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349A -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349A
KR20110071349A KR1020090127896A KR20090127896A KR20110071349A KR 20110071349 A KR20110071349 A KR 20110071349A KR 1020090127896 A KR1020090127896 A KR 1020090127896A KR 20090127896 A KR20090127896 A KR 20090127896A KR 20110071349 A KR20110071349 A KR 2011007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ata
external
interaction
image sensing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시학
김희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349A/ko
Priority to CN201080064423.XA priority patent/CN102763342B/zh
Priority to EP10839737.3A priority patent/EP2517364A4/en
Priority to PCT/KR2010/009134 priority patent/WO2011078540A2/en
Priority to US12/974,320 priority patent/US20110154249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 제어하고 외부에 출력된 컨텐츠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결합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프로젝터, 이미지 센싱 모듈, 인터랙션, 외부 출력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들은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데이터를 휴대단말 자체에 구비된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들이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는 휴대단말의 외형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대체로 작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작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혼자서는 볼 수 있지만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TV-OUT 기능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정보를 외부 대형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별도의 대형 표시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며,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에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휴대단말에 영상 투사 기능을 구비하여 보다 큰 크기의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시도들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시로,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벽이나 바닥 등을 외부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는 휴대단말의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제어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휴대단말 내에 포함되는 제어수단(예컨대,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에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제어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 자체에 물리적인 접촉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휴대단말이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휴대단말의 흔들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외부 스크린에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 역시도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위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중 또는 영화 감상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흔들림 및 보정을 위한 휴대단말의 조작으로 인해 프리젠테이션 또는 영화 감상에 방해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휴대단말의 위치를 재조정하거나 프로젝터 기능의 옵션을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 무선 제어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 및 무선 제어수단 모두를 휴대해야 함에 따라 휴대의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스크린으로의 화면데이터 출력 및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지원하는 외부 출력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과 그의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특정 컨텐츠의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 중에 휴대단말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외부 출력 제어 조작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로 출력된 외부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를 결합하여 새로운 컨텐츠의 생성이 가능한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외부 출력 기능 제어에 관련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싱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기반으로 운용되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물리적인 접촉 없이 휴대단말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함에 따라 외부 스크린에 투사 중인 화면데이터에 집중 하면서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에 물리적인 접촉 없이 외부 출력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의 흔들림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출력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 장치(예컨대, 프로젝터 모듈)를 통해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를 결합하여 사용자 기반의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외부 출력 장치를 이용한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 중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발생되는 오브젝트를 결합하여 사용자 기반의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부 출력 장치가 프로젝터 모듈(Projector module)인 것을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중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처리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특정 컨텐츠의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인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 및 이미지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예시 및 그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 및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은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전면으로 가지는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는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이 구별된 바 타입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단말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수단(100)과,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입력수단(200)과, 휴대단말에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3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focus)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과,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사용자 음성 등의 외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Microphone)와,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60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외부 출력 시에 상기 휴대단말과 화면데이터가 투사되는 외부 스크린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과,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외부 출력 시에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이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감지 및 상기 외부 스크린에 투사되는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휴대단말의 전면부 일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위치는 반드시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외부 출력 제어 및 사용자 인터랙션 감지를 위한 적절한 위치 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및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다수개의 이미지 센싱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및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센싱 모듈로 대체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특히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과 동일한 방향 또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이 사용자 인터랙션 감지 및 외부 출력 화면데이터의 촬영이 가능한 방향으로 외부 출력이 가능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외부 스크린과 휴대단말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제스처, 외부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데이터 상에서 레이저 포인터 등에 의해 생성되는 특정 모양의 포인트 또는 컬러 포인트, 외부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데이터 상에서 마커(marker) 등에 의해 생성되는 특정 표식 등과 같이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에서 감지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입력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 의한 스윕(sweep) 등의 사용자 제스처 등과 같이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에서 감지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입력을 포함한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타입이 바 타입인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휴대단말의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프로젝터 모듈(300) 및 이미지 센싱 모듈(600) 운용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이미지 센싱 