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865A -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865A
KR20110092865A KR1020100012534A KR20100012534A KR20110092865A KR 20110092865 A KR20110092865 A KR 20110092865A KR 1020100012534 A KR1020100012534 A KR 1020100012534A KR 20100012534 A KR20100012534 A KR 20100012534A KR 20110092865 A KR20110092865 A KR 2011009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lipboard
item
are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049B1 (ko
Inventor
이형민
이명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049B1/ko
Priority to US13/015,836 priority patent/US20110197155A1/en
Priority to EP11742412.7A priority patent/EP2534762B1/en
Priority to CN201180009081.6A priority patent/CN102754353B/zh
Priority to PCT/KR2011/000665 priority patent/WO2011099720A2/en
Publication of KR2011009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표시부의 접점을 중심으로 제1 표시부의 일정영역과 제2 표시부의 일정영역을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으로 할당하고, 이러한 클립보드 영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클립보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과정과, 클립보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에 할당된 일정영역들을 오픈하여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클립 이벤트가 발생된 표시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등록(복사) 또는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듀얼 표시부의 경계를 중심으로 할당된 두 개의 일정영역들을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으로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클립보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휴대단말의 표시부(display unit)는 단말에 저장된 정보,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등을 시각적 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현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표시부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가장 자주 접하는 부분이며,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와 직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더구나 휴대단말에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 기능, 클립보드(clipboard) 기능 등이 부가됨에 따라 표시부의 중요성 및 그의 활용성은 갈수록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가 휴대단말 본체 내측에 두 개가 장착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듀얼 표시부의 경계(접점)를 중심으로 할당된 두 개의 일정영역들을 이용한 클립보드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 표시부의 접점을 중심으로 할당된 두 개의 일정영역들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클립보드 기능을 지원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의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과정과, 클립보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에 할당된 일정영역들을 오픈하여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클립 이벤트가 발생된 표시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등록(복사) 또는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클립보드 영역에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템을 등록(복사)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 상기 클립보드 영역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를 추가(붙여넣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1 몸체에 형성되어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클립보드 기능 실행 시 클립보드 영역의 일부인 일정영역을 제공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제2몸체에 형성되어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클립보드 기능 실행 시 클립보드 영역의 다른 일부인 일정영역을 제공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클립보드 기능 실행에 따른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클립 이벤트가 발생된 표시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등록(복사) 또는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따르면, 클립보드 기능을 제공하고자 할 때 듀얼 표시부의 접점을 중심으로 각각 할당된 일정영역들을 이용하여 클립보드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 지원 방법은 휴대단말에서 듀얼 표시부를 활용하여 오브젝트(또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클립보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2개의 표시부들에 나누어져 표시되기 때문에 각각의 표시부들에서 해당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지원 방법은 클립보드 기능의 확장 및 시각화를 통해 휴대단말의 사용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의 전면과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을 세로 모드에서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보드 영역의 운용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의 활용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듀얼 표시부(dual display unit)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상기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clipboard)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의 접점을 중심으로 두 개의 일정영역들을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으로 할당한다. 그리고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해당 표시부에 할당된 일정영역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로 상기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클립보드 영역에 등록(복사)할 수 있다. 또한 클립보드 영역에 등록(복사)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 상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로 해당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해당 표시부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붙여넣기)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부(100), 저장부(200),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를 구비하는 표시부(300), 그리고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제1 터치입력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부(330)는 제2 터치입력부(3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방송모듈, 사진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휴대단말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입력부, 휴대단말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입력부, 휴대단말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클립보드 영역의 오픈(open)과 클로즈(close)를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표시부(3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클립보드 기능 실행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클립보드 기능 실행에 따라 등록(복사)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지속적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영역(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듀얼 표시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표시부(350)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은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내측의 표시부(300) 중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를 하나의 화면으로 동작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나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내측의 표시부(300) 중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를 개별적인 화면으로 동작하여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각각 터치입력부(315, 33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각각은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표시부(310)는 휴대단말 본체의 제1 몸체에 구비되고 제2 표시부(330)는 휴대단말 본체의 제2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가정한다. 