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280A -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280A
KR20110090280A KR1020100009972A KR20100009972A KR20110090280A KR 20110090280 A KR20110090280 A KR 20110090280A KR 1020100009972 A KR1020100009972 A KR 1020100009972A KR 20100009972 A KR20100009972 A KR 20100009972A KR 20110090280 A KR20110090280 A KR 2011009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guide
information
receiv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280A/ko
Publication of KR2011009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서, 각 면에는 방송 정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방송 가이드와 같은 정보들을 전술한 각 실시 예에 도시된 형태의 3D UI의 형태로 제공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다양화되고 많아진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제공되는 UI의 크기와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거나 틸트시키는 등으로 구현함으로써 시청 중인 영상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A METHOD FOR PROVIDING AN USER INTERFACE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환경은 아날로그(analog)에서 디지털(digital)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contents)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대부분의 가정이 케이블 방송 서비스(cable broadcast service)를 수신함에 따라, 종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디지털 방송에서는 그 채널(channel)의 종류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그 개수도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2차원(2-dimensional: 2D)의 콘텐츠에 비해 보다 현실감과 입체감을 주는 3차원(3-dimensional: 3D)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3D 콘텐츠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가정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이나 채널을 시청하는 도중에 부가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시청 중인 영상 위에 OSD(On Screen Display)가 뜨고 부가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기존 OSD를 삭제하고 다시 보여주거나 또는 기존 OSD 위에 추가적인 OSD를 띄워 보여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기 시청 중인 영상을 가려 시청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한 예로 예를 들어,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사용자가 방송 가이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 2차원 구조에서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며, 시청 중인 영상을 가릴 수도 있어, 시청에 불편을 끼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부가 정보 UI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 시청 중인 영상 화면과의 중첩 부분을 최소화하여 방송을 시청하면서 부가 정보를 제어(control or navigation)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UI 제공 방법 및 영상 신호 처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서, 각 면에는 방송 정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동일한 형태의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 메인 방송 가이드와 서브 방송 가이드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테고리는, 장르, 매체의 타입, 화질,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별개의 UI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정보는, 해당 채널을 제공하는 방송국 정보, 해당 채널의 채널 번호, 채널 명, 채널 상세 정보, 프리뷰 정보, 썸네일 이미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일면과 이웃하는 타면들은 미리 정해진 채널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이 업 또는 다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와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이 계층 구조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에서 소정 영역은, 다른 계층의 가이드 화면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특정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최상위 계층이 되고 나머지 가이드 화면의 계층이 순차로 재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층 구조로 출력되는 각 가이드 화면은,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써 각 면에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여 출력하되,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은 계층 구조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다면체로 구성하고, 각 면에는 방송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동일한 형태의 다단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를 동일한 카테고리 내 메인 방송 가이드와 서브 방송 가이드의 관계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로 장르, 매체의 타입, 화질,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하게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를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별개의 UI로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정보로 해당 채널을 제공하는 방송국 정보, 해당 채널의 채널 번호, 채널 명, 채널 상세 정보, 프리뷰 정보, 썸네일 이미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의 일면과 이웃하는 타면들은 미리 정해진 채널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이 업 또는 다운된 정보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와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른 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이 계층 구조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에서 소정 영역이 다른 계층의 가이드 화면과 겹치지 않게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의 특정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최상위 계층이 되고 나머지 가이드 화면의 계층이 순차로 재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층 구조로 출력되는 각 가이드 화면을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또 다른 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 구성하고 각 면에 방송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여 출력하되,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은 계층 구조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방송 가이드와 같은 정보들을 전술한 각 실시 예에 도시된 형태의 3D UI의 형태로 제공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다양화되고 많아진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제공되는 UI의 크기와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거나 틸트(tilt) 시키는 등으로 구현함으로써 시청 중인 영상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 또는 시차(이하 간격이라 함)에 따른 원근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3D UI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UI(User Interface)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Digital Broadcast Receiver)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user)가 로컬 키(local key)나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통해 부가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따른 부가 정보를 수집(collect)하여 UI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UI가 시청 중인 영상(video or image)이 출력되고 있는 화면상의 OSD(On Screen Display)를 통해 제공되어 영상을 제대로 시청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방송 가이드(broadcast guide)(이하 ‘방송 가이드’라 함)를 예로 들면, 2D 환경에서는 상기 방송 가이드는 주로 직사각형 형태로 OSD를 통해 화면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여 출력되었다. 