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337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337A
KR20110090337A KR1020100010055A KR20100010055A KR20110090337A KR 20110090337 A KR20110090337 A KR 20110090337A KR 1020100010055 A KR1020100010055 A KR 1020100010055A KR 20100010055 A KR20100010055 A KR 20100010055A KR 20110090337 A KR20110090337 A KR 20110090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offset
offset value
collision position
airba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352B1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3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는, 주행 방향에 위치한 물체와의 예상충돌위치를 x축 옵셋값 및 영상값으로 산출하여, 물체와 충돌시 승객 및 보행자의 충격을 줄이도록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은, 주행방향에 위치한 물체의 위치에 따른 x축 옵셋값을 출력하는 레이더, 상기 물체를 촬용한 영상값을 출력하는 카메라 및 상기 x축 옵셋값과 상기 영상값을 기초로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예상충돌위치에 따라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A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방향에 위치한 물체와의 예상충돌위치를 x축 옵셋값 및 영상값으로 산출하여, 물체와 충돌시 승객 및 보행자의 충격을 줄이도록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기 용이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범퍼는 다른 자동차나나 물체와의 충돌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차량의 전/후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이다.
이하, 차동차의 전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전방범퍼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범퍼는 자동차의 전방에 차폭 방향으로 장착되어 자동차 충돌시에 소정의 충격량을 흡수하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범퍼 빔을 은폐 보호하는 동시에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보행자 법규가 강화되면서, 상기 범퍼 빔에 외장형 에어백을 구비하여 차량 충돌시에 상기 외장형 에어백이 상기 범퍼 커버를 통해 차량 전방으로 팽창함으로써, 보행자 및 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외장형 에어백이 개발하고 있으며,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방향에 위치한 물체와의 예상충돌위치를 x축 옵셋값 및 영상값으로 산출하여, 물체와 충돌시 승객 및 보행자의 충격을 줄이도록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기 용이한 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는, 주행방향에 위치한 물체의 위치에 따른 x축 옵셋값을 출력하는 레이더, 상기 물체를 촬용한 영상값을 출력하는 카메라 및 상기 x축 옵셋값과 상기 영상값을 기초로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예상충돌위치에 따라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는, x축 옵셋값과 영상값을 기초로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하며, 물체와 충돌시 예상충돌위치에 따라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 순서 및 전개 시점을 차등을 줌으로써, 보행자 및 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제1, 2, 3 예상충돌위치의 충돌시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자동차의 범퍼는 자동차의 전방에 차폭 방향으로 장착되어 자동차 충돌시, 소정의 충격량을 흡수하는 범퍼 빔(10)과, 범퍼 빔(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범퍼 빔(10)을 은폐 보호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20)를 포함한다.
범퍼 빔(10)에는 제1, 2, 3 외장형 에어백(42, 44, 46)이 장착되며, 범퍼 커버(20)에는 제1, 2, 3 외장형 에어백(42, 44, 46)이 전방 및 옵셋방향으로 전갤될 수 있도록 개구된 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개구된 홀은 몰딩(25)되어 은폐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제1, 2, 3 예상충돌위치의 충돌시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자동차는, 레이더(50), 카메라(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레이더(50)는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위치한 물체의 위치에 따른 x축 옵셋값(x)을 출력하는 근거리 고해상도 레이더이다.
여기서, x축 옵셋값(x)는 주행방향, 즉 x축 방향에 위치한 상기 물체의 위치를 계산한 값이다.
또한, 카메라(60)는 상기 물체와의 겹쳐짐 정도에 대한 영상값(m)을 출력한다.
즉, 카메라(60)는 영상값(m)을 출력하여 상기 물체를 포함하는 전방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체와 자 차의 겹쳐짐 정도를 산출함으로써, 예상충돌위치를 산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70)는 x축 옵셋값(x)과 영상값(m)을 기초로 상기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72) 및 상기 예상충돌위치에 따라 상기 물체와 충돌시 외장형 에어백(40)의 전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상충돌위치는 상기 물체가 상기 자차에 충돌시, 충돌지점을 예상한 것으로서, x축 옵셋값(x)과 영상값(m)으로 제1, 2, 3 예상충돌위치을 산출한다.
즉, 산출부(72)는 x축 옵셋값(x)에 따라 상기 물체가 상기 자차의 앞범퍼를 3등분한 경우 좌, 우, 중앙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영상값(m)에 따라 상기 자차의 폭과 겹쳐짐을 판단하여, 상기 제1, 2, 3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한다.
