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654A - 피아노 해머 - Google Patents

피아노 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654A
KR20110091654A KR1020117009289A KR20117009289A KR20110091654A KR 20110091654 A KR20110091654 A KR 20110091654A KR 1020117009289 A KR1020117009289 A KR 1020117009289A KR 20117009289 A KR20117009289 A KR 20117009289A KR 20110091654 A KR20110091654 A KR 2011009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piano
head
covering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아담스
Original Assignee
굿바이 코포레이션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바이 코포레이션 에스.아. filed Critical 굿바이 코포레이션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1009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머 샤프트(12) 및 둘레 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커버링(14, 24, 24')이 씌워진 해머 헤드(13)를 구비하는, 피아노의 현들을 타현하기 위한 피아노 해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것들보다 훨씬 더 간단하고 재현 가능하고, 특히 가역적이기도 한 조율을 가능하게 하도록 피아노 해머를 개선하고자 한다. 그를 위해, 커버링(14, 24, 24')이 둘레 면을 따라 상이한 밀도들로 형성되고, 해머 헤드(13)가 타현하려고 하는 현 또는 현들에 부딪치는 그 둘레 면의 위치에 있어 조정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Description

피아노 해머{PIANO HAMM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피아노의 현(string)들을 타현하기 위한 피아노 해머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포르테(pianoforte) 또는 간략히 피아노라고도 불리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피아노는 클램핑된 현들을 건반(clavier)을 사용하여 소위 해머에 의해 타현하여 음들의 진동 및 방출을 여기하는 현악기들을 전체적으로 포괄하는 것이다. 이때, 피아노는 특히 2가지 그룹으로 분류되는데, 그 하나는 현들이 수직으로 클램핑되어 연장되는 수형 피아노(pianino)이고, 다른 하나는 현들이 수평의 정렬로 배치되는 그랜드 피아노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그러한 피아노들에서는 전형적으로 프레임에 클램핑된 현들을 소위 피아노 해머에 의해 타현하게 되는데, 피아노 해머는 건반에서의 건반 압력에 의거하여 현 또는 다수의 현들(고음의 경우에는 흔히 2개 이상의 현들이 병렬로 클램핑되어 있음)에 부딪쳐 그 현 또는 현들의 진동을 여기한다. 그를 위해, 피아노 해머는 해머의 타현 이외에도 예컨대 사운드 댐핑과 같은 또 다른 요소들을 조작하는 복잡한 메커니즘 속에 포함된다. 피아노 해머 그 자체는 해머 샤프트 및 해머 헤드를 포함하는데, 작동 시에 타현하려고 하는 현 또는 타현하려고 하는 현들에 부딪치는 것은 실제로 해머 헤드이다. 해머 헤드는 그 코어에 있어서 해머 샤프트와 마찬가지로 목재로 이뤄지지만, 원칙적으로 그러한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관련하여, 해머 헤드의 코어는 커버링(covering)을 구비하는데, 건반의 해당 건반 키가 작동되었을 경우에 해머 헤드의 그 커버링이 타현하려고 하는 현들에 부딪치게 된다. 현재, 그러한 커버링의 재료로서는 통상적으로 펠트(felt)가 사용되지만, 가죽도 이미 사용되고 있다. 필적할만한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들도 역시 커버링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공지의 피아노들에서, 해머 또는 해머 커버링에는 전형적으로 액적 형태로 타현 면이 형성되는데, 해당 건반 키의 작동 시에 해머 또는 해머 커버링의 그 타현 면이 현 또는 현들에 부딪치게 된다. 이때, 예컨대 오늘날 거의 통상적인 바와 같이 해머 헤드의 커버링에 펠트를 사용할 경우에 펠트의 밀도 또는 압축 정도가 그 해머의 사용 시의 악기의 음 특성 또는 조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오늘날 수공업으로 피아노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악기의 음 조율을 위해 해머의 펠트 커버링이 현 또는 현들과 부딪치는 영역에서 특정의 공구로 표면을 찔러 펠트를 가공함으로써 해머의 펠트 커버링을 느슨하게 만든다. 