이는 최근 디지털 방송이 활성화되고 각 가정에서 케이블 방송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채널의 수가 많아져 향후에는 종래 방송 가이드의 형태로는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고,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방송 가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UI에 대한 인지성과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UI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3차원(3Dimension, 이하 ‘3D’라 함) 영상 또는 이미지, 3D 형태를 가진 UI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UI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3D 형태로 구성된 UI임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UI는 방송 가이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방송 가이드에 대한 방송 가이드 U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기에서 제공 가능한 다른 UI들에도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tuner)(101), 복조기(demodulator)(102), 역다중화부(Demux: demultiplexer)(103),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signaling information processor)(104), 애플리케이션 제어부(application controller)(105), 저장부(storage)(108), 외부 입력 수신부(external input receiver)(109), 디코더/스케일러(decoder/scaler)(110), 제어부(CPU: Central Processing Unit)(115), 믹서(Mixer)(118), 출력 포맷터(Output formatter)(119) 및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DTV: Digital TeleVision receiver)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튜너(101)는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106)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튜닝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기(102)는 수신된 방송 신호가 변조된 방식에 대응되는 복조 방식으로 상기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역다중화부(103)는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를 역다중화(demultiplex)한다. 여기서, 상기 역다중화는 PID(Packet IDentifier) 필터링(filtering)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의 일 예로는,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나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들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비디오 데이터는 디코더/스케일러(110)로 출력하고, 역다중화된 시그널링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로 출력한다.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는 역다중화된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여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 제어부(115), 믹서(118) 등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는 처리된 시그널링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시그널링 정보에는 방송 신호 내 비디오 데이터가 2D 이미지인지 3D 이미지인지 나타내는 타입 정보(type information)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는 상기 타입 정보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가 3D 이미지인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15)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타입 정보를 제어부(115)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115)에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타입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결과만 제어부(115)로 보고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채널 매니저(106)와 채널 맵(107)을 포함하며, 외부 입력 수신기(109)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 등을 수신하여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OSD 데이터 생성부(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108)에 저장된 OSD 데이터를 호출하여 제어부(115)에 전달하거나 직접 UI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채널 매니저(106)는 시그널링 정보 내 채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맵(107)을 형성하고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6)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채널 맵(107)에 기초하여 채널 전환을 허가나 방송 가이드 구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코더/스케일러(110)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111),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 (112), 스케일러(scaler)(113) 및 비디오 프로세서(video processor)(114)를 포함한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11/112)는 역다중화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스케일러(113)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11/112)에서 처리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포맷에 맞게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스케일링(scaling)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14)는 비디오 디코더(111)에서 디코딩 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 포맷에 따라 비디오 신호 처리를 하거나 또는 제어부(11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타입을 판별한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114)는 상술한 시그널링 정보 내에 타입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더라도 그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타입을 판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비디오 데이터의 타입을 판별할 수도 있다.
제어부(115)는,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로부터 입력되는 타입 정보 또는 비디오 프로세서(114)에서 판단된 비디오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디코더/스케일러(110)에서 해당 비디오 데이터가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 밖에 상기 제어부(115)는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리모컨 등을 통한 사용자 등의 키 입력을 외부 입력 수신부(109)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키 입력의 일 예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방송 가이드 UI 제공 요청을 들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이러한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제어부(115)로 전송하거나 또는 직접 상기 요청에 따른 방송 가이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도록 제어하거나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상기 UI 구성을 위한 데이터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UI 구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각 UI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역할은 전술한 제어부(115)가 대신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08)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 또는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제공될 방송 가이드 UI의 제공을 위한 UI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8)는 그 밖에 기타 방송 수신기와 관련된 부가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믹서(118)는,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 디코더/스케일러(110) 및 애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입력을 믹싱(mixing)하여 출력한다.
