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59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59B1
KR101872859B1 KR1020120006856A KR20120006856A KR101872859B1 KR 101872859 B1 KR101872859 B1 KR 101872859B1 KR 1020120006856 A KR1020120006856 A KR 1020120006856A KR 20120006856 A KR20120006856 A KR 20120006856A KR 101872859 B1 KR101872859 B1 KR 10187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ereoscopic image
image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784A (ko
Inventor
심정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59B1/ko
Priority to US13/680,346 priority patent/US9282310B2/en
Priority to EP12007970.2A priority patent/EP2618581B1/en
Priority to CN201210545132.3A priority patent/CN103227849B/zh
Publication of KR2013008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획득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저장한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저장한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키, 양 눈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상기 사용자는 복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양 눈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와 설정된 시청제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제한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없는 조건인 경우에,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에 포함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시간지연 되도록 상기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제한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없는 조건인 경우에,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에 포함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정렬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은, 특정 시점 이전의 제1 입체영상과, 상기 특정 시점 이후의 제2 입체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체영상에서 상기 제2 입체영상으로 전환되면, 음향의 출력을 제1 볼륨에서 제2 볼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륨은, 상기 제1 볼륨보다 출력이 작은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키, 양 눈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와 설정된 시청제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복수이며, 상기 획득한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와 설정된 시청제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상기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특정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이 제1 입체영상에서 제2 입체영상으로 전환되면, 음향의 출력을 제1 볼륨에서 제2 볼륨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도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12 는 도 8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식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의 눈 사이 거리에 따른 초점거리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특정 방송에 대한 제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시청이 제한된 콘텐츠에 대한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통상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나열한 것이다. 따라서 이에 도시한 구성요소들 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장치(device)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수신부(111), 인터넷모듈부(113), 근거리통신모듈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111)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111)는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111)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인터넷모듈부(113)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인터넷모듈부(11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부(114)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2D 또는 3D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21) 일 수 있으며, 2D 또는 3D 카메라가 단독 혹은 그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출력부(152)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영상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부(182)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82)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는 사람의 좌안과 우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좌안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면, 그 합성된 영상은 사람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아래에서는, 사람이 양안시차에 따라 입체감을 느끼는 현상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를 일으키는 영상을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object)가 입체시를 일으키는 경우, 해당 객체를 '입체 객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양안시차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 방법은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과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파장 선택성이 있는 색안경을 이용하는 방식, 편광차에 따른 차광 효과를 이용한 편광 안경 방식, 눈의 잔상 시간 내에 좌우의 화상을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좌우안에 각각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투과율의 차로부터 오는 시각계의 시간차에 따라서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입체감을 얻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관찰자 쪽이 아닌 영상 표시면 쪽에서 입체감이 발생하는 방식인 무안경식에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방식 등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에 대한 광학적인 변별 지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통과한 영상은 좌안(82a)과 우안(82a)에서 분리되어 관찰되고,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수직 격자 모양의 패럴랙스 배리어(81b)를 포함한다.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해 좌안(82a)과 우안(82b)에서 영상이 분리되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입체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하고,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입체영상 표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영상 객체(10, 11)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입체영상은,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은, 제1 영상 객체(10)와 제2 영상 객체(11)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영상 객체(10, 11)를 상정하였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영상 객체가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카메라 프리뷰(preview)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객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안시차(stereo disparity)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3D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객체(10) 및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입체영상에 포함된 영상 객체의 양안시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객체(10)는, 사용자가 좌안(20a)으로 보는 좌안영상(10a)과 우안(20b)으로 보는 우안영상(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좌안영상(10a)과 상기 우안영상(10b)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객체(10)에 대응되는 양안시차(d1)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21)가 2D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소정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2D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변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생성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와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영상 객체들(10, 11)의 양안시차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d1)와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d2)는 서로 다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가 d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영상 객체(11)가 상기 제1 영상 객체(10)보다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객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대응되는 양안시차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용자 측으로 돌출된 듯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제1 영상 객체(10)를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의 위치가, 도 5와는 반대로 표시될 수 있다.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의 위치가 반대로 표시되면, 좌안(20a)과 우안(20b)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영상이 보여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영상 객체(10)가 시선이 교차하는 지점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 표시된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양(+)의 깊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디스플레이부(151) 보다 후방에 제1 영상 객체(10)가 표시된 듯한 음(-)의 깊이감을 느끼게 되는 도 5의 경우와 상이하다.
