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196A -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196A
KR20110092196A KR1020100086316A KR20100086316A KR20110092196A KR 20110092196 A KR20110092196 A KR 20110092196A KR 1020100086316 A KR1020100086316 A KR 1020100086316A KR 20100086316 A KR20100086316 A KR 20100086316A KR 20110092196 A KR20110092196 A KR 2011009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earing member
seal member
axial direction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19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 G03G2215/0822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with wall or blade between agit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또한 제조가 용이한 베어링 부재와 시일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BEARING SEAL UNIT, AN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ING BEARING SEAL UNIT}
본 발명은,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현상 장치에 이용되는 시일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03-18966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32313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07258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05370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03-189666호 공보에 따른 현상 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용기와, 상기 개구부에 배설(配設)되며 자계 발생 수단을 내포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용기 내부에 회전축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를 교반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측으로 현상제를 반송시키는 교반 부재를 구비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의 측판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을 위한 부착 구멍의 내경에 배설된 금속제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보다 현상제 용기의 내부 측에서 상기 장착 구멍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는 비자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2002-323139호 공보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장치는, 중심부에 회전축을 관통하는 축 구멍을 형성한 원통 형상 또는 링 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지지 링과, 선단부에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립(lip)부를 갖는 시일체(seal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링의 축 구멍의 내주측에 상기 시일체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한 기부(基部)를 인서트 성형으로 일체화하는 동시에, 그 지지 링의 축 구멍의 일부에 상기 회전축에 직접 슬라이딩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립부를 통해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 제4072589호 공보에 따른 회전 부재의 시일 구조는,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 용기 내에 회전 부재가 설치되고, 그 회전 부재의 회전축이 상기 용기에 베어링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 사이로의 현상제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일 구조로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회전축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 구멍을 갖는 원반 형상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시일 부재를 걸어맞추기 위한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고, 용기 내측으로부터 시일 부재를 베어링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링 부재가 설치되고, 링 부재는, 베어링 케이스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의 링 부재의 내주면은, 외단(外端)측의 내경이 내단(內端)측의 내경보다 작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일 부재에,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이 넓혀지고, 자신의 복원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 부재의 관통 구멍의 주위에, 립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접는 선이 부가되고, 상기 립부의 선단이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시일 부재가 배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 제4105370호 공보에 따른 롤러 지지용 베어링 장치는, 베어링과, 이 베어링 내부를 보호하는 립 패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지지용 베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립 패킹은, 탄성체의 일체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체 성형품은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는 지지축의 주위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립부와, 상기 베어링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립 패킹 끼워맞춤 고정 부분은, 상기 지지 축의 축 중심과 동심원 형상이며, 축 중심선 방향 및 축 직경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오목한 길이를 갖는 압입 홈을 갖고, 상기 립 패킹의 고정부는, 상기 압입 홈에 끼워맞추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서, 이 고정부가 상기 베어링의 립 패킹 끼워맞춤 고정 부분에 보강 링을 사용하지 않고 압입 끼워맞춤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03-18966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32313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07258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05370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소형화 또한 제조가 용이한 베어링 부재와 시일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상기 베어링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원주(圓柱) 형상으로 연장된 원주 형상부와, 상기 원주 형상부의 선단측에 기단측보다 외경이 크게 설정된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시일 부재는, 그 반경방향의 내주측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해서 시일하는 립부를 갖고 있고, 상기 립부는, 그 선단부의 내경이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그 기부의 내경이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있어,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당해 시일 부재는, 그 외경이 상기 지지 부재의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3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교반 반송 부재와,
상기 교반 반송 부재에 의해 교반하면서 반송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 반송 부재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교반 반송 부재와,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 반송 부재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소형화 또한 제조가 용이한 베어링 부재와 시일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시일성이 향상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베어링 부재와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립부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시일하기 때문에 시일 부재로부터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시일 부재 외경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시일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안정된 시일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 베어링으로 시일할 경우에 비해 압입 저항이 작기 때문에 시일하기 위해서 필요한 외경 치수 교차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베어링 부재와 시일 부재의 중심 위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현상 장치를 소형화한 경우에도, 교반 반송 부재를 확실하게 시일하면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한 경우에도, 현상 장치에 의해 양호한 현상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tandem)형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의 화상 노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 도.
