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11A -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3111A KR20110093111A KR1020100012946A KR20100012946A KR20110093111A KR 20110093111 A KR20110093111 A KR 20110093111A KR 1020100012946 A KR1020100012946 A KR 1020100012946A KR 20100012946 A KR20100012946 A KR 20100012946A KR 20110093111 A KR20110093111 A KR 201100931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note
- bill
- pressing
- elastic member
- casset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지폐가 수납되고 일측면에 지폐방출공이 형성된 지폐수납함과, 상기 지폐수납함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된 지폐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함에는 상기 지폐방출공이 형성된 측의 상측에서 상기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전방부측 지폐의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지폐수납함의 내측에는 상기 지폐방출공을 통해 지폐를 방출시키는 방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면을 승하강 하도록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지폐수납함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상기 지폐수납함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하거나 복원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지폐수납함에 내설되어 그 외측을 감싸는 탄성부재 보호부가 구비된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측의 지폐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지폐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설하여 보호함에 따라 탄성 부재가 손상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측의 지폐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지폐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설하여 보호함에 따라 탄성 부재가 손상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지폐의 전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지폐수납함의 외측에 구비하고 가압부재의 전단과 후단이 지폐수납함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탄성부재와 지폐의 간섭을 줄여 가압부재에 의한 지폐의 장입성과 정렬도를 증대시키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각종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자동 현금 지급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사용자가 통장이나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즉시 현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현급 지급기는 통상적으로 기기의 내측에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수납하여 보관하면서 일정 금액만큼 현금을 방출시키는 지폐 방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폐 방출 장치는 내측에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보관하되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카세트를 구비하고, 카세트에 다수의 이송롤러를 배치하여 이송롤러의 작동에 의해 지폐가 한장씩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카세트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는 카세트에서 방출된 지폐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인도되도록 하는 지폐방출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폐용 카세트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 수납함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고, 지폐수납함의 일측면 하부측으로는 저장된 지폐가 배출되는 지폐 방출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폐 수납함에는 횡방향 즉, 지폐의 좁은 길이면 쪽이 지폐 방출공으로 지폐가 배출되도록 지폐가 수납되고, 지폐는 상측에 설치된 탄성을 갖는 지폐 가압부에 의해 지폐 방출공을 통해 지폐가 배출되면 지속적으로 지폐를 가압하도록 한다.
특히, 북미의 경우 지폐의 좁은 길이 쪽에서 긴 길이 쪽으로 지폐를 말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폐를 지폐 수납함에 넣으면 지폐의 양단이 위나 아래 쪽으로 말리게 되므로 지폐 방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폐의 일단이 위치되지 못하여 지폐가 배출될 때 지폐방출공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지폐 방출공 입구에서 구겨져 뭉쳐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에는 양단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진 지폐(B)가 수납되고, 수납된 지폐(B)는 카세트의 전방에 형성된 지폐방출공(E)을 통해 카세트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이때, 지폐방출공(E)이 형성된 카세트의 내측에는 지폐방출공(E)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방출롤러(R1)(R2)가 각각 설치되고, 상부방출롤러(R1)와, 하부방출롤러(R2)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이에, 지폐방출공(E)을 통해 지폐(B)가 카세트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런데,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B)의 일단이 휘어진 경우 하부방출롤러(R2)에 의해 지폐방출공(E)측으로 이동되었다가 일단이 휘어짐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방출공(E) 입구에서 구겨져 뭉쳐지게 되어 지폐(B)의 방출이 멈추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세트의 상측에는 지폐방출공(E)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게 말려진 지폐(B)의 상측을 가압하는 가압부재(P)가 설치된다.
가압부재(P)는 지폐방출공(E)이 형성된 카세트의 상측에 힌지결합되고, 카세트의 내측에 위치되어 카세트의 바닥면과 가압부재(P)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지폐를 가압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압부재(P)는 탄성부재가 지폐(B)가 수납되는 위치에 구비됨에 따라 지폐(B)의 장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가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지폐(B)의 장입과정에서 지폐(B)와 탄성부재가 자주 접촉되면서 탄성부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지폐(B)와 탄성부재가 자주 접촉되고, 지폐(B)를 장입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가압부재(P)를 승하강시키면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지폐(B)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약화되어 지폐(B)를 충분하게 가압하지 못한다.
