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897A -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897A
KR20120009897A KR1020100070934A KR20100070934A KR20120009897A KR 20120009897 A KR20120009897 A KR 20120009897A KR 1020100070934 A KR1020100070934 A KR 1020100070934A KR 20100070934 A KR20100070934 A KR 20100070934A KR 20120009897 A KR20120009897 A KR 20120009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ser interface
user
content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897A/ko
Publication of KR2012000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컨텐츠 출력 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3차원 컨텐츠의 시청을 가리지 않는 최소화하는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METHOD FOR OUTPUTTING USERINTERFACE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컨텐츠 출력 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3차원 컨텐츠의 시청을 가리지 않는 최소화하는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 환경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하여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의 양이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2차원(2-dimensional: 2D)의 컨텐츠에 비해 보다 현실감과 입체감을 주는 3차원(3-dimensional: 3차원)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많이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사용자가 메뉴 출력을 선택하면, 메뉴가 출력되는 위치가 사용자의 위치 또는 3차원 컨텐츠의 출력 영역과는 상관없이 제조사의 설정대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메뉴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3차원 컨텐츠 출력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영역을 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3차원 컨텐츠의 영역을 반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으로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은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 단계; 상기 3차원 출력 모드 설정에 따라 2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단계;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은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3차원 출력 모드 설정에 따라 2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출력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 모듈; 상기 판단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출력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차원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경우, 3차원 컨텐츠 출력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3차원 컨텐츠 시청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의 출력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3차원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위치에 따라 뎁쓰값을 조정함으로써, 3차원 컨텐츠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 위치에 최적화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 또는 시차(이하 간격이라 함)에 따른 원근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외부 영역에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위치로부터 소정의 출력 위치에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이 조정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뎁쓰값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및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특정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3차원 컨텐츠를 보여주는 방식에는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다시 패시브(passive) 방식과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패시브 방식은 편광 필터를 사용해서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구분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또는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도 패시브 방식에 해당된다. 상기 액티브 방식은 액정 셔터를 이용하여 좌우 안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좌안(왼쪽 눈)과 우안(오른쪽 눈)을 순차적으로 가림으로써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액티브 방식은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 시킨 전자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이며, 시분할 방식(time split type) 또는 셔텨드 글래스(shuttered glass) 방식이라 하기도 한다.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 판을 이미지 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이미지 패널 상부에 주기적인 슬릿을 갖는 배리어 층을 구비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도 1은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 중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중 액티브 방식인 경우의 실시예이다. 다만, 액티브 방식의 매체로 셔터 안경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고,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셔터 안경(200)에서 시청 시에 동기가 맞도록 상기 구성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상기 셔터 안경 내 IR 에미터(Emitter)(미도시)로 출력하여 셔터 안경(200)에서 디스플레이 동기에 맞춰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
셔터 안경(200)은 IR 에미터(미도시)를 거쳐 수신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좌안 또는 우안 셔터 액정 패널의 오픈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 기기(100)에서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300)의 동기에 맞출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객체를 서로 다른 위치의 2개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사람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서로 직교하도록 분리하여 입력하면, 사람의 두뇌에서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결합되어 3차원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원리이다. 상기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열된다는 의미는, 각 이미지 데이터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은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 또는 시차(이하 간격이라 함)에 따른 원근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우 이미지 데이터(201)와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간격이 좁은 경우 상기 양 데이터가 겹합되어 맺히는 상의 위치(203)를 설명하고, 도 2(b)는 우 이미지 데이터(211)와 좌 이미지 데이터(212)의 간격이 넓은 경우 맺히는 상의 위치(213)를 설명하고 있다.
즉, 도 2(a) 내지 2(b)는 이미지 신호 처리장치에서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이 맺히는 원근감의 정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은 우안으로 우 이미지 데이터(201)의 일측과 다른 측을 바라보는 연장선(R1,R2)을 그리고, 좌안으로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일측과 다른 측을 바라보는 연장선(L1,L2)을 그릴 때, 상기 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R1)과 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L1)
이 우안 및 좌안으로부터 일정 거리(d1)에서 서로 교차되는 지점(203)에 맺힌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은 도 2(a)에서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하면 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R3)과 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연장선(L3)이 우안 및 좌안으로부터 일정 거리(d2)에서 서로 교차되는 지점(213)에서 맺힌다.
