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873A - 수음 장치 - Google Patents

수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873A
KR20110091873A KR1020117013796A KR20117013796A KR20110091873A KR 20110091873 A KR20110091873 A KR 20110091873A KR 1020117013796 A KR1020117013796 A KR 1020117013796A KR 20117013796 A KR20117013796 A KR 20117013796A KR 20110091873 A KR20110091873 A KR 2011009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directional microphone
plane
dire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322B1 (ko
Inventor
료 오오우찌
유이찌로 스에나가
사또시 우까이
세이이찌로 호소에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12D or 3D arrays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가 작은 수음 장치를 제공한다. 1개의 평면 상에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단일 지향성 마이크(12B) 및 단일 지향성 마이크(12C)가 배열되어,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이 배열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배면(감도가 극소가 되는 방향)은 음향적으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이 배열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진동면의 위치를 배열의 중심 위치에 근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가 수음한 소리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평면 상에서 자유롭게 지향성을 보다 작은 오차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음 장치{SOUND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하우징 주위의 소리를 수음하는 수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우징 주위의 소리를 수음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장치는, 사면체의 각 면에 마이크로폰(이하, 간단히 마이크라고 한다)을 구비하여, 전체 둘레 방향의 소리를 수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3개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수음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120도씩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전체 둘레 방향의 소리를 수음하여, 각각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수음 레벨로부터 음원의 방향을 탐지하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또한, 복수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임의의 방향의 소리를 수음하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소51-323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394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48355호 공보
특허문헌 1 내지 3의 장치는, 각 마이크의 진동면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1㎑ 이상과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가 작은 수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음 장치는,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와, 각 마이크가 수음한 소리의 게인(gain)을 조정하는 복수의 게인 조정부와, 게인 조정 후의 소리를 각각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고, 1개의 평면 상에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배열하여,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극대의 방향을 배열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한 수음 장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음 장치는 각 마이크의 감도 극대의 방향을, 배열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외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보다 진동면을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산부에서 신호가 가산되는 경우, 다른 마이크의 진동면에서 얻어지는 신호끼리의 시간 어긋남이 작아져,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음 장치에 의하면, 1㎑ 이상과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도,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과 다른 위치에, 당해 평면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도 극대의 방향을 향하게 한 다른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더 배열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평면과 다른 위치에, 당해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감도 극대의 방향을 향하게 한 다른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더 배열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평면 상 외에, 다른 단일 지향성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도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고, 입체 방향(구 전체 방향)으로도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운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을 구성하도록 배열하고,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극대의 방향을 상기 다각형의 선분 위 혹은 내부를 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축이 1개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열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상기 1개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열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원주 상에 배열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상기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열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의 진동면을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수음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수음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수음 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수음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수음 장치의 음성 신호 처리 계통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지향성 제어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 7은 중심 위치로부터 마이크 수음면의 거리를 변경했을 때에 얻어지는 지향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면 방향의 지향성 제어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수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배면도, 도 3은 좌측면도,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수음 장치의 우측면측을 X, 좌측면측을 -X, 상면측을 Y, 하면측을 -Y, 정면측을 Z, 배면측을 -Z로 한다.
수음 장치(1)의 토대가 되는 하우징(11)은, 상하 방향으로 얇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의 상면에는, 3개의 지주(13A, 13B, 13C)가 하우징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지주도 예를 들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지주(13A)는 장치 정면측에 설치되고, 지주(13B)는 장치 우측 배면측에 설치되며, 지주(13C)는 장치 좌측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주는 하우징 중심 위치로부터 등거리로, 각각 120도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주(13A, 13B, 13C)의 최상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얇은 판 형상의 탄성 고무(131A, 131B, 131C)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고무(131A, 131B, 131C)는 각각 하우징 중심을 향하게 하여 연장되어 있고, 마이크 프레임체(14A, 14B, 14C)의 하부에 설치된 조인트부(141A, 141B, 141C)에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 프레임체(14A, 14B, 14C)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공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마이크(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마이크 프레임체의 원통 저면의 개방 부분은, 수음 장치를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각각 120도씩 어긋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마이크 프레임체(14A)의 원통 저면의 개방 부분은 장치 정면 및 배면 방향을 향하고 있어,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장치 정면 또는 배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 프레임체(14A)에 끼워 넣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의 감도 극대의 방향(최대 감도 방향)을 장치 배면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이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의 최대 감도 방향을 0도로 한다.
