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431A -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431A
KR20110091431A KR1020100138314A KR20100138314A KR20110091431A KR 20110091431 A KR20110091431 A KR 20110091431A KR 1020100138314 A KR1020100138314 A KR 1020100138314A KR 20100138314 A KR20100138314 A KR 20100138314A KR 20110091431 A KR20110091431 A KR 2011009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isposed
control rod
plat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518B1 (ko
Inventor
제시 비. 브레들리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9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9Arrangements for spreading lamellae in the release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07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 F16D2021/0615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the central input plate is supported by bearings in-between the two clu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28Multiple concentric clutch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33Plurality of counte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자동 조정식 트윈 또는 듀얼 건식 클러치 조립체는 단일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조립체는 각 쌍의 트랜스미션 카운터샤프트 또는 레이샤프트에 결합되어 구동하는 인터리브된 쌍의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 또는 디스트를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하나의 센터 또는 중간 및 2개의 외측 구동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를 구비한다. 상기 단일의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선형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를 평행이동시킨다.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자동 조정은 스프링 가압식 제어 로드의 쌍들을 통해 작용하는 추가적인 선형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성취된다.

Description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SINGLE ACTUATOR SELF-ADJUSTING DRY DUAL CLUTCH}
본 발명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건식 듀얼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한 단일 액추에이터를 갖는 자동 조정식 건식 듀얼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서의 기술내용은 본원에 관한 배경 정보를 단지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을 구성하거나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ual clutch transmissions : DCT's)은 그 성능 및 효율로 인해 승용차에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업시프트(upshift) 또는 다운시프트(downshift)를 위해 선택되는 기어가 현재 결합된 기어가 분리되기 전에 사전 선택(pre-select)되거나 또는 "프리-스테이지(pre-stage)"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업시프트 또는 다운시프트는 결합된 클러치의 분리 및 분리된 클러치의 결합, 즉 1초가 되지 않게 성취될 수 있는 작동을 단순히 수반한다. 이와 같이 신속한 시프트는 파워트레인 및 차량에 매우 바람직하고 스포티한 성능을 제공한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이 실질적으로 복수 쌍의 메시 기어(meshed gears) 및 2개의 동력 전달 클러치(driveline clutches)를 내장하는 수동 트랜스미션이기 때문에, 연료 경제성도 매우 양호하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보다 적은 부품을 가질 뿐만 아니라, 토크 컨버터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비교할 만한 자동 트랜스미션보다 제조 비용이 덜 든다.
증가하는 인기로 인해,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구성 및 작동을 개선하는데 상당한 연구 및 개발이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의 목표는 구동 토크를 2개의 구동 조립체, 통상적으로 트랜스미션 내의 레이샤프트 또는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그리고 상호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듀얼 클러치 구성이다. 현재의 트랜스미션 구성은 카운터샤프트의 축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클러치, 또는 동심원 샤프트들을 동시에 구동하는 한 쌍의 클러치를 이용한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클러치 조립체의 현재 설계 상태는, 이러한 클러치에서의 개선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단일 액추에이터를 갖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자동 조정식 트윈 또는 듀얼 건식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클러치는 각 쌍의 트랜스미션 카운터샤프트 또는 레이샤프트에 결합되어 구동하는 인터리브된 쌍의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 또는 디스트를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하나의 센터 또는 중간 및 2개의 외측 구동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를 구비한다. 상기 단일의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선형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를 평행이동시킨다.
