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593A -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593A
KR20120021593A KR1020100076831A KR20100076831A KR20120021593A KR 20120021593 A KR20120021593 A KR 20120021593A KR 1020100076831 A KR1020100076831 A KR 1020100076831A KR 20100076831 A KR20100076831 A KR 20100076831A KR 20120021593 A KR20120021593 A KR 2012002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evice
image data
storage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593A/ko
Publication of KR2012002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전원 온 시 2D 모드로 강제 설정하여 전원 온 시간을 단축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OPERATING METHOD OF DISPLAY SYSTEM OUTPUTTING 3 DIMENSIONAL CONTENTS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 설정 조건에 해당되면,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출력시 2차원 컨텐츠를 다시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3차원 컨텐츠의 저장시 요구되는 저장 용량을 최소화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 환경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하여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의 양이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2차원(2-dimensional: 2D)의 컨텐츠에 비해 보다 현실감과 입체감을 주는 3차원(3-dimensional: 3D)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입력 영상 저장 시, 입력 영상이 3차원 컨텐츠인지 2차원 컨텐츠인지 구분하여 처리하지 않고 단순히 압축 처리하여 저장하였다.
그런데, 3차원 컨텐츠의 경우, 용량이 큰 경우가 많으므로, 저장 수단의 저장 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출력시 로딩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3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출력 시 3D로 다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장 수단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3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출력 시 3D로 다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장 수단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은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소정의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3D/2D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출력 시 3D로 다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장 수단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 또는 시차(이하 간격이라 함).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컨텐츠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3차원 컨텐츠의 포맷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2D 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컨텐츠의 뎁쓰를 조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및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특정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차원 컨텐츠는 두 눈의 스테레오 시각 원리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즉, 두 눈의 시차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좌우 눈이 각각 연관된 평면 영상을 볼 경우, 뇌는 서로 다른 영상을 융합하여 3D 컨텐츠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3D 영상 표시는 크게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부피표현 방식, 홀로그래픽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3차원 컨텐츠를 보여주는 방식에는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다시 패시브(passive) 방식과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패시브 방식은 편광 필터를 사용해서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구분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또는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도 패시브 방식에 해당된다. 상기 액티브 방식은 액정 셔터를 이용하여 좌우 안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좌안(왼쪽 눈)과 우안(오른쪽 눈)을 순차적으로 가림으로써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액티브 방식은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 시킨 전자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이며, 시분할 방식(time split type) 또는 셔텨드 글래스(shuttered glass) 방식이라 하기도 한다.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 판을 이미지 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이미지 패널 상부에 주기적인 슬릿을 갖는 배리어 층을 구비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도 1은 3D 디스플레이 방식 중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중 액티브 방식인 경우의 실시예이다. 다만, 액티브 방식의 매체로 셔터 안경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고,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셔터 안경(200)에서 시청 시에 동기가 맞도록 상기 구성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상기 셔터 안경 내 IR 에미터(Emitter)(미도시)로 출력하여 셔터 안경(200)에서 디스플레이 동기에 맞춰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
셔터 안경(200)은 IR 에미터(미도시)를 거쳐 수신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좌안 또는 우안 셔터 액정 패널의 오픈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 기기(100)에서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300)의 동기에 맞출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즉, 하나의 객체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사람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서로 직교하도록 분리하여 입력하면, 사람의 두뇌에서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결합되어 3차원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원리이다. 
도 2은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 또는 시차(이하 간격이라 함)에 따른 원근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우 이미지 데이터(201)와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간격이 좁은 경우 상기 양 데이터가 겹합되어 맺히는 상의 위치(203)를 설명하고, 도 2(b)는 우 이미지 데이터(211)와 좌 이미지 데이터(212)의 간격이 넓은 경우 맺히는 상의 위치(213)를 설명하고 있다.
즉, 도 2(a) 내지 2(b)는 이미지 신호 처리장치에서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이 맺히는 원근감의 정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은 우안으로 우 이미지 데이터(201)의 일측과 다른 측을 바라보는 연장선(R1,R2)을 그리고, 좌안으로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일측과 다른 측을 바라보는 연장선(L1,L2)을 그릴 때, 상기 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R1)과 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L1)이 우안 및 좌안으로부터 일정 거리(d1)에서 서로 교차되는 지점(203)에 맺힌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은 도 2(a)에서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하면 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R3)과 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L3)이 우안 및 좌안으로부터 일정 거리(d2)에서 서로 교차되는 지점(213)에서 맺힌다.
