표시영역(33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식컬러에 대한 계이름이 인식컬러 표시영역(310) 상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로 구성될 시 계이름 표시영역(330)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07과 같이 음원정보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 표시 시 참조부호 305에서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음원정보(예컨대, '솔' 음)가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305와 같이 컬러센서(140)를 통해 컬러가 인식될 시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표시부(150)에 인식된 컬러에 대한 인식컬러와 그에 대응하는 계이름이 표시될 시 스피커(SPK)를 통해 인식컬러의 음원정보에 해당하는 음원(예컨대, '솔' 음)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305 및 참조부호 307과 같은 동작에 따라 다수의 컬러들에 대한 인식 및 그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들을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참조부호 3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컬러에 따라 재생되어 출력된 음원정보들이 화면데이터에 누적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인식컬러 표시영역(310)은 현재 인식되는 컬러가 나타나며, 계이름 표시영역(330)은 컬러 인식에 따라 재생된 음원정보들에 해당하는 계이름들(예컨대, '솔', '솔', '라', '라', '솔', '솔', '미')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05 내지 참조부호 309의 동작과 같은 연주모드 실행에 따라 재생된 음원정보들(예컨대, '솔, 솔, 라, 라, 솔, 솔, 미'에 대응하는 컬러, 계이름, 음원)의 저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부호 309와 같은 상태에서 연주모드를 종료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참조부호 305 내지 참조부호 309와 같이 인식된 컬러별로 출력된 음원정보들을 취합하여 참조부호 3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음원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된 음원데이터는 추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이 가능하다. 그리고 저장된 음원데이터 재생 시 관련 음원정보들의 시각적인 출력 및 청각적인 출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원데이터 재생 시 재생되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은 스피커(SPK)를 통해 청각적인 출력이 가능하고,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컬러와 계이름은 표시부(150)를 통해 시각적인 출력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참조부호 303에서 컬러센서(140) 활성화 후 컬러 인식을 명령하는 별도의 인터랙션 입력에 따라 컬러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주모드에서 컬러센서(140) 활성화 후 설정된 인터랙션의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인터랙션은 표시부(150)를 이용하여 설정된 제스처와 같은 터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입력부(110)의 물리적인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컬러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컬러에 대한 음원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동안 계속적인 컬러 인식과 그에 따른 컬러별 음원정보 출력이 이루어지며, 인터랙션 입력이 해제될 시 음원정보 출력은 생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컬러 인식에 의해 음원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주모드 설정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연주모드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4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설정모드를 실행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도 2의 참조부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모드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설정모드에 따른 화면데이터 표시 후 특정 계이름을 선택하는 인터랙션이 입력(403단계)될 시 컬러센서(140) 활성화를 제어한다(4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도 2의 참조부호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계이름(예컨대, '라')을 선택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도 2의 참조부호 2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센서(14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컬러센서(140)를 통한 컬러 인식을 제어한다(407단계). 그리고 제어부(160)는 인식된 컬러를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구성하여 그의 표시를 제어한다(4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 후 도 2의 참조부호 211과 같이 인식된 컬러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화면데이터 제공 시 컬러센서(140)에서 인식된 컬러를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인식컬러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한 후 저장을 명령하는 인터랙션이 입력(411단계)될 시 인식컬러와 해당 계이름을 매핑하고(413단계) 그에 따른 음원정보 저장을 제어한다(4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컬러센서(140)를 통해 인식된 인식컬러와 사용자 선택에 따른 계이름을 매핑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원을 함께 매핑하여 컬러, 계이름, 음원을 음원정보로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원정보는 하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컬러, 계이름, 음원이 매핑 테이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음원정보는 컬러와 해당 컬러에 대응하는 계이름과 음원이 함께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강 컬러는 '도(또는 낮은 도)'라는 계이름을 가지며 '낮은 도' 음이 매핑되고, 노랑 컬러는 '레'라는 계이름을 가지며 '레' 음이 매핑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별 계이름 및 음원 간의 매핑 관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에 따른 음원정보 저장을 제어한 후 설정된 음원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4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도 2의 참조부호 2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컬러에 따라 매핑된 계이름 및 음원에 대한 음원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구성하여 그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한 절차에 따라 설정된 음원정보의 화면데이터 표시 후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4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도 2의 참조부호 215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계이름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해당 계이름에 해당하는 컬러를 인식컬러 표시영역(230)에 나타내고, 계이름에 해당하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음계 표시영역(210)에 음원아이템(예컨대, 참조부호 29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특정 계이름에 해당하는 컬러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해당 계이름에 해당하는 컬러의 변경을 위한 컬러 인식 등의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주모드 실행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연주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5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연주모드를 실행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인터랙션에 따라 연주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인터랙션에 따라 연주모드 실행 시 컬러센서(140) 활성화를 제어한다(503단계). 그리고 제어부(160)는 연주모드 실행에 따른 컬러센서(140) 활성화 시 연주모드에 대응하는 관련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한다(5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연주모드 실행 시 컬러센서(140) 활성화와 함께 도 2의 참조부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모드에 대응하는 관련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련 화면데이터는 상기 컬러센서(140) 활성화에 따라 인식된 인식컬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을 명령하는 인터랙션이 입력되는지 판별한다(507단계). 그리고 제어부(160)는 인터랙션이 입력되지 않으면(507단계의 NO)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관련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60)는 인터랙션이 입력되면(507단계의 YES) 컬러센서(140)를 통한 컬러 인식을 제어한다(509단계). 그리고 제어부(160)는 인식된 컬러를 기반으로 그에 매핑된 음원(또는 계이름)을 추출하고(511단계) 인식된 컬러에 따른 음원정보 출력을 제어한다(5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 후 도 3의 참조부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인식에 대응하는 인식컬러, 인식컬러에 대응하는 계이름을 표시부(150)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인식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을 스피커(SPK)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컬러센서(140)에서 인식된 컬러와 그의 계이름을 해당 표시영역들(예컨대, 인식컬러 표시영역, 계이름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음원정보 출력을 제어한 후 입력된 인터랙션의 해제 여부를 판별한다(5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상기에서 입력된 인터랙션을 해제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인터랙션이 해제되면(515단계의 YES) 컬러 인식에 따라 생성된 음원정보(예컨대, 컬러, 계이름, 음원)를 기록한다(517단계). 제어부(160)는 인터랙션 해제 시 컬러센서(140)의 의한 컬러 인식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60)는 인터랙션이 해제되지 않으면(515단계의 NO) 509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컬러 인식에 따른 음원정보 출력과 그의 기록을 제어한 후 연주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별한다(5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실행된 연주모드를 종료하는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연주모드 종료 인터랙션이 입력되면(519단계의 YE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컬러 인식에 따라 출력된 음원정보들을 음원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521단계). 반면, 제어부(160)는 연주모드 종료 인터랙션이 입력되지 않으면(519단계의 NO) 507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인식에 따라 재생되어 출력된 음원정보들은 도 3의 참조부호 3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기록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컬러센서(140)를 이용한 연주 기능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입력부 120: 오디오처리부
130: 저장부 140: 컬러센서
150: 표시부 160: 제어부