여기서, 휴대단말 본체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서로 간의 경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거나,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되고 상측의 제1 몸체가 슬라이딩되어 하측의 제2 몸체와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제1 몸체의 제1 표시부(310)와 제2 몸체의 제2 표시부(330) 각각의 일정영역들을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microprocessor ch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가 두 개의 칩들로 이루어질 경우 그 중 하나는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30) 중 어느 하나의 전용 제어 칩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들을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으로 관리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기능을 제어할 때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중 클립 이벤트가 발생된 표시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등록(복사) 또는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한다. 상기 클립 이벤트는 등록 이벤트 및 추가 이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또는 제2 표시부(330))의 화면데이터 중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1 표시부(310)(또는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으로 할당된 일정영역으로 이동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를 등록 이벤트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에서 클립보드 기능을 위해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해당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들로 형성된 클립보드 영역에 하나의 아이템으로 등록(복사)하여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하나의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나누어진 형태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또는 제2 표시부(330))에 할당된 클립보드 영역에서 선택된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또는 제2 표시부(330))의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를 추가 이벤트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에서 클립보드 기능을 위해 할당된 저장영역으로부터 호출하고 해당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제1 표시부(310)(또는 제2 표시부(330))에 추가(붙여넣기)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추가(붙여넣기)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추가 이벤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의 오브젝트가 문자열과 같은 텍스트일 시 해당 문자열을 화면데이터 내에 텍스트로서 추가(붙여넣기)한다. 또는 제어부(400)는 추가 이벤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의 오브젝트가 컨텐츠 파일과 같은 데이터일 시 해당 문자열을 화면데이터 또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오브젝트를 첨부하는 형태의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한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4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기능 제어 및 그의 클립보드 기능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클립보드 기능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의 전면과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01은 휴대단말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참조번호 203은 휴대단말을 오픈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참조번호 205는 휴대단말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그 전면과 내측에 각각 표시부(310, 330, 3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의 전면에 구비되는 표시부(35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0, 330, 350)는 LCD, OLED, AMO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휴대단말 내측에 구비되는 표시부(310, 330)는 참조번호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 본체의 제1 몸체에 구비되는 표시부(310)(이하, '제1 표시부'라 칭함)와 휴대단말 본체의 제2 몸체에 구비되는 표시부(330)(이하, '제2 표시부'라 칭함)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단말의 제1 몸체, 제2 몸체, 제1 표시부(310), 제2 표시부(330)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를 통칭하여 듀얼 표시부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듀얼 표시부(310, 330)는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촬영 기능, 사진보기 기능,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등의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 전면 표시부(350)는 통신 기능과 같은 일반적 기능의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310, 330, 350)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때 가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듀얼 표시부(310, 330)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된 일정영역들을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이 가로 모드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공할 시 제1 몸체에 구비되는 제1 표시부(310)는 하단의 일정영역(510)이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되고, 제2 몸체에 구비되는 제2 표시부(330)는 상단의 일정영역(530)이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이 세로 모드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공할 시 제1 몸체에 구비되는 제1 표시부(310)는 우측의 일정영역(510)이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되고, 제2 몸체에 구비되는 제2 표시부(330)는 좌측의 일정영역(530)이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다. 즉,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가 인접되는 접점을 기준으로 각 표시부들의 일정영역들(510, 530)을 할당하여 클립보드 기능을 위한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 중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에서 임의의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 상에 저장하고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에 나누어진 형태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서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의 해당 일정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클립보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도 2에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면과 내측에 각각 입력부(100), 스피커(SPK), 마이크(MIC)(미도시), 카메라모듈(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측면에도 여러 개의 입력 버튼(미도시)으로 구성된 입력부(10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의 본체는 제1 표시부(310)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제2 표시부(330)를 구비하는 제2 몸체의 경계를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다. 