그러한 작업은 숙련된 조율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고, 시간 소모적이다. 특히, 피아노 해머의 커버링, 특히 펠트 커버링이 상기 찌르는 작업에 의해 너무 많이 느슨해진, 전술된 가공에 의해 처리되는 피아노 해머를 다시 압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최악의 경우에는, 해머 헤드 또는 심지어 전체의 해머를 생산 중에도 교체하여야 하고, 조율을 다시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훨씬 더 간단하고 재현 가능한 조율, 특히 가역적으로도 되게 되는 조율을 가능하게 하는 피아노 해머를 제공함으로써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돌이켜 볼 때에 우선 놀라울 정도로 간단해 보이지만, 악기의 분야, 좀더 정확히 말해서 피아노 제작의 분야에서 거의 혁명적인 기술 혁신을 뜻하는 본 발명의 사상은 타현하려고 하는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 헤드의 둘레 면을 따라 해머 헤드에 애초부터 상이한 밀도의 커버링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필수 양태는 현재의 피아노 해머들에서 해머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해머 헤드가 타현하려는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 헤드의 둘레 면의 위치에 있어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2가지 조치들에 의해, 피아노 해머의 커버링에 애초부터 정해진(및 그에 관한 한 재현 가능하게 가역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상이한 밀도들을 제공하여 피아노의 조율 또는 음 조정 시에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의 둘레 면의 위치의 조정을 통해 세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환언하면, 악기 제작자 또는 악기 조율사가 예컨대 펠트 커버링을 송곳 또는 유사한 도구에 의해 느슨하게 할 필요가 없이, 그리고 그러한 느슨함이 지나칠 경우에 교정의 가능성을 더 이상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해머 헤드 또는 해머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할 필요가 없이, 해머 샤프트에 대한 해머 헤드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피아노의 음색의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악기의 음 세팅이 훨씬 더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세팅 오류를 교정하거나 음 세팅을 추후의 시점에 다시 한번 고치거나 새로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밀도의 커버링을 생성하는 간단한 방법은 둘레 면을 따라 상이한 밀도로 압착된 펠트 커버링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대략 롤러 형태의 해머 헤드를 사용할 경우, 쐐기 모양으로 증가하는 출발 두께의 펠트 재료를 균일한 최종 두께로 프레싱함으로써 얻어지는 펠트 스트립을 둘레 면 상에 접착할 수 있다. 즉, 그럴 경우, 연속적으로 변하는 정도의 재료 밀도가 제공되어 해머 헤드의 무단적인 다수의 세팅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해머를 구성하는 간단한 방안은 해머 헤드를 롤 바디(roll body), 특히 롤러 형태의 롤 바디로서 형성하고, 회전축에 의해 해머 샤프트에 클램핑하여 해머 헤드가 해머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원하는 위치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회전 위치의 고정은 예컨대 회전축 그 자체 상에 유지 나사를 조이거나 나사 체결함으로써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때, 롤 바디는 타현하려고 하는 현 또는 타현하려고 하는 현들에 부딪치는 타현 점까지의 해머 헤드의 거리를 변경함으로 인해 예컨대 건반 키 작동 시에 다른 타입의 메커니즘이 생기게 함이 없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구성된 해머 헤드의 회전은 양 방향으로, 즉 앞뒤로 이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악기의 조율 시에 원하는 조음이 존재할 때까지 교정이 가능하다.