Claims (13)

  1.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연주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모드 실행 시 컬러센서를 활성화 하는 과정과,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된 컬러에 따라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표시부를 이용한 시각적인 출력 및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인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원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컬러와 상기 추출된 음원정보의 계이름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음원정보의 음원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컬러에 따른 음원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컬러 인식에 따라 출력되는 컬러별 음원정보들을 기록하여 음원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른 음원정보를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음원정보는
    설정모드 실행에 따라 설정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데이터에서 특정 계이름이 선택될 시 컬러센서를 통해 컬러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컬러, 상기 선택된 계이름, 상기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원을 매핑하여 음원정보로 저장하는 과정에 의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화면데이터는
    음계 표시영역, 인식컬러 표시영역, 계이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인식된 컬러를 상기 인식컬러 표시영역 및 계이름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컬러에 대응하는 음원의 음원아이템을 상기 음계 표시영역에 음원아이템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연주 기능 제공 방법.
  9. 휴대단말에 있어서,
    연주모드 및 설정모드 실행에 따른 관련 화면데이터 표시와 상기 연주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컬러를 검출하는 컬러센서와,
    연주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원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설정모드에서 인식된 컬러별 음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설정모드에서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컬러별 음원정보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연주모드에서 상기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컬러별 음원정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주모드에서 상기 표시부를 이용한 음원정보의 시각적인 출력 및 상기 스피커를 이용한 음원정보의 청각적인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주모드에서 인식된 컬러에 따라 출력되는 컬러별 음원정보들을 매핑하여 하나의 음원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모드 실행 시 설정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데이터에서 특정 계이름이 선택될 시 컬러센서를 통해 인식된 컬러, 상기 특정 계이름, 상기 특정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원을 매핑하여 음원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화면데이터는
    음계 표시영역, 인식컬러 표시영역, 계이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00019322A 2010-03-04 2010-03-04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100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22A KR20110100378A (ko) 2010-03-04 2010-03-04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22A KR20110100378A (ko) 2010-03-04 2010-03-04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78A true KR20110100378A (ko) 2011-09-14

Family

ID=4521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322A KR20110100378A (ko) 2010-03-04 2010-03-04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03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97B1 (ko) * 2013-01-02 2014-05-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키보드, 소리 재생 장치 및 소리 재생 방법
KR20180062622A (ko) * 2016-12-01 2018-06-11 조현상 컬러 연동 음향출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97B1 (ko) * 2013-01-02 2014-05-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키보드, 소리 재생 장치 및 소리 재생 방법
KR20180062622A (ko) * 2016-12-01 2018-06-11 조현상 컬러 연동 음향출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640B2 (en)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ser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US10200634B2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673918B1 (ko)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5347B1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42340B1 (ko)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EP25657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layout of control buttons
JP2010205394A (ja) 音源再生装置及び音源選択再生方法
KR20110092865A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KR20130076397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107356A (ko)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71349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0108339A1 (zh) 一种页面显示位置跳转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TWI559759B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US10282316B2 (en) Information-sharing device,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US201201799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of portable terminal
KR20120076485A (ko)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098291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US10509554B2 (en) Method for outputting target content and terminal therefor
US1052410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10100378A (ko)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6092A (ko)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화면 표시 방법
KR20110088094A (ko) 휴대단말에서 컬러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