또는 휴대단말의 본체는 휴대단말 타입에 따라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되고 상측의 제1 몸체가 슬라이딩되어 하측의 제2 몸체와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그 내측에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로 구성된 듀얼 표시부를 가진다. 특히, 듀얼 표시부의 두 화면은 각각 클립보드 기능을 위한 일정영역을 클립보드 영역으로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듀얼 표시부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에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 표시부에 의한 표시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리스트)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설정된 방법으로 클립보드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550) 입력으로 클립보드 기능을 실행하거나,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 상에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해 할당된 터치영역(580)의 터치 입력으로 클립보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한 단축키 버튼(580) 또는 터치영역(580)을 선택하면,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설정된 일정영역들(510, 530)이 각각 나타난다. 즉,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이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연계되어 나타난다. 일정영역들(510, 530) 즉, 클립보드 영역(500)은 듀얼 표시부(310, 330)의 각 화면데이터들 상에 오버레이 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클립보드 영역(500)이 표시된 후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에 제공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스처 입력(예컨대, 터치 입력, 홀드 입력 등) 후 제2 표시부(330)에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일정영역(530)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예컨대, 무브 입력, 드래그 입력, 플릭 입력 등)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63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각 일정영역들(510, 530)에 나누어져 표시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하는 아이템(630)의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저장부(200) 상에 저장된다. 즉,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되는 아이템(63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의 클립보드 기능으로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표시부(310)에 제공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에 제공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스처 입력(예컨대, 터치 입력, 홀드 입력 등) 후 제1 표시부(330)에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일정영역(510)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예컨대, 무브 입력, 드래그 입력, 플릭 입력 등)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4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61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각 일정영역들(510, 530)에 나누어져 표시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하는 아이템(610)의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저장부(200) 상에 저장된다. 즉,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되는 아이템(61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의 클립보드 기능으로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리스트)가 세로 모드로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설정된 방법으로 클립보드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550),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 상에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해 할당된 터치영역(580)의 터치 입력으로 클립보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면,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설정된 일정영역들(510, 530)이 각각 나타난다. 즉,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이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연계되어 나타난다. 일정영역들(510, 530) 즉, 클립보드 영역(500)은 듀얼 표시부(310, 330)의 각 화면데이터들 상에 오버레이 되어 나타날 수 있다.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클립보드 영역(500)이 나타난 상태에서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표시부(310)에 제공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스처 입력 후 제1 표시부(310)에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일정영역(510)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65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각 일정영역들(510, 530)에 나누어져 표시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하는 아이템(650)의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저장부(200) 상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2 표시부(330)에 제공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시키는 것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세로 모드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에 제공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클립보드 영역(500)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보드 영역(500)에 제1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제1 아이템(600)이 등록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클립보드 영역(500)에서는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되는 아이템들의 리스트를 오픈하는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클립보드 영역(500)에서는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오픈된 클립보드 영역(500)을 클로즈 하는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 상에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10)이 구비되고,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 상에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이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01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단말은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제2 아이템(700)을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오브젝트, 제2 오브젝트, 제1 아이템, 제2 아이템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가 서로 다른 오브젝트들이고 제1 아이템과 제2 아이템이 서로 다른 아이템들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의 클립보드 영역(500)에 제1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제1 아이템(600)을 등록한 후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에 제공되는 제2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2 표시부(330)에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일정영역(530)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제2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아이템(70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각 일정영역들(510, 530)에 나누어져 표시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 이전에 등록된 제1 아이템(600)은 유지되고 제2 아이템(700)이 새롭게 등록된다. 그리고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하는 제2 아이템(700)의 실제 제2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저장부(200) 상에 저장된다. 