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656A - 배관스케일 제거기 - Google Patents

배관스케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656A
KR20110092656A KR1020100012202A KR20100012202A KR20110092656A KR 20110092656 A KR20110092656 A KR 20110092656A KR 1020100012202 A KR1020100012202 A KR 1020100012202A KR 20100012202 A KR20100012202 A KR 20100012202A KR 20110092656 A KR20110092656 A KR 2011009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ire
main wire
guide memb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투스텍
Priority to KR102010001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2656A/ko
Publication of KR2011009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5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회전하는 플랙시블와이어를 배관내부로 삽입시켜가면서 상기 배관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도록 된 배관스케일 제거기에 배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스케일 제거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메인와이어(1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배관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110);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설치되어 배관의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와이어의 전단이 항상 배관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메인와이어의 전단을 지지해 주는 가이드부재(130);
상기 메인와이어가 가이드부재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와이어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140);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고정되어 메인와이어의 회전시 배관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보조와이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스케일 제거기{Apparatus for removing scale in pipe}
본 발명은 고속회전하는 플랙시블와이어를 배관내부로 삽입시켜가면서 상기 배관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도록 된 배관스케일 제거기에 배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물이나 기타 유체를 소정의 장소로 유도하여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관은 장기간 사용시 내부 벽면이 산화되어 부식됨은 물론 각종 이물질이 내부 벽면에 달라붙어 스케일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러한 스케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고체화되어 배관의 유로를 좁게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스케일에 의해 배관의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면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설계된 대로의 배관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 유체의 이동 압력에 의해 배관이 파손될 우려도 있으므로 배관내에 스케일이 많이 생성되는 경우 이를 즉각 제거하여 배관으로서 정상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어야 한다.
따라서 배관내의 스케일을 제거하여 주기 위해 상기 배관내부로 화학약품이 첨가된 물을 통과시켜 상기 물에 포함된 화학약품이 스케일과 접촉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시면서 상기 스케일이 녹아내리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는 있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상기 화학약품에 의한 배관스케일 제거방법은 공기분사기와 같은 부수적인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고, 화학약품을 사용하므로 시공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스케일 제거과정에서 화학약품에 의한 배관손상이 초래되고, 화학약품이 고가이므로 인해 시공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스케일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약품이 아무리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더라도 물을 사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불안감을 가지지 않을 수 없어 특히 일반 가정일수록 스케일의 제거에 극히 부정적이어서 배관내부의 스케일 생성으로 인한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속회전하는 플랙시블와이어를 배관내부로 삽입시켜가면서 상기 배관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도록 된 배관스케일 제거기가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등록 제533508호로 제안된 "배관스케일 제거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관스케일 제거기(10)는 중공축(2)을 가진 모터(1)와, 상기 중공축(2)에 고정된 와이어 하우징(4)과, 상기 와이어 하우징에 수납되어 선단부가 상기 모터의 중공축(2)을 통해 인출되는 플랙시블 와이어(5)와, 상기 중공축(2)을 통해 인출된 플랙시블 와이어를 고정하는 콜렛 척(Collet Chuck)(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배관스케일 제거기(10)는 상기 중공축(2)과 콜렛 척(3)을 통해 인출된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6)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모터(1)를 구동시키면 중공축(2)에 고정된 와이어 하우징(4)과 콜렛 척(3)이 중공축(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콜렛 척(3)에 고정된 플랙시블 와이어(5)가 회전하면, 플랙시블 와이어(5)가 배관(6)의 내벽에 생성된 스케일에 반복적으로 충돌 및 마찰을 일으키게 되고 그 충격 및 마찰에 의해 스케일이 배관(6)의 내벽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내로 더욱 깊게 진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모터(1)를 완전히 정지시킨 다음 콜렛척(3)을 풀어 와이어 하우징(4)내에 수납되어 있는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6)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시 콜렛 척(3)을 조이고 모터(1)를 다시 구동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한 배관스케일 제거기는 소구경의 배관에 적합하며, 큰 직경의 배관내의 스케일은 제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배관내의 스케일도 제거할 수 있도록 일자형 메인와이어(5)에 S자 형태로 연속된 보조와이어(7)를 고정시켜 고속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회전 직경을 증대시킴으로써 큰 직경의 배관에 생성된 스케일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관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등록 제82087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국내특허등록제533508호(2004.11.03.) 국내특허등록제820873호(2008.04.11.)