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780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780A
KR20110092780A KR1020100012402A KR20100012402A KR20110092780A KR 20110092780 A KR20110092780 A KR 20110092780A KR 1020100012402 A KR1020100012402 A KR 1020100012402A KR 20100012402 A KR20100012402 A KR 20100012402A KR 20110092780 A KR20110092780 A KR 20110092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usic
information
files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081B1 (ko
Inventor
고지현
김웅식
강태훈
임현옥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81B1/ko
Priority to US13/018,656 priority patent/US8712207B2/en
Publication of KR2011009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음악 정보 및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음악의 분위기에 맞는 복수의 영상 파일들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음악 및 영상이 조화로운 쇼을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오디오 파일을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하여 음악을 들려줄 수도 있다.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 (Digital convergence)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술들을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는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음악과 함께 들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 파일을 음악과 함께 들려줄 때, 사용자는 음악과 조화로운 영상 파일을 보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으며 이를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 및 영상이 조화로운 쇼를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악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악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을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개수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각 영상 파일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얼굴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각 영상 파일에 포함된 얼굴 개수 및 스마일 정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개수 및 스마일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피사체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경우 각 영상 파일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에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순위가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 매칭하여 재배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악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을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개수만큼의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각 영상 파일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순위가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 매칭하여 재배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음악 파일 및 상기 음악 파일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 상기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음악 정보 분석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정보 분석부; 상기 음악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재생 순서 결정부; 및 상기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악 정보 분석부는 상기 음악을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부;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는 프레임 분석부; 및 상기 프레임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프레임 순위 결정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 분석부는 각 영상 파일에서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영상 정보 도출부;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영상 파일 정렬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 순서 결정부는 순위가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 매칭하여 재배열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음악 파일 저장부; 및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영상 파일 저장부; 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악의 분위기에 맞는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재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 및 영상이 조화로운 쇼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음악 정보 분석부(2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영상 정보 분석부(22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S410 내지 S430의 동작에 대응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음악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음악 정보 분석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은 상기 영상 정보가 영상에 포함된 얼굴 개수 및 스마일 정도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상기 영상 정보가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영상 정보가 영상의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나타난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촬상부(110)의 광학계인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를 투과하고, 조리개(115)의 개폐 정도에 따라 그 광량이 조정된 후,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결상되는 상은 광전 변환 처리에 의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 소자(117)로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리개(115)는 통상 상태 또는 오토 포커싱(Auto-focusing) 알고리즘 실행 시에 개방 상태가 되고, 상 기 릴리스 버튼을 지그시 눌러 형성된 두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아 노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는 각각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3)에 의해 그 위치 등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광각(wide angle)-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줌 렌즈(11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조리개(115)는 조리개 구동부(114)에 의해 개방 정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 소자(117)도 촬상 소자 제어부(118)에 의해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들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4), 조리개 구동부(116),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8)는 노출정보, 초점 정보 등을 기준으로 CPU(170)에서 연산된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 형성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촬상 소자(117)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촬상 소자(11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는 저장부(130)에 임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저장부(130)는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저장부(131)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영상 신호와 그 밖에 신호들을 임시 저장하는 주저장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31)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작동하는 운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33)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CPU(170)는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주저장부(133)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 또는 보조 저장부(150)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주저장부(133)는 프로그램 저장부(131)로부터 운영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임시 저장한 후 실행 가능한 코드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주저장부(13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CPU(170)가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하도록 한다.
주저장부(133)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표시 구동부(145)로 출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것과 동시에 표시부(140)에 출력하는데 있어서 최적인 형태의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영상 신호는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 되어 소정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14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재생부(240)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14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133)에 임시로 저장된 영상 신호는 압축/신장부(155)에 출력된다. 압축/신장부(155)에서는 압축 회로에 의해 저장을 위한 최적의 형태로 압축 처리 즉,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와 같은 부호화 처리가 행해져 소정 형식의 영상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영상 파일은 보조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저장부(150)에는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영상파일 저장부(151) 외에도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음악 파일 저장부(153)이 구비될 수 있다. 음악 파일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악 파일을 생성한 다음 저장할 수도 있다.
