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335A -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335A
KR20140146335A KR1020130068843A KR20130068843A KR20140146335A KR 20140146335 A KR20140146335 A KR 20140146335A KR 1020130068843 A KR1020130068843 A KR 1020130068843A KR 20130068843 A KR20130068843 A KR 20130068843A KR 20140146335 A KR20140146335 A KR 2014014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utting tool
shaft
bal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회
곽윤기
Original Assignee
곽정회
곽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회, 곽윤기 filed Critical 곽정회
Priority to KR102013006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335A/ko
Publication of KR2014014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지는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와어어와 같은 샤프트가 중간에서 꼬이지 않도록 구성한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관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스프링(1)과, 상기 스프링(1)의 한단부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프링 또는 강선(11)이 고정되는 가이드(2)와, 상기 가이드(2)의 한단부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복수 개의 볼(4)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또는 강선(11)과, 상기 강선(11)의 다른 한단부에 고정되어 다른 볼형 샤프트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Cleaning device having inflectional cutting tool of ball type shaft}
본 발명은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지는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강선, 플렉시블 와어어와 같은 샤프트가 중간에서 꼬이지 않도록 구성한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관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수멍, 오수관, 하수관 등은 물, 오수, 하수 등이나 유체를 소정의 장소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관내 벽면에 스케일이 생성되어 내부 벽면에 달라붙어 퇴적되어 장시간이 지나가다 보면 관로의 유로가 좁게 되어 유량이 처음의 설계치보다 작아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스케일이 관내에 퇴적하게 되면 유량이 작아지게 되어 설계된 유량이 배출되지 않게 되어 2차의 피해가 우려된다.
상기와 같은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배관 내의 스케일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청소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배관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장치가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0-0011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관 스케일 제거기는 바닥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고정베이스(10)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베이스(20)와, 상기 이동 베이스(20) 상부에 고정되어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중공축(30)과, 상기 중공축(30)과 함께 회전하는 와이어 하우징(40)과, 상기 와이어 하우징(40) 내부에 수납되고 선단부가 중공축(3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중공축(30)과 함께 회전하면서 배관(P)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플렉시블 와이어(W)와, 상기 중공축(30) 전방에 설치되어 중공축(30)을 통과한 플렉시블 와이어(W)를 왜곡된 상태로 통과시키며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W)의 왜곡 정도를 길이 방향으로 변화시켜 상기 중공축(30)으로부터의 플렉시블 와이어(W) 인출을 차단하거나 허가하는 록킹 장치(50)와, 상기 록킹 장치(50) 전방의 고정 베이스(10) 상에 설치되어 록킹 장치(50)를 통해 플렉시블 와이어(W)가 인출될 때, 플렉시블 와이어(W)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클램핑 장치(60)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중공축(30)과 동축의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중공축(30) 전방의 이동 베이스(20) 상부에 고정된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관통 홀에 전방으로 결합된 수평관(52)과, 상기 중공축(30)을 통과한 플렉시블 와이어(W)가 왜곡되게 통과되도록 경사진 중공(53)을 가지며 상기 수평관(52) 내부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관(52) 내부를 통과하는 플렉시블 와이어(W)의 왜곡 정도를 심화시키는 편심 중공축(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0)에는 내부에 끼워진 편심 중공축(54)과 연통되도록 편심 중공축(54)의 이동 구간에 걸쳐 수평 안내홈(55)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 중공축(54)에 이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록킹 조작 레버(56)가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평 안내홈(55)을 통해 편심 중공축(54)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와이어(W)가 배관(P)에 인입된 초기 상태에서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중공축(30)이 회전하면서 상기 중공축(30)과 함께 와이어 하우징(40)이 회전하게 된다.
와이어 하우징(40)이 회전하면 와이어 하우징(40) 내부에 감겨진 플렉시블 와이어(W)가 중공축(30)을 따라 회전을 하면서 배관(P)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S)과 접촉되어 배관(P) 내부의 스케일(S)은 제거된다.