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관스케일 제거기는 가정이나 일반 건물 등에 설치된 중소구경의 배관을 청소하는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상,하수배관과 같은 대구경의 배관을 청소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왜냐하면, 상,하수배관과 같은 대구경의 배관내벽면에 충돌 및 마찰되도록 보조와이어를 크게 형성시키거나 메인와이어의 회전직경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플랙시블 와이어가 배관내부에서 엉키거나 장력이 크게 작용하면서 장비에 무리를 주게 되고, 심할 경우 플랙시블 와이어 자체가 끊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플랙시블와이어가 배관의 벽면을 균일하게 타격 및 마찰시켜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종종 배관의 내부에 스케일이 잔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플랙시블와이어를 배관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모터를 정지시킨 다음 콜렛척을 풀고 플랙시블와이어를 인위적으로 잡아당겨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시킨 다음 다시 콜렛척을 조이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랙시블와이어의 원심력에 의한 회전 직경을 크게 하지 않고도 대구경의 배관에 생성된 스케일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배관스케일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메인와이어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배관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설치되어 배관의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와이어의 전단이 항상 배관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메인와이어의 전단을 지지해 주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메인와이어가 가이드부재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와이어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고정되어 메인와이어의 회전시 배관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보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후방에 가이드부재와 베어링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와이어는 가이드부재들 사이의 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는 메인와이어에 끼워지는 링과, 상기 링의 외주면에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고정된 복수의 신축바와, 배관의 내벽면을 따라 메인와이어의 진입방향으로의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신축바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롤러는 원격으로 조정되는 모터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회전기는 외부에서 원격조작을 통해 전,후진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에 의하면,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일정길이로 보조와이어가 고정되고 가이드부재에 의해 메인와이어의 전단이 배관의 중심부에 항상 안정적으로 위치되므로 대구경의 배관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와이어가 항상 일정한 반경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면서 균일한 타격 및 마찰 강도로 배관 내벽면에 달라붙은 스케일을 빠짐없이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메인와이어를 인출시키는 별도의 동작없이도 와이어회전기를 작업자 또는 외부의 원격조정으로 배관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스케일제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작업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배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와이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배관의 내부로 진입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와이어(1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스케일 제거 대상이 되는 배관(P)의 내부로 진입되는 와이어회전기(110)와, 상기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에 설치되어 배관(P)의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이 항상 배관(P)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을 지지해 주는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메인와이어(120)가 가이드부재(130)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와이어(120)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140)와, 상기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고정되어 메인와이어(120)의 회전시 배관(P)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보조와이어(150)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회전기(110)는 본체와, 본체에 내장된 모터와, 후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전단이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길이 외부로 노출된 메인와이어(120)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가 동작되면 상기 메인와이어(120)는 고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와이어회전기(110)는 배관(P)의 내부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바퀴와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회전기(110)는 작업자가 직접 밀고 배관 내부로 직접 들어갈 수도 있으나,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의 간편성을 고려하여 외부의 원격조작으로 전후진 및 방향전환이 제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와이어(120)는 굴곡진 배관(P)의 내부에도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랙시블하게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종래의 플랙시블와이어(5)와 대동소이하다(도1 참조). 그리고 상기 메인와이어(12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을 고려하여 쉽게 풀어지지 않으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여러가닥의 와이어들이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나선상으로 꼬여져 일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와이어회전기(110)와 함께 배관(P)의 내부로 진입하는 메인와이어(120)와 함께 이동하면서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이 항상 배관(P)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배관(P)의 내부에서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을 지지해 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메인와이어(120)에 끼워지는 링(131)과, 상기 링(131)의 외주면에 링(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고정된 복수의 신축바(132)와, 배관(P)의 내벽면을 따라 메인와이어(120)의 진입방향으로의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신축바(132)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133)로 구성된다.