보조 저장부(150)로 외장형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형의 반도체 메모리나, 카드 형상이나 스틱 형상으로 되고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카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외에도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보조 저장부(150)에 압축되어 기록된 영상 파일은 압축/신장부(155)에 출력되고 신장 회로에 의해 신장 처리, 즉 복호화 처리가 행해져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는 주저장부(133)로 출력된다. 상기 영상 신호는 주저장부(133)에 임시 저장된 후, 표시 구동부(145)를 통해 표시부(140)에서 소정의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의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60)로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음악 파일 선택 및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다양한 기능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 파일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조작부(160)는 디지털 촬영 장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부(140)에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상기 음악 파일로부터 음악 신호를 추출하여 스피커 구동부를 통해 출력하는 스피커(18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180)는 재생부(240)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80)는 스피커 구동부(185)에 의해 소리의 종류, 소리 크기 등이 제어될 수 있다.
CPU(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31)에 저장된 운용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영상 파일 재생 제어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상 파일 재생 제어부(200)는 음악 정보 분석부(210), 영상 정보 분석부(220), 재생 순서 결정부(230) 및 재생부(240)를 포함한다.
음악 정보 분석부(210)는 조작부(160)에서 생성된 음악 파일을 선택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선택된 음악 파일을 음악 파일 저장부(153)으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으로 음악 파일을 복호화 처리하여 상기 음악 파일로부터 음악를 재생한 다음 상기 음악을 통하여 음악 정보를 분석한다.
도 2는 음악 정보 분석부(2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음악 정보 분석부(210)는 프레임 분할부(211), 프레임 분석부(212), 및 프레임 순위 결정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분할부(211)는 상기 음악을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여기서분할되는 프레임의 개수는 음악에 대응하여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 분석부(212)는 분할된 각 프레임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각 프레임의 주파수에 따라 얼마의 에너지값을 나타내는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값은 소리의 세기인 데시벨(d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주파수에 따라 소리가 얼마의 세기를 나타내는지 스펙트럼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레임 순위 결정부(213)는 상기 프레임 분석부(212)에서 얻은 결과를 통하여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분석부(212)에서 얻은 주파수에 따른 에너지 값 중, 특정 주파수 이하의 에너지 값의 평균을 구한다. 그 다음, 평균 에너지 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에너지 값의 평균이 작은 프레임부터 올림차순으로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프레임 전체 주파수의 평균 에너지값을 이용하거나, 각 프레임의 최고 에너지값을 비교하여 프레임의 순위를 정할 수도 있다.
영상 정보 분석부(220)는 조작부(160)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선택된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영상 파일 저장부(153)으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으로 각 영상 파일을 복호화 처리하여 영상을 얻고 상기 영상을 통하여 영상 정보를 분석한다.
도 3은 영상 정보 분석부(22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영상 정보 분석부(220)는 영상 정보 도출부(221) 및 영상 파일 정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정보 도출부(221)는 각 영상 파일에서 영상 정보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정보는 복수개의 영상 파일에 얼굴 영상이 포함된 경우, (즉 인물 영상인 경우) 각 영상에 포함된 얼굴의 개수 및 스마일 정도 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영상 정보는 복수개의 영상 파일에 피사체의 움직임을 포착한 영상이 포함된 경우, 각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영상 정보는 영상의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영상 정보는 영상의 에지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정보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영상 파일 정렬부(222)는 상기 영상 정보 도출부(221)에서 도출된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한다. 예를 들어, 각 영상에 포함된 얼굴의 개수가 많고, 스마일 정도가 큰 영상 파일부터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움직임 정도가 큰 영상 파일부터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상의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과 에지 정보에 따라 영상 파일을 배열할 수 있다.
재생 순서 결정부(230)는 상기 음악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각 프레임에 대응하여 영상 파일을 매칭하여 재배열한다. 즉,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다. 프레임의 순위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배열하는 기준은, 사용자가 음악 및 영상을 감상할 때, 조화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느낌의 영상은 부드럽고 잔잔한 음악에 매칭하며, 강렬한 느낌의 영상은 크고 빠른 음악에 매칭할 수 있다.