도 6은 현상 장치의 베어링부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12는 시일 부재의 립부의 내경 및 두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시일 부재의 립부의 내경 및 두께와 회전축의 토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 풀 컬러 프린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1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의 탠덤형 풀 컬러 프린터의 본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당해 풀 컬러 프린터 본체(1)의 내부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화상 형성부(2)가 연직 방향을 따라 상하로 배설되어 있다. 또한, 풀 컬러 프린터 본체(1)의 내부에는, 화상 형성부(2)의 일측(도시예에서는, 우측)에, 화상 형성부(2)에 의해 형성된 복수 색의 토너 상(toner image)이 전사되는 전사재를 흡착한 상태로 반송하는 용지 반송 벨트 유닛(3)이 배설되어 있는 동시에, 당해 화상 형성부(2)의 타측(도시예에서는, 좌측)에는, 제어 회로 등을 구비한 제어 유닛(4)이, 화상 형성부(2)의 경사 하방에, 고압 전원 회로 등을 구비한 전원 회로 유닛(5)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 컬러 프린터 본체(1) 내의 저부에는, 전사재로서의 전사 용지(37) 등을 급지하는 급지 장치(39)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부(2)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옐로(Y), 마젠타(M), 시안(C)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은, 연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고 있어, 대별(大別)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8)과, 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일차 대전용의 대전 롤(9)과, 후술하는 화상 노광 장치(21)에 의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각 색에 대응한 화상 노광을 실시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노광용 통로(10)와, 감광체 드럼(8)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대응하는 색의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11)와, 감광체 드럼(8) 위에 잔류된 전사 잔류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1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현상제로서는, 토너 및 캐리어 등을 포함하는 소위 2성분 현상제여도,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1성분 현상제여도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소위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화상 노광 장치(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에 공통으로 구성되고 있고,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레이저 빔(LB)을 출사하는 4개의 반도체 레이저(14)와, 당해 4개의 반도체 레이저(14)로부터 각각 출사된 4개의 레이저 빔(LB)을 평행광화(平行光化)하는 콜리메이터 렌즈(15)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14)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LB)을 반사하는 반사 미러(16)와, 이 반사 미러(16)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LB)을 편향 주사하는 회전 다면경(17)과, 이 회전 다면경(17)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LB)을 각 화상 형성부(7Y, 7M , 7C, 7K)의 감광체 드럼(8) 위에 주사 노광하는 복수 매의 반사 미러(18, 19)와, 레이저 빔(LB)을 투과하는 투과 유리(2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미러(18, 19)는, 레이저 빔(LB)의 편향 각도(θ)에 따라 초점 거리(f)를 바꾸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화상 노광 장치(21)에 의해 감광체 드럼(8) 위로 주사 노광되는 레이저 빔(LB)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14)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LB)을, 콜리메이터 렌즈(15)를 통해서 회전 다면경(17)의 표면에 스폿(spot) 형상으로 조사하고,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다면경(17)의 각 표면에 의해 반사함으로써,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주사 노광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레이저 빔(LB)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다면경(17)의 각 표면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거의 부채 형상으로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주사 노광된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1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현상제(110)가 수용된 현상 장치 본체(111)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현상 장치 본체(111)의 일단부에는, 감광체 드럼(8)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현상 장치 본체(111)의 개구부(112)에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113)이 배치되어 있다. 이 현상 롤(113)은, 내부에 고정한 상태로 장착되는 마그넷 롤(114)과, 당해 마그넷 롤(114)의 외주에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현상 슬리브(1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 본체(111)의 내부에는, 현상 롤(113)에 대하여 현상제(110)를 공급하는 공급 패들(paddle)(116)이, 현상 롤(113)의 경사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현상 롤(113)의 표면에 공급된 현상제(110)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층 두께 규제 부재(117)가, 공급 패들(116)보다 개구부(112)측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 본체(111)의 내부에는, 공급 패들(116)의 배면측에, 현상 장치 본체(111)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110)를 교반하면서, 도면에 수직한 서로 역방향으로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공급 