즉,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된 제1 아이템(600)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와 제2 아이템(700)에 대응하는 제2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의 클립보드 기능으로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참조번호 605와 같은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클립보드 영역(500)의 클로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550) 입력, 또는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 제공되는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10)의 터치 입력 등으로 클로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클립보드 영역(500)의 클로즈는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 구비되는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10)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따라서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 구비된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10)을 통해 클립보드 영역(500)의 클로즈를 실행하는 입력을 받는다. 그러면 참조번호 6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서 클로즈 된다. 즉, 클립보드 영역(500)이 숨김 처리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다수개의 아이템들(670)이 등록된 상태의 클립보드 영역(500)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을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된 아이템들(670)의 리스트 표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미도시) 입력, 또는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에 제공되는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의 터치 입력 등으로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된 아이템들(670)의 리스트 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스트 뷰 기능 실행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에 구비되는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따라서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에 구비된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을 통해 리스트 뷰를 실행하는 입력을 받는다. 그러면 참조번호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된 아이템들(670)에 대한 리스트 화면데이터가 표시된다. 리스트 화면데이터 표시는 설정 방식에 따라 세 가지 방법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하나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를 연계하여 리스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제1 표시부(310)에 리스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제2 표시부(330)에 팝업 형태로 리스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참조번호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연계되어 나타난다.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에서는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 메뉴 소프트키 버튼(900)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참조번호 7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메뉴 소프트키 버튼(900)을 이용하여 클립보드 기능으로 등록된 아이템들(670)에 대한 다양한 옵션(option)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옵션 선택에 따라 리스트 내의 아이템들(670)의 순서 변경, 선택적 삭제, 일괄 삭제, 이름 변경, 장기 보존 설정, 이동/복사 설정 등의 편집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옵션 선택에 따른 동작 이후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을 이용하여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의 클로즈가 가능하다. 즉,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표시된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사라지고 이전에 표시되던 화면데이터 및 클립보드 영역(500)이 나타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은 설정 방식에 따라 표시되거나 그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이 입력되면 제2 표시부(330) 상에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나타나고 제1 표시부(310) 상에 표시되던 화면데이터는 유지된다. 이때,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표시부(330)의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는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 메뉴 소프트키 버튼(900)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참조번호 70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 소프트키 버튼(900)을 이용한 옵션 선택,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을 이용한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 클로즈가 가능하다. 그리고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에 표시된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사라지고 이전에 표시되던 화면데이터 및 클립보드 영역(500)이 나타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은 설정 방식에 따라 표시되거나 그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참조번호 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310) 상에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나타나고 제2 표시부(330) 상에 표시되던 화면데이터는 유지된다. 이때,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의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는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 메뉴 소프트키 버튼(900)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참조번호 71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 소프트키 버튼(900)을 이용한 옵션 선택,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을 이용한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 클로즈가 가능하다. 그리고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이 입력되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에 표시된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사라지고 이전에 표시되던 화면데이터 및 클립보드 영역(500)이 나타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은 설정 방식에 따라 표시되거나 그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데이터(예컨대, 설정된 사업자 브라우저 기능으로 접속된 인터넷 화면데이터)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설정된 방법으로 클립보드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클립보드 기능 실행 입력이 발생하면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일정영역들(510, 530)이 각각 나타난다. 즉,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이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연계되어 나타난다.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클립보드 영역(500)이 나타난 상태에서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특정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2 표시부(330)에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일정영역(530)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해당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각 일정영역들(510, 530)에 나누어져 표시된다.
또한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다수개의 오브젝트들(또는 데이터들)을 선택하여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8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의 화면데이터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 중 특정 다수개의 오브젝트들(예컨대, 문자열)을 선택하는 제스처(예컨대, 문자열을 블록 지정하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문자열을 블록 지정하는 제스처에 따라 참조번호 8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자열이 블록 지정되어 나타난다.