산출부(72)는 상기 물체를 3등분한 경우, 상기 자차의 차폭의 양측 1/3 이하의 제1 임계치범위 내에 속하는 x축 옵셋값(x)을 가지고, 영상값(m)이 차폭 대비 30% 미만의 제1 임계범위내에 속하면, x축 옵셋값(x)의 부호에 따라 상기 제1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부(72)는 상기 물체를 3등분한 경우, 상기 자차의 차폭 가운데 1/3 이하의 제2 임계치범위 내에 속하는 x축 옵셋값(x)을 가지고, 영상값(m)이 차폭 대비 60% 미만의 제2 임계범위내에 속하면, 상기 제2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물체를 2등분한 경우, 1/2 이하의 제3 임계치범위 내에 속하면 x축 옵셋값(x)을 가지고, 영상값(m)이 차폭 대비 30% ~ 60% 이내의 제3 임계치범위 내에 속하면, x축 옵셋값(x)의 부호에 따라 상기 제3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한다.
컨트롤부(74)는 상기 제1, 2, 3 예상충돌위치 중 하나를 전달받아, 외장형 에어백(40)의 전개를 제어한다.
즉, 컨트롤부(74)는 상기 제1 예상충돌위치가 산출되는 경우 옵셋 충돌을 예상하며, x축 옵셋값(x)의 부호에 따라 좌, 우측 중 하나인 것을 판단하여, 제1, 2 외장형 에어백(42, 46) 중 하나가 전개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 옵셋값(x)이 (+) 부호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때, 컨트롤부(74)는 산출부(72)에서 자차(U1)의 중앙에 위치한 레이더(30)로부터 x축 옵셋값(x) 및 영상값(m), x축 옵셋값(x)의 부호에 따라 쫘측의 제1 예상충돌위치(s1)을 전달받아, 옵셋 충돌인 것으로 판단하며, 물체(U2)와 충돌시 자차(U1)의 좌측에 장착된 제1 외장형 에어백(42)을 전개한다.
또한, 컨트롤부(74)는 x축 옵셋값(x)이 (-) 부호를 가지는 경우 도 3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 예상충돌위치(s1)가 우측으로 판단하여, 우측에 장착된 제2 외장형 에어백(44)을 전개한다.
또한, 컨트롤부(74)는 상기 제2 예상충돌위치가 산출되는 경우 정면 충돌로 판단하며, 제3 외장형 에어백(46)을 전개 후, 제1, 2 외장형 에어백(42, 44)을 연이어 전개시킨다.
이때, 컨트롤부(74)는 제1, 2, 3 외장형 에어백(42, 44, 46)의 전개시기를 속도 및 충격량 등과 같이 여러가지 점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부(74)는 산출부(72)에서 자차(U1)의 중앙에 위치한 레이더(30)로부터 x축 옵셋값(x) 및 영상값(m)에 따라 중앙의 제2 예상충돌위치(s2)을 전달받아, 정면 충돌인 것으로 판단하며, 물체(U2)와 충돌시 자차(U1)의 중앙에 장착된 제3 외장형 에어백(46)을 전개한 후 제1, 2 외장형 에어백(42, 44)를 전개시킨다.
또한, 컨트롤부(74)는 상기 제3 예상충돌위치가 산출되는 경우 정면 및 옵셋 충돌로 판단하며, 제3 외장형 에어백(46)을 전개 후, 제1, 2 외장형 에어백(42, 44) 중 하나를 전개시킨다.
즉, 컨트롤부(74)는 x축 옵셋값(x)의 부호에 따라 제1, 2 외장형 에어백(42, 44) 중 하나를 전개하게된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부(74)는 산출부(72)에서 자차(U1)의 중앙에 위치한 레이더(30)로부터 x축 옵셋값(x) 및 영상값(m)에 따라 중앙 및 측면의 제3 예상충돌위치(s3)을 전달받아, 정면 및 옵셋충돌인 것으로 판단하며, 물체(U2)와 충돌시 자차(U1)의 중앙에 장착된 제3 외장형 에어백(46)을 전개한 후 x축 옵셋값(x)의 부호에 따라 제1, 2 외장형 에어백(42, 44) 중 제1 외장형 에어백(42)을 전개시킨다.
