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168B1 -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Google Patents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168B1
KR101423168B1 KR1020130092830A KR20130092830A KR101423168B1 KR 101423168 B1 KR101423168 B1 KR 101423168B1 KR 1020130092830 A KR1020130092830 A KR 1020130092830A KR 20130092830 A KR20130092830 A KR 20130092830A KR 101423168 B1 KR101423168 B1 KR 101423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user interface
content
cel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노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노현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Priority to KR102013009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장치,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이 저장된 메모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METHOD AND TERMINAL OF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말 방대한 정보를 사람들은 접하고 있고, 컴퓨터, 휴대폰,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서 텍스트나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다양한 콘텐츠를 더욱 편리하게 재생, 편집, 시청하기 위해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효율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의 필요성이 많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장치,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상기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재생의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상기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재생의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상기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가이드 큐브셀을 구비하여,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상기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큐브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로 구성된 상기 인터랙션 영역의 전체 큐브셀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큐브 구조의 큐브셀을 이용하여 텍스트,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큐브 구조의 큐브셀로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평면의 표시장시에서 적은 면적으로 많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최초에 설정된 콘텐츠를 쉽고 편리하게 다시 디자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영역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사용자가 컴퓨터 등의 단말과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하, GUI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GUI화면은 표시장치 등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와 “제공”은 단말의 표시장치를 통해서 그래픽이나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다양한 기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문자ㆍ부호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ㆍ영상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큐브셀”은 큐브 구조로 형성되어, 이미지, 텍스트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복수 개의 큐브셀의 집합을 “전체 큐브셀”이라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1)은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Laptop),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태블릿(Tablet) 컴퓨터, 이동전화, 미디어 플레이어, PDA 등, 그리고 이러한 아이템 둘 이상의 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장치일 수 있다. 단말(1)은 오직 휴대용 전자장치의 한 예이고, 단말(1)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1)은 메모리(10), 메모리 제어장치(21),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23), 인터페이스(25), 표시장치(30), 입력장치(40), 통신회로(50), 외부포트(60), 오디오회로(70), 스피커(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메모리(10)는 임의의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0)는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장치, 예를 들어 통신회로(50) 또는 외부포트(60)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이나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3) 및 인터페이스(25)와 같은 단말(1)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10)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회로(2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체제(11), 통신모듈(13)(또는 명령어 세트), GUI모듈(15)(또는 명령어 세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명령어 세트)(17)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10)는 다양한 모듈, 소프트웨어, 콘텐츠와 같은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11)(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메모리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
통신모듈(13)은 하나 이상의 외부포트(60)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촉진시키고 통신회로(50)와 외부포트(60)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외부포트(60)(예를 들어, USB, FIREWIRE 등)는 다른 장치로의 직접 연결이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무선 LAN 등)를 통한 간접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GUI모듈(15)은 표시장치(3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애니메이션, 디지털 이미지,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비디오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
