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759B1 - 하수관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59B1
KR101276759B1 KR1020110073030A KR20110073030A KR101276759B1 KR 101276759 B1 KR101276759 B1 KR 101276759B1 KR 1020110073030 A KR1020110073030 A KR 1020110073030A KR 20110073030 A KR20110073030 A KR 20110073030A KR 101276759 B1 KR101276759 B1 KR 10127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metal brush
sewer pipe
fitted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697A (ko
Inventor
김덕희
Original Assignee
김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희 filed Critical 김덕희
Priority to KR102011007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E03F9/005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ushing and rotating a cleaning device carried by the leading end of a cable or an assembly of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하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하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을 갖는 몸체의 내부에 유압모터를 설치하여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유압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금속 브러시를 여러 개 설치하여 하수관의 내벽을 금속 브러시가 압착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노즐을 설치하는 동시에 회전축에는 커터를 설치하는 한편 전방으로 견인줄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터에는 원심력으로 펼쳐지는 방향이 제한되게 회전 제한볼트에 의해 일정 범위만 회전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수관 청소장치{A cleaning device of a sewage pipe}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하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하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가 흐르는 하수관에는 여러 개의 하수지관이 돌출되어 연결되는 한편 몰타르 등이 굳어져서 생긴 이물질로 인하여 하수의 흐름에 방해를 주는 한편 하수 정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하수관에는 하수지관이 연결될 때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되어 연결되는 경우가 많고, 하수관의 설치시 사용하였던 몰타르가 하수관의 내부에 남아서 굳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하수가 흐를 때 방해가 된다.
기존에 하수를 청소하는 경우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하수관의 내부에 쌓인 슬러지나 모래 등을 청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하수지관이나 몰타르가 뭉친 이물질은 고압의 물로는 청소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기존에는 도 1과 같이 호스가 중앙에 연결되고 호스를 통하여 주입되는 물을 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분사하는 노즐(2)이 구비되며 후방으로 고정봉(3)이 중앙에 돌출되는 원반형의 노즐헤드(1)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봉(3)에는 원반형 금속 브러시(4)(5)를 끼워서 고정시킴으로써 하수관을 이동할 때 상기 금속 브러시(4)(5)가 하수관의 내벽에 닿으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를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으나, 상기 청소장치는 하수관의 내벽을 청소할 뿐 하수관의 내벽에 돌출된 이물질을 제거하진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하수관 청소를 하는 경우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내부에 쌓인 모래나 퇴적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하수지관이나 몰타르가 굳어진 이물질은 고압의 살수에 의해서는 제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터를 이용하여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이물질을 잘라서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을 갖는 몸체의 내부에 유압모터를 설치하여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유압모터와 연결되는 유압호스를 설치하며,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금속 브러시를 여러 개 설치하여 하수관의 내벽을 금속 브러시가 압착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노즐을 설치하는 동시에 회전축에는 커터를 설치하는 한편 전방으로 견인줄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터에는 원심력으로 펼쳐지는 방향이 제한되게 회전 제한볼트에 의해 일정 범위만 회전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수관의 내부에 몸체를 위치시키되 금속 브러시가 하수관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커터의 회전력으로 하수관의 내부에 돌출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브러시는 몸체의 외측 후방에 끼워진 리니어 유압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전방으로 밀린 금속 브러시는 스프링을 압착시키며 몸체의 삽입홈으로 끼워지면서 후방으로 눕혀지도록 함으로써 하수관의 후진 방향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이물질 및 하수지관을 커터의 회전으로 강제로 제거되게 하는 것으로, 하수관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깨끗한 청소가 이루지게 됨으로써, 하수의 정체 현상이나 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청소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터 회전 반경 조절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 제한볼트로 커터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금속 브러시 정면도
도 7은 하수관에 이물질이 쌓이고 하수지관이 돌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하수관에 끼운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하수관에서 후진 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청소 시작 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청소 중 단면도