패들(116)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 부재로서의 교반 반송용 오거(118, 11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용 오거(118, 119)의 사이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벽(120)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당해 구획벽(1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단부에는, 이들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용 오거(118, 119)의 사이에서 현상제(110)의 주고 받기를 행하기 위한 통로(121, 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 패들(116)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23)의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에 향해서 평판 형상의 패들 부재(124)를, 둘레 방향을 따라 예를 들면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4매 부착한 것이 이용된다. 이 공급 패들(116)은, 회전축(123)의 축방향에 따른 양 단부에 돌출한 단부가 현상 장치 본체(113)의 양 측벽(125, 12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용 오거(118, 119)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27, 128)의 외주에 교반 반송용의 베인(vane)(129, 130)을 미리 정해진 피치로 나선 형상으로 설치한 것이 이용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용 오거(118, 119)도, 회전축(127, 128)의 축방향에 따른 양 단부에 돌출한 단부가 현상 장치 본체(113)의 측벽(125, 12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 장치(11)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교반 반송용 오거(118, 119)에 의해 순환하도록 교반 반송되는 동시에, 제 1 교반 반송용 오거(118)로부터 공급 패들(116)에 의해 현상 롤(113)에 공급된 현상제(110)의 층 두께를, 층 두께 규제 부재(117)에 의해 소정의 값으로 규제하면서, 감광체 드럼(8)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 반송하고, 당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소정의 색의 토너로 현상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장치(1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8)의 표면에 잔류한 전사 잔류 토너를, 클리닝 블레이드(26)에 의해 제거하고, 제거된 전사 잔류 토너를 클리닝 장치(12)의 내부(27)로 회수해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풀 컬러 프린터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4)이 배설되어 있고, 이 제어 유닛(4)에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 처리 장치(30)로부터는, 화상 노광 장치(21)에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화상 데이터가 순차 출력되고, 이 화상 노광 장치(21)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 출사되는 4개의 레이저 빔(LB)이, 각각의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위로 주사 노광되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각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1Y, 11M, 11C, 11K)에 의해, 각각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또한, 상기 용지 반송 벨트 유닛(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無端) 형상 벨트로서 이음매 없이 순환하여 이동하는 용지 반송 벨트(31)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용지 반송 벨트(31)는, 각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에서 형성된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되는 전사재로서의 전사 용지(37)를 정전(靜電)적으로 흡착한 상태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지 반송 벨트 유닛(3)은, 후술하는 반전용의 용지 반송 경로(50)에 설치된 반송 롤(49)과 함께 일체적으로 유닛화되어 있고, 전사 용지(37)의 잼(jam) 등이 발생했을 경우에,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프론트 커버(32)를 개방함으로써, 프린터 본체(1)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 퇴피(退避)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용지 반송 벨트(3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설된 텐션 롤로서의 구동 롤(33)과 종동 롤(34)의 사이에, 소정의 텐션(tension)으로 걸쳐 있고, 예를 들면, 구동 모터(35)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어 등을 통해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33)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시계 회전 방향을 따라 순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롤(33)과 종동 롤(34)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A3 사이즈의 전사 용지(37)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롤(33)과 종동 롤(34)간의 거리는, 임의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용지 반송 벨트(31)로서는,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 필름을 무단 벨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종동 롤(34)의 표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용지(37)를 용지 반송 벨트(31)의 표면에 정전적으로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 롤(36)이, 용지 반송 벨트(31)를 통해서 맞닿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흡착 롤(36)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의 대전 롤(9)과 마찬가지로, 금속제 코어의 표면에 전도성 고무를 피복해서 구성되고 있어, 금속제 코어에 소정의 흡착용의 바이어스(bias) 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흡착 롤(36)은, 급지 장치(6)로부터 보내져 온 전사 용지(37)를 정전적으로 대전하고, 용지 반송 벨트(31)의 표면에 흡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의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위에 형성된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 반송 벨트(31)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로 반송되는 전사 용지(37) 위에, 전사 롤(38Y, 38M, 38C, 38K)에 의해 서로 포개진 상태로 다중으로 전사된다. 