모듈(600)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및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을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의 구성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센싱 모듈로 대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입력부(200)와, 오디오처리부(400)와, 표시부(100)와, 저장부(500)와, 프로젝터 모듈(300)과, 이미지 센싱 모듈(600) 및 제어부(70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에 대한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들을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예컨대, 프로젝터 기능 실행을 위한 키, 이미지 센싱 모듈 활성화를 위한 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 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예컨대, 3*4 방식, 4*3 방식 등)의 키패드(keypad),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및 돔 키(Dome ke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200)는 프로젝터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 및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활성화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입력부(200)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따른 터치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성분은 비디오데이터 또는 오디오데이터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신호, 프로젝터 기능 실행에 따른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재생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0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입력부(200)의 구성은 상기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즉,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700)에서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상기 프로젝터 기능에 따른 외부 출력의 기능 제어를 위한 특정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가상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다른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외부 출력 기반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GUI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컨텐츠 등을 저장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컨텐츠는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방송데이터, 사진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문서데이터, 이미지데이터, 게임데이터 등에 의해 운용될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지원하는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기능 수행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그의 기능 제어를 위해 설정된 가상아이템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 시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관련 설정정보 및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옵션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운용을 위한 설정정보, 현재 실행 컨텐츠에서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별 기능 운용을 위한 기능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지지 센싱 모듈(600) 운용을 위한 설정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 진입 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자동 활성화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수동 활성화 여부가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능 설정정보는 후술하는 동작 예시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운용에 따른 기능 설정정보와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운용에 따른 기능 설정정보가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설정정보들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기본 값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정, 삭제 및 추가 등의 편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부(100)의 내부 화면데이터 간의 표시 방식이 설정되는 표시정보를 상기 옵션정보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정보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이하, '내부 화면데이터'라 칭함)의 표시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시정보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실행 가능한 정보 및 기능 실행을 알리는 정보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이하, '외부 화면데이터'라 칭함)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화면데이터에 제공되는 상기 정보는 해당 화면데이터에 팝업(Pop-up)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500)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의 처리 방식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시 내부 화면데이터도 동일한 업데이트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지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정보, 안내 정보 등을 표시할 지에 대한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 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00)는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에서 처리된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에 왜곡 없이 투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발생하는 제스처, 레이저 포인터 등에 의한 특정 형태의 모양 또는 컬러, 마커 등에 의한 표식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항상 감지 모드 및 일반 감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항상 감지 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항상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이 항상 온(On)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일반 감지 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오프(Off)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외부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외부 스크린과 상기 휴대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과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예컨대, 전면부 상단 등)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는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이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감지 및 상기 외부 스크린에 투사되는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휴대단말 의 전면부 일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기능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입력부(20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400)와, 상기 표시부(100)와, 상기 저장부(500)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및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등과 같은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외부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 입력으로 처리하고, 해당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통해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 진입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운용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외부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발생할 시 현재 외부 출력되는 컨텐츠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제어하여 외부 스크린에 투사되는 화면데이터의 촬영을 제어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컨텐츠의 생성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표 시부(100)를 통한 화면데이터(내부 화면데이터) 출력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화면데이터(외부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제어 시 상기 표시부(100)를 오프(off)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100) 기반의 내부 화면데이터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를 동일한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모든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재생/실행되는 해당 화면데이터 자체만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의 이미지 센싱 모듈(600) 운용 방식에 따른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및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별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과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 및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 하는 바와 같은 프로젝터 모듈(300) 운용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 제어와 관련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담당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700)에 의한 일련의 제어 기능은 해당 기능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싱모듈(근접센서, 조도센서 등),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등의 위치정보 수신기,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화상통화 서비스 지원을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401>은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특정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특정 장치의 구성 요소(예컨대, 화이트 스크린 등)를 활용하거나 또는 벽면, 바닥 등과 같은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가 투사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물체를 나타낸다.
