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241A - 자전거 주차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주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241A
KR20110091241A KR1020100010980A KR20100010980A KR20110091241A KR 20110091241 A KR20110091241 A KR 20110091241A KR 1020100010980 A KR1020100010980 A KR 1020100010980A KR 20100010980 A KR20100010980 A KR 20100010980A KR 20110091241 A KR20110091241 A KR 20110091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bicycle
guide rail
parking lot
bicycl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동
Original Assignee
이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동 filed Critical 이택동
Priority to KR102010001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1241A/ko
Publication of KR2011009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전거의 입출이 매우 편리하고, 주차 상태에서의 자전거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는, 지면(G)에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자전거(2)의 전륜(3)이 주행하는 유도레일(10), 및 상기 유도레일(10)의 전방에 세로로 직립 설치된 전륜유지대(2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레일(10)은, 상기 전륜(3)이 올려진 상태에서 좌우 이탈 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한 유도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도레일(10)은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굴곡되어 있되,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주행한 상기 전륜(3)이 상기 전륜유지대(20)에 접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전륜(3)이 상기 전륜유지대(20) 쪽으로 진행하려는 힘을 받도록 아치형의 상기 유도레일(10)의 최고점(12)이 상기 전륜(3)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륜유지대(20)는,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진입한 상기 전륜(3)을 구속하여, 상기 유도레일(10)과 협력하여 상기 전륜(3)을 유동 없이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주차대{Bicycle Parking Stand}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전거의 입출이 매우 편리하고, 주차 상태에서의 자전거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대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교통, 운동 및 레저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오래 전부터 널리 애용되어 왔지만,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와,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탄소 배출량을 저감시키는 운송수단으로서의 역할이 부각됨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도 주목받고 있고, 더불어 그 이용인구도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병행하여 국가와 지자체에서도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자전거 이용에 필요한 대표적인 시설 중에 하나는, 사용하지 않을 때의 자전거를 세워두기 위한 주차대(거치대, 보관대)이다. 자전거 주차대는 공공장소, 버스 정류장, 지하철 역사, 쇼핑센터, 아파트 단지 등,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대부분의 장소에 설치되어 자전거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고 있다.
이런 자전거 주차대는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그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592호(2007년 04월 27일 공고)의 '자전거 주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830호(2010년 01월 20일 공고)의 '자전거 주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09783호(2009년 07월 29일 공고)의 '자전거 주차보관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831호(2009년 07월 21일 공고)의 '자전거 주차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2588호(2001년 02월 15일 공고)의 '자전거 주차대 겸용 가드레일' 등이 있다.
도9는 대표적인 종래 자전거 주차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전거 주차대(100)는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강재로 제작되며, 바닥의 평평한 지지프레임(110) 위에 자전거(101)의 전륜(102)을 삽입할 수 있는 전륜삽입대(120)를 세로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전륜삽입대(120)는 도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강관을 절곡하여 만든 2개의 가이드바(121)를 전륜(102)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폭으로 세로로 평행하게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전거(101)는 전륜(102)의 적어도 일부분(일반적으로 전방 하측)을 2개의 가이드바(121)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주차하며, 주차된 자전거(101)는 그 전륜(102)의 좌우측과 전방이 유격을 가지고 2개의 가이드바(121)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어느 정도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가이드바(121)와 전륜(102)에 걸쳐 잠금장치(103)를 체결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한다.
그러나 도9로 대표되는 종래의 자전거 주차대(100)는 그 사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 자전거 주차대(100)는 가이드바(121)에 의한 전륜(102)의 구속이 불완전하여 자전거(101)가 완전한 직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져 있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자전거들의 주차상태가 가지런하지 못하여 도시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주차된 자전거들 사이에 자전거를 주차하고자 할 때 기울어진 자전거들이 걸리게 되어 자전거의 입출이 매우 불편하다.
둘째, 가이드바(121) 사이로 전륜(102)을 입출하는 과정에서, 전륜의 스포크(spoke)가 가이드바(121)에 접촉 및 충돌함에 따라, 해당 부분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어, 자전거 애호가의 불만을 사고 있다.