출력 포맷터(119)는 믹서(118)의 출력을 모듈의 출력 포맷에 맞게 구성한다. 여기서, 출력 포맷터(119)는 예를 들어, 2D 이미지는 바이패스(by-pass) 하고, 3D 이미지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그 포맷 및 모듈(120)의 출력 주파수 등에 맞게 3D 포맷으로 처리하는 3D 포맷터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콘텐츠, UI 등을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3D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에는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다시 패시브(passive) 방식과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나뉜다. 패시브 방식은 편광 필터를 사용해서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구분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또는 양안에 각각 청색(blue color)과 적색(red color)의 색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도 패시브 방식에 해당된다. 액티브 방식은 액정 셔터를 이용하여 좌우안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좌안(왼쪽 눈)과 우안(오른쪽 눈)을 순차적으로 가림으로써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액티브 방식은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 시킨 전자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이며, 시분할 방식(time split type) 또는 셔텨드 글래스(shuttered glass) 방식이라 하기도 한다.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 판을 이미지 패널(image panel)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이미지 패널 상부에 주기적인 슬릿(slit)을 갖는 배리어 층(barrier layer)을 구비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3D 디스플레이 방식 중 스테레오스코픽(steroscopic) 방식을 예로 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중 액티브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상기 액티브 방식의 매체로 셔터 안경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출력 포맷터(119)는 구성된 3D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3D 이미지 데이터를 셔터 안경(121)으로 시청 시에 동기가 맞도록 상기 구성된 3D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상기 셔터 안경 내 IR 에미터(Emitter)(미도시)로 출력하여 셔터 안경(121)에서 디스플레이 동기에 맞춰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
IR 에미터는 출력 포맷터(119)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셔터 안경(121) 내 수광부(미도시)로 출력하고, 셔터 안경(150)은 상기 수광부를 통해 IR 에미터(미도시)를 거쳐 수신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shutter open period)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3D 이미지 데이터의 동기에 맞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하여, UI를 3D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3D 이미지 데이터를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객체(object)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사람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서로 직교하도록 분리하여 입력하면, 사람의 두뇌에서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결합되어 3D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원리이다. 상기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열된다는 의미는, 각 이미지 데이터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 또는 시차(이하 간격이라 함)에 따른 원근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우 이미지 데이터(201)와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간격이 좁은 경우 상기 양 데이터가 결합되어 맺히는 상의 위치(203)를 설명하고, 도 2(b)는 우 이미지 데이터(211)와 좌 이미지 데이터(212)의 간격이 넓은 경우 맺히는 상의 위치(213)를 설명하고 있다.
즉, 도 2(a) 내지 2(b)는 이미지 신호 처리장치에서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이 맺히는 원근감의 정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은 우안으로 우 이미지 데이터(201)의 일 측과 다른 측을 바라보는 연장선(R1, R2)을 그리고, 좌안으로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일 측과 다른 측을 바라보는 연장선(L1, L2)을 그릴 때, 상기 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R1)과 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L1)이 우안 및 좌안으로부터 일정 거리(d1)에서 서로 교차되는 지점(203)에 맺힌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은 도 2(a)에서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하면 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R3)과 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L3)이 우안 및 좌안으로부터 일정 거리(d2)에서 서로 교차되는 지점(213)에서 맺힌다.
여기서, 좌안 및 우안으로부터 상이 맺히는 위치(203,213)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도 2(a)에서 d1과 도 2(b)에서 d2를 비교하면, 상기 d1이 d2보다 좌안 내지 우안으로부터 거리가 더 멀다. 즉, 도 2(a)에서의 상이 도 2(b)에서의 상보다 좌안 및 우안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서 맺힌다.
이는 우 이미지 데이터와 좌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도면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면, 도 2(a)에서의 우 이미지 데이터(201)와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간격은, 도 2(b)에서의 우 이미지 데이터(203)와 좌 이미지 데이터(204)의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다.
그러므로 도 2(a) 및 2(b)에 근거하여 유추하면, 각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이 좁을수록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결합에 의해 맺혀지는 상은 사람의 눈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맺혀 멀게 느껴진다.
이상 상술한 원리에 따라 도 3의 (a) 내지 (b)와 같이 제공되는 UI 자체를 3D 이미지로 구성하거나 또는 UI 내 특정 항목만을 3D 이미지로 구성(미도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3D UI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a)와 3(b)는 다수 개의 항목들이 포함된 UI 자체를 3D 이미지로 구현한 것으로, 도 3(a)의 경우에는 UI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301)와 우 이미지 데이터(302)의 간격이 좁은 경우이고, 도 3(b)의 경우에는 UI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304)와 우 이미지 데이터(305)의 간격이 넓은 경우이다.