상기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 각각은 추가적인 선형의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각각의 제어 로드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 로드에 대해 배치된 강한 압축 스프링은 각각의 선형 일방향 클러치와, 그와 연결된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를 상기 센터 클러치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약한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어 로드, 강한 스프링 및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를 상기 센터 클러치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상기 액추에이터와 내측 캐리어의 평행이동은 상기 2개의 클러치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내측 캐리어, 상기 선형 일방향 클러치, 상기 제어 로드 및 상기 스프링 사이의 협동은 클러치 면하는 재료가 마모됨에 따라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에 자동 조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듀얼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건식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자동 조정식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자동 조정식 건식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자동 조정식 듀얼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 요소 또는 특징부를 지칭함)과 함께 취한 본 발명의 최선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은 단지 예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를 내장하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부분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체를 내장하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하나의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또 다른 클러치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자동 조정 작용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로서, 본 개시내용,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할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10)의 일부를 도시한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10)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10)의 부품을 수용, 위치 및 보유하는 각종 숄더, 플랜지 및 형상부를 갖는 클러치 하우징(12)을 구비한다. 입력 샤프트(14)는 가솔린, 디젤, 플렉스 연료 또는 하이브리드 혹은 전력 플랜트 등의 원동기(16)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입력 샤프트(14)는 볼 베어링 조립체(18) 등의 베어링 상에 지지된다.
트윈 또는 듀얼 건식 클러치 조립체(20)는 클러치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며, 입력 샤프트(14)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외측 회전식 하우징 또는 캐리어(22)를 구비한다. 외측 하우징 또는 캐리어(22)는 입력 샤프트(14)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폐쇄 단부 또는 반경방향 벽(24A)과, 환형 시일(26)을 갖는 대향 단부 또는 부분 벽(24B)을 갖는 실린더를 형성한다. 외측 하우징 또는 캐리어(22) 내에는 보다 작은 내측 클러치 캐리어(30)가 동심으로 배치된다.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는 수형 및 암형 스플라인(32A, 32B)의 환형의 상호결합 세트에 의해 외측 하우징 또는 캐리어(22)에 회전식으로 결합된다. 입력 샤프트(14)와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의 연결 지점에는 유체 시일(33)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는 외측 하우징(22) 내에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지만, 외측 하우징(22)에 결합되어 구동 유지된다.
듀얼 클러치 조립체(20)의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와 동심으로 배치된 제 1 환형 마찰 클러치 구동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4)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제 1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4)는 그 내부면 상에 클러치 면하는 재료(36)를 구비한다. 제 1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4)로부터 제 2 중간 환형 마찰 클러치 구동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8)가 이격되며, 이는 양자의 표면 상에 클러치 면하는 재료(42)를 구비한다. 제 2 중간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디스크(44)에 의해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와 외측 클러치 하우징(22)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또한, 반경방향 구동 디스크(44)는 외측 하우징 또는 캐리어(22)에 대해 제 2 중간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와 구동 디스크(44)의 교차점에는, 그 부품 중 하나가 불연속적이고, 복수의 액밀식 시일(46)이 내장된다. 또한, 제 2 중간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는 내측 볼 베어링 조립체(48) 상에 안내된다. 제 2 중간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로부터 제 3 환형 마찰 클러치 구동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52)가 이격되며, 이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제 3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52)는 그 내부면 상에 클러치 면하는 재료(54)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클러치 플레이트(34, 38)와 제 2 및 제 3 클러치 플레이트(38, 52) 사이에서, 환형의 클러치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가 구동된다. 제 1 클러치 플레이트(34)와 제 2 클러치 플레이트(38) 사이에 배치된 제 1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60)는 클러치 면하는 재료를 구비하며, 제 1 출력 샤프트 또는 부재(62)를 구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1 출력 샤프트 또는 부재(62)는 적절한 베어링 조립체(64) 상에 지지되며, 예컨대 트랜스미션(10)의 짝수 기어와 연결될 수 있는 제 1 출력 기어(66)를 구동하도록 결합된다. 제 2 클러치 플레이트(38)와 제 3 클러치 플레이트(52) 사이의 제 2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70)는 클러치 면하는 재료를 구비하며, 제 2 구동 튜브, 퀼 또는 출력 부재(72)를 구동하도록 결합된다. 제 2 구동 튜브, 퀼 또는 출력 부재(72)는 적절한 볼 베어링 조립체(74)에 의한 회전을 위해 지지되며, 예컨대 트랜스미션(10)의 홀수 기어와 연결될 수 있는 제 2 출력 기어(76)를 구동하도록 결합된다.