제어부(180)는 필요에 따라서, 양 또는 음의 깊이감을 느끼도록 입체영상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입체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안시차에 따른 효과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51)의 물리적인 위치보다 양 및/또는 음의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시된 영상일 수 있다.
입체영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디바이스(device)로부터 유선 및/또는 무선의 통신방법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입체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서 촬영된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키, 양 눈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된 카메라(도 9의 121)를 통하여 획득되거나, 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도 11의 200)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다양한 방법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입체영상은, 획득되는 시점에 이미 입체시에 의한 깊이감의 정도가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즉, 특정한 범위 내의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성인이 시청하는 경우에 최적의 입체시를 느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입체영상이 특정 범위 내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체시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그 범위에 속하지 않는 사용자는 최적화된 입체효과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에게 최적화된 입체시를 느끼도록 설정되어 있는 입체영상을 아이가 시청하는 경우에는, 입체시의 효과가 지나쳐 어지러움 등을 느끼거나 입체시의 효과를 덜 느끼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입체영상을 통하여 최적화된 입체시를 느끼기 위한 주요한 요건 중의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입체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사용자의 양 눈 사이의 거리차에 의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다르다면, 동일한 입체영상의 경우에도 다른 입체효과를 느끼게 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획득한 입체영상을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입체영상의 입체시 효과를 더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라면 어린이의 눈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입체영상을 변경하고, 사용자가 노인인 경우라면 노인의 눈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입체영상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가 입체영상의 속성을 사용자에 최적화되도록 변경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최적화된 입체효과를 느낄 수 있다. 나아가, 입체영상의 입체시 효과과 최적화되지 않아서 느낄 수 있는 어지럼증 등의 부작용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1, U2)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12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12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U1, U2)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된 사용자(U1, U2)의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1, U2)의 영상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체격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U1, U2)의 나이를 추정하거나, 직접적으로 사용자(U1, U2)의 눈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한 눈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크게 및/또는 작게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U1, U2)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과 어린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사용자(U1, U2)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나이가 어린 사용자를 중심으로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포함하는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양눈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양눈 사이의 거리가 짧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동작함으로,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어린이가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12 는 도 8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식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인 양안거리(ED)를 획득할 수 있다.
양안거리(ED)는, 카메라(도 9의 121)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U1, U2)의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한 영상에서 특정 사용자(U1, U2)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사용자(U1, U2)의 영상에서 머리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머리의 영상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어두운 부분을 양 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양 눈은 상대적으로 밝은 이마와 코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200)에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200)에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눈 사이의 거리 등 각종 신체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200)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정한 반경 이내에 진입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기(200)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사용자(U1, U2)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U1, U2)의 나이, 성별 등을 회득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이를 알면, 그 나이에 대응된 통상적인 눈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5세의 경우의 눈 사이의 거리는 a, 8세는 b, 12세는 c, 21세는 d 라는 통계적인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획득한 각 사용자(U1, U2)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U1, U2)에게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U1, U2)의 눈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입체영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은 사용자의 눈 사이 거리에 따른 초점거리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에 따른 초점거리의 차이에 따라서 입체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는, 제2 사용자 양안거리(EU2)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은 성인 사용자에 대응된 눈 사이 거리이고, 제2 사용자 양안거리(EU2)는 어린이 사용자에 대응된 눈 사이 거리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에 의하면 초점은 제1 위치(F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양안거리(EU2)에 의하면 초점은 제2 위치(F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동일한 입체영상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서로 다른 입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수신된 입체영상은,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에 최적화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인 경우에 가장 자연스러운 입체감이 느껴지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을 제2 사용자 