따라서, 도 3(a)와 3(b)에서 각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에 따라 구현되는 3D UI(303,306)는 전술한 도 2의 원리에 근거하면 도 3(a)에서 구현된 3D UI(303)는 사람의 눈에서 먼 곳에 상이 맺혀 멀리 보이고, 도 3(b)에서 구현된 3D UI(306)는 사람의 눈에서 가까운 곳에 상이 맺혀 가까이 즉, 상대적으로 더 튀어 나와 보인다. 상술한 원리 즉, UI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해당 UI에 적절한 정도의 뎁쓰(depth)를 줄 수 있어 3D 효과가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3D UI를 제공하는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3D UI는 방송 가이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3D 방송 가이드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다면체의 입체 구조로 형성된 3D 방송 가이드를 예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3D 방송 가이드는 12면체로 구성되었다. 다만, 도 4에서는 12면 중 윗면과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정보가 포함된 방송 가이드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윗면과 아랫면도 다른 면과 동일하거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를 포함한다. 그리고 채널 정보라 함은, 해당 채널과 관련된 채널 번호(channel number), 채널 명(channel name), 채널 상세 정보(channel details information),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방송 화면 등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공되는 방송 가이드의 위치(location), 크기(size)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방송 가이드는, 정면도를 기준으로 수평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일부가 보이게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방송 가이드를 구성하는 각 면이 정보를 포함하므로, 가장 시선이 집중되는 정면 부분과 상대적으로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도 특별히 지시되는 등의 경우에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송 가이드의 일 면(411)은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활성화된 채널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방송 가이드의 반시계 방향으로 타면(412)은 현재 활성화된 채널의 다음 채널(도 4에서는 현재 채널+1 채널)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시계 방향으로 타면(414)은 현재 활성화된 채널의 이전 채널(도 4에서는 현재 채널-1 채널)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방향에 따라 다른 타면(413,415)도 동일한 방식으로 해당 채널의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4-1번 채널부터 내지 4-10번 채널까지 존재하고, 방송 가이드의 정면에 위치한 일면(411)이 현재 시청 중인 채널 4-5번의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상기 방송 가이드의 일면(411)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한 각 면(412,413)은 각각 채널 4-6번에 대한 방송 정보와 채널 4-7번에 대한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한 각 면(414,415)는 각각 채널 4-4번에 대한 방송 정보와 채널 4-3번에 대한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면의 채널 간격은 1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3D 방송 가이드는 사용자에 의해 포인터나 공간 리모컨 등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일반 리모컨의 채널 선택 키의 업/다운 버튼과 매핑(mapping)시켜 사용자가 일반 리모컨의 채널 선택 키의 업/다운 버튼을 통하여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계층 구조 또는 계단 구조(이하 계층 구조라 함)의 방송 가이드 화면을 예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사각형 모양의 각 채널의 방송 정보를 포함한 다수 개의 방송 가이드들이 계층 구조로 구성되고, 화면(500)을 기준으로 앞으로 튀어 나오게 다시점 영상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각 방송 가이드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계층 구조 형태로 소정 영역은 다른 방송 가이드 화면에 의해 겹치지 않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첫번째 방송 가이드 화면(510)은 현재 시청 중인 채널 즉, ABC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두번째 방송 가이드 화면(520)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의 다음 채널(현재 채널+1 채널)로써 YTN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미리 정해진 개수의 방송 가이드 화면을 계층 구조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방송 가이드 화면(530 내지 560)도 계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의 방향 키나 모션 리모컨 등을 통하여 원하는 채널 즉, 목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가이드 화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방송 가이드 화면이 최상위 계층 즉, 화면상에서 가장 튀어 나와 보이게 제공되고, 상기 선택된 방송 가이드 화면을 기준으로 채널 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른 방송 가이드 화면들이 재정렬되도록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채널 이름을 기준으로 현재 최상위 계층의 방송 가이드 화면(510)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인 ABC 채널에 대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다음 계층들은 각각 YTN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20), MBC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30), SBS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40), KBS2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50)을 제공하고, 최하위 계층에서는 KBS1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60)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SBS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40)을 선택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선택된 SBS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40)을 다음 계층의 방송 가이드 화면들(550,560)과 함께 그 계층 순서대로 그대로 최상위 계층부터 순차로 정렬하고, ABC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10)부터 MBC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30)까지를 순서대로 그 뒤에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최상위 계층에는 SBS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40)이 제공되고, 최하위 계층에는 MBC 채널에 대한 방송 가이드 화면(530)이 제공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계층 구조 형태로 방송 가이드 화면을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사용자의 방송 가이드 이용 편리성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술한 도 4와 5를 조합하여 구성한 형태의 3D 방송 가이드의 예시이다.