그리고, 가압부재(P)는 지폐(B)의 장입량에 따라 승하강 하도록 양단이 카세트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회동시키는 힌지부재(P1)가 가압부재(P)의 측면 중심에 설치됨에 따라, 가압부재(P)의 최전단은 힌지부재(P1)를 중심으로 전후방이 회동될 수 있으므로 지폐방출공(E) 전방측 지폐(B)가 접혀질 경우 가압부재(P)는 지폐(B)를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고 오히려 접혀진 지폐(B)에 의해 가압부재(P)의 전방측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의 전단을 가압하여 전단이 휘어지거나 구겨진 지폐도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보호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를 수용리브의 내부에 수용하여 지폐 수납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탄성부재가 항상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하고, 탄성부재가 인장되거나 복원될 때 이를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전방부에서 상승시키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모두 지폐를 가압하도록 가압부재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 가압부재를 승강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부재의 후방부도 지지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가 마찰판에 의해 방출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된 가압부재를 별도로 하강시키는 절차 없이 커버를 닫으면서 하강시키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수납함에 지폐를 수납할 때 간섭을 줄이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지폐수납함에는 상기 지폐방출공이 형성된 측의 상측에서 상기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전방부측 지폐의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지폐수납함의 내측에는 상기 지폐방출공을 통해 지폐를 방출시키는 방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면을 승하강 하도록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지폐수납함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상기 지폐수납함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하거나 복원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지폐수납함에 내설되어 그 외측을 감싸는 탄성부재 보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양단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후방 승하강돌기와, 상기 지폐 수납함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후방 승하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 보호부는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리브이되,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브는 상기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브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브의 전방측이 상기 전방 승하강안내리브와 연결되도록 상하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는 안내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승하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부의 후방 바닥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승하강안내리브에는 상부에 상기 가압부재를 승강시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전방돌기부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하측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 승하강안내리브에는 상기 전방승하강돌기가 승강됨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되는 후방승하강돌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후방 안내리브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승강안내라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지폐방출공을 중심으로 하측에 설치되는 방출롤러와, 상기 방출롤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방출공으로 지폐가 방출될 때 지폐의 상면과 마찰하면서 지폐의 이동을 제한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하강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폐수납함은 상측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되, 양측면의 중심측이 일부 개방된 수납안내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지폐방출공을 통해 지폐가 방출될 때 지폐의 전단을 가압함에 따라 휘어진 지폐도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지폐가 지폐방출공으로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측의 지폐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지폐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설하여 보호함에 따라 탄성부재가 손상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쪽의 지폐가 휘어져 있더라도 탄성부재가 가압부재의 전방부에 설치됨에 따라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전방부에서 증대되므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폐를 가압할 수 있고, 지폐가 방출되면서 구겨져 지폐방출공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재가 승하강 될 때 이를 안내하는 안내돌기부와 안내 리브부가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재가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뿐만 아니라,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모두 작용하므로 지폐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폐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재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수용홈이 구비됨에 따라 지폐수납함에 지폐가 수납될 때 가압부재가 이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가 방출됨에 있어서 마찰판에 의해 방출됨에 따라 지폐의 전단이 구겨지더라도 지폐가 지폐방출공의 내측에서 뭉치는 것이 아니라 구겨진 상태로도 방출이 가능하므로 지폐가 방출되는 것이 멈추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닫을 때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부재를 가압하므로 가압부재가 승강된 상태에서도 커버를 닫으면 가압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지폐를 지폐수납함에 수납하는 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수납함의 양측면 중심부가 개방됨에 따라 지폐수납함에 지폐를 수납함에 있어서 지폐와 지폐수납함이 접촉되어 간섭되는 것이 줄어들어 지폐가 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커버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가 지폐수납기에 수납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승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방출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9a,9b,9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방출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승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a, 11b는 종래의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커버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가 지폐수납기에 수납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승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방출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9a,9b,9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방출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승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a, 11b는 종래의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커버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현금 인출기 등의 지폐방출기에 장착되는 지폐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폐용 카세트(1)의 내부에 수납되어 방출되는 지폐(B)의 일단을 가압하여 완만하게 휘어진 지폐(B)의 정렬도를 강화하도록 지폐(B)가 수납되는 지폐 수납함(10)과 지폐 수납함(10)을 커버하는 커버(20)로 이루어지며, 지폐용 카세트(1)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폐(B)를 가압하는 가압수단(40)과, 지폐(B)를 지폐수납함(10)의 지폐방출공(21)을 통해 방출시키는 방출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폐 수납함(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지폐(B)가 수납되어 저장되도록 하되, 일측에는 수납된 지폐(B)가 방출되는 지폐방출공(1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지폐 수납함(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힌지결합된 커버(20)가 구비된다.