또한, 마이크 프레임체(14B)의 원통 저면의 개방 부분은 장치 우측 배면 및 좌측 정면 방향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 프레임체(14B)에 끼워 넣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12B)의 최대 감도 방향을 장치 좌측 정면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즉, 하우징을 평면에서 보아 상기 0도로부터 좌회전 120도의 각도(+120도의 방향)를 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 프레임체(14C)의 원통 저면의 개방 부분은 장치 좌측 배면 및 우측 정면 방향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 프레임체(14C)에 끼워 넣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12C)의 최대 감도 방향을 장치 우측 정면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즉, 하우징을 평면에서 보아 상기 0도로부터 우회전 120도의 각도(-120도 또는 +240도의 방향)를 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수음 장치(1)를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각 마이크 프레임체의 하우징 중심측(각 지향성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에는, 동일하게 원통 형상의 마이크 프레임체(14L)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 프레임체(14L)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 프레임체(14A) 내지 마이크 프레임체(14C)보다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원통 저면의 개방 부분은 장치 상면측 및 하면측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 프레임체(14L)에 끼워 넣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의 최대 감도 방향을 장치 상면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마이크 프레임체(14A, 14B, 14C, 14L)는 수지 금형의 일체 성형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프레임체에 끼워 넣어지는 4개의 마이크를 1유닛으로 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체 성형되는 프레임체는, 수음 장치를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의 지향축(최대 감도 방향의 축)이 1개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음 장치에서는, 상기 3개의 지주, 탄성 고무 및 조인트부의 형상,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음 장치(1)의 하우징 중심 위치와 지향축이 교차하는 점을 같게 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1개의 평면(하우징 상면과 평행하는 면) 상에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가 배열되고,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이 배열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지향축이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가 내측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각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을 배열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외측을 향하게 하는 것보다 진동면을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진동면의 위치를 상기 지향축이 교차하는 점에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 상에 있어서의 지향성 제어를 1㎑ 이상과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도 작은 오차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마이크는 지주, 탄성 고무 및 조인트부에 의해, 하우징(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서 공중에 뜬 상태로 고정된다. 특히, 수직 방향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는, 상기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단일 지향성 마이크(12B) 및 단일 지향성 마이크(12C)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보다 상면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1)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의 배면도 음향적으로 개방된다.
이어서, 수음 장치(1)의 지향성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수음 장치의 음성 신호 처리 계통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지향성 제어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특성은, 설명을 위하여 이상적인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실제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 아니다.
수음 장치(1)는, 신호 처리 계통의 구성으로서, 게인 조정부(31A, 31B, 31C, 31L) 및 가산부(32)로 이루어지는 신호 처리부(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는, 신호 처리부(3)의 각 게인 조정부에서 게인 조정되고, 그 후 가산부(32)에서 서로 가산된다. 수음 장치(1)는, 각 게인 조정부의 게인을 제어함으로써, 장치 주위에 임의의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인 조정부(31A, 31B, 31C)의 각 게인(G1, G2, G3)은 지향성을 형성하는 방향(최대 감도 방향의 각도)을 θ, 마이크의 가중 계수를 f라고 하면,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G1 = 2/3×{1-f(1-2cosθ)}
G2 = 2/3×{1-f(1-2cos(θ-120°))}
G3 = 2/3×{1-f(1-2cos(θ+120°))}
또한, 가중 계수 f는 지향성의 형태를 정하는 계수이며, 0 이상 1 이하의 값이다. 예를 들어, f=0에서 무지향성, f=0.5에서 단일 지향성, f=1에서 쌍지향성이 된다. 여기서, θ의 값을 임의로 결정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180도, 즉 장치 정면측(Z 방향)에 단일 지향성을 형성하는 경우, 가중 계수 f=0.5로서, 각 게인의 값은,
(G1, G2, G3)=(-1/3, 2/3, 2/3)
이 된다. 출력하는 신호 M은,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의 출력 신호인 M1, M2, M3을 사용하여,
M=G1×M1+G2×M2+G3×M3=-1/3×M1+2/3×M2+2/3×M3
로 나타내어진다. 이에 의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마이크의 합성 특성의 최대 감도 방향의 각도를 180도, 최소 감도의 방향을 0도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θ=180도의 방향으로 단일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음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을 배열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진동면의 위치를 상기 지향축이 교차하는 점(중심 위치)에서 근사할 수 있고, 상기 게인의 계산식에 의해 1㎑ 이상과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도 원하는 지향성에 대한 오차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도 7은 중심 위치로부터 마이크 수음면의 거리를 변경했을 때에 얻어지는 지향 특성(각도마다의 게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는, 중심 위치로부터 마이크 진동면까지의 거리를 3㎜, 6㎜ 및 10㎜로 한 경우에 얻어지는 1㎑, 2㎑, 4㎑ 및 8㎑의 지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위치부터 마이크 진동면까지의 거리가 작을수록,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도 0도 부근의 감도의 최소값이 작아진다. 즉, 높은 주파수까지 단일 지향성으로서의 특성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두께가 3㎜ 정도라고 하면, 각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을 배열의 외측 방향으로 향하게 한 경우와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한 경우에서, 중심 위치로부터 마이크 진동면까지의 거리가 3㎜ 정도 상이하다. 즉, 도 7에 나타낸 3㎜의 특성과 6㎜의 특성 정도의 차가 발생한다(감도의 최소값에서 6dB 정도의 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각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을 배열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1㎑ 이상과 같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도 지향성 형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각 마이크의 진동면의 위치를 중심 위치에서 근사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음 장치에 있어서는, 수직 방향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를 사용함으로써,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가 배열되는 평면 상뿐만 아니라, 장치 상면측에도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180도의 방향으로 단일 지향성을 형성한 수평 방향 마이크[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의 합성]에 의한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과, 수직 방향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을 동일해지도록 게인 조정하면, 장치 정면 상측(Y, Z 방향)에 지향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에 대하여는, 실제로는 하우징 하면측에도 감도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수음 장치에서는, 입체 방향(구 전체 방향)으로 자유롭게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상기 배열 형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열 형태이어도 좋다.