다만, 도 6에서는 도 4와 달리 방송 가이드의 각 면이 장르(genre)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장르의 개수에 따라서 도 4와 달리 방송 가이드가 12면체가 아닐 수도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도 4와 같은 형태의 다면체로 구성된 3D 방송 가이드(600)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장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방송 가이드의 일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에 대한 장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장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면으로부터 도 5와 같이 계층 구조로 화면으로부터 튀어 나와 보이게 서브 방송 가이드(650)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면체로 구성된 방송 가이드(600)로부터 뉴스라는 장르(장르 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면(610)을 선택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선택된 면(610)에서 제공하는 장르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들(SBS,KBS2,KBS1)에 정보를 수집하여, 서브 방송 가이드(650)을 상기 면(610)의 전면으로부터 튀어나오게 계층 구조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메인 방송 가이드(600)는 전술한 도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서브 방송 가이드(650)는 전술한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장르의 다른 채널이 선택되거나 다른 장르에 대한 정보가 선택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따르면, 종래 2D 형식의 방송 가이드에 비해 더욱 많은 정보를 시각적인 측면과 효율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방송 가이드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술한 도 4의 방송 가이드를 다단으로 구성한 방송 가이드의 예시이다.
여기서, 다단으로 구성되는 각 방송 가이드는 전술한 도 6에서와 같이, 메인 방송 가이드와 서브 방송 가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전혀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가이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된 각 방송 가이드가 또 다른 정보를 포함한 경우에는 다단을 더욱 늘리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계층 구조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되는 각 방송 가이드는 그 크기나 모양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2단으로 구성된 3D 방송 가이드를 예로 하여 설명하며, 2단에 배치된 방송 가이드(750)는 1단에 배치된 방송 가이드(710)에 비해 크기가 작게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도 4와 같은 형태의 방송 가이드(710)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공된 방송 가이드(710)의 특정 면(711)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선택된 면(711)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집 결과 해당 면(711)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다수인 경우에는 1단의 방송 가이드(710) 상에 2단의 방송 가이드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1단의 방송 가이드(710)의 해당 면(711)이 장르 A 즉, 뉴스라는 장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장르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뉴스를 제공하는 채널들에 대한 정보(채널 A-1)를 1단의 방송 가이드와 동일한 형태의 크기가 다른 방송 가이드를 구성하여 2단(750)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2단에 제공된 방송 가이드의 특정 면(751)을 선택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면(751)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이때, 만약 수집된 정보가 다수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와 같은 계층 구조의 형태로 다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의 경우에는 하나의 정보가 상위 개념을 가지고 하위 개념의 정보들을 내포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이다.