이때, 더 깊은 곳의 스케일(S)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와이어(W)를 배관(P) 내부로 더 인출시켜야 하는 데, 상기 록킹 장치(50)를 통해 플렉시블 와이어(W)를 다음과 같이 인출시킬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플렉시블 와이어(W)가 유동되지 않도록 클램핑 장치를 동작시킨 다음 이동 베이스(20)를 최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이동 베이스(20)의 이동 거리만큼 와이어 하우징(40)으로부터 플렉시블 와이어(W)가 인출되면서 도 3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의 록킹 조작 레버(56)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플렉시블 와이어(W)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서, 록킹 조작 레버(56)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록킹 조작 레버(56)와 연결된 편심 중공축(54)이 하우징(4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편심 중공축(54)의 전단과 수평관(52) 전단 사이 구간(L1)은 편심 중공축(54)의 전단을 통해 인출된 플렉시블 와이어(W)가 수평관(52)의 전단을 완만하게 통과할 수 있는 일정거리가 확보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 베이스(20)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조작 레버(56)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플렉시블 와이어(W)를 록킹시킨다. 즉, 록킹 조작 레버(56)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록킹 조작 레버(56)와 연결된 편심 중공(53)이 수평관(52)의 전단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서로 마주하는 편심 중공축(54)의 전단과 수평관(52)의 전단이 근접되면서 마주하는 편심 중공축(54)의 전단과 수평관(52)의 후단 사이의 구간(L2)에서 플렉시블 와이어(W)의 왜곡 정도가 심화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와이어(W)는 편심 중공축(54)의 전단에 걸려 외부로부터 인출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W)는 배관(P)으로부터 더 이상 인출되지 않는 록킹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와이어(W)가 록킹되면, 클램핑 장치(60)를 조작하여 플렉시블 와이어(W)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이동 베이스(20)를 최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와이어 하우징(40)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시블 와이어(W)가 이동 베이스(20)의 이동 거리 만큼 전방으로 밀려가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플렉시블 와이어(W)는 배관(P)의 내부로 깊숙이 진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 스케일 제거기는 중공축(30) 전방에 설치된 편심 중공축(54)이 전후 이동을 통해 상기 중공축(30)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시블 와이어(W)의 왜곡 정도를 길이방향으로 변화시키면서 록킹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므로 이동 베이스(20) 및 록킹 작동 레버(56)를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플렉시블 와이어(W)의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플렉시블 와어어(W)는 그 굵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일정 거리를 플렉시블 와이어(W)가 전진하게 되면, 스케일 제거팁에서 받는 저항이 커지게 되며, 상기 저항이 일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스케일 제거팁의 회전이 정지되고 플렉시블 와이어(W)가 꼬이게 되어 더 이상의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플렉시블 와이어(W)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꼬여진 플렉시블 와이어(W)를 풀고 난 다음 다시 작업을 시작하게 되나 얼마 가지 않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긴 관로를 청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와이어 또는 에어 샌드 쇼트볼 등의 방식으로 제거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 기술 중, 플렉시블 와이어의 경우, 제거할 이물질이 강도가 높으면 플렉시블 와이어가 구부러지거나 변형이 발생하여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에어 샌드와 쇼트볼 방식은 굴절된 부위에서는 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샌드/쇼트볼이 관로 내의 부식된 곳 그리고 엘보우와 직관 연결 부위의 홈이 있는 경우에 샌드/쇼트볼이 달라붙어 있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플렉시블 와이어와 같이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샌드 방식이 아닌 볼 샤프트 방식으로 플렉시블 와이어보다 강성은 강하고 굴절 부위는 부드럽게 휘어져 엘보우 부위를 통과하고 엘보우 부위에서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프링(1)과, 상기 스프링(1)의 한단부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프링 또는 강선(11)이 고정되는 가이드(2)와, 상기 가이드(2)의 한단부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복수개의 볼(4)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또는 강선(11)과, 상기 강선(11)의 다른 한단부에 고정되어 다른 볼형 샤프트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스프링(1)의 우단에 방향 전환 팁(6)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2) 대신에 절삭 공구(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 전환 팁(6) 대신에 절삭 공구(8)가 상기 스프링(1)의 우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2) 대신에 상기 스프링(1)의 죄단에 가이드(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 전환 팁(6)은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상기 복수 개의 볼(4)은 번갈아 가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선(11)은 플렉시블 와이어 또는 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단에 연결부(7, 7)를 가지고, 상기 양단의 연결부(7, 7) 사이에는 스프링 또는 강선(1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또는 강선(11)에는 복수 개의 볼(4)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플렉시블 