본 발명은 하수관에 쌓인 퇴적물이나 모래 등을 청소함에 있어서, 하수관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하수지관이나 하수관 설치시 바닥에 쌓인 몰타르 등의 이물질을 커터로 제거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하수관의 내부에서 돌출된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하수의 정체나 지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유압모터가 내장되고 전방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몸체에는 하수관의 내벽에 밀착되게 금속 브러시를 설치하고,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커터를 설치하되 상기 커터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여 하수관의 내부로 돌출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커터의 회전과 금속 브러시가 하수관에 밀착되어 이동함에 따라 하수관의 내부 청소도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몸체의 전방으로는 금속 브러시의 바디가 끼워지는 삽입홈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에는 스프링을 내장시켜 금속 브러시를 받치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는 리니어 유압장치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켜 리니어 유압장치에서 금속브러시를 전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경에 맞추어 커터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함으로써 하수관에서 돌출된 하수지관이나 굳어진 이물질을 커터로 제거하여 하수관에서 막힘이나 정체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을 갖는 몸체(10)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유압호스(21)를 통하여 공급받는 유압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유압모터(20)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터(20)의 회전축(22)은 몸체(10)에는 전방 중앙으로 돌출되게 하며, 상기 회전축(22)에는 커터(30)를 설치하되 상기 커터(30)는 회전 제한볼트(31)에 의해 회전 반경이 제한되게 하고, 상기 회전축(22)의 중앙에는 회전에 관계없이 몸체(10)를 끄는 견인줄(11)이 고정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금속 브러시(50)를 설치하여 리니어 유압장치(70)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금속 브러시(50)가 하수관(60)의 내측에 밀착된 채로 커터(3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는 노즐(12)을 설치하는 한편 몸체(10)의 후방으로는 유압호스(21)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원통형을 갖는 한편 양쪽으로 슬라이드 돌기(16)가 형성되어 금속 브러시(5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52)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금속 브러시(50)는 몸체(10)를 타고 전후로 이동할 수 있을 뿐 회전은 하지 않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는 돌출턱(13)을 형성하되 상기 돌출턱(13)에는 금속 브러시(50)의 바디가 끼워진 삽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7)에는 스프링(80)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0)에 끼워진 금속 브러시(50)가 스프링(80)에 의해 받쳐지도록 하며, 상기 몸체(10)의 후방에는 리니어 유압장치(70)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리니어 유압장치(70)에서 금속 브러시(50)의 바디를 전방으로 밀을 수 있도록 하고, 리니어 유압장치(70)에 의해 밀린 금속 브러시(50)의 바디는 스프링(80)을 압착시키며 끼워지게 함으로서 금속 브러시(50)가 후방으로 눕혀지게 된다.
상기 리니어 유압장치(70)에 공급되는 유압은 유압호스(71)를 통하여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하수관(6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편 내부에는 유압모터(20)를 설치하되 상기 유압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2)은 몸체(10)의 전방 중앙으로 돌출되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유압모터(20)는 유압호스(21)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몸체(10)에는 외측으로 금속 브러시(50)를 여러 장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몸체(10)의 직경이 금속 브러시(50)의 중앙홀(51)이 끼워지는 크기를 갖도록 하되 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6)에 금속 브러시(50)의 슬라이드 홈(52)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몸체(10)의 전방으로 형성된 돌출턱(13)에는 삽입홈(17)을 형성하여 스프링(80)이 끼워지게 한 후 상기 스프링(80)에 탄지되는 여러 장의 금속 브러시(50)를 몸체(10)의 외부에 끼우며, 상기 몸체(10)의 외측 후방에는 리니어 유압장치(70)를 끼워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 리니어 유압장치(70)에서 금속 브러시(50)를 받쳐주어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은 리니어 유압장치(70)를 몸체(10)의 외측에 나사 결합시킨 후 리니어 유압장치(70)로 금속 브러시(5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금속 브러시(50)를 전방으로 당겨주어 금속 브러시(50)의 브러시가 후방으로 눕혀지게 함으로써 하수관(60)에서 후진을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몸체(10)에는 전방을 향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노즐(12)을 설치하여 청소 작업시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상기 노즐(12)로 공급되는 물은 몸체(10)의 후방에서 유압호스(21)와 같이 연결된 호스(15)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며, 당 업계에서 노즐(12)로 물을 분사하거나 유압모터(20)를 회전시키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22)에는 낫과 같은 형태의 커터(30)를 설치하되 상기 커터(30)는 회전축(22)과 같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축(22)의 선단에는 회전축(22)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견인줄(11)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커터(30)는 회전축(22)과 같이 회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힌지(3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한편 커터(30)를 중앙으로 당겨주는 스프링(33)이 설치되고, 상기 커터(30)가 최대한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제한볼트(31)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커터(30)는 회전축(22)의 회전시 같이 회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33)을 당기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커터(30)의 회전 반경은 회전 제한 볼트(31)를 이용하여 제한함으로써 커터(30)는 정해진 회전반경을 넘어서 회전하진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하수관(60)의 내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수지관(61)이나 이물질(62)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하수관(60)의 내경을 측정한 후 회전 제한볼트(31)를 이용하여 커터(30)의 최대 회전 반경을 정해주어야 한다.
