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562B1 -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562B1
KR101051562B1 KR1020080110990A KR20080110990A KR101051562B1 KR 101051562 B1 KR101051562 B1 KR 101051562B1 KR 1020080110990 A KR1020080110990 A KR 1020080110990A KR 20080110990 A KR20080110990 A KR 20080110990A KR 101051562 B1 KR101051562 B1 KR 10105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enamel
blade
coating materi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108A (ko
Inventor
권택중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775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515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산업 (주)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5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 형태를 가지며 외곽 모서리면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축들과, 상기 지지축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외곽골조에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관 내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 이동하며 상기 상수도관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긁어주는 블레이드 및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며 상기 상수도관 내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긁어주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골조는 하나의 지지축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이 내장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텐션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밀려나며 상기 실린더에서 인출 동작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축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축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수도관의 형상변형에 맞추어 스크레이퍼 및 블레이드를 상수도관의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콜탈에나멜, 스크레이퍼, 블레이드, 스프링

Description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CLEANING MACHINE FOR INNER SURFACE OF PIPE}
본 발명은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의 형상변형에 상관없이 상수도관의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체인 상수도를 흘려보내는 관체(이하에서는 "상수도관"이라 칭함)의 내경에는 매설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상수도관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제를 긁어낸 후, 새로 도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비로는 스크래이퍼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 장치는 상수도관의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에 스크레이퍼를 직접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크레이퍼를 회전시켜 도장재를 강제적으로 긁어내며 제거하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이러한 스크레이퍼는 센터축에 다리부재로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원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수도관의 내경을 긁어주며 도장재를 제거토록 한다.
그러나, 매설년수가 오래된 상수도관의 경우에는 토사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어 상수도관은 정원을 유지하지 못하고, 타원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 데, 이와 같이 형상이 변형된 상수도관내로 스크레이퍼를 진입시킬 경우에는 스크레이퍼가 변형된 상수도관 내경에 원할하게 밀착되지 못하거나 혹은 너무 강하게 밀착되어 스크레이퍼가 파손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스크레이퍼 및 블레이드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도록 구성하여 상수도관의 형상 변형에 상관없이 상수도관 내경에 스크레이퍼 및 블레이드를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수도관 내경에 밀착되는 블레이드들을 한쪽방향으로 일정각도 비틀려진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회전과 동시에 장치를 앞쪽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다각 형태를 가지며 외곽 모서리면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축들과, 상기 지지축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며 각 지지축들을 연결 구성하는 외곽골조와, 상기 외곽골조에 설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진 원판을 다수개 배열시킨 상태로 구성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경에 접촉되어, 상기 상수도관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긁어주는 블레이드 및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지지축의 외경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방향으로 절곡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수도관 내경에 접촉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상수도관 내경에 생성된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긁어주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골조는 하나의 지지축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이 내장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텐션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밀려나며 상기 실린더에서 인출 동작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축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축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스프링의 텐션력을 전달받아 상기 블레이드 및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레이퍼를 외측으로 밀어 형상이 변형된 상수도관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블레이드들중 3군데의 블레이드는 베터리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의 축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강관 내경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중앙으로 회전안내공이 관통 형성된 결합판이 설치되며, 상기 결합판의 아래에는 상기 회전안내공에 끼워지는 축핀에 결합되어 틸팅 동작하는 틸팅판이 설치되며, 상기 틸팅판의 양측에는 상기 블레이드들중 모터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3군데의 블레이드들이 결합되어, 상기 틸팅판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들은 한쪽 방향으로 비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는 스프링의 텐션력을 이용하여 스크레이퍼 및 블레이드를 상수도관의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서 상수도관의 형상변형에 상관없이 노후화된 상수도관의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 내경에 밀착되는 블레이드들을 한쪽방향으로 일정각도 비틀려지도록 함으로서 블레이드의 회전과 동시에 장치를 앞쪽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100)는 전체적으로 다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외곽 모서리에 배치되는 6개의 지지축(10)들과, 외곽 골조(12)를 구성하는 실린더(14) 및 프레임(2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두개의 지지축(10a, 10b)과, 상기 지지축(10a, 10b)들 사이에 위치하는 외곽 골조(12)인 실린더(14) 및 프레임(24)간의 연결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실린더(14)의 단부에는 하나의 지지축(10a)을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24)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축(10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축(10b)을 결합시켜 구성한다(도 2참조).