상기 화면데이터는 재생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재생/실행되는 컨텐츠의 동적인 화면데이터와, 뷰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 전자책 뷰어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적인 화면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4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서 출력되는 상기 화면데이터와 상기 휴대단말 사이 즉, 이미지 센싱 모듈(610)이 인식할 수 있는 범위에서 특정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 모양, 손 움직임) 기반으로 발생하는 사용자 제스처, 레이저 포인터 등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된 화면데이터에 발생하는 특정 모양이나 색깔, 마커(Marker) 등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된 화면데이터에 발생하는 특정 모양, 텍스트, 색깔 등과 같이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인터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사용자 입력 및 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구분된 인터랙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식별하고 해당 기능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 기반의 해당 기능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예시가 상기 참조부호 <403>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4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스크린(900)에는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4의 예시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에 따라 온(On) 상태이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표시부(100)가 온 상태일 시 상기 표시부(10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이하, '내부 화면데이터'라 칭함)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화면데이터(이하, '외부 화면데이터'라 칭함)와 동일한 형태의 화면데이터로 제공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태의 화면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되고,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조작 정보, 컨텐츠 정보, 실행 정보 등을 제공하는 화면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 5는 상기 휴대단말의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5의 예시에서 상기 컨텐츠는 '<그림자놀이> 컨텐츠'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501>은 휴대단말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그림자놀이>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5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그림자놀이> 컨텐츠의 재생에 따라 재생되는 실제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그림자놀이> 컨텐츠의 조작 정보, 안내 정보 및 실행 정보 등의 화면데이터가 설정 방식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5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5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화면데이터가 투사되는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 사용자 손을 가져다 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예컨대, 사용자 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그림자놀이> 컨텐츠의 재생 제어 중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에서 특정 오브젝트가 생략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503>의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참조부호 <505>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비교하면 좌측의 오브젝트(50)가 생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503> 및 참조부호 <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출력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역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503>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재생되는 <그림자놀이> 컨텐츠에 대한 실행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505>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업데이트되어 출력된 외부 화면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조작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되어 제공되거나, 기본적으로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5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그림자놀이> 컨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외부 화면데이터 구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5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화면데이터가 투사되는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 사용자 손을 가져다 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의 적절한 위치에 사용자 손 모양의 그림자가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림자놀이>에 따른 특정 형태의 손 모양을 구성하여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에 새로운 오브젝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예컨대, 사용자 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 출력 제어 후에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5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가 결합된 외부 스크린(900)의 영상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900) 기반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녹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녹화 기능 실행 시 상기 표시부(100)에 녹화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 정보의 내부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도 5를 참조한 동작 예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그림자놀이>와 같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인식되면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그림자놀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 중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제거하고,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제거되어 업데이트된 외부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업데이트된 외부 화면데이터 출력 제어 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새로운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가 결합된 영상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을 통해 촬영하여 저장하는 녹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도 5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대신하여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직접 새로운 오브젝트를 구성하여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에 투사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에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구성한 그림자를 투사함으로써 그림자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에 사용자가 형성한 손 모양 및 움직임을 통해 기존 컨텐츠를 다른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사용자가 형성한 손 모양의 그림자 오브젝트가 결합된 새로운 컨텐츠 구성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은 상기 휴대단말의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의 예시에서 상기 컨텐츠는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601>은 휴대단말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6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의 재생에 따라 재생되는 실제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의 조작 정보, 안내 정보 및 실행 정보 등의 화면데이터가 설정 방식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6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6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화면데이터가 투사되는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 사용자 손을 가져다 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예컨대, 사용자 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사익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 재생 제어 중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6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화면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을 기 설정된 개수(예컨대, n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출력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가 2개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분할된 하나의 영역(이하, '제1영역'이라 칭함)은 공백으로 제공하고 분할된 다른 하나의 영역(이하, '제2영역'이라 칭함)은 크기가 리사이징(resizing)된 외부 화면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부호 <603>에서 외부 화면데이터가 투사되는 전체 영역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참조부호 <605>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상기 전체 영역의 1/2 영역(제1영역)은 공백 처리하여 출력 제어되고, 상기 전체 영역의 나머지 1/2 영역(제2영역)은 리사이징된 외부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리사이징된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분할된 영역(제2영역)의 크기에 대응하게 적절한 비율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화면데이터의 세로(height) 크기(높이)는 유지하면서 가로(width) 크기(폭)를 분할된 영역의 세로 크기만큼 축소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603>의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참조부호 <605>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비교하면 외부 스크린(900) 상의 출력 영역이 2개로 구분되고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화면데이터가 출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참조부호 <603> 및 참조부호 <6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출력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역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603>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재생되는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에 대한 실행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605>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업데이트되어 