여기서, 좌안 및 우안으로부터 상이 맺히는 위치(203, 213)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도 2(a)에서 d1과 도 2(b)에서 d2를 비교하면, 상기 d1이 d2보다 좌안 내지 우안으로부터 거리가 더 멀다. 즉, 도 2(a)에서의 상이 도 3(b)에서의 상보다 좌안 및 우안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서 맺힌다.
이는 우 이미지 데이터와 좌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도면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면, 도 2(a)에서의 우 이미지 데이터(201)와 좌 이미지 데이터(202)의 간격은, 도 2(b)에서의 우 이미지 데이터(203)와 좌 이미지 데이터(204)의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다.
그러므로 도 2(a) 및 2(b)에 근거하여 유추하면, 각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이 좁을수록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결합에 의해 맺혀지는 상은 사람의 눈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맺혀 멀게 느껴진다.
한편,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틸트(tilt) 내지 뎁스(depth)를 주거나 3차원 이펙트(3차원 effect)를 주는 등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3차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계(S301)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의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단계(S302)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3차원 출력 모드란 출력 대상인 영상 신호가 3차원 출력 포맷터에서 3차원 포맷으로 출력 처리되도록 설정되는 모드이고, 2D 출력 모드는 출력 대상인 영상 신호가 3차원 출력 포맷터를 바이패스하여, 2D 포맷으로 출력 처리되도록 설정되는 모드이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컨텐츠가 입력되는 안경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 모드를 3차원 출력 모드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안경의 동작 여부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포함된 글래스 동작 감지부에서 수행할 수 있는데, 패시브 방식 또는 액티브 방식의 안경이 전원 온되어 제어 신호 또는 응답 신호가 디스플레이 기기로 수신되거나, 안경에 포함된 센서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안경으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안경이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02)의 판단 결과, 2D 출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계(S307)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2D로 출력한다.
단계(S302)의 판단 결과,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계(S303)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무안경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에 포함된 센서에서 사용자 위치를 디텍팅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경 방식인 경우, 셔터 안경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셔터 안경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셔터 안경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 안경은 위치 감지 센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센싱한 후, 센싱된 센싱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셔터 안경에서 센싱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셔터 안경의 위치, 즉 사용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IR 센서를 장착한 후, 셔터 안경에서 송출하는 IR 신호를 디텍팅하여 x,y,z 축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셔터 안경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지정된 패턴(셔터 안경 이미지 또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한 후, 인식된 패턴의 크기 및 각도를 분석하여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IR 송신 모듈을 장착하고, 셔터 안경에 IR 카메라를 장착한 후, IR 카메라에서 촬영된 IR 송신 모듈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셔터 안경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IR 송신 모듈이 복수로 장착되면, 셔터 안경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복수의 IR 송신 모듈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셔터 안경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셔터 안경의 위치가 사용자 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304)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2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고, 단계(S305)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위치를 판단하고, 단계(S306)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판단된 출력 위치로 이동시켜 3차원 포맷으로 출력한다.
이 때,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이란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과 외부 영역이 일부 중첩되는 영역을 말한다. 또한, 출력 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는 별도의 영상 분석기에서 3차원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판단하거나, 영상 신호 내에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가 실려올 경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신호 내에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H 포지션 정보 및 V 포지션 정보가 실려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 자리 영역으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포함된 영상 신호 분석기에서 영상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거나, 영상 신호의 에지를 검출하여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좌이미지 데이터 및 우이미지 데이터를 판단함으로써, 영상 신호에 포함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영역을 알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영역의 외부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으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2D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에 출력한 후,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뎁쓰값을 조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단계(S303)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설정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위치를 판단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안경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소정의 위치 감지 센서(401)를 포함하여, 셔터 안경(402)의 위치가 변화되는 지를 판단한다.
셔터 안경(402)는 소정의 IR 출력부 또는 IR 센서(403)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컨텐츠의 외부 영역에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2D 출력 모드에서 2D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를 출력한다.