양안거리(EU2)를 가지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경우에 입체감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로 설정된 입체영상을 제2 사용자 양안거리(EU2)를 가진 사용자가 시청하는 경우에, 제2 사용자 양안거리(EU2)를 가진 사용자는 현기증 등의 증상을 느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1)로 설정된 입체영상을 획득한 경우에도, 제1 사용자 양안거리(EU2)를 가진 사용자가 시청하는 경우에는 그에 적절하도록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에 불편함이 없는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입체영상의 속성이 변경되는 상황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입체영상의 속성이 변경되는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알림창(PM)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알림창(PM)에는 입체영상이 변경되고 있다는 점 및/또는 입체영상이 변경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진행바(progress bar)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창(PM)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입체영상이 변형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도 15는 특정 방송에 대한 제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특정 방송의 표시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채널 중에서 특정한 채널의 표시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5, 9, 11 등은 제한없이 시청가능하도록 하고, 성인채널인 채널 35는 19세 이하는 시청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시청가능한 연령 및/또는 시청가능한 채널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청제한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채널을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채널단위로 시청제한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상황에서 시청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그룹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시청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특정 채널에 대해서 시청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되, 그 채널의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시청이 불가능 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시청이 불가능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시청이 제한된 콘텐츠에 대한 표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동기화(sync.)되지 않도록 하여 입체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주기로 동기신호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청제한이 설정된 콘텐츠, 채널 또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어부(180)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동기화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다. 즉,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표시 사이에 시간지연(time delay, dt)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표시 사이에 시간지연(dt)가 발생하면, 입체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시청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시청제한이 설정된 콘텐츠, 채널 또는 프로그램의 정렬(align)이 맞지 않도록 함으로써 입체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입체영상은 좌안영상(LI)과 우안영상(RI)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좌안영상(LI)과 우안영상(RI)의 정렬을 흐트림으로써 입체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영상(LI)의 중심지점과 우안영상(RI)의 중심지점이 상호 일치하지 않도록 표시함으로써 입체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한 콘텐츠, 채널 또는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시점에 볼륨이 조절할 수 있다.
t1 시점 이전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볼륨(V1) 상태일 수 있다.
t1 시점을 기점으로, A 채널에서 B채널로 변경될 수 있다.
t1 시점에 채널이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제1 볼륨(V1)에서 기 설정된 볼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채널은 상대적으로 음량이 작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었고, B 채널은 상대적으로 음량이 큰 음악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볼륨의 크기에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채널이 변경되는 순간에 제1 볼륨(V1)에서 기 설정된 볼륨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t1 시점에 성인채널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시점에 볼륨을 작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볼륨(V2)에서 기설정된 볼륨으로 크게 할 수도 있다. t1 시점에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채널 뿐만 아니라 특정 콘텐츠, 프로그램 등이 t1 시점에 변경되는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6)

  1. 획득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저장한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 및 설정된 시청제한정보에 따라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제한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없는 조건인 경우에,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에 포함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시간지연 되도록 상기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키, 양 눈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상기 사용자는 복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양 눈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체영상의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제한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없는 조건인 경우에,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에 포함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정렬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속성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입체영상은,
    특정 시점 이전의 제1 입체영상과, 상기 특정 시점 이후의 제2 입체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체영상에서 상기 제2 입체영상으로 전환되면, 음향의 출력을 제1 볼륨에서 제2 볼륨으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륨은,
    상기 제1 볼륨보다 출력이 작은 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006856A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56A KR101872859B1 (ko)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680,346 US9282310B2 (en) 2012-01-20 2012-11-1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2007970.2A EP2618581B1 (en) 2012-01-20 2012-11-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545132.3A CN103227849B (zh) 2012-01-20 2012-12-14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56A KR101872859B1 (ko)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84A KR20130085784A (ko) 2013-07-30
KR101872859B1 true KR101872859B1 (ko) 2018-06-29

Family