여기서, 좌안 및 우안으로부터 상이 맺히는 위치(203, 213)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도 2(a)에서 d1과 도 2(b)에서 d2를 비교하면, 상기 d1이 d2보다 좌안 내지 우안으로부터 거리가 더 멀다. 즉, 도 2(a)에서의 상이 도 3(b)에서의 상보다 좌안 및 우안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서 맺힌다.
이는 우 이미지 데이터와 좌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도면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면, 도 2(a)에서의 우 이미지 데이터(201)와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간격은, 도 2(b)에서의 우 이미지 데이터(203)와 좌 이미지 데이터(204)의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다.
그러므로 도 2(a) 및 2(b)에 근거하여 유추하면, 각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이 좁을수록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결합에 의해 맺혀지는 상은 사람의 눈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맺혀 멀게 느껴진다.
한편,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틸트(tilt) 내지 뎁스(depth)를 주거나 3D 이펙트(3D effect)를 주는 등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3D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컨텐츠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D 컨텐츠가 입력되면, 입력된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302)의 판단 결과,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이 수신되면, 소정의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에서 입력되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될 수도 있고,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입력될 수도 있다.
이 때, 2D 저장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차원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 수단의 용량이 제1 소정치 이하이거나, 상기 3D 컨텐츠의 용량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용량이 상기 저장 수단의 남은 저장 용량을 초과할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 수단의 용량이 20% 이하이거나, 3차원 컨텐츠의 용량이 100M 이상인 경우, 또는 3차원 컨텐츠의 용량이 저장 수단의 남은 저장 용량을 초과할 경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 수단은 데이터의 기록 및 유지가 가능한 수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03) 판단 결과,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계(S304)에서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고, 단계(S305)에서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MPEG 변환한 후,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이 때,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컨버팅하는 컨버터의 동작을 역으로 적용하면 3차원 컨텐츠로부터 2차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컨텐츠의 포맷 정보에 따라 3차원 컨텐츠에서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를 구분한 후, 구분된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원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3차원 컨텐츠가 외부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외부 입력 소스로부터 3차원 컨텐츠의 포맷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판단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해당 모듈에서 출력 대상인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대상인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3차원 컨텐츠의 포맷에 따라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가 구분되면,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2차원 컨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이미지 데이터는 좌측 눈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이미지 데이터이고, 우이미지 데이터는 우측 눈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이미지 데이터이므로, 좌이미지 데이터 및 우이미지 데이터를 좌측 눈과 우측 눈의 중앙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2차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303)의 판단 결과,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단계(S311)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3D 컨텐츠에 별다른 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 MPEG 변환 후,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단계(S306)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2차원 컨텐츠로 변환되어 저장된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S307)에서 3D 출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3D 출력 모드란 출력 대상인 영상 신호가 3차원 출력 포맷터에서 3차원 포맷으로 출력 처리되도록 설정되는 모드이고, 2D 출력 모드는 출력 대상인 영상 신호가 3차원 출력 포맷터를 바이패스하여, 2D 포맷으로 출력 처리되도록 설정되는 모드이다. 3D 출력 모드 설정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될 수 있다.
단계(S307)의 판단 결과, 3D 출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S308)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저장된 2D 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고, 단계(S309)에서 변환된 3D 컨텐츠를 3D 포맷으로 출력한다.
이 때, 2D 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컨버팅하는 컨버터의 동작에 의해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컨버팅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2차원 컨텐츠의 프레임별로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를 소정 간격으로 출력함으로써,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2차원 컨텐츠를 이용하여 좌이미지 데이터와 우이미지 데이터 생성 시, 렌더링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컨텐츠를 좌측에서 바라본 좌이미지 데이터와 2차원 컨텐츠를 우측에서 바라본 우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3차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는 변환된 3차원 컨텐츠를 라인 바이 라인, 프레임 시퀀셜, 체커 보드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필요할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방식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결정하고, 결정된 포맷으로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이 셔터 안경을 이용하는 방식인 경우, 3차원 컨텐츠를 프레임 시퀀셜 방식으로 생성한 후 출력할 수 있다.