도 7과 같이 방송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가이드에 대한 이용 편리성과 함께 시각적인 재미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는 방송 가이드를 예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을 서로 다른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3D 방송 가이드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실시 예를 응용하여 구성한 다른 형태의 방송 가이드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방송 가이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면을 기준으로 도 4와 같은 방송 가이드를 수직으로 방향 전환한 방송 가이드를 선택된 면을 기준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의 제1 방송 가이드(810)와 제2 방송 가이드(850)가 일면을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송 가이드(8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4 내지 7의 내용에서 해당 부분을 원용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방송 가이드의 일면(811)을 선택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선택된 면(811)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2 방송 가이드(850)을 구성하여 제1 방송 가이드와 해당 면(811)을 기준으로 직교되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방송 가이드로부터 MBC 채널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시기는 MBC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가 다수 개 예를 들어, MBC-1, MBC-2,…,MBC-n 채널들이 존재하면, 이를 제2 방송 가이드로 구성하고 제1 방송 가이드 상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리모컨 내에 구비된 방향 키를 이용하거나 모션 리모컨 등을 활용하여 제공되는 방송 가이드를 제어하면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방송 가이드와 같은 정보들을 전술한 각 실시 예에 도시된 형태의 3D UI의 형태로 제공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다양화되고 많아진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제공되는 UI의 크기와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거나 틸트(tilt) 시키는 등으로 구현함으로써 시청 중인 영상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실시 예에서 채널의 방송 정보는 해당 채널의 채널 번호, 채널 상세 정보, 썸네일 이미지, 현재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 등에 대한 시간 정보, 관련 채널 및 관련 프로그램 정보 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도시된 구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방송 가이드를 윗면과 아랫면은 보이지 않게 수평 구조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방송 가이드를 90도 회전하여 수직한 개별 방송 가이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현재 방송 화면과의 관계에 따라 상기 도시된 바와 달리 방송 가이드의 크기와 위치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부가 정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부가 정보 UI를 3차원으로 구성하여 해당 UI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이용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1: 튜너 102: 복조기
103: 역다중화부 104: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
105: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106: 저장부
109: 외부 입력 수신부 110: 디코더/스케일러
115: 제어부 118: 믹서
119: 출력 포맷터 12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28)

  1.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서, 각 면에는 방송 정보가 포함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동일한 형태의 다단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 메인 방송 가이드와 서브 방송 가이드의 관계를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장르, 매체의 타입, 화질,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별개의 UI로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해당 채널을 제공하는 방송국 정보, 해당 채널의 채널 번호, 채널 명, 채널 상세 정보, 프리뷰 정보, 썸네일 이미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는,
    일면과 이웃하는 타면들은 미리 정해진 채널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이 업 또는 다운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와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0.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이 계층 구조로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에서 소정 영역은, 다른 계층의 가이드 화면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특정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최상위 계층이 되고 나머지 가이드 화면의 계층이 순차로 재정렬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구조로 출력되는 각 가이드 화면은,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4.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써 각 면에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여 출력하되,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은 계층 구조로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5.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다면체로 구성하고, 각 면에는 방송 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동일한 형태의 다단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를 동일한 카테고리 내 메인 방송 가이드와 서브 방송 가이드의 관계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로 장르, 매체의 타입, 화질,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하게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를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별개의 UI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정보로 해당 채널을 제공하는 방송국 정보, 해당 채널의 채널 번호, 채널 명, 채널 상세 정보, 프리뷰 정보, 썸네일 이미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의 방송 가이드 UI의 일면과 이웃하는 타면들은 미리 정해진 채널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이 업 또는 다운된 정보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와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4.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이 계층 구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에서 소정 영역이 다른 계층의 가이드 화면과 겹치지 않게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방송 가이드 UI의 특정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계층의 가이드 화면이 최상위 계층이 되고 나머지 가이드 화면의 계층이 순차로 재정렬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층 구조로 출력되는 각 가이드 화면을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8.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 정보를 포함한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방송 가이드 제공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로부터 방송 가이드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방송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및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3차원 방송 가이드 UI는 다면체로 구성하고 각 면에 방송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면으로부터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여 출력하되, 제2 3차원 방송 가이드 UI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화면은 계층 구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20100009972A 2010-02-03 2010-02-03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90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972A KR20110090280A (ko) 2010-02-03 2010-02-03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972A KR20110090280A (ko) 2010-02-03 2010-02-03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280A true KR20110090280A (ko) 2011-08-10

Family

ID=4492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972A KR20110090280A (ko) 2010-02-03 2010-02-03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2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79B1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8749614B2 (en) Method for indicating a 3D content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ignal
US9137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US903046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s 3D image
KR20110057629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40038799A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JP4991930B2 (ja) 立体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KR20100112940A (ko) 데이터 처리방법 및 수신 시스템
KR101737832B1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90280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91407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148636B1 (ko) 다중 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10091406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662077B1 (ko)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5355758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KR20110091409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2012134748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KR1016607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59891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139419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KR101651132B1 (ko) 3차원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88808A (ko)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91139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91408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20021593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