ID=4742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56A KR101872859B1 (ko)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2310B2 (ko)
EP (1) EP2618581B1 (ko)
KR (1) KR101872859B1 (ko)
CN (1) CN1032278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0805B2 (en) * 2012-12-06 2018-10-23 Sandisk Technologies Llc Head mountable camera system
US10061349B2 (en) * 2012-12-06 2018-08-28 Sandisk Technologies Llc Head mountable camera system
US20140212115A1 (en) * 2013-01-31 2014-07-3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disc with three-dimensional viewing depth
KR102104355B1 (ko) 2013-08-30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5450B1 (ko) * 2014-05-22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284039A4 (en) * 2015-04-17 2019-07-24 Tulip Interfaces Inc. CONTAINERIZED COMMUNICATION GATEWAY
EP3096514A1 (en) * 2015-05-22 201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JP6518582B2 (ja) * 2015-12-21 2019-05-2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操作受付方法
JP2017211694A (ja) * 2016-05-23 2017-1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00908B (zh) * 2016-06-28 2019-03-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7099444B2 (ja) * 2017-04-03 2022-07-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6873B1 (ko) * 2018-07-18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입체 클러스터,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입체 화면 제공 방법
JP7284053B2 (ja) * 2019-09-25 2023-05-30 京セラ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移動体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設計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3890A1 (en) * 2009-07-13 2011-01-20 Taiji Sasaki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JP2012009010A (ja) * 2010-05-25 2012-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012B1 (ko) * 1998-09-14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채널변경방법
US6529209B1 (en) * 2000-01-12 2003-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privately viewable data in a publically viewable display
US6552753B1 (en) * 2000-10-19 2003-04-22 Ilya Zhurbinskiy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uniform sound volume for televisions and other systems
US8300043B2 (en) * 2004-06-24 2012-10-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G Proximity assisted 3D rendering
US20060139447A1 (en) * 2004-12-23 2006-06-29 Unkrich Mark A Ey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a three-dimensional display
CN102172033B (zh) * 2009-06-17 2013-07-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生装置、记录方法、记录介质再生系统
US20110013888A1 (en) * 2009-06-18 2011-01-20 Taiji Sasaki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layback device for playing back 3d images
JP2011064894A (ja) 2009-09-16 2011-03-31 Fujifilm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EP2309764A1 (en) 2009-09-16 2011-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screen size compensation
JP5299214B2 (ja) 2009-10-20 2013-09-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154384A1 (en) * 2009-12-21 2011-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user-oriented sensory effect contents service
US20110285820A1 (en) * 2010-05-18 2011-11-24 Bittner Martin C Using 3d technology to provide secure data viewing on a display
CN102316335A (zh) * 2010-07-09 2012-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效果控制装置、方法及电子设备
WO2012071466A2 (en) * 2010-11-24 2012-05-31 Aria Glass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cenes by a user
JP5478728B2 (ja) * 2011-03-03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映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立体映像表示装置
WO2012175039A1 (zh) * 2011-06-22 2012-12-27 加拿大准视有限责任公司 基于时域心理视觉调制的图像/信息显示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3890A1 (en) * 2009-07-13 2011-01-20 Taiji Sasaki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JP2012009010A (ja) * 2010-05-25 2012-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7849B (zh) 2016-12-28
CN103227849A (zh) 2013-07-31
KR20130085784A (ko) 2013-07-30
US9282310B2 (en) 2016-03-08
EP2618581A2 (en) 2013-07-24
US20130188021A1 (en) 2013-07-25
EP2618581B1 (en) 2019-08-14
EP2618581A3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8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887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691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91240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6252849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US97061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24279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03364A (ko)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06742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7286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03381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016094A1 (en) Vergence control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contro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30065074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JP4955718B2 (ja) 立体表示制御装置、立体表示システムおよび立体表示制御方法
KR10167340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830655B1 (ko) 스테레오 스코픽 카메라에서 라이브 뷰 영상 표시 방법
KR20120009897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279519B1 (ko) 입체영상 안경의 영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82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92440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64698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870723B1 (ko) 3-d tv 안경의 착용 상태에 따른 3-d tv출력모드 전환
KR1016152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710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2013006507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