또한, 상기 전사 롤(38Y, 38M, 38C, 38K)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 반송 벨트 유닛(3)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사 용지(3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1)의 저부에 배설된 급지 장치(6)로부터 급지된다. 이 급지 장치(6)는, 원하는 사이즈나 재질의 전사 용지(37)를 수용한 용지 트레이(39)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용지 트레이(39)로부터는, 원하는 사이즈나 재질의 전사 용지(37)가 급송(給送) 롤(40)에 의해 급송되는 동시에, 공급 롤(41)과 해제 롤(42)에 의해 1매씩 분리된 상태로 급지되어, 급지 수단으로서의 레지스트레이션 롤(43)을 통해서 소정의 타이밍에 용지 반송 벨트(31) 상의 흡착 위치에 반송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사 용지(37)로서는, 시트 형상 부재이며, 예를 들면, A4 사이즈나 A3 사이즈, 또는 B5 사이즈나 B4 사이즈 등 다양한 사이즈, 및, 보통지(ordinary sheet), 코팅지(coat sheet) 등의 두꺼운 종이나, OHP 시트 등, 다양한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이 다중으로 전사된 전사 용지(3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전사 용지(37) 자신이 갖는 강성(소위, 단단함)에 의해 용지 반송 벨트(31)로부터 분리된 후, 가이드 부재(53)를 통해서 정착 장치(44)로 반송되고, 정착 장치(44)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 용지(37) 위에 정착된다. 상기 용지 반송 벨트(31)와 정착 장치(44)는, 근접해서 배설되고 있고, 정착 장치(44)로부터 분리된 전사 용지(37)는, 용지 반송 벨트(31)의 반송력에 의해 정착 장치(44)로 반송된다. 그 후, 각 색의 토너 상이 정착된 전사 용지(37)는, 정착 장치(44)의 출구 롤(45)을 통해서, 배출 롤(46)에 의해, 풀 컬러 프린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47) 위에 프린트 면을 아래로 한 상태로 배출되고, 프린트 동작이 종료한다.
또한, 상기 풀 컬러 프린터에서는, 풀 컬러의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모노크롬(monochrome) 등 원하는 색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프린트할 화상의 색에 따라,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모두, 또는 일부의 화상 형성부(7Y, 7M, 7C, 7K)에 의해 토너 상이 형성된다.
상기 풀 컬러 프린터에 의해 전사 용지(37)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정착 장치(44)에 의해 한 면에 화상이 정착된 전사 용지(37)를, 그대로 배출 롤(46)에 의해 배출 트레이(47) 위로 배출하지 않고, 전사 용지(37)의 후단이 배출 롤(46)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당해 배출 롤(46)을 일단 정지시켜서 역전시키는 동시에, 전환 게이트(48)에 의해, 전사 용지(37)의 반송 경로를 상방으로 전환하여, 프린터 본체(1)의 일 측면을 따라 설치된 반송 롤(49)을 구비한 반전용의 용지 반송 경로(50)에 반송한다. 그리고, 이 반전용의 용지 반송 경로(50)에 반송된 전사 용지(37)는, 그 표리가 반전된 상태로, 다시, 레지스트레이션 롤(43)에 의해 용지 반송 벨트(31)의 흡착 위치까지 반송되고, 이면에 토너 상이 전사된 후, 정착 장치(44)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정착 처리가 실시되어, 배출 롤(46)에 의해 프린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47) 위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 중, 부호 51은 프린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수동 삽입 트레이로부터, 원하는 사이즈 및 재질의 전사재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롤을, 52는 급지 롤(51)에 의해 급지된 전사재를 레지스트레이션 롤(43)에 반송하는 반송 롤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11)의 현상 장치 본체(111)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패들(116)의 회전축(123) 및 제 1, 제 2 교반 반송 오거(118, 119)의 회전축(127, 128)의 양 단부에 대응한 위치에, 이들 공급 패들(116)의 회전축(123) 및 제 1, 제 2 교반 반송 오거(118, 119)의 회전축(127, 12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현상제(110)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춘 베어링 겸용의 시일 부재(15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5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장착 구멍(151)은, 미리 정해진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현상 장치 본체(111)의 내부측의 단부(152)는, 장착 구멍(151)의 내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고,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의 단부면(153)이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 패들(116)의 회전축(123) 및 제 1, 제 2 교반 반송 오거(118, 119)의 회전축(127, 128)을 지지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는, 이들 회전축(123, 127, 128)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 등으로 설정되는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23, 127, 12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154)와, 당해 베어링 부재(154)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회전축(123, 127, 128)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1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15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23, 127, 128)의 외경에 대응해서 미리 정해진 내경과, 장착 구멍(151)의 내경에 대응해서 미리 정해진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부재(154)는, 예를 들면, 외경이 약 8㎜, 내경이 약 4㎜로 설정되고 있어, 상당히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상기 베어링 부재(150)의 