GUI모듈(15)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거나 편집 등을 위해서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는 GUI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큐브셀은 상단면, 좌측면, 우측면에 콘텐츠를 표시하고, 가이드 큐브 영역은 뷰, 맵, 매핑, 셀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GUI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7)은 브라우저,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위젯(Widget), 부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GPS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위치정보), 음악 플레이어(MP3 또는 AAC 파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기록된 음악을 재생하는) 등을 포함하여 단말(1)에 설치된 임의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9)는 다양한 카테고리 데이터를 포함한다. 가이드 큐브 영역(200)에서 매핑 메뉴(23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9)에 저장된 카테고리 데이터를 매핑하면, 인터랙션 영역(100)에 이러한 카테고리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9)가 저장한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메모리 제어장치(21)는 중앙처리장치(23) 및 인터페이스(25)와 같은 단말(1)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10)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중앙처리장치(23)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1)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23)는 플레이어 영역에서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5)는 단말(1)의 입출력 주변장치를 중앙처리장치(23) 및 메모리(10)와 연결시킨다.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23)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1)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5), 중앙처리장치(23) 및 메모리 제어장치(21)는 하나의 단일칩 상에서 구현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장치(30)는 사용자와 단말(1)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표시장치(3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표시장치(30)를 통해서 데이터, 콘텐츠 등을 볼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은 애니메이션,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장치(30)를 통해서 GUI모듈(15)이 제공하는 다양한 화면(GUI화면)이나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입력장치(40)는 사용자와 단말(1)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입력장치(40)는 사용자가 단말(1)에 입력신호와 같은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장치(40)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단말(1)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검출하고 중앙처리장치(23)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및/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의 경우)으로 입력장치(40)를 통해서 콘텐츠의 확대, 축소, 회전, 이동 등의 명령을 입력하면, 이러한 명령은 사용자 제어신호가 되고, 중앙처리장치(23)는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제어신호는 마우스를 이용한 마우스 제어신호와 손가락을 이용한 손가락 제어신호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23)는 마우스 제어신호에 따라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되, 마우스의 스크롤의 움직임에 따른 마우스 제어신호인 경우, 큐브셀에 표시된 콘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고, 마우스의 우측(또는 좌측)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시에는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고, 마우스의 좌측(또는 우측)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시에는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회전하고, 마우스로 큐브셀의 특정 면을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하면, 클릭된 특정 면을 확대하고, 마우스를 특정 큐브셀에서 롱 탭하면, 특정 큐브셀이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터치스크린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30)와 입력장치(40)가 일체로 될 수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단말(1)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GUI모듈(15)을 실행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접촉으로 단말(1)에 입력신호를 주면, 단말(1)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30)가 터치스크린이면 중앙처리장치(23)는 손가락 제어신호에 따라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되, 손가락 두 개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고, 손가락 두 개를 멀어지게 하는 손가락 제어신호인 경우, 큐브셀에 표시된 콘텐츠가 확대되고, 손가락 두 개를 가까워지게 하는 손가락 제어신호인 경우, 큐브셀에 표시된 콘텐츠가 축소되고, 손가락 두 개로 콘텐츠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시에는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고, 손가락 한 개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고 드래그 시에는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회전하고, 손가락 한 개로 큐브셀의 특정 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상기 특정 면을 확대하고, 손가락 한 개를 특정 큐브셀에서 롱 탭하면, 특정 큐브셀이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회로(50)는 전자파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회로(50)는 전기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한다. 통신회로(50)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회로(50)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무선통신에 의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Wireless Fidelity, Wi-Fi)(예를 들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및/또는 IEEE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및/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용 프로토콜 또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오디오회로(70)는 인터페이스(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스피커(80)로 전송한다. 스피커(80)는 수신한 전기신호를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한다. 오디오회로(70)는 전기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고 이를 인터페이스(25)로 전송하여 처리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인터페이스(25)에 의하여 메모리(10) 및/또는 통신회로(50)로부터 검색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스피커(80)는 수신한 전기신호를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한다. 즉, 스피커(80)는 음원을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재생하는 부분이다. GUI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볼륨을 변경하면, 스피커(80)는 중앙처리장치(23)의 제어에 의해서 재생되는 소리의 볼륨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단말(1)은 오디오회로(70)와 연결된 마이크로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GUI화면은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110)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100)과 인터랙션 영역(100)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200), 큐브셀(110)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300)을 포함한다.