지폐 수납함(10)과 커버(20)는 지폐 수납함(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폐수납함(10)의 내측에 설치된 걸림부재(14)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레버부재(13)와, 커버(20)의 내측에 걸림부재(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걸림부재(14)가 걸리는 고리부재(24)에 의해 개폐된다. 즉, 커버(20)는 레버부재(13)를 회동시켜 걸림부재(14)와 고리부재(24)가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지폐수납함(10)을 개폐시킨다.
이때, 레버부재(1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열쇠가 삽입될 수 있는 열쇠구멍이 형성되어 열쇠구멍에 삽입된 열쇠에 의해 전술한 걸림부재(14)를 회동시켜 커버(2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며 후술될 가압수단(40)의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돌기(29)가 형성되어 커버(20)를 닫을 때 가압돌기(29)가 가압수단(40)을 가압하도록 한다.
한편, 지폐수납함(10)의 내부에는 지폐(B)의 사이즈에 따라 지폐(B)를 정렬할 수 있도록 그 길이와 폭이 조절가능한 가변수단(30)이 구비된다.
가변수단(30)은 지폐(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조절부재(31)와,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폭 조절부재(33)로 이루어진다.
길이조절부재(31)는 지폐(B)의 일단이 지폐수납함(10)의 전방에 위치되면 지폐(B)의 길이에 맞게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지폐(B)의 타단에 접하도록 조절된다.
폭조절부재(33)는 지폐수납함(10)의 후단 양측에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장입되는 지폐(B)의 사이즈에 따라 일측과 타측에 지폐수납함(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폭을 좁히거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폭을 넓히도록 각각 조립되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지폐(B)를 수용한다.
여기서, 폭조절부재(33)는 지폐수납함(10)의 후단측에 위치한 길이조절부재(31)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지폐수납함(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가압수단(4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에, 후술될 가압수단(40)과 폭조절부재(33) 사이에는 양측이 개구되는 수납안내개구부(35)가 형성된다. 수납안내개구부(35)는 지폐(B)를 지폐수납함(10)에 수납할 때 지폐수납함(10)이 바닥면부터 상측까지 노출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지폐(B)를 넣거나 빼기 용이하며 육안으로 지폐(B)의 수납 상태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길이조절부재(31)의 상단에는 지지부재(38)가 설치된다.
지지부재(38)는 지폐 수납함(10)의 지폐 방출공(3)이 형성된 반대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실제적으로 지폐(B)를 가압하지는 않지만 지폐 수납함(10)에 수용된 지폐(B)가 지폐 수납함(10)에 수용되어 있도록 이를 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가 지폐수납기에 수납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수납된 지폐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의 전면에는 지폐 수납함(10)의 내부에 수용된 지폐(B)의 권종을 정확하게 판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권종인식홈(12)이 형성된다. 일부 권종인식홈(12a)에는 권종인식홈(12a)에 삽입되는 다수의 권종인식핀(12b)이 구비되며, 카세트(1)가 결합되는 지폐 수납기(C)의 내측에는 권종인식핀(12b)이 삽입되지 않은 다른 권종인식홈(12a)에 삽입되는 다수의 카세트인식핀(C1)이 구비된다.