출력된 외부 화면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조작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되어 제공되거나, 기본적으로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6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외부 화면데이터 구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6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화면데이터가 투사되는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 사용자 손을 가져다 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의 적절한 위치(예컨대, 제1영역)에 사용자 손 모양의 그림자가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6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에 따라 제2영역에서 투사되고 있는 그림자 형태의 손 모양을 구성하여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에 새로운 오브젝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예컨대, 사용자 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 출력 제어 후에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6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가 결합된 외부 스크린(900)의 영상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녹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녹화 기능 실행 시 상기 표시부(100)에 녹화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 정보의 내부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도 6을 참조한 동작 예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그림자 따라하기>와 같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인식되면 분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그림자 따라하기> 컨텐츠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분할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리사이징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도록 출력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화면데이터의 리사이징에 의해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의 영역 분할에 따른 출력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는 공백으로 제공되는 제1영역과 리사이징된 화면데이터가 제공되는 제2영역이 분할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업데이트된 외부 화면데이터 출력 제어 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새로운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오브젝트가 결합된 영상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을 통해 촬영하여 저장하는 녹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도 6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직접 새로운 오브젝트를 구성하여 상기 공백으로 제공되는 제1영역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영역에 제공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의 그림자 형태를 참조하여 사용자 손 모양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제1영역에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제2영역의 화면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구성한 그림자를 제1영역에 투사함으로써 그림자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형성한 손 모양이 투사된 제1영역의 그림자와 제2영역에 투사된 외부 화면데이터의 그림자 형태를 비교하면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영역의 그림자 오브젝트와 상기 제2영역의 외부 화면데이터가 결합된 새로운 컨텐츠 구성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은 상기 휴대단말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의 예시에서 상기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는 다양한 링크정보를 가지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화면데이터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701>은 휴대단말에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웹 브라우저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 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접속되는 특정 웹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화면데이터가 출력되거나 휴대단말에 대응하게 변환된 웹 브라우저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7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특정 모양 또는 빔, 지휘봉 등)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 중 특정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식 범위 내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특정 물체를 이용하여 가리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된 외부 화면데이터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인터랙션 정보로서 전달할 수 있 다. 상기 제어부(700)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출하여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7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새로운 웹 브라우저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703>의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참조부호 <705>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비교하면 웹 브라우저 화면데이터가 변경되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인터랙션 정보와 상기 외부 출력을 위해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인터셉트(intercept)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을 위해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화면데이터(이하, '원본 화면데이터'라 칭함)와 상기 촬영되어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화면데이터(이하, '촬영 화면데이터'라 칭함)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원본 화면데이터와 촬영 화면데이터 비교에 의하여 변경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촬영 화면데이터에서 상기 변경정보가 체크된 영역(이하, '변경영역'이라 칭함)을 식별하고 식별된 변경영역에서 상기 특정 물체가 가리키는 부분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안면 인식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 운용에 의하여 상기 변경영역에서 상기 특정 물체의 끝이 가리키는 부분을 추출하거나, 또는 컬러 인식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 운용에 의하여 상기 변경영역에서 상기 특정 물체의 레이저 포인터 또는 마커 등에 의해 지시된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추출된 부분의 위치정보(예컨대, 좌표 값 등과 같이 휴대단말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원본 화면데이터에서 상기 산출된 위치정보에 할당된 링크정보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웹 서버로 접속하고 상기 특정 웹 서버에서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703>의 외부 화면데이터가 상기 참조부호 <705>의 외부 화면데이터로 업데이트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도 7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특정 물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에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서 해당 링크부분을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웹 브라우저 화 면데이터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만으로 관련 링크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703> 및 참조부호 <7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출력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역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703>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관련 링크로 이동되기 전의 화면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705>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업데이트되어 출력된 외부 화면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되어 제공되거나, 기본적으로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8은 상기 휴대단말의 프리젠테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8의 예시에서 상기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는 특정 문서(예컨대, 파워포인트 문서 등)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801>은 휴대단말에서 프리젠테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문서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8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특정 문서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화면데이터가 출력되거나 프리젠테이션 모드의 화면데이터가 아닌 뷰어 형태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8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8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물체(예컨대,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특정 모양 또는 컬러 빔 등)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 중 임의의 영역에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식 범위 내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의 임의의 영역을 특정 물체를 이용하여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특정 모양이나 컬러(80)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출하여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8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문서의 페이지 전환을 제어하고 전환된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803>의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참조부호 <805>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비교하면 해당 문서의 페이지가 전환되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도 8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레이저 포인터 등의 특정 물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참조부호 <803>의 참조부호 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발생되는 특정 모양의 포인터 또는 컬러를 가지는 빔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특정 모양의 포인터 또는 컬러별로 이전 페이지 이동 또는 다음 페이지 이동 등과 같은 기능 제어를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분석하고 인터랙션 정보의 포인터 모양 또는 빔의 컬러에 따라 매핑된 해당 