해머 헤드가 특히 피아노에서 단일의 음조를 생성하기 위해 병렬로 타현하려고 하는 다수의 현들을 균일하게 타현하게끔 하기 위해서는, 커버링의 상이한 밀도가 회전축과 수직으로 된 평면에서만 존재하되, 회전축의 방향으로는 변함없이 일정한 밀도가 유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의 구성에서는, 피아노 해머가 타현하려고 하는 현(들)과 부딪치는 해머 헤드의 둘레 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모터 구동 장치를 구비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그러한 모터 구동 장치는 한편으로 수공업으로 피아노를 제작하는 말미에 행해지는 조율 시에 작업을 전체적으로 수월하게 하고, 소요될 시간을 단축한다. 그러나 여전히 그것에서 주된 이점을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다른 한편으로 추후의 시점에도 현 또는 현들과 부딪치는 해머의 둘레 면 또는 다수의 해머들의 둘레 면들의 위치 및 그에 따른 커버링의 밀도를 조정함으로써 피아노의 조율을 바꾸거나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데 주된 이점이 있다. 즉, 특히 피아노의 다양한 적용을 위해, 예컨대 상이한 스타일들 또는 작곡자들의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피아노에 각기 다른 조음을 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예컨대 피아노에 마련된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그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해머들의 둘레 면들의 각각의 위치들을 도달시키고 이어서 그 해머들의 둘레 면들을 개개의 현들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조음을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피아노의 적용의 가변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하나의 동일한 악기를 전혀 상이한 조음들로 연주할 수 있게 되는데, 오늘날 그러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악기들을 콘서트 홀 등에 계속 존속시켜야만 한다.
끝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전술된 특징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아노 해머를 구비하는 피아노 그 자체이다.
첨부 도면들에 의거한 이후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이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선행 기술로부터의 통상적인 구성 형태의 피아노 해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에서 피아노 해머의 해머 샤프트에 매달린 피아노 헤드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이한 밀도의 존(zone)들을 갖는 피아노 해머의 피아노 헤드용 커버링을 얻는 방안을 a)와 b)의 2개의 도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이한 영역들에서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피아노 헤드용 커버링을 얻는 또 다른 방안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단지 도해하는 역할만을 하는 개략적인 도면들로 도시되어 있는바, 이하에서 그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피아노 해머를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피아노 해머(1)가 비교를 위해 도시되어 있는데, 본 도면에서의 피아노 해머(1)는 그랜드 피아노에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피아노 해머(1)는 조립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왜냐하면, 그랜드 피아노에서는 피아노 해머가 아래쪽으로부터 현들을 타현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타현을 위해, 여기에 도시된 피아노 해머(1)는 해머 샤프트(2)의 단부에 배치된 그 해머 헤드(3)에 의해 위쪽으로 튀어올라 해머 헤드(3)의 커버링(4)이 타현하려고 하는 피아노 현에 부딪치게 된다. 이때, 피아노 헤드(3), 좀더 정확히 말해서 그 피아노 헤드(3) 상에 위치하고 전형적으로 펠트로 이뤄지는 커버링(4)은 항상 그 표면의 동일한 영역으로써 타현하려고 하는 현들에 부딪친다.
선행 기술에서, 그러한 피아노 해머(1)는 그것이 조립된 그랜드 피아노의 소리에 관한 마감 처리 시에 음을 쳤을 때에 그랜드 피아노의 조음이 조율될 때까지 피아노 조율사에 의해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 헤드(3)의 커버링(4)의 표면의 영역에서 펠트를 찌르는 것을 통해 느슨하게 만들어진다. 선행 기술에 따른 피아노 해머(1)에서는, 해머 헤드(3) 또는 커버링(4)이 해머 샤프트(2)에 대해 고정적으로 위치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한 한에는, 그랜드 피아노의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 헤드의 커버링(4)의 표면이 그 위치에 있어 변경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머(10)에서는 다르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링(14)을 갖는 해머 헤드(13)가 해머 샤프트(12)에 위치한다. 여기서, 해머 헤드(13)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펠트로 이뤄지는 커버링은 롤러의 표면 둘레에 클램핑된다. 해머 헤드(13)는 그 해머 헤드(13)를 포크 모양으로 감싸는 해머 샤프트(12)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회전축(11)에 장착된다. 커버링(14)이 각각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상이한 영역들 또는 존(zone)들(15 내지 19)을 잘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와 같이 그 둘레 면을 따라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해머 헤드(13)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자극하려고 하는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 헤드의 표면의 위치(그에 따른 상이한 해당 밀도를 갖는 각각의 영역들(15, 16, 17, 18, 또는 19)의 위치도)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한 해머 헤드(13)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 설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설정이 성취되면, 예컨대 회전축(11)을 적절한 수단으로 잠금으로써 해머 헤드(13)를 해머 샤프트(12)에 대해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다.