사용자에 의해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되거나, 안경 동작에 따라 3차원 출력 모드로 자동 전환되면, 2D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되면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502)들은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503)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502)는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상하측으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504)들은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505)의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위치에서 보았을 때, 3차원 컨텐츠가 출력 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도록 출력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으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이동되어 출력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출력 형태 또는 출력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506, 507)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는 별도의 영상 분석기에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판단되거나, 영상 신호 내에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가 실려올 경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차원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경우, 3차원 컨텐츠 출력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3차원 컨텐츠 시청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위치로부터 소정의 출력 위치에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2D 출력 모드에서 2D 사용자 인터페이스(601)를 출력한다.
사용자에 의해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되거나, 안경 동작에 따라 3차원 출력 모드로 자동 전환되면, 2D 사용자 인터페이스(601)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604)로 변환되면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604)들은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될 수 있으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604)는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위치(605)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위치에서 보았을 때, 3차원 컨텐츠가 출력 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도록 출력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 위치인 셔터 안경(605)의 위치를 감지한 후, 디스플레이 기기와 셔터 안경(605)의 거리(602)를 계산하고, 이를 고려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 및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603)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와 셔터 안경(605) 사이의 거리(602)가 클수록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603)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이 조정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 Z1은 작은값으로 설정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먼 경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 Z2는 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차원 컨텐츠의 출력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3차원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위치에 따라 뎁쓰값을 조정함으로써, 3차원 컨텐츠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 위치에 최적화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8(a)의 경우에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801)와 우 이미지 데이터(802)의 간격이 좁은 경우이고, 도 8(b)의 경우에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804)와 우 이미지 데이터(805)의 간격이 넓은 경우이다.
따라서, 도 8(a)와 8(b)에서 각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에 따라 구현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도 2의 원리에 근거하면 도 8(a)에서 구현된 3차원 이미지(803)는 사람의 눈에서 먼 곳에 상이 맺혀 멀리 보이고, 도 8(b)에서 구현된 3차원 이미지(806)는 사람의 눈에서 가까운 곳에 상이 맺혀 가까이 즉, 상대적으로 더 튀어 나와 보인다. 상술한 원리 즉,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좌 이미지 데이터와 우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절한 정도의 뎁스를 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3차원 컨텐츠 출력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동 출력 여부(901), 이동 위치(902), 배열 형태(903)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컨텐츠 출력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동 출력을 선택할 경우, 이동 위치는 '상하측', '좌우측', '원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배열 형태는 '일렬', '원형' 배열 중 여러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뎁쓰값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와의 거리(1001)에 대응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뎁쓰값을 미리 저장한 후,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될 경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을 판단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은 작은값으로 설정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먼 경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뎁쓰값은 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인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101), 복조기(102), 역다중화부(103),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 저장 수단(108), 외부 입력 수신부(109), 디코더/스케일러(110), 제어부(115), 믹서(118), 출력 포맷터(119) 및 디스플레이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는 도 11에서 도시되는 구성 이외에 필요한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튜너(101)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컨텐츠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기(102)는 튜너(101)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역다중화부(103)는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시그널링 정보를 역다중화(demultiplex)한다. 여기서, 상기 역다중화는 PID(Packet IDentifier) 필터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와 같은 SI(System Information) 정보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역다중화부(103)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비디오 신호는 디코더/스케일러(110)로 출력하고,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는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로 출력한다.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104)는 역다중화된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 제어부(115) 및 믹서(11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프로세서(104)는 상기 처리되는 시그널링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채널 매니저(106)와 채널 맵(107)을 포함한다. 채널 매니저(106)는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맵(107)을 형성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107)에 기초하여 채널 전환 등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코더/스케일러(110)는, 비디오 디코더(111), 오디오 디코더(112), 스케일러(113) 및 비디오 프로세서(114)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오디오 디코더(111/112)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스케일러(113)는 상기 디코더들(111/112)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을 위한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스케일링한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리모컨 등을 통한 사용자 등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는 상기 UI 구성을 위한 OSD 데이터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OSD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UI 구성을 위한 OSD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은 컨텐츠, UI 등을 출력한다.
믹서(118)는, 시그널링 프로세서(104), 디코더/스케일러(110)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05)의 입력을 믹싱하여 출력한다.
출력 포맷터(119)는 믹서(118)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구성한다. 여기서, 출력 포맷터(119)는 예를 들어, 2D 컨텐츠의 경우에는 바이패스 하고, 3차원 컨텐츠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그 포맷 및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 주파수 등에 맞게 3차원 포맷으로 처리하는 출력 포맷터로 동작할 수 있다.