셋째, 후륜 쪽이 낮은 경사면에 주차대가 설치된 경우, 주차된 자전거가 정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후방으로 굴러 내리고, 이럴 경우 자전거는 더욱 직립하지 못하고 심하게 기울어지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자전거에 마련된 스탠드를 펼쳐야 하는바, 결국 스탠드의 펼침으로 인하여 자전거 사이의 간섭이 많아서 자전거 입출이 더욱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자전거 주차대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전거의 입출이 매우 편리하고, 주차 상태에서의 자전거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자전거 주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자전거 주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는, 지면에 가로로 길게 설치된 유도레일, 및 상기 유도레일의 전방에 세로로 직립 설치된 전륜유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레일은, 자전거의 전륜이 올려진 상태에서 좌우 이탈 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한 유도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레일은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도레일을 따라 주행한 상기 전륜이 상기 전륜유지대에 접한 상태에서 아치형의 상기 유도레일의 최고점은 상기 전륜의 후방에 위치하며, 이로써 중력에 의해 상기 전륜은 상기 전륜유지대 쪽으로 진행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전륜유지대는, 상기 유도레일을 따라 진입한 상기 전륜을 구속하여, 상기 유도레일과 협력하여 상기 전륜을 유동 없이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륜유지대에는 상기 전륜의 타이어가 좌우 유동 없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륜유지대에는 상기 전륜의 타이어를 좌우 유동 없이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탄성 집게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자전거의 후륜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륜과의 사이에 잠금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핸들을 손으로 잡고 자전거의 전륜을 들어 올릴 필요 없이, 단지 아치형의 상기 유도레일에 전륜을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자전거를 앞으로 밀어 넣는 것으로 주차하고, 상기 유도레일을 따라 자전거를 뒤로 당겨 빼는 것으로 출차하므로, 자전거를 주차대에 편리하게 입출할 수 있다.
둘째, 주차된 자전거의 전륜이, 상기 유도레일과 상기 전륜지지대에 의해 구속되어 그 유동이 제한되고 아울러 상기 유도레일의 아치형 형상에 의해 상기 전륜지지대 쪽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주차된 자전거가 기울어지거나 지면의 경사로 인해 뒤로 후퇴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결과적으로 자전거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미관 손상이나 인접 주차된 자전거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자전거 입출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전거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그만큼 1대당 주차공간을 넓게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차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주차된 자전거는 상기 유도레일과 상기 전륜지지대가 전륜의 특히 타이어를 구속하여 그 직립 상태를 유지하므로, 주차대에 의한 타격으로 전륜의 스포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여러 대의 자전거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자전거 주차대를 여러 개 연설함에 있어서, 상기 유도레일들의 높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높낮이를 교차하여 설치하면, 인접한 자전거 간의 핸들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주차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유도레일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탄성 집게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9는 종래의 대표적인 자전거 주차대의 사용상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는, 여러 대의 자전거(2)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주차대의 기본 유닛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단위 주차대(1)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레일(10)과 전륜유지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유도레일(10)은 지면(G)을 따라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자전거(2)의 전륜(3)이 주행하는 레일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전륜유지대(20)는 유도레일(10)의 전방(예, 선단)에 세로로 직립 설치되고 유도레일(10)과 협력하여 자전거의 전륜(3)을 유동 없이 유지하는 부재이다.