또한, GUI화면은 인터랙션 영역 전체, 큐브셀(110) 또는 특정 면의 확대/축소할 수 있는 확대/축소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확대/축소 조절부(140)에서 확대/축소의 조절은 “+”, “-“ 또는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또한, GUI화면은 콘텐츠를 확대 또는 회전된 상태에서 인터랙션 영역(100)을 GUI화면 중심으로 이동하게 하는 포커스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큐브셀(110)은 상단면, 좌측면, 우측면에 콘텐츠를 표시하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면, 하단면 등에도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큐브셀(110) 하나를 전체 큐브셀(150)에서 분리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면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를 특정 큐브셀에서 롱 탭하면, 특정 큐브셀이 분리되거나, 손가락 한 개를 특정 큐브셀에서 롱 탭하면, 특정 큐브셀이 분리되도록 GUI모듈(15)에 기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여 큐브셀(110)의 표시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랙션 영역(100)에서 특정 큐브셀(110)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데, 표시되는 면인 좌측면, 우측면, 상단면 어느 하나의 면이 메인으로 표시되고, 메인 면에서 다른 면으로 이동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인터랙션 영역(100)에서 특정 큐브셀(110)을 확대함과 동시에 GUI화면은 면을 이동할 수 있는 면이동 아이콘과 확대되기 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 리턴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생성될 수 있는 아이콘은 다양한 종류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인터랙션 영역(100)에서 특정 큐브셀(110)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가상의 카메라가 특정 면(또는 특정 면의 콘텐츠)을 근접해서 보여주는 효과가 발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큐브셀(110)을 마우스 입력 및/또는 손가락의 터치 입력과 같은 사용자 입력신호로 확대하여 특정 면인 좌측면이 메인으로 확대된 경우, 사용자는 확대된 크기의 우측면을 보기 위해서 좌측면과 우측면의 경계부에 생성된 면이동 아이콘에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우측면이 메인으로 보이기 할 수 있고, 확대된 크기의 상단면을 보기 위해서 좌측면과 상단면의 경계부에 생성된 면이동 아이콘에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상단면이 메인으로 보이기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최초에 우측면이 메인으로 확대되거나 상단면이 메인으로 확대되게 할 수 있고, 메인 면인 우측면이나 상단면에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다른 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가이드 큐브 영역(200)은 최소화되어 GUI화면은 하단에 위치하거나, 확대할 수 있다.
가이드 큐브 영역(200)을 확대하면, 가이드 큐브 영역(200)은 뷰 메뷰(210), 맵 메뉴(220), 매핑 메뉴(230), 셀 메뉴(240), 가이드 큐브셀(250), 홈버튼(260)를 포함한다. 가이드 큐브 영역(200)은 각각의 메뉴를 이용하여 전체 큐브셀(150)을 제어한다.
뷰 메뷰(210)는 가이드 큐브셀(250)을 이용하여 인터랙션 영역(100)의 전체 큐브셀(150)을 보는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큐브셀(250)을 회전하면, 전체 큐브셀(150)도 가이드 큐브셀(25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큐브셀 상단면(251)을 선택하면, GUI모듈(15)은 인터랙션 영역(100)에 전체 큐브셀(150)의 상단면만 보여지게 하고, 가이드 큐브셀 좌측면(253)을 선택하면, GUI모듈(15)은 인터랙션 영역(100)에 전체 큐브셀(150)의 좌측면만 보여지게 하고, 가이드 큐브셀 우측면(255)을 선택하면, GUI모듈(15)은 인터랙션 영역(100)에 전체 큐브셀(150)의 우측면만 보여지게 한다.
홈버튼(260)은 콘텐츠의 초기 설정으로 돌아가게 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전체 큐브셀(150)을 확대한 이후에 홈버튼(260)을 선택하면, 전체 큐브셀(150)이 확대 전 모습으로 되돌아 간다.
맵 메뉴(220)는 가이드 큐브 영역(200)에서 전체 큐브셀(150)의 위치를 확인하고, 전체 큐브셀(150)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맵 메뉴(220)에서는 가이드 큐브셀(250) 또는 전체 큐브셀(150)이 펼쳐진 모양의 축소 모양의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매핑 메뉴(230)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매핑 데이터를 이용해 만들었을 경우에 활성화되어 제공된다.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19)에 저장된 카테고리 데이터를 자신이 원하면 면에 매핑할 수 있다.