단계(S307)의 판단 결과, 3D 출력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계(S310)에서 저장 수단에 저장된 2D 컨텐츠를 2D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출력 시 3D로 다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장 수단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3차원 컨텐츠의 포맷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D 콘텐츠는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데, (1) 하나의 객체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가 사람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서로 직교하도록 분리하여 입력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401), (2) 하나의 객체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가 상하로 입력하는 탑 앤 바텀(top and bottom) 포맷(402), (3) 하나의 객체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체스판 모양으로 시간적으로 번갈아 입력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포맷(403), (3)하나의 객체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시간차를 두어 입력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4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3D 컨텐츠의 포맷을 판단하여 좌이미지 데이터 및 우이미지 데이터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판단하여, 좌이미지 데이터(501) 및 우이미지 데이터(502)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좌이미지 데이터(501) 및 우이미지 데이터(502)를 이용하여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503)으로 변환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컨텐츠의 포맷에 따라 좌이미지 데이터(501)와 우이미지 데이터(502)가 구분되면, 좌이미지 데이터(501)와 우이미지 데이터(502)에 기초하여 2차원 컨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이미지 데이터(501)는 좌측 눈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이미지 데이터이고, 우이미지 데이터(502)는 우측 눈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이미지 데이터이므로, 좌이미지 데이터 및 우이미지 데이터를 좌측 눈과 우측 눈의 중앙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2차원 컨텐츠(503)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과정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으는 좌이미지 데이터(501) 및 우이미지 데이터(502) 중 하나를 2차원 컨텐츠(503)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2D 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2D 컨텐츠로 변환되어 저장된 3D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2D 컨텐츠(601)를 3D 컨텐츠(604)로 변환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는 2D 컨텐츠(601)를 이용하여 좌이미지 데이터(602) 및 우이미지 데이터(603)를 생성한 후, 좌이미지 데이터(602) 및 우이미지 데이터(603)를 소정 간격으로 출력함으로써, 3차원 컨텐츠(604)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2차원 컨텐츠(601)를 이용하여 좌이미지 데이터(602)와 우이미지 데이터(603) 생성 시, 렌더링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컨텐츠(601)를 좌측 안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좌이미지 데이터(602)와 2차원 컨텐츠(601)를 우측 안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우이미지 데이터(603)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3차원 컨텐츠(604)를 생성할 수 있다.
2D 컨텐츠(601)를 3D 컨텐츠(604)로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컨버팅하는 컨버터의 동작에 의해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컨버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컨텐츠의 뎁쓰를 조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7(a)의 경우에는 3차원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701)와 우 이미지 데이터(702)의 간격이 좁은 경우이고, 도 7(b)의 경우에는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704)와 우 이미지 데이터(705)의 간격이 넓은 경우이다.
따라서, 도 7(a)와 7(b)에서 각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에 따라 구현되는 3차원 이미지는 전술한 도 2의 원리에 근거하면 도 7(a)에서 구현된 3D 이미지(703)는 사람의 눈에서 먼 곳에 상이 맺혀 멀리 보이고, 도 7(b)에서 구현된 3D 이미지(706)는 사람의 눈에서 가까운 곳에 상이 맺혀 가까이 즉, 상대적으로 더 튀어 나와 보인다. 상술한 원리 즉,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3차원 컨텐츠에 적절한 정도의 뎁스를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싱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D/2D 컨버터(801), MPEG 변환부(802), 저장 수단(803), 제어부(804), 2D/3D 컨버터(805), 영상 처리부(806), 3D 포맷터(807), 디스플레이부(808), 사용자 입력부(8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09)는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809)는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804)는 3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2D 저장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 수단(803)의 용량이 제1 소정치 이하이거나, 상기 3D 컨텐츠의 용량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용량이 상기 저장 수단의 남은 저장 용량을 초과할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D/2D 컨버터(801)는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한다. 이 때,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MPEG 변환부(802)는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MPEG 변환한다.
저장 수단(803)은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저장한다.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2D/3D 컨버터(805)는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저장 수단(803)에 저장된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한다. 이 때,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2D/3D 컨버터(805)는, 3D 출력 모드 설정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806)는 3차원 컨텐츠를 영상 처리하고, 3D 출력 포맷터(807)는 변환된 3차원 컨텐츠를 3D 포맷으로 출력 처리한다. 이 때, 3D 출력 포맷터(807)는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808)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3차원 컨텐츠를 셔터 안경으로 시청 시에 동기가 맞도록 상기 구성된 3차원 컨텐츠에 관한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셔터 안경 내 IR 에미터(Emitter)(미도시)로 출력하여 셔터 안경에서 디스플레이 동기에 맞춰 시청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3D 출력 포맷터(807)의 스케일러는 3차원 컨텐츠를 출력을 위한 적절한 크기로 스케일링한다.
FRC는 3차원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로 조절한다.
