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661A -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661A
KR20110092661A KR1020100012208A KR20100012208A KR20110092661A KR 20110092661 A KR20110092661 A KR 20110092661A KR 1020100012208 A KR1020100012208 A KR 1020100012208A KR 20100012208 A KR20100012208 A KR 20100012208A KR 20110092661 A KR20110092661 A KR 20110092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support
roller
shaft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440B1 (ko
Inventor
정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1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40B1/ko
Priority to US13/022,223 priority patent/US20110192250A1/en
Priority to CN2011100350800A priority patent/CN102145709A/zh
Priority to JP2011026777A priority patent/JP5289478B2/ja
Publication of KR2011009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83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using pressure yok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휠 조작시 이와 연동되며 직선 운동하는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여 서포트 요크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유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격 증대로 인해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역입력 되는 충격에 서포트 요크가 요크 플러그를 가격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휠 조작시 이와 연동되며 직선 운동하는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여 서포트 요크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유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휠 조작 후 자동차의 직진 운행시 조향휠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유격 증대로 인해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역입력 되는 충격에 서포트 요크가 요크 플러그를 가격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0)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5), 그리고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컬럼(103), 조향축(105)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110)와 피니언 기어(1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30), 양단부에 이너 볼 조인트(135)를 구비한 랙바(140), 이너 볼 조인트(135)의 볼과 일체로 형성된 타이로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타이로드(150)는 아우터 볼 조인트(155)와 연결되고 너클(Knuckle, 159)로 힘을 전달하여 타이어(158)를 조향한다.
도 2는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는 피니언 기어(120), 랙바(140), 서포트 요크(260), 스프링(263) 및 요크 플러그(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 피니언 방식의 기어박스(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축(미도시)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랙바(140)는 피니언 기어(120)와 치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데, 랙바(140)의 후면에는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의 치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랙바(140)를 피니언 기어(120)측으로 지지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랙바(140)를 지지하는 장치는 서포트 요크(260), 스프링(263), 요크 플러그(26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포트 요크(260)는 랙바(140)의 후방면인 랙 기어(110; 도 1 참조)가 형성된 면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되어 랙바(140)와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서포트 요크(260)의 형상은 실린더(250)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통형이며, 랙바(140)와 접하는 전방부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가 밀착하여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서포트 요크(260)의 후방에 스프링(263)을 배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서포트 요크(260)를 밀어주어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서포트 요크(260)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슬라이딩 마찰을 하게되며, 마찰로 인해 랙바(140)가 마모되거나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랙바(140)보다 연성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된 서포트 요크(260)를 사용한다.
스프링 홈(220)에 수용되는 스프링(263)은 서포트 요크(260)가 랙바(140)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263)의 후면에는 요크 플러그(265)가 위치하여 스프링(263)을 지지한다.
요크 플러그(265)는 스프링(263)을 지지하여 서포트 요크(260)에 압력을 가하도록 한다. 요크 플러그(265)에는 통상 나사산과 골을 형성하고 있어 이와 치합하는 나사산과 골이 형성된 기어박스(130)와 록 너트(240)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요크 플러그(265)의 후면에는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홈(230)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는 마찰이 심하기 때문에 서포트 요크가 어느 정도 내구가 진행되면 유격이 증대되어 랙바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유격 증대로 서포트 요크와 요크 플러그에서 래틀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모로 인한 유격으로 래틀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랙바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조향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결합되는 스프링도 서포트 요크의 마모에 의한 유격 발생시 늘어난 유격만큼 스프링의 변위도 커지게 되므로 스프링의 장력이 떨어져 동일한 충격량이 가해져도 소음이 커지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향휠 조작시 이와 연동되며 직선 운동하는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여 서포트 요크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유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유격 증대로 인해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역입력 되는 충격에 서포트 요크가 요크 플러그를 가격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어박스에 삽입되어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와 상기 서포트 요크를 랙바 쪽으로 지지하는 요크 플러그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요크는,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는 중공의 축지지체와; 상기 축지지체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롤러축과; 외주면이 상기 랙바의 후방면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며,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축과 롤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랙바의 중심축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볼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휠 조작시 이와 연동되며 직선 운동하는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여 서포트 요크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유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휠 조작 후 자동차의 직진 운행시 조향휠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서포트 요크와 랙바와의 유격 증대로 인해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역입력 되는 충격에 서포트 요크가 요크 플러그를 가격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포트 요크의 앞쪽인 랙바 방향은 전방으로, 그 반대 방향인 서포트 요크의 뒤쪽은 후방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 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랙바지지장치는, 기어박스(130)에 삽입되어 랙바(140)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310)와 상기 서포트 요크(310)를 랙바(140) 쪽으로 지지하는 요크 플러그(320)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요크(310)는, 상기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되는 중공의 축지지체(309)와; 상기 축지지체(309)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롤러축(307)과; 외주면이 상기 랙바(140)의 후방면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상기 롤러축(307)에 결합되며, 상기 랙바(140)의 직선운동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롤러축(307)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랙바(140)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롤러(301); 및 상기 롤러축(307)과 롤러(301)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301)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랙바(140)의 중심축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볼베어링(3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크 플러그(320)와 축지지체(309)의 사이에는 축지지체(309)의 단부에 지지되며 결합되어 축지지체(309)를 포함한 서포트 요크(310) 전체를 전방으로 지지하면서 랙바(14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체(330)가 결합된다.