재생부(240)는 상기 재생 순서 결정부(230)에 의해 재배열된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음악에 맞춰 재생한다. 재생부(240)는 음악을 재생함으로써, 각 프레임이 시간의 순서대로 재생될 때, 이에 대응하는 각 영상 파일을 표시 구동부(145)를 통하여 표시부(140)에 표시되게 한다. 또한 재생부(240)는 스피커 구동부(185)를 통하여 스피커(180)에 상기 음악을 출력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재생 모드에 진입한다. (S410) 예를 들어, 재생 모드는 영상 파일 재생 모드(play mode)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슬라이드 쇼 재생 모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통하여 배경 음악으로 사용할 음악 파일을 선택한다. (S420) 도 5는 S410 내지 S430의 동작에 대응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악 선택 아이콘(140b)을 선택하는 동작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생성되어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해당 구성부로 인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통하여 음악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한다. (S430)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 선택 아이콘(140a)을 선택하는 동작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생성되어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해당 구성부로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420 및 S430 단계가 시간적인 순서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은 동시에 선택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먼저 선택된 후 음악 파일이 선택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선택된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한다. (S440)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음악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음악 정보 분석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음악을 복수개의 프레임(frame)으로 분할한다. (S331) 여기서 음악은 도 7의 (a)와 같이 시간(sec) 대 주파수(Hz)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표현된 음악은 도 7의 (b)와 같이 음악에 대응하여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개수(n개)와 동일한 개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프레임을 분석한다. (S432) 도 7의 (c)를 참조하면, 먼저 각 프레임을 주파수(Hz) 대 에너지값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에너지값은 소리의 세기인 데시벨(dB)일 수 있다. 이렇게 나타낸 각 프레임의 특정 주파수 이하의 평균 에너지값을 구한다. 하지만 프레임 분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프레임의 전체 주파수의 평균 에너지값을 구하거나, 각 프레임의 최고 에너지값을 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한다. (S433) 도 7의 (d)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로, 각 프레임의 특정 주파수 이하의 평균 에너지값이 큰 프레임부터 내림차순으로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프레임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균 에너지값이 작은 프레임부터 올림차순으로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여 순위대로 각 프레임에 숫자 플래그 또는 태그(tag)를 표시할 수 있다. 단, 프레임의 배열을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다시 도 4으로 돌아와,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한다. (S45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영상 정보 분석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개의 영상 파일 각각에서 영상 정보를 도출한다. (S441) 다음으로 도출된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배열한다. (S442)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은 상기 영상 정보가 영상에 포함된 얼굴 개수 및 스마일 정도인 경우 이다.
영상에 포함된 얼굴 개수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도출한다. 예를 들어, 특징 기반 얼굴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얼굴의 불변하는 특징인 얼굴의 기하하적 특징, 피부색 (skin-tone) 등을 사용하여 얼굴 개수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얼굴 형판(template)기반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얼굴에 대한 몇 가지의 표준 패턴을 만든 뒤에 패턴을 얼굴 검출을 위해 저장한 다음 패턴들은 영상의 탐색 윈도우 안에서 영상과 하나씩 비교되어 얼굴 개수가 검출된다. 또 다른 예로 SVM(support vector machine)에 기반을 둔 얼굴 검출방법을 사용하여 영상으로부터 각기 다른 영역들을 서브 샘플링(sub-sampling)하여 학습기를 통해 얼굴과 비 얼굴(얼굴이 아닌 부분)에 대해 학습시킨 뒤 입력 영상에서 얼굴의 개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얼굴의 스마일 정도는 스마일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도출한다. 스마일 정보는 0% 내지 100% 로 표현될 수 있는데, %값이 높을수록 활짝 웃는 표정이 된다. 스마일 인식 알고리즘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으로 얼굴 영역을 추출한 다음, 눈,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 점들의 위치, 크기, 형태, 및 이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 인자들을 사용하여 스마일 정도를 도출한다. 이러한 스마일 인식 알고리즘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a)와 같이 복수개의 영상들 IMG81, IMG82 . . . , IMG8n 의 얼굴 개수와 스마일 정도를 분석하여, 얼굴 개수가 많으며, 스마일 정도가 높은 영상 파일부터 내림차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b) 그러나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정렬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올림차순으로 재정렬할 수도 있다.