상기 커터(30)의 최대 회전반경은 하수관(60)의 내경보다 작아야만 하수관(60)의 내부에서 커터(3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한편 커터(30)가 하수관(60)에 부딪혀 손상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하수관(60)의 내경보다 적은 회전 반경을 갖도록 커터(3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볼트(31)를 조절한 후에는 몸체(10)의 외측으로 금속 브러시(50)를 끼워 리니어 유압장치(70)로 고정시키되 상기 금속 브러시(50)의 외경은 하수관(60)의 외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몸체(10)가 하수관(60)을 통과할 때 금속 브러시(50)가 하수관(60)에 밀착된 채로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커터(30)가 회전할 때 몸체(10)가 고정되어 있게 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서 하수관(60)의 입구로 끼워 넣되 금속 브러시(50)가 하수관(60)에 밀착되는 형태로 밀어 넣은 후 몸체(10)의 전방에서는 견인줄(11)을 이용하여 몸체(10)를 전방으로 당기도록 하고, 몸체(10)의 후방에서는 유압호스(21)와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호스(15)를 연결하여 유압과 물을 몸체(10)로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금속 브러시(50)는 슬라이드 돌기(17)에 슬라이드 홈(52)이 끼워지게 되므로, 몸체(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나, 회전은 방지되게 된다.
견인줄(11)을 당겨 금속 브러시(50)가 하수관(60)의 내부에서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몸체(10)에 내장된 유압모터(20)를 작동시키면 커터(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커터(30)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나 회전 제한볼트(31)에 의해 일정 반경 이상으로 커지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이 커터(30)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견인줄(11)을 이용하여 몸체(10)를 전진시키게 된다.
여기서 유압모터(20)가 회전할 때 몸체(10)는 금속 브러시(50)에 의해 하수관(60)의 내측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10)가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22)이 회전하면서 커터(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커터(30)는 회전하면서 하수관(60)의 내부로 돌출된 하수지관(61)이나 이물질(62)을 제거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노즐(12)에서 전방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커터(30)를 회전시키면서 견인줄(11)로 몸체(10)를 당겨 하수관(60)을 빠져 나오게 되면, 하수관(60)에 돌출되었던 하수지관(61)이나 이물질(62)이 커터(30)에 의해 분쇄되면서 제거되게 되므로, 하수관(60)에는 돌출된 이물질(62)이 제거되어 하수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한편 정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하수관(60)의 내부에서 커터(30)를 회전시켜 하수관(60)으로 돌출된 하수지관(61)이나 이물질(62)을 제거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금속 브러시(50)가 하수관(60)의 내벽에 밀착된 채로 이동하게 되므로, 금속 브러시(50)에 의해 하수관(60)의 내벽이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하수관(60)에 투입되었던 몸체(10)를 전진시키지 않고, 후진시켜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금속 브러시(50)가 도 12와 같이 후방으로 눕혀져 있기 때문에 그대로 몸체(10)를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몸체(10)는 후진을 하지 않게 되므로, 리니어 유압장치(70)를 작동시켜 리니어 유압장치(70)에서 금속 브러시(50)의 바디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하여 금속 브러시(50)의 바디가 스프링(80)을 압착시키며 삽입홈(17)에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금속 브러시(50)는 도 10과 같이 후방으로 완전히 눕혀지게 되므로, 금속 브러시(50)가 몸체(10)를 후진시키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몸체(10)의 외측에 끼워진 금속 브러시(50)는 하수관(60)의 내벽에 밀착되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몸체(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는 것으로, 전진은 용이하나, 후진을 위해서는 금속 브러시(50)를 눕혀주어 하수관(60)과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리니어 유압장치(70)로 금속 브러시(50)의 바디를 밀어 스프링(80)을 압착시키며 삽입홈(17)에 밀어 넣음으로써 금속 브러시(50)가 눕혀지게 되어 후진을 시키게 된다.
10 : 몸체 11 : 견인줄
12 : 노즐 20 : 유압모터
22 : 회전축 30 : 커터
31 : 회전 제한볼트 33 : 스프링
50 : 금속브러시 60 : 하수관
70 : 리니어 유압장치 80 : 스프링

Claims (4)

  1. 원통형을 갖고 전방으로 노즐(12)이 설치된 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유압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유압모터(20)를 설치하되 상기 유압모터(20)의 회전축(22)은 몸체(10)에는 전방 중앙으로 돌출되게 하며,
    상기 회전축(22)에는 커터(30)를 설치하되 상기 커터(30)는 회전축(22)과 같이 회전하면서 하수관(60)의 내경과 같은 회전반경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금속 브러시(50)를 끼워주되 상기 금속 브러시(50)의 외경은 하수관(60)의 내경보다 큰 것을 사용하며,
    상기 몸체(10)에 끼워진 금속 브러시(50)는 돌출턱(13)에 형성된 결합홈(17)에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80)에 받쳐지게 끼워지고,
    상기 몸체(10)의 후방으로 리니어 유압장치(70)를 나사 결합하여 금속 브러시(50)의 바디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는 전방 외측으로 돌출턱(13)을 구비하는 한편 후방 외측으로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돌출턱(13)에는 결합홈(17)을 형성하여 스프링(80)이 끼워지게 한 후 몸체(10)에 끼워지는 금속 브러시(50)가 상기 스프링(80)에 받쳐지게 하고, 상기 금속 브러시(50)는 몸체(10)에 끼워진 리니어 유압장치(70)로 밀리게 하며, 상기 몸체(10)에는 양쪽으로 슬라이드 돌기(16)를 형성하여 금속 브러시(50)의 슬라이드 홈(52)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유압모터(20)를 설치하되 상기 유압모터(20)의 회전축(22)은 전방 중앙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2)에는 양쪽으로 커터(30)를 힌지(32)로 결합시키는 한편 커터(30)와 회전축(22) 사이에는 스프링(33)를 설치하여 커터(30)가 회전축(22)쪽으로 모아지는 힘을 받게 하고, 상기 회전축(22)에는 커터(3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볼트(3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청소장치.