유도레일(10)에는, 자전거(2)의 전륜(3)이 올려진 상태에서 좌우 이탈됨이 없이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한 유도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홈(11)의 형상은 전륜(3)이 좌우의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전륜(3)의 적어도 타이어(3a)가 삽입된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는 단면 V자 형성이나 단면 U자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레일(10)의 유도홈(11)의 형상을 단면 V자로 형성할 경우, 서로 다른 폭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타이어(3a)들에 대해서, 유도레일(10)의 양측 V자 면이 타이어(3a)를 양측에서 적절히 구속하여 주게 됨으로, 타이어(3a)의 사이즈(폭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륜유지대(20)와 협력하여 전륜(3)의 좌우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유도레일(10)은 지면(G)에 평행한 1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한 자연스런 아치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도레일(10)을 아치형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아치의 가장 높은 최고점(12)은, 유도레일(10)을 따라 주행한 전륜(3)이 전륜유지대(20)에 접한 상태에서, 전륜(3)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아치형 유도레일(10)의 특징적 구조에 따라, 전륜유지대(20)에 접한 위치에 이른 전륜(3)은, 전륜지지대(20) 쪽이 낮은 내리막 경사에 위치하면서 그 전방이 전륜유지대(20)로 막혀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전륜(3)은 자중(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전륜유지대(20)에 의해 막혀 전방 진행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전륜유지대(20)는 유도레일(10)을 따라 진입한 전륜(3)을 구속함으로써, 유도레일(10)과 협력하여 전륜(3)의 좌우 유동을 최소화하는 작용을 한다. 전륜유지대(20)에 의한 전륜(3)의 구속은, 전륜(3)의 특히 타이어(3a)를 구속함으로써 전륜(3)이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 줄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전륜유지대(20)에 의한 전륜(3)의 구속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유지대(20)에 타이어(3a)가 좌우 유동 없이 삽입되는 삽입홈(21)을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21)의 폭은 자전거에 널리 사용하는 타이어(3a)의 사이즈(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타이어(3a)가 삽입된 전륜(3)의 좌우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전륜(3)은 유도레일(10)을 따라 진행하고 전륜유지대(20)는 유도레일(10)의 선단에 바로 연이어서 설치되므로, 자전거(2)를 밀어 주차하면 타이어(3a)가 자연스럽게 삽입홈(21)의 안으로 들어가게 되지만, 삽입홈(21)의 입구를 넓게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타이어(3a)를 보다 자연스럽게 삽입홈(21)의 안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3a)의 폭은 자전거의 종류에 따라 몇 가지 규격으로 다르게 제작되는 바, 삽입홈(21)의 경우 그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삽입홈(21)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진 타이어(3a)가 삽입될 경우에 타이어(3a)와 삽입홈(21) 사이에 유격이 생겨 전륜(3)이 좌우로 유동할 수 있고, 반대로 삽입홈(2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타이어인 경우 삽입홈(21)에의 삽입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홈(21)과 타이어(3a)의 사이즈 불일치는, 본 발명의 단위 주차대(1)를 여러 개 연설할 때, 삽입홈(21)의 사이즈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몇 가지의 타이어의 규격에 맞게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자전거에 맞는 주차대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극복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자전거에 맞는 주차대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음으로, 전륜유지대(20)에 의한 전륜(3)의 구속은, 도3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3a)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전륜(3)을 좌우 유동 없이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탄성 집게(22)를 전륜유지대(20)에 설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 집게(22)로서는, 전륜(3)을 밀어 넣으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타이어(3a)가 수용되고, 수용된 타이어(3a)를 탄성력에 의해 잡고(물고) 있는 집게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7에 도시된 구체예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탄성 집게(22)의 하나의 예로서, 전륜유지대(20)에 회동 가능하게 마주 설치되고 내부에 타이어(3a)가 수용되는 한쌍의 집게-봉(22a), 양측 집게-봉(22a)이 그 사이의 타이어(3a)를 가압하여 잡아주는 쪽으로 집게-봉(22a)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2b), 집게-봉(22a)에 삽입 설치되고 타이어(3a)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타이어(3a)의 입출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22c), 및 집게-봉(22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구가 넓게 벌어져 타이어(3a)를 집게-봉(22a)의 사이로 유도하는 유도판(22d)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륜지지대(20)에 탄성 집게(22)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에 의하면, 유도레일(10)을 따라 진입한 전륜(3)이 탄성 집게(22)에 접하게 될 때, 먼저 입구가 벌어진 유도판(22d)의 안내로 타이어(3a)가 2개의 집게-봉(22a) 사이로 유도되고, 이때 타이어(3a)에 접한 롤러(22a)의 회전으로 타이어(3a)는 최소한의 저항을 받으면서 집게-봉(22a) 사이로 진입하며, 이후 자전거를 전방으로 미는 힘이 스프링(22b)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2개의 집게-봉(22a)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타이어(3a)가 집게-봉(22a)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이런 상태에서 스프링(22b)의 탄성력에 의해 집게-봉(22a)이 타이어(3a)를 탄성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타이어(3a)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전륜(3)은 전륜유지대(20)와 유도레일(10)과 협력으로 유동 없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는, 도9의 종래 주차대에서와 같이 핸들을 손으로 잡고 자전거의 전륜을 들어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단지 유도레일(10)의 입구에 전륜(3)을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자전거(2)를 앞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주차를 할 수 있고, 유도레일(10)을 따라 자전거(2)를 뒤로 당겨 빼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출차를 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에 주차된 자전거(2)는, 전륜(3)의 하부 쪽은 유도레일(10)의 유도홈(11)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전륜(3)의 전방 쪽은 전륜유지대(20)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되며, 이런 상태에서 전륜(3)은 아치형 유도레일(10)의 작용에 의해 전륜유지대(20) 쪽으로 주행하려는 힘을 받고 있게 되므로, 좌우 유동 없이 직립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는 자전거(2)의 전륜(3)을 구속함으로써 안전하고 유동 없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후륜(4)은 별도로 구속하지 아니하여도 충분하다. 따라서 후륜(4)은 지면(G)에 위치하면 족하므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레일(10)의 후단은 전륜(3)과 후륜(4) 사이의 적당한 위치까지만 뻗어 있으면 족하다.