카세트인식핀(C1)은 해당 권종의 지폐용 카세트(1)가 장착되는 지폐지급기(C)에 설치되어 지폐용 카세트(1)가 지폐 지급기(C)에 장착될 때에만 정상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권종인식홈(12a)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지폐지급기(C)이 내측면에 돌출 결합되도록 통상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권종인식핀(12b)이 삽입되지 않는 권종인식홈(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폐지급기(C)에는 지페용 카세트(1)의 장착 위치에 해당하는 지폐(B)의 권종을 인식하기 위한 카세트 인식핀(C1)이 미리 설치되고, 지폐용 카세트(1)의 권종인식홈(12a)에는 그에 따른 권종 인식핀(12b) 및 카세트 인식핀(C1)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지폐(B)가 저장된 지폐용 카세트(1)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지폐수납함(10)과 커버(20)에 의해 밀폐되는 지폐용 카세트(1)의 내측에는 지폐(B)가 일정 양 이하로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여 지폐용 카세트(1)의 교체시기를 알기 위한 것으로서 지폐용 카세트(1)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관통되게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페용 카세트(1)가 설치되는 지폐지급기(C)의 내측에는 관통공(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발광센서(C3)와 발광센서(C3)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C4)가 배치되어 발광센서(C3)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센서(C4)에 수광되는지 유무를 통해 지폐(B)의 잔량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폭 조절부재(33)에는 관통공(15)과 대응되는 위치와 그 일측에 두 개의 렌즈(21)가 설치되고, 폭 조절부재(3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 개의 렌즈를 연결하여 발광된 광이 이동하는 연결통로 및 연결통로에 설치되며 발광된 광을 관통공(1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광센서(C3)에서 발광된 빛이 관통공(15)을 통해 폭조절부재(33)에 설치된 렌즈(21)를 통과하면, 연결통로와 반사판에 의해 타측 관통공(15)과 대응되게 설치된 수광센서(C4)에 의해 수광된다. 따라서, 지폐용 카세트(1)에 남은 지폐(B)의 양이 많아서 발광센서(C3)에서 발광된 빛이 지폐(B)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센서(C4)에 수광되지 않으면 지폐(B)의 양이 일정 양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폐용 카세트(1)에 남은 지폐(B)의 양이 적어져 발광센서(C3)에서 발광된 빛이 관통공(15)을 통과하여 수광센서(C4)로 유입될 경우 지폐용 카세트(1)에 남은 지폐(B)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승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단(40)은 지폐(B)의 전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41)와, 가압부재(4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49) 및 탄성부재(49)를 보호하는 탄성부재보호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압부재(41)는 지폐방출공(11)이 형성된 지폐 수납함(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지폐 수납함(10)에 수납된 지폐(B)를 가압하는 것으로서 가압부재(41)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그 양단의 전방과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전후방 승하강돌기(43a)(45a)가 형성된다.
또한, 지폐 수납함(10)의 전방 내부 양측면에는 가압부재(41)의 전후방 승하강돌기(43a)(45a)가 삽입되어 각각 가압부재(41)가 승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게 전후방 승하강돌기(43a)(45a)와 대응되는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43b)(45b)가 각각 형성된 측면부재(46)가 설치된다.
이에, 가압부재(41)는 지폐 수납함(10)의 양측면에 설치된 측면부재(46)의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43b)(45b)에 가압부재(41)의 전후방 승하강돌기(43a)(45a)를 각각 삽입하여 가압부재(41)를 승하강 시키되, 지폐(B)의 전후방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승하강안내리브(43b)의 상측에는 가압부재(41)를 승강시켜 지폐 수납함(10)에 지폐(B)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41)의 전방승하강돌기(43a)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전방승하강돌기부(43a)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개구측에 걸림부(47')가 마련된 수용홈(47)이 형성된다. 또한, 후방 승하강안내리브(45a)의 상측에는 수용홈(47)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승하강안내라인(48)이 더 형성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부재(41)의 양측 전방승하강돌기(43a)는 전방 승하강안내리브(43b)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부재(41)를 승강시켜 수용홈(47)의 개구를 통해 수용홈(47) 내부로 삽입된 후 걸림부(47')에 의해 수용홈(47) 내부에 수용되고, 후방승하강돌기(45a)는 전방승하강돌기(43a)와 같이 후방승하강안내리브(45b)를 따라 승강하여 후방승하강안내리브(45b)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승하강안내라인(48)을 따라 이동하므로 가압부재(41)는 전방측이 고정되고 후방측이 자유로운 승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1)와 지폐수납함(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폐(B)가 수납될 때 탄성부재(49)의 인장과 복원에 의해 가압부재(30)가 지폐(B)를 가압하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49)는 지폐 수납함(10)의 내측이나 외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탄성부재 보호부(5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지폐(B)가 지폐 수납함(10)에 수납될 때 탄성부재(49)와 지폐(B)가 접촉되어 탄성부재(4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 보호부(50)는 지폐 수납함(10)의 외면에 형성되되, 전방승하강안내리브(43a)와 후방승하강안내리브(45a)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리브(51)와, 탄성부재 수용리브(51)에 설치된 안내롤러(53)와, 탄성부재 수용리브(51)의 후방 바닥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구(52) 및 지폐수납함(10)의 측면부재(46)의 외측에 설치되어 전술한 탄성부재(49) 및 탄성부재 보호부(50)를 커버하는 탄성부재 커버부재(57)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 수용리브(51)는 적어도 두 개의 절곡부(55)를 갖도록 형성되되, 일단은 지폐 수납함(10)의 전방부 바닥면에서 시작되도록 형성되어 전방승하강안내리브(43a)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성부재 수용리브(51)는 전방안내리브(11)와 연통되게 형성된 전방측 절곡부(55)를 통해 지폐 수납함(10)의 측면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측에 형성된 후방측 절곡부(55)를 통해 다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지폐 수납함(10)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롤러(53)는 전후방 절곡부(55)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탄성부재(49)는 일단이 탄성부재 수용리브(51)의 후방 바닥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구(52)에 고정되고, 타단은 탄성부재 수용리브(51)의 후방측 절곡부(55)와 전방측 절곡부(55)를 따라 탄성부재 수용리브(51)에 내설되어 전방승하강안내리브부(43b)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압부재(41)의 전방승하강돌기(43a)에 고정된다.