출력 포맷터(119)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셔터 안경(121)으로 시청 시에 동기가 맞도록 상기 구성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상기 셔터 안경 내 IR 에미터(Emitter)(미도시)로 출력하여 셔터 안경(121)에서 디스플레이 동기에 맞춰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값을 판단하는 위치 판단 모듈(122)을 더 포함하고, 위치 판단 모듈(122)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한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다.
출력 포맷터(119)는 3차원 출력 모드 설정에 따라 2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고, 제어부(115)는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한다.
출력 포맷터(119)는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한다.
이 때,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력 포맷터(119)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2D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에 출력한 후,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뎁쓰값을 조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 판단 모듈(122)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한다.
제어부(115)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 위치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5)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15)는, 3차원 컨텐츠가 입력되는 안경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설정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3)는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을 수신하고, 위치 판단 모듈(12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판단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고, 출력 포맷터(119)는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IR 에미터는 출력 포맷터(119)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셔터 안경(121) 내 수광부(미도시)로 출력하고, 셔터 안경(150)은 상기 수광부를 통해 IR 에미터(미도시)를 거쳐 수신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동기에 맞출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셔터 안경은 좌안 셔터 액정 패널(1200)과 우안 셔터 액정 패널(1230)을 구비한다. 셔터 액정 패널들(1200, 1230)은 소스 구동 전압에 따라 광을 단순히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기기에 좌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될 때, 좌안 셔터 액정 패널(1200)은 광을 통과시키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1230)은 광 투과를 차단하여, 좌 이미지 데이터가 셔터 안경 사용자의 좌측 눈에만 전달되게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에 우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될 때에는, 좌안 셔터 액정 패널(1200)은 광 투과를 차단하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1230)은 광을 통과시켜서, 우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자의 우측 눈에만 전달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셔터 안경(1150)의 적외선 송수신부(1160)는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70)에 제공한다. 제어부(1170)는 동기 기준 신호에 따라서 좌안 셔터 액정 패널(1200)과 우안 셔터 액정 패널(1230)이 교대로 온오프되게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안경는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IR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적외선 송수신부(1160)는 IR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튜너
102: 복조기
103: 역다중화부
104: 시그널링 정보 프로세서
105: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108: 저장 수단
109: 외부 입력 수신부
110: 디코더/스케일러
115: 제어부
118: 믹서
119: 출력 포맷터
120: 디스플레이부

Claims (22)

  1.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 단계;
    상기 3차원 출력 모드 설정에 따라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에 출력한 후,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뎁쓰값을 조정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입력되는 안경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설정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8.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입력되는 안경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설정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12.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있어서,
    3차원 출력 모드를 설정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3차원 출력 모드 설정에 따라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출력 포맷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포맷터는,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위치에 출력한 후,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뎁쓰값을 조정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단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입력되는 안경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9. 3차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있어서,
    3차원 출력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 모듈;
    상기 판단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출력 위치로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출력하는 출력 포맷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위치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기 3차원 컨텐츠에 포함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컨텐츠가 입력되는 안경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3차원 출력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환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출력 위치를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100070934A 2010-07-22 2010-07-22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120009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34A KR20120009897A (ko) 2010-07-22 2010-07-22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34A KR20120009897A (ko) 2010-07-22 2010-07-22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897A true KR20120009897A (ko) 2012-02-02

Family

ID=4583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934A KR20120009897A (ko) 2010-07-22 2010-07-22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8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22A1 (ko) * 2012-10-30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60002590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22A1 (ko) * 2012-10-30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0180766B2 (en) 2012-10-30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ing method therefor
KR20160002590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81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719980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JP5404246B2 (ja) 3次元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63592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728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7629A (ko)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911250B1 (ko) 입체영상 처리 장치 및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윗 스포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KR101719984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8808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3167311A (zh) 视频处理装置、视频处理方法和记录介质
KR20120009897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638959B1 (ko)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136326A (ko) 삼차원 입체안경의 수평각 정보를 반영한 삼차원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 시스템
KR101733488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1728724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11520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16607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20004673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662077B1 (ko)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59891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651132B1 (ko) 3차원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37068A (ko) 입체 영상 기기 및 화질 조절 방법
KR2011013656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안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8508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30052291A (ko) 입체영상 안경의 영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