상기 실린더(14)와 프레임(24)간의 연결은 상기 실린더(14) 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로드(16)의 단부에 LM가이드레일(22)을 설치하고, 상기 LM가이드레일(22)에는 LM블럭(20)이 상기 LM가이드레일(22)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LM블럭(20)의 단부에 상기 프레임(24)을 결합시켜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14)의 내부에는 스프링(18)이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18)은 실린더(14)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6)를 탄력적으로 밀어 후술하는 스크레이퍼(26) 및 블레이드(30)를 형상이 변형된 상수도관(50)의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18)의 텐션력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18)와 LM블럭(20)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24)은 스프링(18)의 텐션력을 전달받아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프레임(24)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축(10b) 역시 후방으로 밀려나며 형상이 변형되어 있는 상수도관(50)의 내경에서 떨어져 있는 스크레이퍼(26) 및 블레이드(30)를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축(10)에는 스크레이퍼(26)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지지축(10)에 근접하는 곳의 외곽골조(12)에는 블레이드(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3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원판을 다수개 배열시킨 상태로 구성하여 상수도관(50) 내경을 타고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수도관(50)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일차적으로 긁어내게 되고, 상기 스크레이퍼(26)는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축(10)의 외경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방향으로 절곡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수도관(50) 내경에 접촉되어, 상기 블레이드(30)의 동작으로 일차적으로 긁혀진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재차 긁어가며 상수도관(50)내경에서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제거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30)들중 3군데의 블레이드(30)는 베터리(32)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34)의 축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35)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34)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강관(50) 내경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30)들중 모터(34)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3군데의 블레이드(30)들은 아래에 기술할 틸팅판의 양측에 결합시켜 상기 틸팅판(46)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0)들은 한쪽 방향으로 비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3군데의 블레이드(30)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상수도관(50)의 내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베터리(32)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34)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35)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수도관(50)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일차적으로 긁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3군데 블레이드들은 언급한 바와 같이 틸팅판의 양측에,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외곽골조(12)를 구성하는 프레임(24)에 결합판(40)을 부착하고, 상기 결합판(40)의 하면에는 틸팅판(46)이 축핀(44)으로 결합되며, 상기 틸팅판(46)의 양측으로 상기 블레이드(30)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결합판(40)과 틸팅판(46)을 연결하는 축핀(44)은 상기 결합판(4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 형태의 회전안내공(42)을 관통한 상태에서 틸팅판(46)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틸팅판(46)의 틸팅 동작시 상기 회전안내공(42)을 타고 이동하며 틸팅판(46)을 틸팅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상기 틸팅판(46)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기 틸팅판(46)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블레이드(30)는 도 5에서와 같이 한쪽방향으로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1.25°비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 이러한 블레이드(30)의 비틀려진 각도를 통해 블레이드(30)는 상수도관(50) 내경을 타고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비틀려진 각도만큼 앞쪽으로 전진하며 장치(10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동작 설명란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클리닝 작업을 필요로 하는 상수도관(50) 내경으로 본 발명의 제거장치(100)를 진입시킨 다음, 모터(34)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블레이드(30)가 회전 동작하며 상수도관(50) 내경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수도관(50)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일차적으로 긁어내게 되고, 이어서 스크레이퍼(26)가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재차 긁어가며 상수도관(50)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완전하게 제거하게 된다. 이때 틸팅판(46)의 틸팅각도를 통해 블레이드(30)는 한쪽 방향으로 대략 1.25°비틀려진 상태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블레이드(3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수도관(50) 내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비틀려진 각도만큼 앞쪽으로 조금씩 전진하며 장치(10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노후화된 상수도관은 매설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토사의 압력을 받아 타원형태로 찌그러지며 형상이 변형되어 내부 직경이 정원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정원이 유지되지 못하는 상수도관(50)의 내경으로 표면 처리장치(100)를 진입시키게 되면 클리닝 과정에서 스크레이퍼(26) 및 블레이드(30)가 상수도관(50)의 내경에서 떨어지게 되는 바, 이때에는 실린더(14)에 내설되어 있는 스프링(18)이 스크레이퍼(26) 및 블레이드(30)를 상수도관(50)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게 됨으로서 상수도관(50)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크레이퍼(26) 및 블레이드(30)가 상수도관(50) 내경에서 떨어지면 스프링(18)의 텐션력을 통해 피스톤로드(16)가 인출되며, 상기 피스톤로드(16)에 결합되어 있는 LM블럭(20)이 LM가이드레일(22)을 타고 이동하며 프레임(24)을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4)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축(10)과, 상기 지지축(10)에 설치되는 스크레이퍼(26) 그리고 상기 프레임(24)에 설치되어 있는 틸팅판(46)에 연결 구성된 블레이드(30)는 외측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서 스크레이퍼(26) 및 블레이드(30)는 형상이 변형된 상수도관(50)의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블레이드와 프레임간의 연결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축 12: 외곽골조
14: 실린더 16: 피스톤로드
18: 스프링 24: 프레임
26: 스크레이퍼 30: 블레이드
40: 결합판 44: 축핀
46: 틸팅판 50: 상수도관

Claims (2)