제 1 출력 기어(66)는, 예컨대 홀수의 기어, 후진, 제 2 및 제 4의 것과 연결될 수 있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또는 레이샤프트(82)를 구동하도록 고정된 제 1 카운터샤프트 또는 레이샤프트 입력 기어(68)와 상시 교합(constant mesh)한다. 제 2 출력 기어(76)는, 예컨대 홀수의 기어, 제 1, 제 3 및 제 5의 것과 연결될 수 있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또는 레이샤프트(84)를 구동하도록 고정된 제 2 카운터샤프트 또는 레이샤프트 입력 기어(78)와 상시 교합(constant mesh)한다. 변형적으로, 제 1 출력 샤프트 또는 부재(62) 및 동심의 제 2 구동 튜브, 퀼 또는 출력 부재(72)는 클러치 하우징(20) 위로 클러치(10)의 이들 부품의 실질적인 연장부인 트랜스미션(10) 내의 동심의 퀼 또는 관형 카운터샤프트(72) 및 카운터샤프트(62)를 직접 구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선형 일방향 클러치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와 제 1 및 제 3 환형 마찰 클러치 구동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34, 52)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복수의 선형 일방향 또는 오버러닝 클러치(90)는 제 1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34) 뒤의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의 좌측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34)의 후방면(9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한 개수의 제 1 구동 부재, 로드 또는 샤프트(92)와 결합하는 내측 클처리 캐리어(30) 둘레에서 동일한 120°간격으로 3개의 선형 일방향 클러치(90)가 배치된다. 적절하게 동일한 원주방향의 간격으로 배치된 추가적인 일방향 클러치(90) 및 샤프트(92)가 사용될 수 있지만, 조립체 중 3개보다 적게 사용되는 것이 추천되지는 않는다. 제 1 복수의 일방향 클러치(90) 각각은 제 1 하우징(96)과, 복수의 예컨대 폴(pawls), 스프래그(sprags) 또는 볼(98)을 구비하며, 이는 하우징(96)이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의 평행이동에 의해 우측으로 평행이동될 때 제 1 로드 또는 샤프트(92) 및 제 1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34)를 도 1 및 도 2의 우측으로 평행이동하도록 결합하지만, 하우징(96)과 내측 클러치 캐리어(30)가 좌측으로 평행이동될 때 하우징(96)과 로드 또는 샤프트(92) 사이의 커플링을 해제한다.
유사한 대칭적인 구성에서, 제 2 복수의 선형 일방향 또는 오버러닝 클러치(100)는 제 3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52) 뒤에서 내측 클러치 부재(30)의 우측에 장착된다. 다시, 제 3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52)의 후방면(10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개수의 제 2 구동 부재, 로드 또는 샤프트(102)와 결합하는 내측 캐리어(30) 둘레에 120°간격으로 3개의 선형 일방향 클러치(100)가 있다.
제 2 복수의 일방향 클러치(100) 각각은 제 2 하우징(106)과, 복수의 폴(pawls), 스프래그(sprags) 또는 볼(108)을 구비하며, 이는 하우징(106)이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의 평행이동에 의해 우측으로 평행이동될 때 제 2 로드 또는 샤프트(102) 및 제 3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52)를 도 1 및 도 2의 우측으로 평행이동하도록 결합하지만, 하우징(106)과 내측 클러치 캐리어(30)가 좌측으로 평행이동될 때 하우징(106)과 로드 또는 샤프트(102) 사이의 커플링을 해제한다.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는 단일 작동 또는 양방향 전기, 유압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 또는 오퍼레이터(110)의 출력부에 결합된 입력 샤프트(14)의 반대편 단부에 관형 또는 원통형 연장부 또는 부재(30A)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 또는 오퍼레이터(110)는 하우징(12)에 고정된다. 파형 와셔 또는 접시 스프링 또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코일 압축 스프링 또는 스프링 와셔 등의 스프링 와셔의 적층 형태를 취할 수 있는 환형 압축 스프링(112)은 액추에이터 또는 오퍼레이터(110)의 힘 및 이동에 대항하는 외측 하우징(22)에 대한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에 가압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110)의 작동은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를 평행이동하고 일방향 클러치(90 또는 100) 중 하나를 고정하며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34 또는 52) 중 하나를 평행이동하는 한편, 다른 일방향 클러치(90 또는 100) 및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34 또는 52)를 해제시킨다.