도 5의 (B)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12B) 및 단일 지향성 마이크(12C)를 대향시키는 배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단일 지향성 마이크(12B)의 최대 감도 방향은 장치 좌측(θ=90도의 방향)이며, 단일 지향성 마이크(12C)의 최대 감도 방향은 장치 우측(θ=-90도의 방향)이다. 이와 같이, 단일 지향성 마이크(12B) 및 단일 지향성 마이크(12C)를 대향시키는 경우라도,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게인 조정부(31A, 31B, 31C)의 각 게인(G1, G2, G3)은, 이하와 같이 설정된다.
Figure pct00001
이 경우, θ=180도, 즉 장치 정면측에 단일 지향성을 형성하는 경우, 지향 계수 f=0.5라고 하면, 각 게인의 값은,
(G1, G2, G3)=(-1, 1, 1)
이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평면 상에 3개 이상의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배열하고,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최대 감도 방향을 배열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형태라면, 어떤 배열 형태이더라도 본 발명의 수음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를 정점으로 한 다각형(삼각형)을 상정한 경우,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극대의 방향이 다각형의 선분 위 혹은 내부를 향하게 하는 배열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동일 평면 내에서 3개의 마이크를 배열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물론 동일 평면 내에서 다수의 마이크를 더 배열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수직 방향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도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방향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와 반대 방향(상기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를 설치하지 않고, 단일 지향성 마이크(12L)와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만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지향성 마이크(12A, 12B, 12C)의 지향축이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균일하게 배열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극대의 방향을 배열 내측으로 향하게 하여,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진동면을 근접시켜서 배치시킬 수 있으면, 원주 상에 균일하게 배치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Claims (8)

  1.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각 마이크로폰이 수음한 소리의 게인(gain)을 조정하는 복수의 게인 조정부와,
    게인 조정 후의 소리를 각각 가산하는 가산부를 구비하고,
    1개의 평면 상에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배열하고,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감도 극대의 방향을 배열 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한 수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상과 다른 위치에, 상기 평면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도 극대의 방향을 향하게 한 다른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더 배열한 수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상과 다른 위치에, 상기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감도 극대의 방향을 향하게 한 다른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더 배열한 수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을 구성하도록 배열하고,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감도 극대의 방향을 상기 다각형의 선분 위 혹은 내부를 향하게 한 수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지향축이 1개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열한 수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상기 1개의 점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배열한 수음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원주 상에 배열한 수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상기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열한 수음 장치.