도 10는 상기 영상 정보가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인 경우이다.
영상에 포착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는 움직임 인식 알고리즘으로 도출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정도는 0 내지 127 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움직임 인식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촬영시 노출 시간동안 휘도 신호 변화량을 연산하거나, 특징점의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영상의 촬영 시에 획득한 움직임 정보를 JPEG 파일 내에 저장해 두고, 필요시 추출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단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복수개의 영상들 IMG91, IMG92, . . .IMG9n 의 움직임 정도를 분석하여 움직임 정도가 큰 영상부터 내림차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b). 또한 이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올림차순으로 재정렬할 수도 있다.
도 11은 상기 영상 정보가 영상의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인 경우이다.
각 영상의 채도(S; Saturation) 또는 명도(I; Intensity)의 평균값은, 각 영상의 채도 채널, 또는 명도 채널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하고,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얻은 레벨의 평균값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도출할 수 있다. 채도의 평균값이 클수록 영상이 원색에 가까우며, 평균값이 작을수록 영상은 무채색에 가깝다. 또한 명도의 평균값이 클수록 영상은 화이트에 가까우며 작을수록 영상은 블랙에 가깝다.
도 11을 참조하면, (a) 와 같이 복수개의 영상들 ING101, IMG102, . . . IMG10n의 채도 또는 명도의 평균값을 도출하여 평균값이 높은 영상부터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IMG101은 채도 또는 명도의 평균값이 가장 크며, IMG102의 경우 채도 또는 명도의 평균값이 가장 작다. 따라서 (b)와 같이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재배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영상 정보는 영상의 에지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영상의 에지 정보를 도출하여, 에지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배열할 수 있다. 에지 정보는 영상의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 맵을 작성한 다음, 일정한 기준값 이상의 밝기를 가진 픽셀과 기준값 미만의 밝기를 가진 픽셀로 이진화하여 기준값 이상의 밝기를 가진 픽셀의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440 및 S450 단계가 시간적인 순서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정보 분석과 영상 정보 분석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영상 정보 분석이 먼저 수행된 후 음악 정보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한다. (S460)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정된 각 프레임의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일대일 매칭된다. 예를 들어, 음악 정보 분석 결과 평균 에너지 값이 높은 프레임부터 우선 순위가 정해진 경우, 영상 정보 분석 결과 얼굴 개수가 많고 스마일 정도가 높은 영상 파일이 에너지 값이 높은 프레임에 매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물이 많으며 인물이 많이 웃는 분위기의 영상에 평균 에너지값이 커서 활발한 느낌의 음악이 매칭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움직임 정도가 큰 영상 파일이 평균 에너지 값이 높은 프레임에 매칭될 수 있다. 이경우, 동적인 영상에 평균 에너지 값이 큰 음악이 매칭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이 큰 영상 파일이 평균 에너지값이 높은 프레임에 매칭될 수 있다. 이 경우 강렬하고 밝은 영상에 이에 대응하는 분위기의 음악이 매칭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음악을 재생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표시한다. (S47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음악 정보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음악의 특정 부분에 매칭함으로써, 슬라이드 쇼를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획일적인 슬라이드 쇼 감상에서 벗어나 고품질의 슬라이드 쇼를 감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디지털 촬영 디바이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디지털 캠코더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100 : 디지털 촬영 장치 170 : CPU
110 : 촬상부 180 : 스피커
120 : 영상 신호 처리부
130 : 저장부
140 : 표시부
150 : 보조 저장부
160 : 조작부

Claims (19)

  1. 음악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악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을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개수와 동일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각 영상 파일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얼굴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각 영상 파일에 포함된 얼굴 개수 및 스마일 정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개수 및 스마일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이 피사체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경우
    각 영상 파일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명도 또는 채도의 평균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에지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순위가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 매칭하여 재배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악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을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개수만큼의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각 영상 파일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순위가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 매칭하여 재배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음악 파일 및 상기 음악 파일에 따라 재생될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
    상기 음악 파일의 음악 정보를 분석하는 음악 정보 분석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정보 분석부;
    상기 음악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재생 순서 결정부; 및
    상기 음악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 분석부는
    상기 음악을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부;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는 프레임 분석부; 및
    상기 프레임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의 순위를 결정하는 프레임 순위 결정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분석부는