그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해머(10)에 의해 악기의 원하는 조음을 선행 기술에 따른 피아노 해머에서 펠트 커버링(4)을 기계적으로 느슨하게 만드는 것에 비해 현저히 더 간단하고 재현될 수 있게 세팅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그 커버링(14)에 영역별로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총 5개의 영역들(영역 15 내지 영역 19)을 구비하는 해머 헤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펠트 커버링일 수 있는 그러한 커버링(14)은 예컨대 도 3a에 도시되어 도면 부호 "2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펠트로부터 압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출발재료로서는 상이한 높이들을 갖는(층계형 구조) 일정한 밀도의 펠트를 선택하는데, 그러한 펠트는 도 3a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납작하게 눌러져 압착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관된 높이를 갖지만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5개의 영역들(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각기 더 높은 밀도를 갖는)을 구비하는 펠트 커버링이 생기게 된다. 대안적으로, 한층더 미세한 조정 가능성을 얻기 위해, 도 4a에 도시되어 도면 부호 "2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펠트를 압착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4b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밀도들을 갖는 커버링(24')이 얻어지고, 그러한 한에는 악기의 조음의 더 미세한 조정성이 구현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완성된 펠트 커버링들(24 내지 24')이 도면 평면과 수직으로 된 방향으로는 일관된 밀도를 갖고, 도면 평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보았을 때에만 밀도들이 변하되, 도 3b의 커버링(24)에서는 단계적으로 5개의 영역들에서 변하고, 도 4b의 펠트 커버링(24')에서는 급변 없이 연속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끝으로, 도 2에서와 같은 피아노 해머(12)가 구동 장치(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를 구비하고, 그 구동 장치가 해머 헤드(13)를 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예컨대 자기 로킹(self-locking)에 의해 도달된 위치로 고정 유지하는 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원하는 조음을 모터에 의해 단 한 번만 세팅함으로써 더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고 하는 순수한 가능성 이외에도, 특히 적용 상황에 따라 악기의 조음의 조정의 추가의 자유도가 주어지게 된다. 그 경우, 마이크로 모터 및 해머 샤프트(12)를 통해 안내되는 적절한 배선(에너지 공급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매우 손쉽게 구현될 수 있는 그러한 모터 구동 장치는 예컨대 미리 세팅된 조음을 호출하여 해머 헤드(3)의 회전에 의해 상응하게 세팅하기 위해 악기에 배치된 제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1, 10: 피아노 해머 2, 12: 해머 샤프트
3, 13: 해머 헤드 4, 14: 커버링
11: 회전축 15, 16, 17, 18, 19: 영역
20, 20': 펠트 24, 24': 커버링

Claims (6)

  1. 해머 샤프트(12) 및 둘레 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커버링(14, 24, 24')이 씌워진 해머 헤드(13)를 구비하는, 피아노의 현들을 타현하기 위한 피아노 해머에 있어서,
    커버링(14, 24, 24')은 둘레 면을 따라 상이한 밀도들로 형성되고, 해머 헤드(13)는 타현하려고 하는 현 또는 현들에 부딪치는 그 둘레 면의 위치에 있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해머.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링(14, 24, 24')은 둘레 면을 따라 상이한 밀도로 압착된 펠트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해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롤 바디, 특히 롤러 형태의 롤 바디로서의 해머 헤드(13)에는 해머 샤프트(12)에 클램핑되는 회전축(11)이 형성되고, 그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해머 헤드(13)가 해머 샤프트(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원하는 회전 위치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해머.
  4. 제3항에 있어서, 커버링(14, 24, 24')은 회전축(11)과 수직으로 된 평면에 놓인 롤 바디의 둘레 쪽으로 상이한 밀도들을 갖지만, 회전축(11)의 방향으로는 일정한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해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현하려고 하는 현 또는 현들에 부딪치는 해머 헤드(13)의 둘레 면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모터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해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아노 해머(10)를 구비하는 피아노.