와이어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꼬임 현상이 전혀 없이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가 긴 길이의 관로를 원활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에 의하면, 상수도, 하수도, 산업용 배관 등의 이물질을 제거 하는 작업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화학 물질 등을 사용하지 않고 구브러진 관을 통과하는 샤프트와 구브러진 관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하므로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산업용 배관의 수명 연장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절삭 공구와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분하여 만들고 동력이 잘 전달되도록 스프링 또는 강선에 볼을 가공하여 부착하고 볼과 볼 사이 거리를 두어 회전하는 부위에서 힘이 월활하게 전달되면서 휘도록 하는 구조로서 볼형 샤프트가 엘보우를 찾아 가는 것보다 절삭 공구 끝단에 방향 전환 팁과 가이드를 설치하여 원활이 전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와이어를 사용하는 관로 세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방향 전환용 스프링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방향 전환 팁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방향 전환 팁이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절삭 공구가 최전단에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스프링 또는 강선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볼형 샤프트가 엘보우에서 90도 방향 전환하여 진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볼형 샤프트에 스프링 타잎의 방향 전환 팁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샤프트의 부착된 방향 전환 스프링이 엘보우 끝에서 간섭을 받고 샤프트가 회전함으로 역방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흔들리며 빈 공간으로 찾아 들어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방향 전환 팁 타입의 방향 전환 팁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샤프트의 부착된 방향 전환 스프링이 엘보우 끝에서 간섭을 받고 샤프트가 회전함으로 역방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흔들리며 빈 공간으로 찾아 들어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절삭 공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도 4 내지 도 11에서 같은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4는 방향 전환용 스프링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볼로만 이루어진 샤프트를 도시한 예이고, 도 10은 볼형 샤프트에 스프링 타잎의 방향 전환 팁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볼형 샤프트가 어떻게 방향을 전환하는 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샤프트에 부착된 방향 전환 스프링이 엘보우 끝에서 걸렸다가 샤프트가 회전함으로 역방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이 빈 공간으로 찾아 들어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상기 볼형 샤프트에 결합되는 절삭공구(8)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오른쪽으로부터 설명하면, 스프링(1)이 최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의 좌단에는 상기 스프링(1)을 고정시켜 주며 볼형 샤프트가 앞뒤로의 전진 및 후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걸림턱을 최소화한 가이드(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2)는 그 좌단에 스프링, 플렉시블 와이어나 단선인 강선(1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강선(11)에는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복수 개의 볼(4)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강선(11)의 끝단에는 연결부(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7)를 다른 볼형 샤프트에 계속 연결함으로써 필요한 길이로 연장시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삭 공구(3)는 상기 볼(4)과 번갈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삭 공구(3)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에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절삭 공구(3)와 볼(4)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삽입함으로써 절삭 공구(3)와 볼(4)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의 좌단에는 강선(11)에 볼(5) 만이 삽입된 볼형 샤프트가 설치된다.
볼형 샤프트에 스프링 타잎의 방향 전환 팁과 절삭 공구(3)가 조립된 볼형 샤프트가 어떻게 방향을 전환하는 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샤프트에 부착된 방향 전환 스프링(1)이 관로의 엘보우 끝에서 걸렸다가 샤프트가 회전함으로 역방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1)이 빈 공간으로 찾아 들어가고 엘보우와 파이프의 턱에 걸리게 된다. 이때, 스프링(1)의 회전에 의해 턱을 이탈하여 파이프로 전진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진한 볼형 샤프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에서 90도 방향 전환하여 진행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방향 전환 팁(6)과 절삭 공구가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볼형 샤프트와는 스프링(1)의 우단에 방향 전환팁(6)이 더 부착된 것이 다르다. 상기 방향 전환 팁(6)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구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11은 반구형의 방향 전환 팁(6)과 절삭 공구(3)가 조립된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샤프트의 부착된 방향 전환 스프링(1)이 엘보우 끝에서 걸리다가 반구형의 방향 전환 팁(6)의 도움으로 샤프트가 회전함으로 역방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엘보우와 파이프의 턱에 걸렸다가 파이프로 용이하게 유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전진한 볼형 샤프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에서 90도 방향 전환하여 도 4의 실시예보다 더 스무스하게 진행하게 될 것이다.