단일 작동 또는 양방향 오퍼레이터(110) 및 스프링(112)의 변형 구성은 스프링(112)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액추에이터 또는 오퍼레이터와, 예컨대 스프링(112)이 사용되고 외측 캐리어 또는 하우징(22)의 우측 단부(24A)에 인접한 환형 용적이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의 평행이동을 성취하도록 유압 유체로 가압되는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의 순간 위치를 감지하며 내측 클러치 캐리어(30)에 관한 신호 또는 데이터를 관련된 트랜스미션 제어 모듈(TCM)(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하는 선형 위치 센서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34)는 복수의 제 3 선형 일방향 또는 오버러닝 클러치(120)의 복수의 하우징(118)에 고정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환형체(114)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 3 선형 일방향 클러치(120)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제어 로드(124)와 결합 및 해제하는 폴, 스프래그 또는 볼(122)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 3 일방향 클러치(120)는 제 1 환형체(114)[및 제 1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34)]가 제 1 제어 로드(124)에 대해 도 1 및 도 2의 좌측으로 평행이동할 때 고정하고, 제 1 환형체(114)가 제 1 제어 로드(124)에 대해 우측으로 평행이동할 때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 1 압축 스프링(126)은 제 3 일방향 클러치(120)의 하우징(118)과 테이퍼 핀 또는 C자형 와셔 등의 복수의 스톱(128) 사이의 제 1 제어 로드(124) 둘레에 수용되고, 제 1 제어 로드(124)를 제 3 일방향 클러치(120)에 대한 우측으로 가압한다.
복수의 제 4 선형 일방향 또는 오버러닝 클러치(140)의 복수의 하우징(138)에 고정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환형체(134)를 구비하는 제 3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52)와 유사한 대칭적 구성이 연결된다. 복수의 제 4 일방향 클러치(140)는 제 1 제어 로드(124)와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동일한 복수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제어 로드(144)와 결합 및 해제하는 폴, 스프래그 또는 볼(142)을 구비한다. 제 4 일방향 클러치(140)는 제 2 환형체(134)[및 제 3 환형 클러치 플레이트(52)]가 제 2 제어 로드(144)에 대해 도 1 및 도 2의 우측으로 평행이동할 때 고정하고, 제 2 환형체(134)가 제 2 제어 로드(144)에 대해 좌측으로 평행이동할 때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 2 압축 스프링(146)은 제 4 일방향 클러치(140)의 하우징(138)과 테이퍼 핀 또는 C자형 와셔 등의 복수의 스톱(148) 사이의 제 2 제어 로드(144) 둘레에 수용되고, 제 2 제어 로드(144)를 제 4 일방향 클러치(140)에 대한 좌측으로 가압한다. 제 1 및 제 2 압축 스프링(1256, 146)의 스프링 상수(비율)는 동일하다.
제 2 중간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는 제어 로드(124, 144)의 축을 넘어 연장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디스크(44)를 구비한다. 제 1 제어 로드(124)의 인접 단부와 구동 디스크(44) 사이에는 복수의 제 3 압축 스프링(152)이 배치되고, 제 2 제어 로드(144)의 인접 단부와 구동 디스크(44) 사이에는 복수의 제 4 압축 스프링(154)이 배치된다. 제 3 및 제 4 압축 스프링(152, 154)의 스프링 상수(비율)는 동일하며, 제 1 및 제 2 압축 스프링(126, 146)의 스프링 상수보다 훨씬 더 적다. 제 3 및 제 4 압축 스프링(152, 154)은 제 1 및 제 2 제어 로드(124, 144)에 가압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1 및 제 2 제어 로드(124, 144)를 구동 디스크(44)로부터 멀어지게 구동한다.
트윈 클러치 조립체(20)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에서, 듀얼 클러치 조립체(20)는 중립에 있고, 제 1, 제 2 및 제 3 구동 디스크(34, 38, 52)는 제 1 및 제 2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60, 7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입력 샤프트(14)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카운터샤프트(82 또는 84) 중 어느 것으로 구동 토크가 전달되지 않는다.