KR1020117009289A 2008-09-26 2009-09-25 피아노 해머 KR20110091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5302.4 2008-09-26
EP08165302A EP2169660B1 (de) 2008-09-26 2008-09-26 Klavierham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654A true KR20110091654A (ko) 2011-08-12

Family

ID=4058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289A KR20110091654A (ko) 2008-09-26 2009-09-25 피아노 해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97415B2 (ko)
EP (1) EP2169660B1 (ko)
JP (1) JP2012503788A (ko)
KR (1) KR20110091654A (ko)
CN (1) CN102197421B (ko)
AT (1) ATE536609T1 (ko)
CA (1) CA2738779A1 (ko)
WO (1) WO2010034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6368B2 (ja) * 2015-04-01 2017-01-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FI11918U1 (fi) 2017-10-06 2018-01-11 Iitin Kymppikoneistus Oy Iskuvasaralaite
CN108389561A (zh) * 2018-04-15 2018-08-10 向祖树 音柱锤
CN113345388A (zh) * 2021-06-10 2021-09-03 森兰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钢琴琴槌及其适用的钢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594C (de) * 1923-04-26 Richard Stiebitz Hammerkopf fuer Schlaginstrumente (Klaviere, Fluegel u. dgl.)
US231630A (en) * 1880-08-24 theodoe stefflway
US295670A (en) * 1884-03-25 Edwin buthvin
US959190A (en) * 1909-08-09 1910-05-24 Frank X Allen Piano-hammer.
GB191027823A (en) * 1910-11-30 1911-11-23 George Campbell Duncan Improvement in Pianoforte Hammers.
JPS4528924Y1 (ko) * 1967-06-12 1970-11-07
US3487429A (en) * 1968-05-27 1969-12-30 Gaf Corp Piano hammer felt
JPS5357831U (ko) * 1976-10-15 1978-05-17
CN2041445U (zh) * 1988-09-10 1989-07-19 黄立尊 钢琴音槌的插接结构
ATE106588T1 (de) * 1989-05-18 1994-06-15 Steinway Musical Properties Hammer für klavier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0222156A (ja) * 1997-02-03 1998-08-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ハン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36609T1 (de) 2011-12-15
CA2738779A1 (en) 2010-04-01
EP2169660A1 (de) 2010-03-31
CN102197421A (zh) 2011-09-21
US20110283860A1 (en) 2011-11-24
CN102197421B (zh) 2013-05-29
WO2010034810A1 (de) 2010-04-01
EP2169660B1 (de) 2011-12-07
JP2012503788A (ja) 2012-02-09
US8497415B2 (en)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5831A (en) Tuning mean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687698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neck angle of guitar
US6194645B1 (en)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hidden tremolo
JP6307614B2 (ja) 音色調節部材
US11189256B2 (en) Integral drum body system for percussion instrument
KR20110091654A (ko) 피아노 해머
JP3552319B2 (ja) 音板打楽器用音板
US7528311B2 (en)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JP2012503788A5 (ko)
JP2008090058A (ja) 制御装置および楽器
US9012750B2 (en) Crown top bar fret, stringed instrument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943568B2 (en) Music instrument,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70712B2 (ja) 鍵盤式音板打楽器及びグロッケンシュピール
US11183158B2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snare drums
JP2008070581A (ja) ティンパニの音程調節装置
JP6732264B1 (ja) 打楽器
JPH04264495A (ja) 楽器の製造および調律方法
US10127895B2 (en) Contoured banjo bridge
CA3081894A1 (en) Drumstick
JP3083718U (ja) 箏用調弦ユニット
GR1010455B (el) Χορδοδετης ηλεκτρικης κιθαρας με τριπλη λειτουργια
JP2005128221A (ja) ピアノのハンマー
JP2003015630A (ja) ピアノのアクション
JP4882416B2 (ja) 音板打楽器用の共鳴箱
JPS5850372Y2 (ja) ドラム用響線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