치수 형상은, 상기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것보다 크게 설정하거나 작게 설정해도 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150)는, 예를 들면, PA, PC, POM, PET, PBT, PPE, PPS, ABS, PS, PP 등의 양호한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일 부재(15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54)의 축방향에 따른 일단측, 즉 현상 장치 본체(111)의 내부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 시일 부재(155)는, 회전축(123, 127, 128)의 축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156)와, 당해 원통부(156)의 축방향의 일단측(내부측)이며, 또한 내주단(內周端)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립부(157)와, 상기 원통부(156)의 축방향의 일단측(내부측)이며, 또한 외주단(外周端)에 원통부(156)와 동일한 외경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외주 원통부(15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립부(157) 및 외주 원통부(158)의 축방향의 일단측(내부측)에 위치하는 단부면(153)은, 축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교차하는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156)의 내경은, 그 베어링 부재(154)측의 단부(154a)만이 미리 정해진 미소한 길이에 걸쳐, 회전축(123, 127, 128)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근소하게 작게 설정되고 있고, 원통부(156)의 다른 부분(156b)의 내경은,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 회전축(123, 127, 128)의 외경보다 근소하게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립부(157)는, 미리 정해진 두께 t를 갖고, 또한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미리 정해진 각도 θ(예를 들면, 약 9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립부(157)의 외주와 외주 원통부(153)의 내주 사이에는, 당해 립부(157)가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축방향 외측 방향을 향해서 개구된 공간(15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일 부재(155)의 재료로서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의 재료를 고려하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일 부재(155)는, 종래, 니트릴 고무(nitrile rubber) 등의 열경화성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있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출 형성 등의 공정에 의해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제조할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용융 내지 연화하는 열가소성을 갖는 엘라스토머(고분자 탄성 재료)가 적합하다.
베어링 부재(15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베어링 부재로서의 양호한 슬라이딩성(낮은 슬라이딩성)을 고려하면, P0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구성하는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의 접착성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15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의 POM은, 시일 부재(155)로서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접착(고착)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베어링 부재(15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양호한 슬라이딩성(낮은 슬라이딩성)을 갖는 POM을 선택하고, 시일 부재(155)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선택했을 경우, 이들 재료를 일체화시켜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형성하기 위해,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를 강고하게 일체화시켜서,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에 따른 하중이 복잡하게 작용했을 경우에도, 양호한 베어링 성능과 시일 성능을 양립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가 사용 중에 분리 내지 이간했을 경우는, 회전축(123, 127, 128)의 경사는 제로(zero)가 아니기 때문에, 분리 내지 이간 거리가 커질 수록, 립부와 회전축 사이의 접촉압(시일성)의 편차가 커져서, 시일 부재(155)의 시일 불량에 의한 현상제(110)의 누설 등의 원인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분리 내지 이간함으로써 베어링이 경사지기 쉬워지고 베어링 저항의 증대에 따른 베어링 부재(154)의 저수명화가 생긴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의 시일 부재(155)에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원통부(156)의 베어링 부재(154)측의 단부면에, 시일 부재(155)로부터 베어링 부재(154)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원주(圓柱) 형상으로 연장된 결합부(1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주부(161)가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축방향을 따라 3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원주부(161)의 선단에는,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결합부의 일부로서의 대직경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직경부(162)는,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원주부(161)보다 직경이 큰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의 부분인 대직경부(162)가 기단측의 부분인 원주부(161)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결합부(16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60)의 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개 또는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 부재(154)에는, 3개의 결합부(160)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는 3개의 오목부(163)가 형성되고 있고, 이들 3개의 오목부(163)의 