셀 메뉴(240)는 사용자가 특정 큐브셀(110)을 마우스 및/또는 손가락으로 롱 탭하면 활성화되어 제공된다. 사용자가 전체 큐브셀(150)에서 특정 큐브셀(110)만을 선택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특정 큐브셀(110)의 표시되는 면이 변경되고, GUI화면은 표시면이 변경된 특정 큐브셀(110)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플레이어 영역(300)은 재생버튼(311), 볼륨조절부(312), 현재 페이지에서 패스(path)설정된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이전버튼(313), 현재 페이지에서 패스(path)설정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다음버튼(314),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전체화면버튼(31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 영역(300)은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인터랙션 영역에는 8개의 큐브셀로 구성된 전체 큐브셀을 표시하는 예로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 큐브셀(250)은 상단면 선택부(251), 좌측면 선택부(253), 우측면 선택부(255), 상단면&좌측면 선택부(252), 상단면&우측면 선택부(254), 좌측면&우측면 선택부(256), 전체조망 선택부(2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큐브셀(250)을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편리하게 볼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큐브 영역(200)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손가락으로 가이드 큐브셀(250)의 상단면&좌측면 선택부(252)을 선택하면, 인터랙션 영역(300)은 각 큐브셀의 상단면(T)과 좌측면(L)만 보여준다.
도 3(c)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큐브 영역(200)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손가락으로 가이드 큐브셀(250)의 전체조망 선택부(258)을 선택하면, 인터랙션 영역(300)은 큐브셀들로 구성된 전체 큐브셀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큐브 영역(230)의 매핑 메뉴(230)를 선택하면, 가이드 큐브 영역(230)은 펼친 가이드 큐브셀(450)과 카테고리 영역(410)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테고리6”의 콘텐츠를 전체 큐브셀(350)의 좌측면(351)에 표시하기 원하는 경우, 가이드 큐브 영역(230)의 펼친 가이드 큐브셀(450)의 앞쪽 좌측면(451)에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드래그로 매핑하면, 전체 큐브셀(350)에서 선택한 행 또는 열의 좌측면(351)에 매핑되어 “카테고리6”의 콘텐츠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카테고리를 펼친 가이드 큐브셀(450)에 매핑하여, 전체 큐브셀(350)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영역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어 영역(300)은 재생 구간에 마우스(501)를 올리게 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큐브 형상으로 표시한다. 즉, 플레이어 영역(300)은 재생 구간에 마우스(501)를 올리게 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패스(path)의 이미지를 큐브셀 단위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단말(1)은 GUI모듈(15) 실행명령을 외부로부터 수신한다(S610).
단말(1)은 GUI모듈(15)을 실행하여(S620), 콘텐츠 표시를 위한 GUI화면을 표시한다(S630). 이때, GUI화면은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한다.
단말(1)은 콘텐츠 재생의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640).