참조번호 809와 같은 상태에서 블록 지정된 오브젝트(문자열)를 선택하여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블록 지정된 오브젝트(문자열)가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8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문자열)에 대응하는 해당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할당된 각 일정영역들(510, 530)에 나누어져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리스트)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설정된 방법으로 클립보드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클립보드 기능 실행 입력이 발생하면 참조번호 9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표시부(310, 330) 상에 일정영역들(510, 530)이 각각 나타난다. 즉,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이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오픈되어 나타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등록(복사)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903과 같은 상태에서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라 클립보드 영역(500)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현재 실행 중인 화면데이터(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붙여넣기)하는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하여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면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되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의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에 표시된 화면데이터 방향으로 이동되는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립보드 영역(500) 중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서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여 일정영역(510)을 벗어나는 방향(제1 표시부(310) 내)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에서 호출하고 호출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화면데이터(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붙여넣기)한다. 이때, 호출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해당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열인 경우 화면데이터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위치에 해당 문자열을 추가(붙여넣기)할 수 있다. 또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예컨대, 컨텐츠 파일)인 경우 화면데이터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위치에 해당 데이터를 추가(붙여넣기 또는 첨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추가(붙여넣기)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해당 아이템은 설정 방식에 따라 클립보드 영역(500)에 유지되거나 또는 추가(붙여넣기) 시점에서 제거될 수 있다. 클립보드 영역(500)에서 해당 아이템이 유지되는 경우 저장부(200)에 저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유지된다. 반면, 클립보드 영역(500)에서 해당 아이템이 제거되는 경우 저장부(200)에 저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삭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실행에 따른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이 각각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310)에는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메일 발송 기능의 화면데이터가 나타나고, 제2 표시부(330)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화면데이터가 나타날 수 있다.
참조번호 1001과 같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보드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클립보드 기능 실행 입력이 발생하면 참조번호 10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일정영역들(510, 530)이 각각 나타난다. 즉,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이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나타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아이템이 등록(복사)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1003과 같은 상태에서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라 클립보드 영역(500)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또는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하는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하여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을 벗어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10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1 표시부(310)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310)를 통해 실행된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첨부파일 필드에 이동 요청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첨부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나거나, 또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내용입력 필드에 이동 요청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문자열이 복사(붙여넣기)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또한 참조번호 1007 또는 참조번호 1003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10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하여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템이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을 벗어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10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2 표시부(330)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제2 표시부(330)를 통해 실행된 컨텐츠 리스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동 요청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리스트에 추가(붙여넣기)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의 활용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데이터(예컨대, 설정된 사업자 브라우저 기능으로 접속된 인터넷 화면데이터)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1103 내지 참조번호 1107에 도시된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 수행에 따라 클립보드 영역(500)에 아이템 등록이 가능하며,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조번호 1107과 같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30)을 통해 클립보드 영역(500)을 클로즈 하는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11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보드 영역(50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서 클로즈 되어 나타난다. 즉,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이 사라진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참조번호 1109와 같은 상태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의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 중 적어도 하나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의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연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예컨대, 메일 작성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의 기본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나거나, 참조번호 1111과 같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연결된 화면데이터로 나타날 수 있다.
참조번호 1111과 같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보드 영역(500)을 오픈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참조번호 1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보드 영역(500)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연계되어 나타난다. 이때, 클립보드 영역(500)에는 참조번호 1101 내지 참조번호 1107에서 등록(복사)된 아이템이 포함되어 나타난다.