형상은, 결합부(160)에 대응한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결합부(160)의 대직경부(162)가 삽입되는 제 2 오목부(165)는, 반대측의 면을 관통하도록 대직경부(16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주부(161) 및 대직경부(162)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6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대로, 베어링 부재(154)의 내부에 설치되고, 베어링 부재(154)는, 상술한 대로, 예를 들면, 외경이 약 8㎜, 내경이 약 4㎜로 각각 설정되고, 두께 약 2㎜의 베어링 부재(154)의 내부에 원주부(161) 및 대직경부(162)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60)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때, 상기 원주부(161)와 대직경부(162)의 직경차를 어느 정도 크게 설정해서, 대직경부(162)의 빠짐 방지 효과에 기인한 결합 효과를 높였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원주부(161)의 외경이 1㎜ 또는 그 이하로 되서, 원주부(161)가 인장력에 의해 파단하기 쉬워지거나, 원주부(161) 그 자체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결합부(160)를 구성하는 대직경부(162)는, 도 7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54)의 반경방향이 아니라, 기단측인 원주부(161)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중, 반경방향 내외 방향이 아니라, 둘레 방향에 따른 길이가 길어지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 내지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원주부(161)를 과도하게 소직경화하지 않고, 원주부(161)와 대직경부(162)의 단차(면적)를 크게 해서 빠짐 방지 효과에 기인한 결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서 제조된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금형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조 장치(2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별하여, 베어링 부재(154)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제조용 금형(201)과, 당해 제 1 제조용 금형(201)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 부재(154)를 장착한 상태에서, 당해 베어링 부재(154)와 일체적으로 시일 부재(155)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제조용 금형(2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조용 금형(201)은,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54)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의 원재료(原材料)(203)를 투입하고, 합성 수지의 원재료(203)를 가열 용융하는 동시에 가압해서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압입하기 위한 용융 가압 장치(204)와, 베어링 부재(154)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측의 금형(205)과, 베어링 부재를 형성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가동측의 금형(20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융 가압 장치(204)에 의해 용융 가압된 합성 수지의 원재료(203)는, 고정측 금형(206)에 설치된 압입 통로(207)를 통해서 가동측의 금형(206) 내에 캐비티(208)에 사출되어, 베어링 부재(154)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측의 금형(205) 및 가동측의 금형(206)에는, 결합부(160)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209∼211)가 일체적으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조용 금형(201)에 의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베어링 부재(154)가 형성된다.
그 후, 상기 베어링 부재(154)는, 제 1 제조용 금형(201)으로부터 취출되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제조용 금형(202) 내에 세트된다. 이 제 2 제조용 금형(202)은, 시일 부재(155)를 베어링 부재(154)와 일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고정측의 금형(212)과, 베어링 부재(154)를 세트하는 동시에 시일 부재(155)를 형성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가동측의 금형(2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제조용 금형(201)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 부재(154)는, 가동측의 금형(213) 내에 설치된 캐비티(214)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세트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측의 금형(213)을 이동시켜서 고정측의 금형(212)에 고정하고, 고정측 금형(213)에 설치된 압입 통로(215)를 통해서 가동측의 금형(213) 내의 캐비티(214)에, 가열 용융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사출되어, 시일 부재(155)가 베어링 부재(154)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측의 금형(212) 및 가동측의 금형(213)에는, 시일 부재(155)의 립부(157) 등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216 또는 217) 등이 일체적으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160)는, 베어링 부재(154)에 미리 형성된 오목부(164, 165)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조 장치에서는, 베어링 부재(154)를 먼저 성형한 후, 당해 베어링 부재(154)를 일단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고 제 2 제조 장치의 금형에 세트할 필요가 있고, 당해 베어링 부재(154)를 금형에 세트하기 위한 끼워맞춤은 버어(burr)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극간(隙間)밖에 없기 때문에 반드시 제조 장치의 자동화에는 부적절한 곳이 있다. 또한 수동으로 삽입할 경우에도 품질 안정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식의 테이블에 일차 금형과 이차 금형을 장착하고, 일차 금형에 의해 베어링 부재(154)를 성형한 후에, 베어링 부재(154)를 일차 금형에 남긴 채로 회전식의 테이블을 회전시켜서 일차 금형에 시일 부재를 성형해서, 시일 부재(155)를 베어링 부재(154)와 일체적으로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때, 이차 금형에는 베어링 부재(154)가 성형된다.