단말(1)은 콘텐츠 재생의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콘텐츠를 재생하고(S650), 콘텐츠 재생의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640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가이드 큐브셀을 구비하여,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고, 가이드 큐브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로 구성된 인터랙션 영역의 전체 큐브셀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단말
10: 메모리
11: 운영체제
13: 통신모듈
15: GUI모듈
17: 애플리케이션
19: 데이터베이스
21: 메모리 제어장치
23: 중앙처리장치
25: 인터페이스
30: 표시장치
40: 입력장치
50: 통신회로
60: 외부포트
70: 오디오회로
80: 스피커
100: 인터랙션 영역
110: 큐브셀
140: 확대/축소 조절부
150: 전체 큐브셀
160: 포커스부
200: 가이드 큐브 영역
300: 플레이어 영역

Claims (12)

  1.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장치,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상기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영역에서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셀은 상단면, 좌측면, 우측면에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신호는 마우스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마우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되,
    마우스의 스크롤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마우스 제어신호인 경우, 상기 큐브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고, 상기 마우스의 우측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시에는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고, 상기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시에는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회전하고, 상기 마우스로 상기 큐브셀의 특정 면을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하면, 클릭된 상기 특정 면을 확대하고, 상기 마우스를 특정 큐브셀에서 롱 탭하면, 상기 특정 큐브셀이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사용자 제어신호는 손가락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손가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되,
    손가락 두 개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고, 상기 손가락 두 개를 멀어지게 하는 상기 손가락 제어신호인 경우, 상기 큐브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가 확대되고, 상기 손가락 두 개를 가까워지게 하는 상기 손가락 제어신호인 경우, 상기 큐브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가 축소되고, 상기 손가락 두 개로 상기 콘텐츠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시에는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고, 상기 손가락 한 개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고 드래그 시에는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상, 하, 좌, 우로 회전하고, 상기 손가락 한 개로 상기 큐브셀의 특정 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상기 특정 면을 확대하고, 상기 손가락 한 개를 특정 큐브셀에서 롱 탭하면, 상기 특정 큐브셀이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큐브 영역은 뷰, 맵, 매핑, 셀 메뉴를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신호로 상기 뷰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가이드 큐브 영역에는 가이드 큐브셀을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큐브셀은 상단면 선택부, 좌측면 선택부, 우측면 선택부, 상단면&좌측면 선택부, 상단면&우측면 선택부, 좌측면&우측면 선택부, 전체조망 선택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신호로 상기 매핑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가이드 큐브 영역에는 상기 가이드 큐브셀의 펼쳐진 형태를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큐브셀의 상단면, 좌측면, 우측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카테고리를 매핑할 수 있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영역은 재생 구간에 마우스를 올리게 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큐브 형상으로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콘텐츠 재생의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큐브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큐브셀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영역, 상기 인터랙션 영역을 제어하는 가이드 큐브 영역, 상기 큐브셀에 포함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1. 제10항의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2. 삭제
KR1020130092830A 2013-08-05 2013-08-05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423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830A KR101423168B1 (ko) 2013-08-05 2013-08-05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830A KR101423168B1 (ko) 2013-08-05 2013-08-05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168B1 true KR101423168B1 (ko) 2014-07-28

Family

ID=5174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830A KR101423168B1 (ko) 2013-08-05 2013-08-05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80A1 (ko) * 2016-03-04 2017-09-08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KR20220015015A (ko) * 2020-07-30 2022-02-08 이채은 큐브 로봇을 이용한 메뉴 주문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404B1 (en) 1998-06-26 2002-03-26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models with markup documents as texture
KR101006365B1 (ko) 2009-11-16 2011-01-10 (주) 퓨처로봇 동적 입체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122432A (ko) * 2011-04-29 2012-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404B1 (en) 1998-06-26 2002-03-26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models with markup documents as texture
KR101006365B1 (ko) 2009-11-16 2011-01-10 (주) 퓨처로봇 동적 입체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122432A (ko) * 2011-04-29 2012-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80A1 (ko) * 2016-03-04 2017-09-08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KR20220015015A (ko) * 2020-07-30 2022-02-08 이채은 큐브 로봇을 이용한 메뉴 주문 방법 및 시스템
KR102524850B1 (ko) * 2020-07-30 2023-04-21 이채은 큐브 로봇을 이용한 메뉴 주문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5225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KR1018998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57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멀티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KR101673918B1 (ko)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91042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US9007524B2 (en)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audio isolation in video processing
KR101921203B1 (ko)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21258821A1 (zh) 视频编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10181521A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z-ordering in a user interface
KR20150022601A (ko) 저장된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7635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이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 전환 방법 및 음향 시스템
JP201403577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039575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40246A (ko) 멀티 윈도우 동작을 위한 제스처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US20130268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nus in media device
JP5872264B2 (ja) 携帯端末における電子書籍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201200199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표시 제어방법
KR101462021B1 (ko) 음원 재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423168B1 (ko) 콘텐츠 표시를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40078083A1 (en) Method for editing display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00348804A1 (en)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