이에, 탄성부재(49)는 일단이 가압부재(41)의 전방승하강돌기(43a)와 연결됨에 따라 탄성부재(49)가 압축되면서 가압부재(41)를 하강시켜 지폐(B)를 가압함에 있어서 가압부재(41)의 전방측을 더욱 가압하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49)는 측면부재(46)에 함몰되게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리브(51)에 의해 내설되고, 내설된 탄성부재(49)를 커버하는 탄성부재 커버부재(57)가 설치됨에 따라 탄성부재(49)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가압부재(41)가 승강된 상태에서 커버(20)를 닫으면, 커버(20)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돌기(29)는 전방승하강돌기(43a)가 수용홈(47)에 삽입되어 승강된 가압부재(41)의 후단을 가압하여 가압부재(41)의 전방이 승강되어 전방승하강돌기(43a)가 수용홈(47)을 빠져나오게 되므로 하강되어 커버(20)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방출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9b,9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방출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출수단(60)은 지폐 수납함(10)에 수납된 지폐(B)를 지폐방출공(11)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수납함(10)의 바닥측에는 적어도 3개의 이송롤러들로 이루어진 이송롤러부와, 지폐(B)의 상면과 마찰되어 지폐(B)를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마찰판(6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이송롤러(61)는 지폐 수납함(10)의 최전방부에 설치되고, 제2이송롤러(63)와 제3이송롤러(65)는 제1이송롤러(61)를 기준으로 지폐 수납함(10)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제1이송롤러(61)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수납함(10)의 최전방부에 설치되고, 마찰판(67)은 그 상측에 설치되되, 그 상측에 마찰판(67)을 가압하는 마찰판 가압부재(68) 및 마찰판 탄성부재(69)가 더 구비된다.
이때, 제2이송롤러(63)는 제1이송롤러(63)와 연결벨트(62)로 연결되어 연동되어 회동하고, 제2이송롤러(63)와 제3이송롤러(65)도 연결벨트(64)로 연결되어 연동되어 회동한다.
이에, 가압부재(30)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지폐(B)는 회전하는 제1,2,3이송롤러(61)(63)(65)에 의해 밀려남과 동시에 마찰판 가압부재(68)에 의해 가압되는 마찰판(67)이 지폐(B)의 상측을 가압하므로 지폐(B)가 1매씩 밀려 지폐방출공(11)을 통해 밀려나가게 된다.
여기서, 지폐(B)는 전단이 접혀진 상태에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판(67)과 마찰판 가압부재(68) 사이에 설치된 마찰판 탄성부재(69)가 일부 수축되면서 마찰판(67)이 일부 승강되어 방출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접혀진 지폐(B)가 지폐방출공(11)을 빠져나가면 마찰판 탄성부재(69)는 다시 하강하여 종전과 같이 지폐(B)를 분리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승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가압수단이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지폐수납함(10)에 지폐(B)를 장입시키기 위해 가압부재(41)를 승강시킨다.
이때, 가압부재(41)의 전방승하강안내리브(43b)에 삽입된 전방승하강돌기(43a)는 승강되고, 전방승하강돌기(43a)에 그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49)는 탄성부재 수용리브(51)의 내부에서 절곡부(55)에 설치된 안내롤러(53)들에 의해 안내되어 인장된다. 그리고, 후방승하강돌기(45a)는 후방 승하강안내리브(45b)를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안내라인(48)을 따라 이동한다.