KR1020117013796A 2008-12-17 2009-12-16 수음 장치 KR101259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1345 2008-12-17
JP2008321345A JP5309953B2 (ja) 2008-12-17 2008-12-17 収音装置
PCT/JP2009/070994 WO2010071157A1 (ja) 2008-12-17 2009-12-16 収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873A true KR20110091873A (ko) 2011-08-16
KR101259322B1 KR101259322B1 (ko) 2013-05-06

Family

ID=4226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796A KR101259322B1 (ko) 2008-12-17 2009-12-16 수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4833B2 (ko)
EP (1) EP2360939A4 (ko)
JP (1) JP5309953B2 (ko)
KR (1) KR101259322B1 (ko)
CN (1) CN102227918B (ko)
WO (1) WO2010071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279A1 (ja) 2010-10-07 201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及び収音装置
RU2570359C2 (ru) 2010-12-03 2015-12-10 Фраунхофер-Гезелльшафт Цур Фердерунг Дер Ангевандтен Форшунг Е.Ф. Прием звука посредством выделения геометр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из оценок направления его поступления
CN104427436A (zh) * 2013-08-26 2015-03-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CN103955227A (zh) * 2014-04-29 2014-07-30 上海理工大学 无人机精准降落的控制方法
JP6265425B2 (ja) * 2014-05-16 2018-01-2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装置およびマイクロホンキャップ
CN104185118B (zh) * 2014-09-05 2017-11-03 赵平 一种全向拾音装置
JP6539846B2 (ja) * 2015-07-27 2019-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及びマイクロホン装置
CN105548955A (zh) * 2016-03-04 2016-05-04 上海易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室内声源定向装置及方法
CN112292870A (zh) * 2018-08-14 2021-01-2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装置及方法
CN212660316U (zh) * 2019-09-30 2021-03-05 罗技欧洲公司 麦克风炭精盒组件
KR102153105B1 (ko) * 2020-02-12 2020-09-07 한국영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마이크로폰
KR102153106B1 (ko) * 2020-02-12 2020-09-07 한국영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마이크로폰
KR20220099209A (ko) * 2021-01-05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여 음향을 센싱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2514A (en) 1974-07-12 1978-06-01 Nat Res Dev Microphone assemblies
US4696043A (en) * 1984-08-24 1987-09-2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icrophone apparatus having a variable directivity pattern
JPH06101875B2 (ja) * 1990-06-19 1994-12-12 ヤマハ株式会社 音響空間再生方法及び音響記録装置並びに音響記録体
JPH05191882A (ja) * 1992-01-14 1993-07-30 Oki Electric Ind Co Ltd 適応ノイズキャンセラ用集音装置
US5862240A (en) * 1995-02-10 1999-01-19 Sony Corporation Microphone device
JP2001153941A (ja) 1999-11-25 2001-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音源方向探知装置
US6845163B1 (en) * 1999-12-21 2005-01-18 At&T Corp Microphone array for preserving soundfield perceptual cues
US6931138B2 (en) * 2000-10-25 2005-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Zoom microphone device
US7058184B1 (en) * 2003-03-25 2006-06-06 Robert Hickling Acoustic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WO2006006935A1 (en) 2004-07-08 2006-01-19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apturing sound from a target region
WO2006054599A1 (ja) * 2004-11-16 2006-05-26 Nihon University 音源方向判定装置及び方法
EP1965603B1 (en) * 2005-12-19 2017-01-11 Yamaha Corporation Sound emission and collection device
JP4345784B2 (ja) 2006-08-21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収音装置及び音響収音方法
JP4882757B2 (ja) * 2007-01-18 2012-02-22 ヤマハ株式会社 音声会議システム
DE602007012599D1 (de) * 2007-11-13 2011-03-31 Akg Acoustics Gmbh Mikrofonanordnung
US20110058683A1 (en) * 2009-09-04 2011-03-10 Glenn Kosteva Method & apparatus for selecting a microphone in a microphone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47692A (ja) 2010-07-01
CN102227918A (zh) 2011-10-26
US20120014535A1 (en) 2012-01-19
JP5309953B2 (ja) 2013-10-09
KR101259322B1 (ko) 2013-05-06
US9294833B2 (en) 2016-03-22
WO2010071157A1 (ja) 2010-06-24
CN102227918B (zh) 2016-02-10
EP2360939A4 (en) 2013-05-29
EP2360939A1 (en)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322B1 (ko) 수음 장치
KR101254922B1 (ko) 수음 장치
KR101547639B1 (ko) 사운드 포커싱 장치 및 방법
CN112335261A (zh) 图案形成麦克风阵列
AU2016210715B2 (en) Acoustic Diffusion Generator
CN106464992A (zh) 可弯曲线阵列
JPS61157100A (ja) スピ−カ
US8948434B2 (en) Microphone
US20150109889A1 (en) Acoustic transducer with membrane supporting structure
US9693148B1 (en) Acoustic hailing device
CN102685617B (zh) 声音接收装置
US20190306616A1 (en) Loudspeaker, acoustic waveguide, and method
KR20170112611A (ko) 막대자석을 이용한 멀티 음역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
US10291988B2 (en) Vibration diaphragm
US10271144B2 (en) Speaker unit
US10652638B2 (en) Vibration cancelling speaker arrangement
KR101743718B1 (ko) 방수형 컬럼 스피커 장치와 저역대역 오디오 신호 재생방법
US20140044299A1 (en) High fidelty electro-acoustic en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70094413A1 (en) Soundboard speaker of digital piano
CN216119545U (zh) 开放空间有源隔声模块
US11678122B2 (en) Speaker
KR101975978B1 (ko) 풀커버형 패시브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무지향성 스피커
CN208921856U (zh) 一种应用在声音定位中的机械结构
US20090285441A1 (en) Loudspeaker Having a Continuous Molded Diaphrag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