기능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능이 반영된 화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여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803> 및 참조부호 <8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출력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역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 면, 상기 참조부호<803>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페이지 전환 전의 뷰어 형태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805>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페이지 전환에 의해 업데이트된 뷰어 형태의 화면데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되어 제공되거나, 기본적으로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9는 상기 휴대단말의 게임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9의 예시에서 상기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는 게임 컨텐츠(예컨대, 보드 게임 등)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901>은 휴대단말에서 보드 게임 컨텐츠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보드 게임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9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보드 게임 컨텐츠 실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보드 게임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보드 게임 운용을 위한 조작 정보, 실행 정보, 안내 정보 등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 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9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9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컬러 빔, 마커에 의한 표식 등)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 중 특정 영역에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식 범위 내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특정 물체를 이용하여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예컨대, 레이저 포인터의 특정 모양이나 컬러(90) 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출하여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9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영역(예컨대, 사용자가 지시하는 영역,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컬러 빔이 형성되는 영역, 마커에 의해 특정 모양이 표시되는 영역 등)을 식별 및 그의 기능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게임 실행이 반영된 화면데이터(예컨대, 상기에서 지시된 영역에 보드 게임에 따른 말을 위치시킨 화면데이터) 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903>의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참조부호 <905>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비교하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영역에 게임 운용에 따른 새로운 말(95)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도 9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레이저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참조부호 <903>의 참조부호 9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발생되는 특정 모양의 포인터 또는 컬러를 가지는 빔, 또는 마커 등에 의해 표시되는 표식, 또는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가리킴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보드 게임 운용에 따른 기능 제어를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분석하고 인터랙션 정보가 가리키는 영역을 식별하여 그에 매핑된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드 게임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영역에 새로운 말(95)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기능 실행이 반영된 화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여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903> 및 참조부호 <9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 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출력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역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903>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보드 게임 운용을 위한 조작 정보, 실행 정보, 안내 정보 등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905>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보드 게임이 적용되었으며 다음 조작 방식을 안내하는 조작 정보 또는 안내 정보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되어 제공되거나, 기본적으로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은 상기 휴대단말의 스케줄러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0의 예시에서 상기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는 월별 일정 컨텐츠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1001>은 휴대단말에서 일정 컨텐츠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달력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10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일정 컨텐츠 실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달력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의 내부 화 면데이터는 상기 일정 컨텐츠 운용을 위한 메뉴 정보, 조작 정보, 일정 정보 등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10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10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크린(900)의 외부 화면데이터에서 임의의 영역에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식 범위 내에서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의 특정 영영에서 사용자 손 또는 마커 등의 특정 물체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예컨대, '미팅')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예컨대,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에 입력된 문자)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출하여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10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영역(예컨대, 외부 화면데이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한 영역) 식별 및 해당 영역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에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일정 컨텐츠에 반영한 후 그 의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10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된 영역에 상기 휴대단말에서 해당 문자의 내용을 반영한 일정 컨텐츠의 외부 화면데이터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이미지 센싱 모듈(610)의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상기 제어부(700)의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제어 동작은 전술한 도 7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원본 화면데이터와 촬영 화면데이터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처리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이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전송하는 인터랙션 정보와 원본 화면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 식별 및 해당 영역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인식된 문자를 일정 컨텐츠의 해당 부분에 반영한 후 그의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일정 컨텐츠의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업데이트 시 내용이 변경된 상기 일정 컨텐츠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0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상에 특정 문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터랙션을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참조부호 <10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일정 컨텐츠 운용에 따른 기능 제어를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분석하고 인터랙션 정보가 가리키는 영역을 식별하여 그에 매핑된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단말에서 직접 일정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기능 실행이 반영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여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1003> 및 참조부호 <10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 업데이트 출력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 상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역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참조부호 <1003>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일정 컨텐츠 운용을 위한 조작 정보, 실행 정보, 안내 정보 등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참조부호 <1005>에서의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해당 문자가 반영된 일정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설정되어 제공되거나, 기본적으로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미지 센싱 모듈(610)이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9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미지 센싱 모듈(630)이 휴대단말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1101>은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특정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데이터는 재생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재생/실행되는 컨텐츠의 동적인 화면데이터와, 뷰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 전자책 뷰어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적인 화면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11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1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지 센싱 모듈(630)이 인식할 수 있는 범위에서 특정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 모양, 손 움 직임) 기반으로 발생하는 사용자 제스처 등과 같이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인터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사용자 