다음, 사용자는 승강된 가압부재(41)의 전방승하강돌기(43a)를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홈(47)의 내부에 삽입하고, 걸림부(47')에 걸리도록 하여 가압부재(41)를 고정시킨다. 아울러, 사용자는 지폐수납함(10)의 후방측에 힌지결합된 지지부재(38)를 지폐수납함(10)의 외측으로 회동시킨다.
다음, 사용자는 지폐(B)를 지폐수납함(10)의 내부에 장입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수단(40)과 가변수단(30)의 폭조절부재(33) 사이에 형성된 수납안내개구부(35)에 의해 지폐수납함(10)의 내부에 지폐(B)를 장입하기가 용이하고, 가압부재(41)에 설치된 탄성부재(49)는 탄성부재 보호구(50)에 내설되므로, 지폐(B)와 접촉되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사용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47)의 걸림부(47')에 의해 고정된 전방승하강돌기(43a)를 수용홈(47)에서 꺼내어 가압부재(41)를 하강시킨다.
이때, 가압부재(41)의 전방승하강돌기(43a)와 후방승하강돌기(45a)는 각각 전방승하강안내리브(43b)와 후방승하강안내리브(45b)를 따라 하강하며, 전방승하강돌기(43a)에 고정된 탄성부재(49)는 탄성부재 수용리브(51) 내부에서 안내롤러(53)들에 의해 안내되어 인장된 부분이 복원된다.
탄성부재(49)가 복원된 가압부재(41)는 전방승하강돌기부(43a)와 후방승하강돌기(45a)가 모두 전방 승하강안내리브(43b)와 후방승하강안내리브(45b)에 삽입되어 전방측과 후방측이 모두 고정되면서 탄성부재(49)의 복원력에 의해 휘어진 지폐(B)의 전단측을 가압한다. 또한, 지지부재(38)는 지폐수납함(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회동된다.
이에, 지폐수납함(10)에서 지폐방출공(11)이 형성된 측의 지폐(B)면은 가압부재(41)에 의해 휘어짐이 없도록 가압되므로, 제1,2,3이송롤러(61)(63)(65)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지폐(B)를 밀어 외측으로 이송되는 지폐(B)는 구겨지는 것이 방지되고, 지폐(B)가 구겨지더라도 지폐(B)의 상면을 가압하는 마찰판 탄성부재(69)가 순간적으로 승강되면서 마찰판(67)에 의해 지폐방출공(11)을 통해 지폐수납함(10)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B : 지폐 1 : 지폐용 카세트
10 : 지폐수납함 11 : 지폐방출공
12a: 권종인식홈 12b : 권종인식핀
13 : 레버부재 14 : 걸림부재
15 : 관통공 20 : 커버
24 : 고리부재 29 : 가압돌기
30 : 가변수단 31 : 길이조절부재
33 : 폭 조절부재 35 : 수납안내개구부
38 : 지지부재 40 : 가압수단
41 : 가압부재 43a,45a : 전후방승하강돌기
43b,45b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 46 : 측면부재
47 : 수용홈 47' : 걸림부
48 : 승하강안내라인 49 : 탄성부재
19 : 승강안내라인 20 : 커버
50 : 탄성부재 보호구 51 : 탄성부재 수용리브
52 : 탄성부재 고정구 53 : 안내롤러
55 : 절곡부 60 : 방출수단
61 : 제1이송롤러 63 : 제2이송롤러
65 : 제3이송롤러 67 : 마찰판
68 : 마찰판 가압부재 69 : 마찰판 탄성부재
10 : 지폐수납함 11 : 지폐방출공
12a: 권종인식홈 12b : 권종인식핀
13 : 레버부재 14 : 걸림부재
15 : 관통공 20 : 커버
24 : 고리부재 29 : 가압돌기
30 : 가변수단 31 : 길이조절부재
33 : 폭 조절부재 35 : 수납안내개구부
38 : 지지부재 40 : 가압수단
41 : 가압부재 43a,45a : 전후방승하강돌기
43b,45b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 46 : 측면부재
47 : 수용홈 47' : 걸림부
48 : 승하강안내라인 49 : 탄성부재
19 : 승강안내라인 20 : 커버
50 : 탄성부재 보호구 51 : 탄성부재 수용리브
52 : 탄성부재 고정구 53 : 안내롤러
55 : 절곡부 60 : 방출수단
61 : 제1이송롤러 63 : 제2이송롤러
65 : 제3이송롤러 67 : 마찰판
68 : 마찰판 가압부재 69 : 마찰판 탄성부재
Claims (10)
- 내측에 지폐가 수납되고 일측면에 지폐방출공이 형성된 지폐수납함과, 상기 지폐수납함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된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함에는 상기 지폐방출공이 형성된 측의 상측에서 상기 지폐방출공으로 방출되는 전방부측 지폐의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지폐수납함의 내측에는 상기 지폐방출공을 통해 지폐를 방출시키는 방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면을 승하강 하도록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지폐수납함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상기 지폐수납함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하거나 복원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지폐수납함에 내설되어 그 외측을 감싸는 탄성부재 보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양단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후방 승하강돌기;와,