도 3에서, 액추에이터(110)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를 좌측으로 평행이동하도록 전력 공급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선형 일방향 클러치(100)는 로드 또는 샤프트(102)를 내측 캐리어(30)에 고정하고, 제 3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52)는 제 2 및 제 3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 52) 사이에 제 2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70)와 결합하여 좌측으로 평행이동함으로써, 입력 샤프트(14)로부터 제 2 구동 튜브, 퀼 또는 출력 부재(72), 제 2 출력 기어(76), 제 2 카운터샤프트 기어(78) 및 제 2 카운터샤프트(84)로 구동 토크를 전달한다.
도 4에서, 액추에이터(110)는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를 우측으로 평행이동하도록 전력 공급되어 있음으로써, 제 2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70)를 분리하고 제 1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60)를 결합한다. 압축 스프링(112)에 의해 조력되는 액추에이터(110)의 출력 운동은 내측 클러치 캐리어(30)를 우측으로 평행이동하며, 복수의 제 2 일방향 클러치(100)와 제 2 로드 또는 샤프트(102)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52)는 제 2 압축 스프링(146)과 제 4 압축 스프링(154)의 힘으로 인해 우측으로 평행이동함으로써, 제 2 압축 스프링(146)과 제 4 압축 스프링(154)을 통해 구동 토크가 전달되지 않는다. 그와 동시에, 복수의 제 1 선형 일방향 클러치(90)는 내측 캐리어(30)를 제 1 로드 또는 샤프트(92)에 고정하고, 제 1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4)는 제 1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4)와 제 2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8) 사이의 제 1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60)를 결합하도록 우측으로 평행이동함으로써, 입력 샤프트(14)로부터 제 1 출력 샤프트(62), 제 1 출력 기어(62), 제 1 출력 기어(66), 제 1 카운터샤프트 기어(68) 및 제 1 카운터샤프트(82)로 구동 토크를 전달한다.
도 5에서, 듀얼 클러치 조립체(20)는 액추에이터(110)가 내측 캐리어(30)의 중심으로 조정됨에 따라 중립으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1 선형 일방향 클러치(90)는 제 1 및 제 3 압축 스프링(126, 152)을 좌측으로 평행이동시키고, 제 1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60)를 제 1 및 제 2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34, 38)로부터 분리한다. 그와 동시에, 복수의 제 2 선형 일방향 클러치(100)가 고정되어 있고, 재결합을 준비하고 마모를 보상하도록 제 3 클러치 구동 플레이트(5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 시동 또는 초기 작동 상태에서의 클러치 플레이트(34, 60, 38, 70, 52) 사이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 5에서는 작동 또는 자동 조정 상태에서의 클러치 플레이트(34, 60, 38, 70, 52) 사이의 분리를 나타낸다. 양자의 도면에서는, 설명 및 이해를 위해 분리가 과장되어 있다.