참조번호 1113과 같은 상태에서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라 클립보드 영역(500)의 아이템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또는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하는 제스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에서 아이템을 선택하여 일정영역(510)을 벗어나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아이템이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을 벗어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참조번호 11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제1 표시부(310)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1 내지 참조번호 1107의 인터넷 화면데이터에서 획득한 아이템이 듀얼 표시부(310, 330)를 통해 현재 제공되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에 나타난다. 이때, 참조번호 11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화면데이터의 첨부파일 필드에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추가(첨부)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난다. 또한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된 아이템의 오브젝트의 타입에 따라 메일 어플리케이션 화면데이터의 내용입력 필드에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문자열이 추가(붙여넣기)된 화면데이터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참조번호 1117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추가된 아이템의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발송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특정 모드 수행(1201단계)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1203단계)하고 있는 상태에서 클립보드 기능 실행 이벤트를 입력받는다(12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가 켜지고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특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모드 수행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상에 각각 표시한다. 이때,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는 하나의 화면데이터를 연계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의한 화면데이터 표시 중에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한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는 휴대단말 본체에 구비된 입력부(100)의 단축키 버튼(550) 입력, 제1 표시부(310) 또는 제2 표시부(330) 중 적어도 하나에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해 할당된 터치영역(580)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상기한 이벤트를 입력하면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면 클립보드 영역(500)을 오픈하여 표시한다(1207단계).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의 일정영역(510)과 제2 표시부(330)의 일정영역(530)을 연계하여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500)으로 나타낸다. 이때, 제어부(400)는 일정영역들(310, 330) 즉, 클립보드 영역(500)을 듀얼 표시부(310, 330)의 각 화면데이터들 상에 오버레이 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 오픈 시 클립보드 영역(500)에 이전에 등록(복사)된 아이템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존재할 시 해당 아이템을 클립보드 영역(50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클립 이벤트에 따른 제스처를 입력받는다(1209단계). 본 명세서에서 클립 이벤트는 특정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하는 제스처의 등록 이벤트와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실행 어플리케이션(또는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하는 제스처의 추가 이벤트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클립 이벤트, 등록 이벤트, 추가 이벤트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클립보드 영역(500) 오픈 상태에서 사용자는 등록 이벤트 또는 추가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클립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면 입력된 클립 이벤트가 등록 이벤트인지 또는 추가 이벤트인지 확인한다(1211단계). 즉, 제어부(400)는 입력된 클립 이벤트의 타입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클립 이벤트가 등록 이벤트(1211단계의 Yes)이면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한다(1213단계). 이때, 제어부(400)는 등록 이벤트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생성된 아이템을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하여 표시하고, 등록(복사)되는 아이템의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의 클립보드 기능으로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편집 이벤트 입력 여부를 판별하고(1215단계) 그 결과에 따라 편집 동작을 수행(1217단계)하거나 또는 1221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립보드 영역(500)에 구비된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830)을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 중 적어도 하나에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집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된 아이템에 대한 순서 변경, 선택적 삭제, 일괄 삭제, 이름 변경, 장기 보전 설정, 이동/복사 설정 등의 편집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편집 동작 수행 후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00)이 입력되면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를 클로즈 하고 이전에 표시 중인 화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클립 이벤트가 추가 이벤트(1211단계의 No)이면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한다(12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추가 이벤트에 따라 클립보드 영역(500)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저장부(200)로부터 호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호출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를 실행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출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타입(예컨대, 문자, 문자열, 컨텐츠 파일 등)에 따라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1215단계, 1217단계, 또는 1219단계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클로즈 이벤트 입력을 체크할 수 있다(1221단계). 클로즈 이벤트는 클립보드 영역(500)의 클로즈를 위한 이벤트를 나타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보드 영역(500)에 구비된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10)에 의한 입력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클로즈 이벤트 입력이 없으면(1221단계의 No)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223단계).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운 아이템을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하거나, 또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된 아이템을 특정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하는 등의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클로즈 이벤트 입력이 있으면(1221단계의 Yes) 클립보드 영역(500)을 클로즈 하고(1225단계), 이후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22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클립보드 영역(500)에 구비된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810)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310)와 제2 표시부(330)에 표시된 클립보드 영역(500)을 클로즈 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실행, 새로운 오브젝트(또는 데이터)의 아이템의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 아이템의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수행(예컨대, 메일 발송, 메시지 발송 등) 등과 같은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12에서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클립보드 영역(500)에 등록(복사)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될 시 클립보드 영역(500)의 해당 아이템 및 저장부(200)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실제 오브젝트(또는 데이터)는 유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이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기본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듀얼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저장부