도 6은 방향 전환 팁(6)이 스프링(1)의 우단에 조립되고 절삭 공구(12)가 스프링(1)의 좌단에 조립된 형태의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절삭 공구(12)가 도 4 및 5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의 것이다.
도 7은 절삭 공구(8)가 스프링(1)의 최전단에 조립된 볼형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절삭 공구(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절삭 공구(3)와 다른 형태의 것으로서, 스프링(1)의 최전단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진이 용이하고 절삭 능력을 가진 유선형의 절삭 공구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의 좌단에는 가이드(10)가 설치되어 있다. 그외의 부분은 위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1 : 스프링 2, 10 : 가이드
3, 12 : 절삭 공구 4 : 볼
6 : 방향 전환 팁 7 : 연결부
8 : 절삭공구 9 : 스프링
11 : 강선

Claims (9)

  1. 스프링(1)과,
    상기 스프링(1)의 한단부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프링 또는 강선(11)이 고정되는 가이드(2)와,
    상기 가이드(2)의 한단부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복수 개의 볼(4)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또는 강선(11)과,
    상기 강선(11)의 다른 한단부에 고정되어 다른 볼형 샤프트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의 우단에 방향 전환 팁(6)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 대신에 절삭 공구(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팁(6) 대신에 절삭 공구(8)가 상기 스프링(1)의 우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2) 대신에 상기 스프링(1)의 죄단에 가이드(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팁(6)은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상기 복수 개의 볼(4)은 번갈아 가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11)은 플렉시블 와이어 또는 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삭 공구(3)와 상기 복수 개의 볼(4) 사이에 스페이서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9. 양단에 연결부(7, 7)를 가지고, 상기 양단의 연결부(7, 7) 사이에는 스프링 또는 강선(1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또는 강선(11)에는 복수 개의 볼(4)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샤프트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KR1020130068843A 2013-06-17 2013-06-17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KR20140146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843A KR20140146335A (ko) 2013-06-17 2013-06-17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843A KR20140146335A (ko) 2013-06-17 2013-06-17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335A true KR20140146335A (ko) 2014-12-26

Family

ID=5267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843A KR20140146335A (ko) 2013-06-17 2013-06-17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3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JP2018086621A (ja) * 2016-11-28 2018-06-07 株式会社昇和産業 管内掘削具及び管内掘削方法
CN117259357A (zh) * 2023-11-22 2023-12-22 吉林省新诺达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管油污清洁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JP2018086621A (ja) * 2016-11-28 2018-06-07 株式会社昇和産業 管内掘削具及び管内掘削方法
CN117259357A (zh) * 2023-11-22 2023-12-22 吉林省新诺达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管油污清洁机
CN117259357B (zh) * 2023-11-22 2024-02-02 吉林省新诺达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管油污清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6335A (ko)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KR101276759B1 (ko) 하수관 청소장치
WO2015037819A1 (ko) 관로청소용 브레이커
KR102417313B1 (ko) 배관청소장치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KR20170002343U (ko) 배관 스케일 제거 장치
KR20150010480A (ko) 배관의 스케일 제거용 와이어 장치
KR20160004520U (ko) 스케일 제거구
CA2961845C (en) Drain cleaning device
CN110369412B (zh) 一种金属软管内壁清理器
FI127933B (en) Adaptive cleaning device
KR101713398B1 (ko) 에어컨 설치용 토크 렌치장치
JP2009160543A (ja) 排水管などの管路洗浄装置
KR20110092656A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0722699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플렉시블 와이어 클램핑장치
KR100918971B1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0639590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렉시블 와이어
KR200389158Y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렉시블 와이어
CN116111509B (zh) 一种建筑电气施工穿线装置
KR101055602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
KR100533510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인서치 와이어 헤드
JP2009279500A (ja) 配管内清掃ノズル及び配管内清掃装置
KR200322129Y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인서치 와이어 헤드
CN213597187U (zh) 用于下水管道清理的喷头
KR200321773Y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