상기 지폐 수납함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후방 승하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2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보호부는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리브이되,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브는 상기 전,후방 승하강안내리브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브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브의 전방측이 상기 전방 승하강안내리브와 연결되도록 상하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는 안내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3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승하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 수용리부의 후방 바닥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승하강안내리브에는 상부에 상기 가압부재를 승강시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전방돌기부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하측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 승하강안내리브에는 상기 전방승하강돌기가 승강됨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되는 후방승하강돌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후방 안내리브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승강안내라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지폐방출공을 중심으로 하측에 설치되는 방출롤러;와,
상기 방출롤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방출공으로 지폐가 방출될 때 지폐의 상면과 마찰하면서 지폐의 이동을 제한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하강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함은 양측면의 중심측이 일부 개방된 수납안내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946A KR101133205B1 (ko) | 2010-02-11 | 2010-02-11 |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946A KR101133205B1 (ko) | 2010-02-11 | 2010-02-11 |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3111A true KR20110093111A (ko) | 2011-08-18 |
KR101133205B1 KR101133205B1 (ko) | 2012-04-09 |
Family
ID=4492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2946A KR101133205B1 (ko) | 2010-02-11 | 2010-02-11 |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320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94475A (ja) * | 1992-04-16 | 1993-11-09 | Murata Mach Ltd | 給紙装置 |
JPH07309458A (ja) * | 1994-05-18 | 1995-11-28 | Ricoh Co Ltd | 給紙カセット |
JP3717994B2 (ja) * | 1996-04-18 | 2005-11-16 |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給紙カセット |
KR20010044111A (ko) * | 2000-10-24 | 2001-06-05 | 함현철 | 지폐 방출장치 |
-
2010
- 2010-02-11 KR KR1020100012946A patent/KR10113320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3205B1 (ko) | 2012-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97575B2 (ja) | 紙葉収納払出装置 | |
KR101099464B1 (ko) | 지폐 입출금 기구 | |
KR101240055B1 (ko)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 |
KR101458450B1 (ko) | 지폐 입출금기 | |
JP2014123222A (ja) | 紙葉類取扱装置 | |
KR20060135503A (ko) | 지폐 입출금기 | |
KR101133205B1 (ko) | 지폐 방출기용 카세트 | |
KR101178919B1 (ko) | 매체 방출기용 카세트 | |
KR20150145622A (ko) |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 |
KR101304528B1 (ko) | 지폐 집적 배출수단을 구비한 출금기 | |
WO2015178198A1 (ja) |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JP6927011B2 (ja) | 紙葉類収容装置、紙葉類処理装置 | |
JP6910224B2 (ja) | 紙葉類処理装置 | |
KR20100073461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 |
JP6478442B2 (ja) |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
US9424707B2 (en) | Actuated castellation plate for a currency acceptor | |
JP4265511B2 (ja) | 紙幣収納庫、紙幣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 |
KR20180111211A (ko) | 갭롤러를 구비한 다권종 지폐카세트 | |
KR20180111212A (ko) |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 |
JP4321513B2 (ja) |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 |
KR100596311B1 (ko) |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 |
KR200349735Y1 (ko) | 지폐식별장치 | |
JP2635606B2 (ja) | 紙幣投入払出装置 | |
KR101006841B1 (ko) | 지폐방출기용 지폐 카세트의 지폐 정렬 및 가압장치 | |
KR101252684B1 (ko) |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용 푸시플레이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