복수의 선형 일방향 또는 오버러닝 클러치(90, 100, 120, 140), 복수의 로드 또는 샤프트(92, 102) 및 제어 로드(124, 144)가 별개의 부품이기 때문에, 120°또는 90°의 각각 동일하게 이격된 원주방향 간격으로 클러치 조립체(20)의 중앙축 둘레에서 3개 또는 4개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일 것이다. 또한, 명확성 및 설명을 위해, 이들 부품 중 몇몇은 각종 도면에서 보이는 평면 내로 호전되어 있다. 그러나, 액추에이터(110)는 클러치 조립체(20)의 샤프트 또는 퀼을 둘러싸며, 환형 실린더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유압 또는 공압) 환형 피스톤을 구비하는 환형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명은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제 1 마찰면을 갖는 제 1 클러치 구동 디스크;
    제 2 마찰면과 제 3 마찰면을 갖는 제 2 센터 클러치 구동 디스크;
    제 4 마찰면을 갖는 제 3 클러치 구동 디스크;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클러치 구동 디스크를 구동하도록 연결된 캐리어 부재;
    상기 제 1 마찰면과 상기 제 2 마찰면 사이에 배치된 제 1 종동 클러치 디스크;
    상기 제 3 마찰면과 상기 제 4 마찰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종동 클러치 디스크;
    상기 캐리어 부재를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클러치 액추에이터;
    상기 캐리어 부재와 상기 제 1 클러치 구동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제 1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캐리어 부재와 상기 제 3 클러치 구동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제 2 일방향 클러치;
    상기 제 1 클러치 구동 디스크와 연결된 제 1 제어 로드와, 상기 제 3 클러치 구동 디스크와 연결된 제 2 제어 로드;
    상기 제 1 클러치 구동 디스크와 상기 제 1 제어 로드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3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제 3 클러치 구동 디스크와 상기 제 2 제어 로드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4 일방향 클러치;
    상기 제 3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제 1 제어 로드 사이에 배치된 제 1 압축 스프링과, 상기 제 4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제 2 제어 로드 사이에 배치된 제 2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제 2 클러치 구동 디스크와 상기 제 1 제어 로드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3 압축 스프링과, 상기 제 2 클러치 구동 디스크와 상기 제 2 제어 로드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2 압축 스프링;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에 결합된 입력 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클러치 구동 디스크는 마찰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샤프트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외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과 상기 내부 캐리어 사이에 배치된 환형의 스플라인 세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 3 및 제 4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높은 스프링 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는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이고,
    외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카운터샤프트와, 상기 제 2 종동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카운터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
  9. 제 1 면을 갖는 제 1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
    제 2 면과 제 3 면을 갖는 제 2 센터 클러치 플레이트;
    제 4 면을 갖는 제 3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클러치 플레이트를 구동하도록 연결된 캐리어 부재;
    상기 제 1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센터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
    상기 제 2 센터 클러치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종동 클러치 플레이트;
    상기 캐리어 부재를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캐리어 부재와 상기 제 1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캐리어 부재와 상기 제 3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일방향 클러치;
    상기 제 1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와 연결된 제 1 제어 로드와, 상기 제 3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에 연결된 제 2 제어 로드;
    상기 제 1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제어 로드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3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제 3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제어 로드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4 일방향 클러치; 및
    상기 제 3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제 1 제어 로드 사이에 배치된 제 1 압축 스프링과, 상기 제 4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제 2 제어 로드 사이에 배치된 제 2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클러치 플레이트와 상기 센터 클러치 플레이트에 결합된 입력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KR1020100138314A 2010-02-05 2010-12-29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KR101255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01,452 2010-02-05
US12/701,452 US8297424B2 (en) 2010-02-05 2010-02-05 Single actuator self-adjusting dry dual clu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431A true KR20110091431A (ko) 2011-08-11
KR101255518B1 KR101255518B1 (ko) 2013-04-23

Family

ID=4435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314A KR101255518B1 (ko) 2010-02-05 2010-12-29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97424B2 (ko)
KR (1) KR101255518B1 (ko)
CN (1) CN102146967B (ko)