    각 영상 파일에서 영상 정보를 도출하는 영상 정보 도출부;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정렬하는 영상 파일 정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순서 결정부는
    순위가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 매칭하여 재배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음악 파일 저장부; 및
    상기 복수개의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영상 파일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00012402A 2010-02-10 2010-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73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02A KR101737081B1 (ko) 2010-02-10 2010-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US13/018,656 US8712207B2 (en) 2010-02-10 2011-02-01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402A KR101737081B1 (ko) 2010-02-10 2010-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780A true KR20110092780A (ko) 2011-08-18
KR101737081B1 KR101737081B1 (ko) 2017-05-17

Family

ID=4435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402A KR101737081B1 (ko) 2010-02-10 2010-02-1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12207B2 (ko)
KR (1) KR101737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2298B2 (en) 2017-09-29 2019-08-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DK201870364A1 (en) 2018-05-07 2019-12-03 Apple Inc. MULTI-PARTICIPANT LIV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431891B2 (en) * 2021-01-31 2022-08-3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e angle video conference
US20220368548A1 (en) 2021-05-15 2022-11-17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93214B2 (en) 2021-05-15 2024-02-06 Apple Inc. Real-tim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770600B2 (en) 2021-09-24 2023-09-26 Apple Inc. Wide angle video confere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862B2 (en) * 2001-07-17 2006-02-28 Accuimage Diagnostics Corp. Graphical user interfaces and methods for retrospectively gating a set of images
JP3829985B2 (ja) * 2002-10-31 2006-10-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40122539A1 (en) * 2002-12-20 2004-06-24 Ainsworth Heather C. Synchronization of music and images in a digital multimedia device system
JP2005051706A (ja) 2003-07-31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2005210350A (ja) 2004-01-22 200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方法及び装置
US20050182503A1 (en) * 2004-02-12 2005-08-18 Yu-Ru Li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and semi-automatic media editing
JP2006164229A (ja) 2004-11-09 2006-06-22 Canon Inc 情報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7983458B2 (en) * 2005-09-20 2011-07-19 Capso Vision, Inc. In vivo autonomous camera with on-board data storage or digital wireless transmission in regulatory approved band
JP4760438B2 (ja) 2006-02-20 2011-08-31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4665836B2 (ja) * 2006-05-31 2011-04-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楽曲分類装置、楽曲分類方法、及び楽曲分類プログラム
JP4717734B2 (ja) * 2006-06-30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4986175B2 (ja) * 2007-12-28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570386B2 (en) * 2008-12-31 2013-10-29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of merging images and relative method of generating an output image of enhanced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3995A1 (en) 2011-08-11
US8712207B2 (en) 2014-04-29
KR101737081B1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08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5685732B2 (ja) 映像抽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626004B1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에서 raw포맷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9100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mmary video
KR10171062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00329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30017629A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2013007014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101039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10310274A1 (en) Image-captur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reproduction method
US2019001425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280066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by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150141059A (ko) 동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09126B1 (ko) 요약 동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09124644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2012216918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928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46453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911287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200267338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46574B1 (ko) 영상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N112422809B (zh) 摄像设备、摄像设备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05176272A (ja) 撮像方法及びその装置
JP6643081B2 (ja) アルバム動画生成装置、アルバム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36091B2 (ja) 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