입력 및 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구분된 인터랙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식별하고 해당 기능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 기반의 해당 기능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예시가 상기 참조부호 <1103>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11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스크린(900)에는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11의 예시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에 따라 온 상태이거나 또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표시부(100)가 온 상태일 시 상기 표시부(100)에 제공되는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화면데이터로 제공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태의 화면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 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출력되고,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조작 정보, 컨텐츠 정보, 실행 정보 등을 제공하는 화면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2는 상기 휴대단말의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컨텐츠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2의 예시에서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또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 등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1201>은 휴대단말에서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의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3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1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의 화면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를 통해서도 함께 표시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 12에서는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12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12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의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손을 위치시키거나 스윕(sweep) 제스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제어 중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12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관련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12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상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아이템은 기 설정된 표시방식에 따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203>과 같이 가상아이템 표시를 제어한 후 참조부호 <12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관련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12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상아이템을 참조하여 특정 기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의 인식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을 중심으로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 등으로 발생하는 스윕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제어 중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12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 정보 기반의 해당 기능(예컨대, 빨리감기(FF) 기능)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변경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12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F 기능에 의해 일정구간만큼 FF된 화면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데이터가 예컨대, 동영상 재생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하고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FF 기능 제어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화면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구간만큼의 FF 기능 제어를 통해 화면데이터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외에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채널전환, 볼륨가감, 일시정지, 뒤로감기(REW),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페이지 전환, 이미지 전환, 화면 전환, 슬라이드 쇼 전환, 스크롤,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 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2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특정 기능 제어 시 해당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아이콘, 텍스트 등의 실행정보를 설정시간 또는 기능제어 동안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행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출력된 후 제거되거나 또는 해당 기능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표시된 후 해당 기능 제어 해제 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204>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특정 기능 제어 후 희망하는 기능 제어가 완료될 시 해당 화면데이터의 시청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설정된 시간 이상 새로운 인터랙션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참조부호 <12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된 가상아이템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가상아이템의 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아이템의 출력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3은 상기 휴대단말의 프리젠테이션 어플리 케이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 상기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는 특정 문서(예컨대, 파워포인트 문서 등)에 따른 화면데이터인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먼저, 참조부호 <1301>은 휴대단말에서 프리젠테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문서 화면데이터가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참조부호 <13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서 화면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를 통해서도 함께 표시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 13에서는 함께 표시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는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13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출력 중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13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의 인식 범위 내에 사용자 손을 위치시키거나 스윕 제스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외부 출력 제어 중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즉,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로부터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전달되면 현재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통해 외부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참조부호 <13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문서의 페이지 전환을 제어하고 전환된 페이지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부호 <1303>의 외부 화면데이터와 상기 참조부호 <1305>의 외부 화면데이터를 비교하면 해당 문서의 페이지가 전환되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도 13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출력 기능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에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으로 스윕 제스처와 같은 간단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함으로써 다음 페이지 이동 또는 이전 페이지 이동 등과 같은 기능 제어를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에서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를 분석하고 인터랙션 정보에 매핑된 해당 기능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능이 반영된 화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생성된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여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3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에 따른 특정 기능 제어 시 해당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아이콘, 텍스트 등의 실행정보 를 설정시간 또는 기능제어 동안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행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출력된 후 제거되거나 또는 해당 기능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표시된 후 해당 기능 제어 해제 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1305>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특정 기능 제어 후 희망하는 다른 기능 제어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페이지 전환에 따른 업데이트 화면데이터 출력을 계속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11 내지 도 13의 예시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은 근접센서, 조도센서 등의 근접 센싱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도 4 내지 도 10의 이미지 센싱 모듈(610)과 상기 도 11 내지 도 13의 이미지 센싱 모듈(630)(또는 근접 센싱 모듈)을 함께 운용하여 전술한 도 4 내지 도 13에서 예시된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30)(또는 근접 센싱 모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설정된 제1기능(예컨대,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3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설정된 제2기능(예컨대, 전술한 도 4 내지 도 10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외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출력 제어에 대한 동작 예시들에 대하여 살펴보 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동작 예시들에 따른 외부 출력을 운용하기 위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형성된 입력수단(예컨대, 입력부(200), 표시부(100) 및 마이크(MIC)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젝터 모듈(300)을 구동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하는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1401단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이전에 실행되고 그의 화면데이터가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에 표시 중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과 함께 실행되고 그의 화면데이터가 상기 표시부(100) 및 외부 스크린(9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이후에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되고 그의 화면데이터가 상기 표시부(100) 및 외부 스크린(9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활성화 할 수 있다(1403단계).