상기 링(131)은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링(131)과 메인와이어(120)의 사이에는 상기 링(131)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메인와이어(120)를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베어링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부재(14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메인와이어(120)를 따라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메인와이어(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부재(140)에 의해 가이드부재(130)는 메인와이어(120)를 따라 회전하거나 메인와이어(12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링(131)의 외주면에는 링(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신축바(132)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한의 개수로 메인와이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120°의 균일한 각도로 3개의 신축바(132)가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신축바(132)는 링(131)의 중심을 향해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링(131)에 고정된 외부바(132a)와 상기 외부바(132a)의 내부에 단부가 끼워진 내부바(132b)와, 상기 외부바(132a)의 외측에 감겨진 상태로 상기 외부바(132a)와 내부바(132b)에 양단이 지지되어 내부바(132b)의 외력에 의해 외부바(132a)의 내부로 인입될 때 압축변형되는 스프링부재(132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부바(132b)는 외부바(132a)에 끼워진 상태로 있다가 내부바(132b)에 외력이 작용하면 스프링부재(132)를 압축시키면서 외부바(132a)의 내부로 진입되며, 상기 내부바(132b)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부재(132c)에 저장된 압축력에 의해 내부바(132b)가 외부바(132a)로부터 진입된 만큼만 인출되면서 원래위치로 탄성복원된다.
상기 롤러(133)는 배관(P)의 내벽면을 따라 메인와이어(120)의 진입방향으로의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신축바(132)의 내부바(132b)의 단부에 설치되며, 신축바(132)의 작용에 의해 배관(P)의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을 원활하게 타고넘으면서 배관(P)의 내벽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롤러(133)에는 외부에서 원격조정이 가능한 모터가 회전축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롤러(133)는 배관(P)의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에 의해 구름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외부에서 원격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와이어(120)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보조와이어(150)는 메인와이어(120)의 전단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와이어(150)는 배관(P)의 내벽면을 향하도록 메인와이어(120)에 수직으로 교차고정되어 메인와이어(120)의 회전시 배관(P)의 내벽면을 타격하고 마찰시킨다. 따라서, 보조와이어(150)의 길이는 스케일링 대상이 되는 배관(P)의 반경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배관(P)의 반경에 맞추어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보조와이어(15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배관(P)의 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쉽게 풀어지거나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여러가닥의 와이어들이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나선상으로 꼬여져 일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와이어(150)는 메인와이어(120) 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조와이어(150)의 직경이 메인와이어(120)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구성되면, 메인와이어(120)나 와이어회전기(110)에 걸리는 하중이 최소화되므로 보조와이어(150)가 안정된 상태에서 고속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와이어(150)는 전체적으로 볼 때 "U"자 형태나 "S"자 형태로 연속되게 교차된 상태로 상기 메인와이어(120)에 일정구간에 걸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조와이어(150)는 메인와이어(120)와 보조와이어(150)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메인와이어(120)와 보조와이어(150)를 감싸 동반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미도시)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결속부재는 메인와이어(120)와 보조와이어(150)를 다수회 감싼 상태에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양단이 결속되는 와이어일 수도 있으며, 접착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메인와이어(120)와 보조와이어(150)를 동시에 감싸도록 상기 메인와이어(120)와 보조와이어(150)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유볼트와, 상기 유볼트의 양단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을 가지며 이 관통홀을 통해 유볼트의 양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관통한 유볼트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메인와이어(120)와 보조와이어(150)측으로 지지판을 밀착시키는 조임너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스케일 제거기를 이용하여 대구경의 스케일(S)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0)와 와이어회전기(110)를 각각 스케일(S) 제거대상이 되는 배관(P)의 내부와 입구에 위치시킨 다음 와이어회전기(110)를 동작시킨다.
와이어회전기(110)가 동작되면 가이드부재(130)에 의해 메인와이어(120)가 배관(P)의 중심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메인와이어(120)에 고정된 보조와이어(150)가 메인와이어(120)를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보조와이어(150)가 설치된 구간의 배관(P)의 내부에 생성된 스케일(S)들이 보조와이어(150)의 타격 및 마찰에 의해 배관(P)의 내벽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일정구간의 배관(P)의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이 제거되면, 작업자가 와이어회전기(110)를 밀고 천천히 배관(P)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외부에서 원격조정으로 와이어회전기(110)을 구동시켜 배관(P)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와이어회전기(110)가 배관(P)의 내부로 진입되면 가이드부재(130) 역시 배관(P)의 내벽면을 따라 동시 이동되며,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와이어(120)는 배관(P)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관(P)의 내부로 일정길이만큼 진입된다.