물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레일(10)의 후단을 후륜(4)의 아래 위치까지 길게 신장하여 후륜(4)이 유도레일(10)의 후단에 올려지도록 하면, 전륜(3)과 후륜(4)이 일자로 된 상태로 자전거(2)를 주차시킬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대에 주차한 자전거는 잠금장치(5)를 체결하여 그 도난을 방지하는 바, 본 발명에 주차대(1)에 주차한 자전거(2)는 전륜(3)과 전륜유지대(20) 사이에 잠금장치(5)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잠금장치(5)의 체결을 위해 안쪽에 위치한 전륜(3)까지 접근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는 바, 이런 불편 해소를 위해,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레일(10)의 후방에 자전거(2)의 후륜(4)에 인접하여 잠금대(30)를 추가로 설치하고, 잠금대(30)와 후륜(4) 사이에 잠금장치(5)를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잠금대(30)를 추가하지 아니하고 유도레일(10)의 후단에 잠금장치(5)를 체결할만한 적당한 구조를 부착하여 잠금장치(5)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주차대(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대의 자전거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단위 주차대를 일렬로 함께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주차대(1)들은 프레임(40)으로 서로 연결하여 전체를 하나의 구조물로 구축할 수 있다.
도1의 구체예는 여러 개의 단위 주차대(1)들을 3개의 프레임(40)으로 연결한 예로서, 예시된 프레임(40)은 유도레일(10)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40a), 유도레일(10)과 전륜유지대(20)의 인접부위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40b), 및 전륜유지대(20)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40c)으로 구성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여러 대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자전거 주차대(1)를 도1과 같이 연설한 경우에, 가능하면 인접한 주차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야 주차면적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자전거들을 인접하여 주차함에 있어서 1대의 자전거가 차지하는 체적의 크기는 가장 넓은 폭을 가진 부분인 핸들에 의해 주로 좌우되므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주차대(1)를 연설함에 있어서는 유도레일(10)의 설치높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높낮이를 교차하여 설치하면, 인접한 자전거 간의 핸들이 상하 지그재그로 중첩 배치되어 상호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5에 예시된 본 발명의 자전거 주차대(1)는 가로의 유도레일(10)과 세로의 전륜유지대(20)를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그 선단과 하단을 서로 연결한 예이지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레일(10)과 전륜지지대(2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프레임(40)의 적절히 위치에 결합시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1: 본 발명의 자전거 주차대
2: 자전거
3: 전륜
3a; 타이어
4: 후륜
5: 잠금장치
10: 유도레일
11: 유도홈
12: 최고점
20: 전륜유지대
21: 삽입홈
22: 탄성 집게
22a: 집게-봉
22b; 스프링
22c: 롤러
22d: 유도판
30: 잠금대
40: 프레임

Claims (4)

  1. 지면(G)에 가로로 길게 설치된 유도레일(10), 및 상기 유도레일(10)의 전방에 세로로 직립 설치된 전륜유지대(2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레일(10)은, 자전거(2)의 전륜(3)이 올려진 상태에서 좌우 이탈 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한 유도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도레일(10)은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굴곡되어 있되,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주행한 상기 전륜(3)이 상기 전륜유지대(20)에 접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전륜(3)이 상기 전륜유지대(20) 쪽으로 진행하려는 힘을 받도록 아치형의 상기 유도레일(10)의 최고점(12)이 상기 전륜(3)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륜유지대(20)는,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진입한 상기 전륜(3)을 구속하여, 상기 유도레일(10)과 협력하여 상기 전륜(3)을 유동 없이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유지대(20)에는 상기 전륜(3)의 타이어(3a)가 좌우 유동 없이 삽입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유지대(20)에는 상기 전륜(3)의 타이어(3a)를 좌우 유동 없이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탄성 집게(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레일(10)의 후방에는 상기 자전거(2)의 후륜(4)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륜(4)과의 사이에 잠금장치(5)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대(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대.