DE (1) DE10201100980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519A (ko) * 2015-03-03 2017-11-21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해제 가능한 롤러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정 가능한 힌지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2423B1 (en) * 2008-12-29 2011-07-06 Magneti Marelli S.p.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actuated clutch for determining the closing position
DE102009028514A1 (de) * 2009-08-13 2011-02-17 Zf Friedrichshafen Ag Kraftfahrzeuggetriebe
US9234565B2 (en) * 2012-05-31 2016-01-12 Robert Bosch Gmbh Two-speed transmission and electric vehicle
DE102012214590B4 (de) * 2012-08-16 2015-06-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altgetriebe für Kraftfahrzeuge
US8899395B2 (en) 2013-01-22 2014-1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ectable one-way torque transmitting device using control rail
US9051980B2 (en) 2013-04-26 2015-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rection selectable sprag
DE102014210773A1 (de) * 2014-01-09 2015-07-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Kupplungsbaugruppe für die Kupplungsbetätigung in einem Fahrzeuggetriebe
DE102015201674A1 (de) * 2014-02-07 2015-08-27 Borgwarner Inc. Selbstnachstellende kupplungsgegendruckplatte
DE102015215895A1 (de) * 2015-08-20 2017-02-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für Hybridantrieb
EP3252332B1 (en) * 2016-06-03 2020-02-26 FCA Italy S.p.A. Motor-vehicle transmission with a double clutch coupling device
DE102018009252A1 (de) * 2018-11-24 2020-05-28 Borgwarner Inc. Dreifachkupplungseinrichtung und Antriebsstrang mit einer solchen Dreifachkupplungseinrichtung
DE102019202961A1 (de) * 2019-03-05 2020-09-10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anordnung, Kraftfahrzeugantriebsstra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es
CN109780085B (zh) * 2019-03-08 2020-05-19 安徽枞合传动科技有限公司 同轴同端组合式双离合器传动装置
CN112192778A (zh) * 2020-09-17 2021-01-08 丘群香 一种拖鞋制造用混合下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6220A (en) * 1948-03-27 1952-02-19 Transmission & Gear Company Fluid operated clutch
JP4888748B2 (ja) * 2000-03-22 2012-02-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摩擦クラッチ
DE10016607B4 (de) * 2000-04-04 2013-02-21 Zf Sachs Ag Doppelkupplungsanordnung
DE10016604B4 (de) * 2000-04-04 2011-09-22 Zf Sachs Ag Doppelkupplungsanordnung
EP1298339B1 (de) * 2001-09-28 2004-03-10 ZF Sachs AG Mehrfach-Kupplungsanordnung, insbesondere Doppelkupplungsanordnung
US20030164274A1 (en) * 2001-10-09 2003-09-04 Zf Sachs Ag Multi-clutch arrangement
WO2006125046A1 (en) * 2005-05-17 2006-11-23 Borgwarner Inc. Dual clutch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DE102006010113C5 (de) * 2006-02-28 2010-05-20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Doppelkupplungsanordnung für ein Doppelkupplungsgetriebe
DE102007035128A1 (de) * 2006-08-18 2008-02-2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Getriebe für zwei Drehmomentwege mit schaltbarem, radial verschiebbarem Freilauf und Bremse mit Flüssigkeitskupplung
JP2009281570A (ja) * 2008-05-26 2009-12-03 Aisin Ai Co Ltd デュアルクラッチの操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519A (ko) * 2015-03-03 2017-11-21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해제 가능한 롤러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하는 조정 가능한 힌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09807A1 (de) 2011-11-10
CN102146967A (zh) 2011-08-10
US8297424B2 (en) 2012-10-30
DE102011009807B4 (de) 2017-09-14
CN102146967B (zh) 2014-04-23
KR101255518B1 (ko) 2013-04-23
US20110192693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518B1 (ko)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트윈 클러치 조립체
EP1882114B1 (en) Transmission layout
JP5898317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2005325996A (ja) 車両用噛合式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機構
US20120042743A1 (en) Driv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power take-off clutch
US20110174103A1 (en) Double clutch for cars
CN108443434B (zh) 电动汽车变速器用单作动器换挡执行机构及变速器
US8573085B2 (en) Power unit for vehicle
CN102678841A (zh) 具备直接挡的纵置双离合自动变速器传动装置
US8960032B2 (en) Multi-clutch transmission for a motor vehicle
KR20090021263A (ko) 기어시프트 인터록
CN109322940B (zh) 三离合器
JP2011256916A (ja) クラッチ装置
US20150292571A1 (en) Clutch arrangement comprising a shift piston and a piston housing
CN202023889U (zh) 双离合器变速器
JP5528302B2 (ja) デュアルクラッチ式自動変速機
CN112815018B (zh) 一种可联动切换的双离合器
CN212290025U (zh) 履带车辆转向装置
RU2432267C1 (ru) Двухскоростная главная передача
CN102182800A (zh) 双离合器变速器
CN208169451U (zh) 电动汽车变速器用单作动器换档执行机构及变速器
JP6052133B2 (ja) 変速機のシフト機構
CN117515153A (zh) 紧凑型多维度换挡变速器
JP5426504B2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PL232076B1 (pl) Skrzynia biegów dla pojazdu mechaniczn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