이때, 배관(P)의 내벽면을 타고 구름이동을 하는 가이드부재(130)의 롤러(133)는 배관(P)의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을 타고 넘게 되는데, 스케일(S)을 타고 넘는 과정에서 신축바(132)가 적절히 신축되므로(도 4참조) 가이드부재(130)는 배관의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롤러(133)가 원격으로 조정되도록 구성된 경우, 작업자는 배관(P)의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의 돌출량이 커서 와이어의 인출력만으로는 가이드부재(130)의 롤러(133)가 스케일(S)을 타고 넘을 수 없게 되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롤러(133)에 강력한 구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가이드부재(130)를 배관(P)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회전기(110)가 배관(P)의 내부로 진입되면 메인와이어(120)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30)와 함께 보조와이어(150)가 배관(P)의 내부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배관(P)의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을 연속적으로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110...와이어회전기 120...메인와이어
130...가이드부재 131...링
132...신축바 132a...외부바
132b...내부바 132c...스프링부재
133...롤러 140...베어링부재
150...보조와이어

Claims (5)

  1. 고속으로 회전하는 메인와이어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배관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설치되어 배관의 내부로 진입하는 와이어회전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와이어의 전단이 항상 배관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메인와이어의 전단을 지지해 주는 가이드부재;
    상기 메인와이어가 가이드부재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와이어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고정되어 메인와이어의 회전시 배관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보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와이어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후방에 가이드부재와 베어링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와이어는 가이드부재들 사이의 구간에 걸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메인와이어에 끼워지는 링;
    상기 링의 외주면에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고정된 복수의 신축바; 및
    배관의 내벽면을 따라 메인와이어의 진입방향으로의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신축바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롤러는 원격으로 조정되는 모터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회전기는 외부에서 원격조작을 통해 전,후진이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20100012202A 2010-02-10 2010-02-10 배관스케일 제거기 KR20110092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02A KR20110092656A (ko) 2010-02-10 2010-02-10 배관스케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202A KR20110092656A (ko) 2010-02-10 2010-02-10 배관스케일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656A true KR20110092656A (ko) 2011-08-18

Family

ID=4492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202A KR20110092656A (ko) 2010-02-10 2010-02-10 배관스케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26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43U (ko) 2015-12-22 2017-06-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배관 스케일 제거 장치
CN108941088A (zh) * 2018-06-15 2018-12-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新型密集管道在线清淤装置
CN110918571A (zh) * 2019-12-25 2020-03-27 桐城市湃腾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餐饮烟道油垢清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43U (ko) 2015-12-22 2017-06-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배관 스케일 제거 장치
CN108941088A (zh) * 2018-06-15 2018-12-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新型密集管道在线清淤装置
CN110918571A (zh) * 2019-12-25 2020-03-27 桐城市湃腾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餐饮烟道油垢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435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및 공법
KR101334807B1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KR20110092656A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WO2008023133A3 (fr) Procede de decapage de tubes par action d'un fluide a tres haute pression
JP2009538721A (ja) 配管スケール除去器用のフレキシブルワイヤ
CN103599910A (zh) 小口径管道内壁除锈清理方法及其装置
CN203343130U (zh) 旋转式管道清洗器
KR102129460B1 (ko) 관로 세척기
JP2007070863A (ja) 配管用清掃治具
JP4897925B2 (ja) 配管のスケール除去機用フレキシブルワイヤ
CN206731720U (zh) 管道内壁清洁装置
KR20140146335A (ko)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KR100751385B1 (ko) 공압을 이용한 배관 세척 스크류
KR101193801B1 (ko) 중대형 노후 상수 관로 내면의 세척장치
KR100528285B1 (ko)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0722699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플렉시블 와이어 클램핑장치
CN210936266U (zh) 一种可避免灰尘附着在连接管道内壁上的除尘装置
CN108005226B (zh) 管道清淤机中清淤缆固定用滚筒
KR100808554B1 (ko) 견인식 세관방법
KR200389158Y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렉시블 와이어
CN216713318U (zh) 一种市政污水管道清淤装置
CN211304114U (zh) 一种城镇燃气钢管清扫装置
KR100891284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와이어 클램핑 장치
CN103801539B (zh) 管道清洁装置
CN216067248U (zh) 一种膜元件拆卸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