서포트 요크(310)는 피니언 기어(120)와 치합되는 랙바(140)의 후면에 밀착되어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의 치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랙바(140)를 전방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포트 요크(310)는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가 밀착하여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하면서 랙바(140)와의 마찰을 피할 수 있도록, 랙바(140)의 직선운동시 이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어 있다.
즉, 서포트 요크(310)는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되어 전방면에서 랙바(140)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고, 후방면에는 서포트 요크(310)를 전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요크 플러그(320)가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서포트 요크(310)는 요크 플러그(320)에 의해 전방인 랙바(140) 쪽으로 지지되면서 랙바(140)와의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축지지체(309)와, 롤러축(307), 롤러(301), 및 볼베어링(30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지지체(309)는 랙바(140)의 직선 운동시 연동되어 회전하는 롤러(301)와, 롤러(301)의 회전 중심이 되는 롤러축(307)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롤러축(307)과 롤러(301)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의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축지지체(309)의 내측에는 롤러축(307)이 삽입 결합되는데, 핀형상으로 형성되는 롤러축(307)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축지지체(309)의 중심부 내측면의 양단에는 롤러축(307)이 결합되는 축홈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부가 롤러축(307)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롤러(301)는, 외주면이 랙바(140)의 후방면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 랙바(140)의 직선운동시 이와 연동되어 롤러축(30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301)는 회전하면서 랙바(140)와의 마찰을 줄임과 동시에 탄성지지체(330)가 축지지체(309)를 지지하는 힘으로 랙바(140)를 전방으로 지지하여 롤러(301)와 랙바(140)와의 유격을 줄임으로써 랙바(140)와의 과대한 유격으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한다.
한편, 롤러축(307)과 롤러(301) 사이에는 볼베어링(303)이 결합되어 롤러(301)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는데, 볼베어링(303)이 삽입되어 랙바(140)의 중심축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볼베어링(303)은 본 발명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처럼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볼베어링(303)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처럼, 롤러축(307)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내륜(303a)과, 롤러(301)에 결합되는 외륜(303b), 및 내륜(303a)과 외륜(303b)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볼(30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예처럼 롤러축(307)의 외주면과 롤러(301)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결합되는 볼(305)일 수도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의 볼베어링(303)은 롤러축(307)과 롤러(301) 사이에 압입 결합된다.
즉, 볼베어링(303)의 내륜(303a)이 롤러축(307)의 외주면에 압입되고, 외륜(303b)이 롤러(301)의 내주면에 압입되게 결합되어 별도의 고정부재가 없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의 볼베어링(303)은 롤러축(307)과 롤러(301)의 사이에 삽입되고, 롤러(301)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서 롤러축(307)의 외주면에 록링(308)으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즉, 랙바(140)를 통해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전달되면 볼베어링(303)의 이탈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볼베어링(303)을 롤러축(307)에 록링으로 강제 체결시키는 구조이다.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의 볼베어링은 내륜과 외륜없이 볼(305)로만 구성되며, 롤러축(307)의 외주면과, 롤러(301)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볼(305)이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요홈은 롤러축(307)의 외주면과 롤러(301)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베어링은 하나 이상의 볼(305)이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두개가 결합되는데, 이렇게 롤러축(307)과 롤러(301) 사이에 볼(305)이 결합되어 롤러(301)의 회전을 지지함으로써, 랙바(140)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랙바(14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은 랙바(14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전달되는데, 서포트 요크(310)가 랙바(140)의 후방에서 랙바(140)를 지지하므로, 서포트 요크(310)에는 랙바(140)의 중심축에서 경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고, 볼(305)이 하나 이상 구비된 볼베어링이 롤러(301)의 곡면을 따라 전달되는 하중을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과 접하는 방향으로 구름마찰시킴으로써 롤러(301)의 지지력과 회전이 용이해지면서 마찰도 저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휠 조작시 이와 연동되며 직선 운동하는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여 서포트 요크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유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랙바와 서포트 요크와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휠 조작 후 자동차의 직진 운행시 조향휠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유격 증대로 인해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역입력 되는 충격에 서포트 요크가 요크 플러그를 가격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1: 롤러 303: 볼베어링
305: 볼 307: 롤러축
308: 록링 309: 축지지체
310: 서포트 요크 320: 요크 플러그
330: 탄성지지체

Claims (7)

  1. 기어박스에 삽입되어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와 상기 서포트 요크를 랙바 쪽으로 지지하는 요크 플러그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요크는,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는 중공의 축지지체;
    상기 축지지체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롤러축;