  4. 제1항에서, 금속 브러시(50)의 직경은 하수관(60)의 내경보다 크게 하고, 커터(30)의 회전반경은 하수관(60)의 내경 보다는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청소장치.
KR1020110073030A 2011-07-22 2011-07-22 하수관 청소장치 KR10127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30A KR101276759B1 (ko) 2011-07-22 2011-07-22 하수관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30A KR101276759B1 (ko) 2011-07-22 2011-07-22 하수관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97A KR20130011697A (ko) 2013-01-30
KR101276759B1 true KR101276759B1 (ko) 2013-06-24

Family

ID=4784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30A KR101276759B1 (ko) 2011-07-22 2011-07-22 하수관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4109A (zh) * 2016-03-28 2017-10-10 石亚民 一种管道清洗的水循环清洗方法及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6647A1 (en) 2013-12-03 2015-06-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Path-Loss Estimation
KR101628032B1 (ko) * 2015-02-04 2016-06-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브러시 조립체
CN107234112B (zh) * 2016-03-28 2023-05-26 石亚民 一种管道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CN108252398B (zh) * 2018-01-22 2019-12-06 柳州市千恒科技有限公司 一种造纸厂用污水管道疏通单元
CN109556104A (zh) * 2018-12-21 2019-04-02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蒸汽发生器管间条状异物剪切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547809B (zh) * 2020-05-12 2021-05-1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压力管道透气井的消毒装置
CN112252424B (zh) * 2020-10-08 2021-12-28 贵州黔峰管业有限公司 一种地下管道用高效疏通装置
CN112922134A (zh) * 2021-01-25 2021-06-08 袁军华 城建地下排水管网疏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60A (ko) * 1999-08-20 1999-12-06 이상영 선단부에 슬러지 제거용 코어와 팬 브러시를 가지는 관 내부청소장치
KR20070103998A (ko) * 2006-04-21 2007-10-25 대지종건(주)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작업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60A (ko) * 1999-08-20 1999-12-06 이상영 선단부에 슬러지 제거용 코어와 팬 브러시를 가지는 관 내부청소장치
KR20070103998A (ko) * 2006-04-21 2007-10-25 대지종건(주)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작업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4109A (zh) * 2016-03-28 2017-10-10 石亚民 一种管道清洗的水循环清洗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97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759B1 (ko) 하수관 청소장치
KR100656095B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관로세척장치
KR101020651B1 (ko) 관로 내부의 스케일 제거공법
KR101814733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를 위한 알엔비 공법
KR100951435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및 공법
KR101831271B1 (ko) 관로 보수장치
JP7412736B2 (ja) 管路洗浄システム及び管路洗浄方法
KR100345411B1 (ko) 선단부에 슬러지 제거용 코어와 팬 브러쉬를 가지는 관 내부 청소장치
CA2980242A1 (en) Well tool
KR100815834B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센터링 디바이스
KR100730374B1 (ko) 관로의 세척장치
KR101997651B1 (ko) 하수도관의 퇴적된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50010480A (ko) 배관의 스케일 제거용 와이어 장치
JP5805605B2 (ja) 洗浄装置
KR102417313B1 (ko) 배관청소장치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KR101051562B1 (ko)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JP2006088002A (ja) 管内面の洗浄装置
CN212041866U (zh) 一种给排水管道内壁清除装置
CA3073452A1 (en) Drain auger machine attachment for unclogging drains
JP2009160543A (ja) 排水管などの管路洗浄装置
KR100577585B1 (ko) 침적물 자동 제거 하수관
JP5827106B2 (ja) 洗浄ノズルおよびホースの洗浄方法
CN213143310U (zh) 一种防堵塞的市政用管道
KR102613589B1 (ko) 소형 상수관용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