이 회전 2색식(rotary 2 color type)의 제조 장치의 경우에는, 베어링 부재(154)를 먼저 성형한 후, 당해 베어링 부재(154)를 일단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의 제조 장치를 자동화하는데도 적합하고 품질이 안정되며, 비용 절감도 가능해진다. 또한 베어링 부재와 시일 부재의 동축 정밀도를 상기 제조 방법보다 고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시일 부재의 립부의 내경 및 두께와 회전축의 토크와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며, 립부의 내경 및 두께를 임의의 정해진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회전축의 구동 토크가 상승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소형화 또한 제조가 용이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를 적용한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컬러 프린터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에 있어서 대응하는 각 색의 토너 상이 순차 형성되고, 이들 각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의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위에 순차 형성된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상은, 용지 반송 벨트(31)의 표면에 정전적으로 흡착된 상태로 반송되는 전사 용지(37) 위로 순차 다중으로 전사된다.
그리고, 상기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 등의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된 전사 용지(3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착 장치(44)에 의해 정착 처리가 실시되고, 프린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47) 위로 배출된다.
그 때, 상기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화상 형성 유닛(7Y, 7M, 7C, 7K)에서는, 현상 장치(11Y, 11M, 11C, 11K)에 의해 감광체 드럼(8Y, 8M, 8C, 8K)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서, 감광체 드럼(8Y, 8M, 8C, 8K)의 표면에 대응하는 색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 장치(11Y, 11M, 11C, 11K)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 본체(111) 내에서, 공급 패들(116) 및 제 1, 제 2 교반 반송 오거(118, 119) 등이 회전 구동되고, 현상 장치 본체(111)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110)가 교반되는 동시에 반송되어, 현상 롤(113)에 공급되어서, 감광체 드럼(8Y, 8M, 8C, 8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상기 현상 장치 본체(111)는, 프린터 본체(1) 및 현상 장치(11Y, 11M, 11C, 11K)의 소형화에 따라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급 패들(16) 및 제 1, 제 2 교반 반송 오거(118, 119)의 회전축(123, 127, 128)을 소형의 베어링 부재(1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베어링 부재(154)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채용하고 있어, 베어링 부재(154)를 소형화하면서 베어링 부재(154)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155)측으로부터 베어링 부재(154)를 향해서 연장된 결합부(160)에 의해 기계적(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를 양호한 정밀도로 강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동시에, 금형을 이용한 사출 형성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현상 장치(11Y, 11M, 11C, 11K)에 사용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를 일체화시키기 위해, 베어링 부재(154)의 외경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현상 장치(11)의 대형화를 초래하거나,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의 구조가 복잡해져서, 비용 상승을 초래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소형의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를 별개로 제조하는 것 보다, 저비용으로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결합부(160)의 형상으로서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54)측으로부터 시일 부재(155)측으로 연장시킨 부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는, 베어링 부재(154)와 시일 부재(155)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150)를 현상 장치(11)의 현상 장치 본체(111)에 부착할 때, 베어링 부재(154)에 의해 시일 부재(155)를 가이드하면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일 부재(155)가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시일 부재(155)에 의한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50 :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154 : 베어링 부재
155 : 시일 부재
160 : 결합부

Claims (7)

  1.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시일 부재로부터 상기 베어링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원주(圓柱) 형상으로 연장된 원주 형상부와, 상기 원주 형상부의 선단측에 기단측보다 외경이 크게 설정된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그 반경방향의 내주측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해서 시일하는 립(lip)부를 갖고 있고, 상기 립부는, 그 선단부의 내경이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그 기부의 내경이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있어,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당해 시일 부재는, 그 외경이 상기 지지 부재의 장착 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라 3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6.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교반 반송 부재와,