    외주면이 상기 랙바의 후방면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며,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축과 롤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랙바의 중심축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볼베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플러그와 축지지체의 사이에는 상기 축지지체에 지지되며 결합되어 상기 축지지체를 전방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랙바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롤러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내륜과, 상기 롤러에 결합되는 외륜, 및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롤러축과 롤러의 사이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롤러축과 롤러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서 상기 롤러축에 체결되는 록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롤러축의 외주면과 상기 롤러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결합되는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롤러축의 외주면과 상기 롤러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20100012208A 2010-02-10 2010-02-10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42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08A KR101427440B1 (ko) 2010-02-10 2010-02-10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US13/022,223 US20110192250A1 (en) 2010-02-10 2011-02-07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CN2011100350800A CN102145709A (zh) 2010-02-10 2011-02-09 车辆转向系统之齿条支撑装置
JP2011026777A JP5289478B2 (ja) 2010-02-10 2011-02-10 自動車操向装置のラックバー支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08A KR101427440B1 (ko) 2010-02-10 2010-02-10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661A true KR20110092661A (ko) 2011-08-18
KR101427440B1 KR101427440B1 (ko) 2014-08-08

Family

ID=4435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208A KR101427440B1 (ko) 2010-02-10 2010-02-10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92250A1 (ko)
JP (1) JP5289478B2 (ko)
KR (1) KR101427440B1 (ko)
CN (1) CN1021457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326B1 (ko) * 2011-06-20 2012-12-06 주식회사 만도 탄성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83591B1 (ko) * 2011-09-19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US9010208B2 (en) * 2012-07-13 2015-04-21 Trw Automotive U.S. Llc Yoke assembly for a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6428190B (zh) * 2015-08-04 2018-11-30 株式会社万都 一种转向器支撑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27522A1 (fr) * 1978-05-30 1979-12-28 Renault Poussoir de direction a cremaillere
DE2850926A1 (de) * 1978-11-24 1980-06-04 Koyojidoki K K Kugelumlauf-lenkung
JPS6043471U (ja) * 1983-08-26 1985-03-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ラツ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62088B2 (ja) * 1985-04-17 1994-08-17 東海テイ−ア−ルダブリユ−株式会社 自動車の舵取り機構
JPS6362956A (ja) * 1986-08-30 1988-03-19 Tokai T R W Kk ラツクギヤ支持装置
JPH085899Y2 (ja) * 1988-10-27 1996-02-21 光洋精工株式会社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5058448A (en) * 1988-10-27 1991-10-22 Koyo Seiko Co., Ltd. Rack and pinion steering device
US5492414A (en) * 1995-06-05 1996-02-20 Automation Gages, Inc. Linear ball slide with rack and pinion
US5983742A (en) * 1998-02-05 1999-11-16 Oiles America Corporation Rack and pinion steering device with split roller rack bar support
US6939044B1 (en) * 1999-10-22 2005-09-06 Thomson Industries, Inc. Recirculating rolling element cartridge for linear motion bearing assembly
US6408708B1 (en) * 2000-08-10 2002-06-25 Trw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low friction yoke assembly
US6736021B2 (en) * 2001-04-20 2004-05-18 Trw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low friction roller yoke design
KR20030081806A (ko) * 2002-04-13 2003-10-2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랙바 지지장치
US20060060014A1 (en) * 2004-09-17 2006-03-23 Mando Corporation Ball screw device for steering system
JP2007001511A (ja) * 2005-06-27 2007-01-11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5180483B2 (ja) * 2006-03-28 2013-04-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8049756A (ja) * 2006-08-23 2008-03-06 Nsk Ltd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54784B1 (ko) * 2007-02-27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요크 클리어런스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0861544B1 (ko) * 2007-04-10 2008-10-02 주식회사 만도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JP5109693B2 (ja) * 2008-02-04 2012-12-26 日本精工株式会社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62186A (ja) 2011-08-25
KR101427440B1 (ko) 2014-08-08
JP5289478B2 (ja) 2013-09-11
CN102145709A (zh) 2011-08-10
US20110192250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2456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US8636099B2 (en)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27129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00055724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JP2004175298A (ja) 舵取装置
KR101268245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092661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09326B1 (ko) 탄성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3005109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2554266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3005318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77888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135820B1 (ko) 조향장치의 유니버설 조인트
KR101268263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42743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20120034905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148643B1 (ko)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JP57997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10125515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20110125342A (ko)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10145032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JP4377647B2 (ja) 車両ステアリング用伸縮軸
CN205396202U (zh) 汽车用转向装置的中间轴装置
JP2007085455A (ja) ストラット式電磁緩衝器
JP2007085456A (ja) ストラット式電磁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