출력 포맷터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방식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의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808)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인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101), 복조기(102), 역다중화부(103),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 저장부(108), 외부 입력 수신부(109), 디코더/스케일러(110), 제어부(115), 믹서(118), 3D 출력 포맷터(119) 및 디스플레이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는 도 9에서 도시되는 구성 이외에 필요한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튜너(101)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컨텐츠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기(102)는 튜너(101)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역다중화부(103)는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시그널링 정보를 역다중화(demultiplex)한다. 여기서, 상기 역다중화는 PID(Packet IDentifier) 필터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와 같은 SI(System Information) 정보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역다중화부(103)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비디오 신호는 디코더/스케일러(110)로 출력하고,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는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로 출력한다.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는 역다중화된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 제어부(115) 및 믹서(11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세서(104)는 상기 처리되는 시그널링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채널 매니저(106)와 채널 맵(107)을 포함한다. 채널 매니저(106)는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맵(107)을 형성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107)에 기초하여 채널 전환 등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코더/스케일러(110)는, 비디오 디코더(111), 오디오 디코더(112), 스케일러(113) 및 비디오 프로세서(114)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오디오 디코더(111/112)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스케일러(113)는 상기 디코더들(111/112)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을 위한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스케일링한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리모컨 등을 통한 사용자 등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상기 UI 구성을 위한 OSD 데이터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OSD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UI 구성을 위한 OSD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은 컨텐츠, UI 등을 출력한다.
믹서(118)는, 시그널링 프로세서(104), 디코더/스케일러(110)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입력을 믹싱하여 출력한다.
3D 포맷터(119)는 믹서(118)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구성한다. 여기서, 3D 포맷터(119)는 예를 들어, 2D 컨텐츠의 경우에는 바이패스 하고, 3D 컨텐츠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그 포맷 및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주파수 등에 맞게 3D 포맷으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23)는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3차원 컨텐츠의 저장 시,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2D 저장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 수단(108)의 용량이 제1 소정치 이하이거나, 상기 3D 컨텐츠의 용량이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용량이 상기 저장 수단의 남은 저장 용량을 초과할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D/2D 컨버터(122)는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한다. 이 때,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MPEG 변환부(124)는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MPEG 변환한다.
저장 수단(108)은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저장한다.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2D/3D 컨버터(125)는 제어부(115)의 명령에 따라, 저장 수단(108)에 저장된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한다. 이 때, 2차원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2D/3D 컨버터(125)는, 3D 출력 모드 설정 명령이 수신되고,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3D 포맷터(119)는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3차원 컨텐츠를 셔터 안경으로 시청 시에 동기가 맞도록 상기 구성된 3차원 컨텐츠에 관한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셔터 안경 내 IR 에미터(Emitter)(미도시)로 출력하여 셔터 안경에서 디스플레이 동기에 맞춰 시청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3D 포맷터(119)의 스케일러는 3차원 컨텐츠를 출력을 위한 적절한 크기로 스케일링한다. FRC는 3차원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프레임 레이트로 조절한다. 출력 포맷터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방식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의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D 저장 조건은 상기 저장 수단의 용량이 제1 소정치 이하이거나,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용량이 제2 소정치 이상거나, 상기 저장 수단의 남은 저장 용량이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용량 미만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3D 출력 모드 설정 명령을 수신되고,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3D 포맷으로 출력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컨텐츠를 상기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MPEG 변환한 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6. 디스플레이 기기에 있어서,
    3차원 컨텐츠의 저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소정의 2D 저장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2D 저장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3차원 컨텐츠를 2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3D/2D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D 저장 조건은 상기 저장 수단의 용량이 제1 소정치 이하이거나, 상기 3D 컨텐츠의 용량이 제2 소정치 이상이거나, 상기 저장 수단의 남은 저장 용량이 상기 3D 컨텐츠의 용량 미만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2D/3D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3차원 컨텐츠를 3D 포맷으로 출력 처리하는 3D 출력 포맷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2D/3D 컨버터는, 3D 출력 모드 설정 명령을 수신되고, 상기 3차원 컨텐츠의 출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상기 3차원 컨텐츠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2차원 컨텐츠를 MPEG 변환한 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MPEG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100076831A 2010-08-10 2010-08-10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120021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831A KR20120021593A (ko) 2010-08-10 2010-08-10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831A KR20120021593A (ko) 2010-08-10 2010-08-10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593A true KR20120021593A (ko) 2012-03-09

Family

ID=4612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831A KR20120021593A (ko) 2010-08-10 2010-08-10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15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80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69150B1 (ko)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US9137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US903046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s 3D image
KR201100445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KR20130088741A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캡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10134327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KR101719984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112940A (ko) 데이터 처리방법 및 수신 시스템
JP4991930B2 (ja) 立体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30266287A1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KR20110135053A (ko)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20021593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120011520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09897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6209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미리보기 제공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37068A (ko) 입체 영상 기기 및 화질 조절 방법
KR20120014701A (ko)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04673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662077B1 (ko)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651132B1 (ko) 3차원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6607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59891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139419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JP201106136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