또한, 컨트롤부(74)는 제3 예상충돌위치(s3)가 산출되는 경우 정면 및 옵셋 충돌로 판단하며, 제3 외장형 에어백46)을 전개 후, 설정된 전개시간에 따라 제1 외장형 에어백(42)을 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는 예상출동위치에 따라 제1, 2, 3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 및 전개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충돌시 보행자 또는 승객에게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50: 레이더 60: 카메라(60)
70: 제어부

Claims (10)

  1. 주행방향에 위치한 물체의 위치에 따른 x축 옵셋값을 출력하는 레이더;
    상기 물체를 촬용한 영상값을 출력하는 카메라; 및
    상기 x축 옵셋값과 상기 영상값을 기초로 예상충돌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예상충돌위치에 따라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상기 물체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정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근거리 고해상도 레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충돌위치는, 제1, 2, 3 예상충돌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x축 옵셋값과 상기 영상값을 기초로 상기 제1, 2, 3 예상충돌위치 중 하나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제1, 2, 3 예상충돌위치 중 하나에 따라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외장형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영상값이 제1 임계범위내에 속하고, 상기 x축 옵셋값이 제1 임계임치범위이면, 상기 제1 예상충돌위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영상값이 제2 임계범위내에 속하고, 상기 x축 옵셋값이 제2 임계임치범위이면, 상기 제2 예상충돌위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영상값이 제3 임계범위내에 속하고, 상기 x축 옵셋값이 제3 임계임치범위이면, 상기 제3 예상충돌위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에어백은, 좌, 우측의 제1, 2 에어백 및 중앙의 제3 에어백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1 예상충돌위치가 산출되고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x축 옵셋값에 따라 제1, 2 에어백 중 하나만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2 예상충돌위치가 산출되고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x축 옵셋값에 따라 상기 제3 에어백 전개 후 상기 제1, 2 에어백을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3 예상충돌위치가 산출되고 상기 물체와 충돌시, 상기 x축 옵셋값에 따라 상기 제3 에어백 전개 후 상기 제1, 2 에어백 중 하나만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00010055A 2010-02-03 2010-02-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165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55A KR101659352B1 (ko) 2010-02-03 2010-02-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055A KR101659352B1 (ko) 2010-02-03 2010-02-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37A true KR20110090337A (ko) 2011-08-10
KR101659352B1 KR101659352B1 (ko) 2016-09-23

Family

ID=4492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055A KR101659352B1 (ko) 2010-02-03 2010-02-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7146B2 (en) * 2019-07-10 2022-08-30 Pony Ai Inc. Collision pro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89A (ko) * 2001-08-20 2003-03-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JP2006088893A (ja) * 2004-09-24 2006-04-06 Mazda Motor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013071A (ja) * 2006-07-06 2008-01-24 Toyota Motor Corp 乗員保護制御装置
JP2008216213A (ja) * 2007-03-07 2008-09-18 Toyota Motor Corp 衝突予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89A (ko) * 2001-08-20 2003-03-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JP2006088893A (ja) * 2004-09-24 2006-04-06 Mazda Motor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013071A (ja) * 2006-07-06 2008-01-24 Toyota Motor Corp 乗員保護制御装置
JP2008216213A (ja) * 2007-03-07 2008-09-18 Toyota Motor Corp 衝突予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7146B2 (en) * 2019-07-10 2022-08-30 Pony Ai Inc. Collision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352B1 (ko)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2022B2 (en)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11040693B2 (en) Vehicular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US9399441B2 (en) Shape adaptive passenger airbag
JP6042305B2 (ja) 車両衝突判定装置
JP6107839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20060091653A1 (en) System for sensing impending collision and adjusting deployment of safety device
KR102131448B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GB2530618A (en) Active hood front cover for pedestrian protection
JP5778236B2 (ja) 車両衝突判定装置
JP4501869B2 (ja) 歩行者保護装置
CN109219537A (zh) 用于车辆的安全设备
KR102272076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따른 에어백 전개 방법
US20170197573A1 (en) Deployable and Smart Car Bumper
KR20110090337A (ko) 자동차
US8924089B2 (en) Automobi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mobile
JP2009073207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US11794686B2 (en) Deployable decoy vehicle system
JP6528973B2 (ja) 車両用衝突判定装置
JP2009101837A (ja) 乗員保護制御装置
KR20120071995A (ko) 측면승객보호장치의 제어방법
KR101596995B1 (ko) 차량의 충격완화 방법
Leschke Algorithm Concept for Crash Detection in Passenger Cars
KR101899393B1 (ko) 차량의 2차 충돌 회피 방법
JP7125918B2 (ja) 車両用保護装置
JP7202790B2 (ja) 車両用対人保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