KR1020100010980A 2010-02-05 2010-02-05 자전거 주차대 KR20110091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80A KR20110091241A (ko) 2010-02-05 2010-02-05 자전거 주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80A KR20110091241A (ko) 2010-02-05 2010-02-05 자전거 주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41A true KR20110091241A (ko) 2011-08-11

Family

ID=4492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80A KR20110091241A (ko) 2010-02-05 2010-02-05 자전거 주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12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1256A (zh) * 2014-06-23 2014-10-01 浙江神耀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便于自行车锁紧的锁紧装置
CN108609076A (zh) * 2018-05-30 2018-10-02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自行车停放装置
EP3677491A4 (en) * 2017-09-01 2021-05-05 Guangzhou Mingxi Network Technology Co., Ltd. BICYCLE LOCKING AND PARKING DEVICE
CN113602395A (zh) * 2021-08-27 2021-11-05 亚洲商宇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车储运系统
US11878756B2 (en) 2019-04-10 2024-01-23 TILT Industries LLC Apparatus for retaining a bicycle
CN111038620B (zh) * 2018-10-12 2024-05-17 四川农业大学 一种转盘式自行车立体停放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1256A (zh) * 2014-06-23 2014-10-01 浙江神耀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便于自行车锁紧的锁紧装置
EP3677491A4 (en) * 2017-09-01 2021-05-05 Guangzhou Mingxi Network Technology Co., Ltd. BICYCLE LOCKING AND PARKING DEVICE
CN108609076A (zh) * 2018-05-30 2018-10-02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自行车停放装置
CN108609076B (zh) * 2018-05-30 2023-09-0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自行车停放装置
CN111038620B (zh) * 2018-10-12 2024-05-17 四川农业大学 一种转盘式自行车立体停放架
US11878756B2 (en) 2019-04-10 2024-01-23 TILT Industries LLC Apparatus for retaining a bicycle
CN113602395A (zh) * 2021-08-27 2021-11-05 亚洲商宇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车储运系统
CN113602395B (zh) * 2021-08-27 2023-08-25 亚商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车储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1241A (ko) 자전거 주차대
US7946432B1 (en) Dual level bicycle parking system
US4171077A (en) Bicycle carriers for buses and the like
KR100998713B1 (ko) 자전거 주차대
KR200445580Y1 (ko) 자전거 주차장치
KR20110023680A (ko) 2단 자전거 주차대
JP4308534B2 (ja) 自転車を収納および駐車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システム
DE202013000637U1 (de) Zweirad-Aufbewahrungsbehälter mit Funktionsmodulen
US20170305485A1 (en) Rack for supporting a bicycle in a generally upright position
EP2646311B1 (en) Bicycle stand and bicycle parking facility with such a bicycle stand
KR100971098B1 (ko) 자전거 주차장치
CN208803757U (zh) 一种自行车垂直停车架
KR100563002B1 (ko) 수직거치용 자전거 주차장치
WO2006018666A1 (en) Vertical bicycle parking device
KR101020092B1 (ko) 자전거 주차장치
GB2312882A (en) Bicycle stand
KR100949578B1 (ko) 자전거용 리프트식 복층 주차타워 장치
CN210976764U (zh) 一种自行车载车板及自行车立体车库
IE843027L (en) Cycle security device.
KR200239459Y1 (ko) 자전거용 주차장치
KR101029519B1 (ko) 자전거 주차대
JP3051108U (ja) 自転車駐輪装置
CN2315213Y (zh) 双层自行车停放装置
KR20100113311A (ko) 복층식 자전거 주차대
KR101180750B1 (ko) 자전거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