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활성화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미지 센싱 모듈(610) 및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미지 센싱 모듈(63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활성화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자동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기반의 입력신호가 생성될 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수동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외부 출력 중에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1405단계).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이용하여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인터랙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인터랙션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600)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상기 인터랙션 정보를 분석한다(1407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 분석에 의하여 현재 외부 출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확인한다(1409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를 감지할 시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어떠한 이미지 센싱 모듈(610, 630)로부터 발생된 것인지를 분석하고, 또한 상기 인터랙션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외부 출력에 대해 매핑된 기능을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체크된 해당 기능에 따라 상기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변경 제어한다(1411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변경된 화면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1413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 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 예시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랙션 분석 후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별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이미지 센싱 모듈(600)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1501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분석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인지 또는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1503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인 것으로 결정할 시 외부 출력에 따른 컨텐츠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운용에 따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1511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전술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들 중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확인된 기능에 의하여 업데이트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1513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확인된 기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화면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550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전술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는 외부 화면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다(1515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610)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 편, 상기 1550단계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한 동작 예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출력을 위한 실행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인 것으로 결정할 시 외부 출력에 따른 컨텐츠 및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운용에 따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1521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630)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들 중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상기 확인된 기능에 의하여 업데이트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1523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확인된 기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화면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700)는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525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0)는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한 동작 예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출력을 위한 실행 컨텐츠에 따라 채널전환, 화면전환, 페이지전환, 볼륨가감, FF, REW, 일시정지, 재생, 이미지 전환, 슬라이드 쇼 등의 해당 기능을 제어를 사용자 인터랙션 기반으로 계속하여 제어할 수 있 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스크린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인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별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7)

  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외부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외부 스크린과 상기 휴대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제1 인터랙션)과,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제2 인터랙션)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외부 출력에 따른 컨텐츠 및 상기 제1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에 따라 출력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후 외부 출력되는 업데이트 화면데이터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컨텐츠는
    상기 외부 출력되는 상기 업데이트 화면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화면데이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결합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외부 출력에 따른 컨텐츠 및 상기 제2 인터랙션에 따른 기능을 체크하는 과 정과,
    상기 기능에 따라 출력 화면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싱 모듈의 인식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 상기 외부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데이터 상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생성되는 특정 모양의 포인트 또는 컬러 포인트, 상기 외부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데이터 상에 마커에 의해 성되는 특정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싱 모듈의 인식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9.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외부 출력 기능 제어에 관련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싱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 기반으로 운용되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화면데이터가 표시되는 상기 외부 스크린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제1 인터랙션)과, 상기 휴대단말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제2 인터랙션)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업데이트 화면데이터 생성 및 그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싱 모듈은
    상기 제1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제1 이미지 센싱 모듈과,
    상기 제2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제2 이미지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상기 제1 인터랙션이 전달될 시 외부 출력에 따른 컨텐츠 및 상기 제1 인터랙션에 매핑된 기능에 따라 화면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데이트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후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화면데이터의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에서 촬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컨텐츠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컨텐츠는
    상기 외부 출력되는 상기 업데이트 화면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화면데이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결합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 기반으로 상기 제2 인터랙션이 전달될 시 외부 출력에 따른 컨텐츠 및 상기 제2 인터랙션에 매핑된 기능에 따라 화면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싱 모듈은
    자신의 인식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 외부 출력된 화면데이터 상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생성되는 특정 모양의 포인트 또는 컬러 포인트, 외부 출력된 화면데이터 상에 마커에 의해 성되는 특정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상기 제1 인터랙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싱 모듈은
    자신의 인식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상기 제2 인터랙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90127896A 2009-12-21 2009-12-2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71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96A KR20110071349A (ko) 2009-12-21 2009-12-2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1080064423.XA CN102763342B (zh) 2009-12-21 2010-12-21 根据基于图像感测模块的用户交互进行外部输出的移动装置及相关控制方法
EP10839737.3A EP2517364A4 (en) 2009-12-21 2010-12-21 MOBIL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ON THE BASIS OF A USER INTERACTION WITH A PICTURE CAPTURE MODULE