300: 표시부 310: 제1 표시부
315: 제1 터치입력부 330: 제2 표시부
335: 제2터치입력부 400: 제어부
500: 클립보드 영역 510, 530: 일정영역
810: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 830: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

Claims (17)

  1.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과정과,
    클립보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에 할당된 일정영역들을 오픈하여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클립 이벤트가 발생된 표시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등록(복사) 또는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템을 등록(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 상기 클립보드 영역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를 추가(붙여넣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해당 표시부의 일정영역으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템을 생성하여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를 클립보드 기능에 따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클립보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아이템을 상기 제1 표시부의 일정영역과 상기 제2 표시부의 일정영역에 나누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해당 표시부의 일정영역으로 이동되며, 상기 일정영역에 상기 아이템이 위치할 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의 각 일정영역들에 나누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의 일정영역에서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는 해당 표시부의 일정영역을 벗어나는 제스처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저장영역으로부터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화면데이터에 추가(붙여넣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상기 아이템 선택이 이루어지는 해당 일정영역을 제공하는 표시부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영역 표시 후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를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에서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9.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제1 몸체에 형성되어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클립보드 기능 실행 시 클립보드 영역의 일부인 일정영역을 제공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제2몸체에 형성되어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클립보드 기능 실행 시 클립보드 영역의 다른 일부인 일정영역을 제공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클립보드 기능 실행에 따른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클립 이벤트가 발생된 표시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등록(복사) 또는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의 각 일정영역들을 연계하여 하나의 클립보드 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립 이벤트에 따라 상기 클립보드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템의 등록(복사)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클립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 상에 상기 클립보드 영역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의 추가(붙여넣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또는 제2 표시부에서 오브젝트가 선택되어 해당 표시부의 일정영역으로 이동될 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아이템을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템을 상기 제1 표시부의 일정영역과 상기 제2 표시부의 일정영역에 나누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아이템 등록 시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실제 오브젝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클립보드 영역의 아이템에 대한 오브젝트 추가 시 실제 오브젝트를 상기 저장부에서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접점을 기준으로 형성된 두 개의 일정영역들이 연계되어 표시되며,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과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뷰 소프트키 버튼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 리스트 뷰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로즈 소프트키 버튼이 입력되면 제1 표시부의 일정영역과 제2 표시부의 일정영역을 클로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 중 어느 하나는 클립보드 기능 실행을 위해 할당된 터치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영역이 입력되면 상기 클립보드 영역을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클립보드 영역 오픈 및 클로즈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KR1020100012534A 2010-02-10 2010-02-10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KR10160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34A KR101601049B1 (ko) 2010-02-10 2010-02-10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US13/015,836 US20110197155A1 (en) 2010-02-10 2011-01-28 Mobile device with dual display unit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using the dual display units
EP11742412.7A EP2534762B1 (en) 2010-02-10 2011-01-31 Mobile device with dual display unit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using the dual display units
CN201180009081.6A CN102754353B (zh) 2010-02-10 2011-01-31 具有双显示单元的移动设备及使用双显示单元提供剪贴板功能的方法
PCT/KR2011/000665 WO2011099720A2 (en) 2010-02-10 2011-01-31 Mobile device with dual display unit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using the dual display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34A KR101601049B1 (ko) 2010-02-10 2010-02-10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865A true KR20110092865A (ko) 2011-08-18
KR101601049B1 KR101601049B1 (ko) 2016-03-08

Family

ID=4435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534A KR101601049B1 (ko) 2010-02-10 2010-02-10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97155A1 (ko)
EP (1) EP2534762B1 (ko)
KR (1) KR101601049B1 (ko)
CN (1) CN102754353B (ko)
WO (1) WO201109972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21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971712B2 (en) 2013-03-14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0227B2 (ja) * 2011-02-24 2014-08-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709603B2 (ja) * 2011-03-28 2015-04-3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US9886188B2 (en) * 2011-08-25 2018-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ipulating multiple objects in a graphic user interface
US9454186B2 (en) 2011-09-30 2016-09-27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
US9582236B2 (en) 2011-09-30 2017-02-28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
US20140075394A1 (en) * 2012-09-07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of applications in a device
KR20140132917A (ko) 2013-05-09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와 연결 가능한 부가 장치를 통한 표시 방법 및 장치
US9710147B2 (en) * 2013-05-2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309850A (zh) * 2013-06-25 2013-09-18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内容编辑方法、装置及终端