    상기 교반 반송 부재에 의해 교반하면서 반송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 반송 부재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도록 회전 구동되는 교반 반송 부재와,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 반송 부재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에 따른 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 장치 본체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기 회전축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시일 부재 중, 한쪽의 부재로부터 다른 쪽의 부재를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측이 기단측보다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86316A 2010-02-08 2010-09-03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 KR20110092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5751A JP5504941B2 (ja) 2010-02-08 2010-02-08 軸受兼用シール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JP-P-2010-025751 2010-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96A true KR20110092196A (ko) 2011-08-17

Family

ID=4435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316A KR20110092196A (ko) 2010-02-08 2010-09-03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42413B2 (ko)
JP (1) JP5504941B2 (ko)
KR (1) KR20110092196A (ko)
CN (1) CN1021470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6142B2 (ja) * 2011-11-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661954B2 (ja) * 2011-11-09 2015-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3195763A (ja) * 2012-03-21 2013-09-30 Fuji Xerox Co Ltd 粉体搬送部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粉体搬送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14000197A1 (de) * 2014-01-14 2015-07-16 Schwing Gmbh Lagerung einer drehenden Welle mit Dichtring
JP6554843B2 (ja) * 2015-03-16 2019-08-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89738B2 (ja) * 2018-04-27 2022-06-23 株式会社横井製作所 軸受け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1495A (en) * 1964-07-07 1966-12-13 Illinois Milling Inc Self-aligning seal
US4415166A (en) * 1983-01-31 1983-11-15 Cadillac Rubber & Plastics, Inc. Bearing seal assembly with dual annular support rings
JPH03189666A (ja) 1989-12-20 1991-08-19 Canon Inc 現像装置
US5541710A (en) * 1995-09-25 1996-07-30 Katun Corporation Bearing seal for xerographic developer unit
JP3493888B2 (ja) * 1996-03-29 2004-02-03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4105370B2 (ja) * 2000-06-02 2008-06-25 Ntn株式会社 ローラ支持用軸受装置
JP4072589B2 (ja) 2000-06-07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回転部材のシール構造
JP2002323139A (ja) 2001-04-23 2002-11-08 Starlite Co Ltd 軸受兼用シール装置
JP2004029245A (ja) * 2002-06-24 2004-01-29 Ricoh Co Ltd プリンタ装置の定着ローラ
JP4811342B2 (ja) * 2007-05-02 2011-11-0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4893871B1 (ja) * 2011-08-08 2012-03-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軸受兼用シール部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64287A (ja) 2011-08-25
CN102147012B (zh) 2016-03-30
US20110194873A1 (en) 2011-08-11
US8442413B2 (en) 2013-05-14
JP5504941B2 (ja) 2014-05-28
CN102147012A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0312B2 (ja) 現像剤搬送装置、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33902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10092196A (ko) 베어링 겸용 시일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
EP2587315A1 (en) Develop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ame
KR101733799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602105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49737B2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80181672A1 (en) Developmen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570856A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10353319B2 (en) Developing appartus having a feeding member with radial projections
US10175611B2 (en) 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9237043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893871B1 (ja) 軸受兼用シール部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05183A (ja) 回転摺動用カラー
US11334002B2 (en) Developing apparatus with magnetic seal member facing conveyance screw
EP2687914B1 (en) Developer conveying device, an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8913925B2 (en) Developer convey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planar portions and a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3814524B2 (ja) 粉体収納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並びに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91686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2942671B1 (en)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83017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36131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developing device
US11934111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6452111B2 (ja)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90310568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