PCT/KR2010/009134 WO2011078540A2 (en) 2009-12-21 2010-12-21 Mobile device and relate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user interaction based on image sensing module
US12/974,320 US20110154249A1 (en) 2009-12-21 2010-12-21 Mobile device and relate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user interaction based on image sens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96A KR20110071349A (ko) 2009-12-21 2009-12-2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49A true KR20110071349A (ko) 2011-06-29

Family

ID=4415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896A KR20110071349A (ko) 2009-12-21 2009-12-2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54249A1 (ko)
EP (1) EP2517364A4 (ko)
KR (1) KR20110071349A (ko)
CN (1) CN102763342B (ko)
WO (1) WO201107854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639A (ko) * 2011-09-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프로젝터에서 프로젝터 탐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12549A (ko) * 2014-06-03 2017-02-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몸짓 인식을 위한 이미지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 시스템 및 방법
WO2018155733A1 (ko) * 2017-02-22 2018-08-30 이현민 휴대 단말 장치와 프로젝션 장치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9291A1 (en) * 2009-06-15 2010-12-15 Emil Mihaylov Mini projector for calendar data
KR101605347B1 (ko) 2009-12-18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14774A (ko) * 2011-08-01 201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45193B2 (en) * 2011-08-19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lection of surfaces in real world for projection of information thereon
KR101870773B1 (ko) * 2011-08-31 2018-06-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2637119B (zh) * 2011-11-17 2015-06-24 朱琴琴 智能手持终端的外接显示控制器及控制方法
US20130215132A1 (en) * 2012-02-22 2013-08-22 Ming Fong System for reproducing virtual objects
US8509986B1 (en) * 2012-04-27 2013-08-13 Innova Electronics, Inc. Automotive diagnostic tool with projection display and virtual input
CN103581589B (zh) * 2012-07-26 2018-09-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投影方法及系统
US9329679B1 (en) * 2012-08-23 2016-05-03 Amazon Technologies, Inc. Projection system with multi-surface projection screen
US9632683B2 (en) * 2012-11-08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ipulating characteristics of audio objects by using directional gestures
TWI454968B (zh) * 2012-12-24 2014-10-01 Ind Tech Res Inst 三維互動裝置及其操控方法
KR102056175B1 (ko) * 2013-01-28 2020-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단말장치
KR101999958B1 (ko) *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73827B1 (ko) * 2013-05-31 2020-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0656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화면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US9933986B2 (en) * 2013-11-29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355081B2 (ja) * 2014-03-10 2018-07-11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20150115365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66806B2 (en) 2014-07-15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phic keyboard display
CN104133565B (zh) * 2014-07-24 2017-05-24 四川大学 利用结构光技术实现的实时激光点追踪人机交互系统
CN105334913B (zh) * 2014-08-05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6245117B2 (ja) * 2014-09-02 2017-12-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407698B (zh) * 2014-11-17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投影方法及电子设备
JP2016102880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投影装置の制御方法
CN104991693B (zh) * 2015-06-10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293036B (zh) * 2015-06-12 2021-02-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及电子设备
US20170069255A1 (en) * 2015-09-08 2017-03-09 Microvision, Inc. Virtual Touch Overlay On Touchscreen for Control of Secondary Display
CN106201173B (zh) * 2016-06-28 2019-04-05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投影的用户交互图标的交互控制方法及系统
TWI604376B (zh) * 2016-10-17 2017-1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系統、電子裝置及其延伸螢幕設定方法、投影設備
CN107149770A (zh) * 2017-06-08 2017-09-12 杨聃 双操作模式国际象棋陪练机及其工作方法
AU2017418882A1 (en) 2017-06-13 2019-1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07562316B (zh) * 2017-08-29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展示方法、装置及终端
CN108491804B (zh) * 2018-03-27 2019-12-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棋局展示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11188154B2 (en) * 2018-05-30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projection of holographic objects
US10867441B2 (en) * 2019-02-15 2020-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data items to a cache
US11221690B2 (en) * 2020-05-20 2022-01-11 Micron Technology, Inc. Virtual peripherals for mobile devices
CN114694545B (zh) * 2020-12-30 2023-11-24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投影仪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0885B2 (en) * 2003-05-14 2007-11-06 Infocus Corporation User-interface for projection devices
EP1730623A2 (en) * 2004-03-22 2006-12-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in mobile terminals
KR100816286B1 (ko) * 2006-05-18 2008-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US20080018591A1 (en) * 2006-07-20 2008-01-24 Arkady Pittel User Interfacing
KR20080028183A (ko) * 2006-09-26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제어 시스템및 방법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7874681B2 (en) * 2007-10-05 2011-01-25 Huebner Kenneth J Interactive projector system and method
KR20090036227A (ko) * 2007-10-09 2009-04-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벤트 구동 빔-프로젝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471868B1 (en) * 2007-11-28 2013-06-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jector and ultrasonic gesture-controlled communicator
KR100921482B1 (ko) * 2008-03-04 2009-10-13 주식회사 다날시스템 프로젝터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판서방법
KR100984230B1 (ko) * 2008-03-20 2010-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면 제어 방법
EP2104024B1 (en) * 2008-03-20 2018-05-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the same
KR101506488B1 (ko) * 2008-04-04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99132B2 (en) * 2008-06-10 2013-12-03 Mediate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signals from digital camera and sensor modules
KR2010005018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639A (ko) * 2011-09-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프로젝터에서 프로젝터 탐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12549A (ko) * 2014-06-03 2017-02-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몸짓 인식을 위한 이미지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 시스템 및 방법
WO2018155733A1 (ko) * 2017-02-22 2018-08-30 이현민 휴대 단말 장치와 프로젝션 장치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3342B (zh) 2015-04-01
CN102763342A (zh) 2012-10-31
EP2517364A2 (en) 2012-10-31
WO2011078540A2 (en) 2011-06-30
EP2517364A4 (en) 2016-02-24
US20110154249A1 (en) 2011-06-23
WO2011078540A3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1349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1507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US106496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AU20132030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KR101870773B1 (ko)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69526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70338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1229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900121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13613053B (zh) 视频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60481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동영상 제어방법
KR20150054375A (ko) 이동 단말기
AU20182676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RU279198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нения объекта на дисплее
KR20110088094A (ko) 휴대단말에서 컬러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