KR20150004713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및 장치
CN104346092A (zh) * 2013-08-01 2015-02-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中呈现剪贴板内容的方法及装置
KR102266198B1 (ko) 2013-08-02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내는 탭 윈도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631520A (zh) * 2013-11-11 2014-03-12 北京飞流九天科技有限公司 通过手势来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对应电子设备
US20150212545A1 (en) * 2014-01-27 2015-07-30 Yitao Ding Extendable Computer Touchpad Screen
US9547422B2 (en) * 2014-03-07 2017-01-1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notes on electronic devices
KR20160057783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27993B2 (en) * 2016-08-08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ng with a clipboard store
KR102654807B1 (ko) * 2016-08-18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WO2019090615A1 (zh) * 2017-11-09 2019-05-16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文本控制方法及文本控制装置
CN107748741B (zh) * 2017-11-20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文本编辑方法及移动终端
CN109324915A (zh) * 2018-09-26 2019-02-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737383B (zh) * 2019-09-30 2021-06-1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元素添加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301498B1 (ko) * 2019-12-23 2021-09-13 네이버 주식회사 듀얼 스크린에서 컨텐츠와 컨텐츠 목록을 연동하여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666025A (zh) * 2020-05-29 2020-09-1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图像选择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282424B (zh) * 2021-04-08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引用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442A (en) * 1992-11-30 1995-04-04 Apple Computer, Inc. Visible clipboard for graphical computer environments
US6331840B1 (en) * 1998-03-27 2001-12-18 Kevin W. Nielson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 screens of a single virtual desktop
US20110072344A1 (en) * 2009-09-23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Computing system with visual clipboar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3810B1 (fr) * 1991-06-03 1997-01-10 Apple Computer Systemes d'interfaces d'utilisateurs a acces direct a une zone secondaire d'affichage.
US5715415A (en) * 1996-06-05 1998-02-03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application with help pane integrated into workspace
US6198480B1 (en) * 1998-10-07 2001-03-06 Wonderware Corporation Object-oriented tag browser
US6545669B1 (en) *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JP2001209470A (ja) * 2000-01-26 2001-08-03 Fujitsu Ltd 表示インターフェイス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438578B1 (ko) * 2001-12-13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 장치의 파일 탐색기와 그 파일 탐색기를이용한 파일 복사 및 이동방법
JP2005012764A (ja) * 2003-05-22 2005-01-13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通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JP2006053678A (ja) *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US7509345B2 (en) * 2004-09-29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sisting and managing computer program clippings
US20060116577A1 (en) * 2004-11-30 2006-06-01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Direct image measurement editing mode for ultrasound reports
US7750893B2 (en) * 2005-04-06 2010-07-06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input posi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put position processing device
JP4719494B2 (ja) * 2005-04-06 2011-07-06 任天堂株式会社 入力座標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座標処理装置
KR100784263B1 (ko) * 2006-08-16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클립보드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624353B2 (en) * 2006-09-29 2009-11-24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Computer-implemented clipboard
KR101427259B1 (ko) * 2007-10-05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57609A (ko) * 2007-12-03 2009-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442A (en) * 1992-11-30 1995-04-04 Apple Computer, Inc. Visible clipboard for graphical computer environments
US6331840B1 (en) * 1998-03-27 2001-12-18 Kevin W. Nielson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 screens of a single virtual desktop
US20110072344A1 (en) * 2009-09-23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Computing system with visual clipboard
KR20120085754A (ko) * 2009-09-23 2012-08-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가시적 클립보드를 이용하는 컴퓨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21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971712B2 (en) 2013-03-14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4353A (zh) 2012-10-24
EP2534762A2 (en) 2012-12-19
WO2011099720A3 (en) 2011-11-24
EP2534762A4 (en) 2014-01-08
US20110197155A1 (en) 2011-08-11
CN102754353B (zh) 2015-07-01
EP2534762B1 (en) 2021-10-27
KR101601049B1 (ko) 2016-03-08
WO2011099720A2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KR101673918B1 (ko)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KR101760693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US9535600B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98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46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2667702B (zh) 操作具有基于触摸输入界面的触摸设备的应用的方法和系统
AU2012231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tems on clipboard of portable terminal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US95355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multi-touch input
AU2014287956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20007686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AU2011204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ction of a multimedia file in mobile device
CN103809904A (zh) 显示方法和使用显示方法的电子装置
KR201301191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314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242045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8226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067297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2002A (ko) 이동 단말기 및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