  1. 노후화된 상수도관(50)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다각 형태를 가지며 외곽 모서리면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축(10)들과;
    상기 지지축(10)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며 각 지지축(10)들을 연결 구성하는 외곽골조(12)와;
    상기 외곽골조(12)에 설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진 원판을 다수개 배열시킨 상태로 구성하여 상기 상수도관(50) 내경에 접촉되어, 상기 상수도관(50) 내경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긁어주는 블레이드(30) 및 ;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지지축(10)의 외경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방향으로 절곡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수도관(50) 내경에 접촉되어, 상기 블레이드(30)와 함께 상수도관(50) 내경에 생성된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를 긁어주는 스크레이퍼(26)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골조(12)는;
    하나의 지지축(1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스프링(18)이 내장된 실린더(14)와;
    상기 실린더(14)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8)의 텐션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밀려나며 상기 실린더(14)에서 인출 동작하는 피스톤로드(16)와;
    상기 피스톤로드(16)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축(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축(10)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블레이드(30)를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24)으로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24)은 상기 스프링(18)의 텐션력을 전달받아 상기 블레이드 (30) 및 상기 지지축(10)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레이퍼(26)를 외측으로 밀어 형상이 변형된 상수도관(50) 내경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블레이드(30)들중 3군데의 블레이드(30)는 베터리(32)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34)의 축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35)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34)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강관(50) 내경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4)에는 중앙으로 회전안내공(42)이 관통 형성된 결합판(40)이 설치되며;
    상기 결합판(40)의 아래에는 상기 회전안내공(42)에 끼워지는 축핀(44)에 결합되어 틸팅 동작하는 틸팅판(46)이 설치되며,
    상기 틸팅판(46)의 양측에는 상기 블레이드(30)들중 모터(34)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3군데의 블레이드(30)들이 결합되어, 상기 틸팅판(46)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0)들은 한쪽 방향으로 비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KR1020080110990A 2008-11-10 2008-11-10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KR10105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990A KR101051562B1 (ko) 2008-11-10 2008-11-10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990A KR101051562B1 (ko) 2008-11-10 2008-11-10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08A KR20100052108A (ko) 2010-05-19
KR101051562B1 true KR101051562B1 (ko) 2011-07-22

Family

ID=4227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990A KR101051562B1 (ko) 2008-11-10 2008-11-10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3526A (zh) * 2015-06-26 2015-09-23 安庆联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钢管表面清洗机专用输送装置
CN105384342A (zh) * 2015-11-09 2016-03-09 山东锋坤搪瓷护栏有限公司 一种塑瓷钢复合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80B1 (ko) * 2012-08-31 2014-03-06 한국수자원공사 노후관로 변형에 따른 작업성이 용이한 2액형 도료 도장장치
KR101381279B1 (ko) * 2013-09-26 2014-04-0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 내경용 도금막 제거기
CN109849015B (zh) * 2019-03-22 2020-11-06 上海交通大学 多足式管道移动机器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962U (ko) 1976-12-08 1978-07-05
JPS6224989U (ko) 1985-07-24 1987-02-16
KR20080095358A (ko) * 2007-04-24 2008-10-29 중앙산업 (주) 강관 및 주철관의 라이닝을 위한 표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962U (ko) 1976-12-08 1978-07-05
JPS6224989U (ko) 1985-07-24 1987-02-16
KR20080095358A (ko) * 2007-04-24 2008-10-29 중앙산업 (주) 강관 및 주철관의 라이닝을 위한 표면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3526A (zh) * 2015-06-26 2015-09-23 安庆联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钢管表面清洗机专用输送装置
CN105384342A (zh) * 2015-11-09 2016-03-09 山东锋坤搪瓷护栏有限公司 一种塑瓷钢复合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08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562B1 (ko)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경의 콜탈에나멜 및 내부도장재 제거장치
KR100947485B1 (ko) 노후 관로의 콜타르 제거장치
RU2690587C2 (ru) Скважинный инструмент
KR101276759B1 (ko) 하수관 청소장치
CN104588380B (zh) 气囊式可分解水压自旋刺柱式清管器
JP6687926B2 (ja) パイプの内面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
CN110681655B (zh) 一种管道内壁疏通器
KR101831271B1 (ko) 관로 보수장치
CN104983450A (zh) 一种肝胆科肝内胆管结石取出器
EP2934774B1 (en) Device for cleaning of pipes
KR101323158B1 (ko) 노후관 스케일링 스크레이퍼 및 노후관 세척방법
CN112411689B (zh) 一种管道疏通设备
CN203531849U (zh) 一种内衬油管除垢装置
GB2276927A (en) Pipe cleaning device
JP4885531B2 (ja) 観察治具と鋼管内の塗装方法
CN204396404U (zh) 气囊式可分解水压自旋刺柱式清管器
JP2006022547A (ja) 空気式土砂処理装置及び土砂処理方法
JP3330251B2 (ja) 水底の汚泥取出装置
FI127001B (en) Rörrengöringsanordning
JP2001224112A (ja) 地中ケーブルの撤去工法
KR20000017709U (ko) 배관 청소기구
JP2007138544A (ja) 既設杭の引抜き工法
JP4190380B2 (ja) 地中ケーブルの撤去工法
CN216041664U (zh) 一种排污管道的清洁机构
CN211563932U (zh) 一种采油管线清蜡绞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13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1010

Effective date: 201803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