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250A - 배수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250A
KR20110088250A KR1020100008071A KR20100008071A KR20110088250A KR 20110088250 A KR20110088250 A KR 20110088250A KR 1020100008071 A KR1020100008071 A KR 1020100008071A KR 20100008071 A KR20100008071 A KR 20100008071A KR 20110088250 A KR20110088250 A KR 2011008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residual
water purifier
trans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175B1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이투산업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투산업환경 filed Critical (주)이투산업환경
Priority to KR102010000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1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집수조 및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집수조에 모았다가 정수기를 이용하여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고,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정수기의 각 필터(1차 필터, 2차 필터, 3차 필터)별 압력을 측정해 각 필터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를 위해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정수기의 히터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 및 석면 분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의 잔수를 여과하여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는, 배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배수 여과 장치{A DRAIN WATER 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집수조 및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집수조에 모았다가 정수기를 이용하여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고,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정수기의 각 필터(1차 필터, 2차 필터, 3차 필터)별 압력을 측정해 각 필터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를 위해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정수기의 히터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 및 석면 분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의 잔수를 여과하여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는, 배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면은 다른 물질과의 결합력이 뛰어나고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불연성/단열성/내구성/절연성/보온성이 뛰어나 건축 자재, 방화재, 내화재, 보온재, 단열재, 전기 절연재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 석면 분진이 발암 물질로 알려지면서 그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한편, 석면 분진의 위험성이 알려지기 이전의 기존 건축물들은 대부분 석면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산업안전보건법 등에 의해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을 멸실/개수/보수 등을 하는 경우에 사전에 관할 지방노동청 등에 신고를 하여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된다.
석면 해체/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로는 음압기(일명 석면 포집기, 석면 집진기, 공기 여과 장치, 공기 정화 장치), 샤워 시설[클린룸 등에 설치되는 물 샤워기, 에어 샤워기]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건축물의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마친 작업자는 클린룸에서 작업복에 묻은 석면 분진을 에어 샤워기를 사용해 제거하고, 작업복 탈의 후에 물 샤워기를 사용해 몸에 묻어 있는 석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샤워를 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샤워를 통해 작업자는 석면 분진으로부터 깨끗한 상태가 되나, 샤워에 사용된 물에 석면 분진이 포함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물을 올바르게 처리하는 것이 석면으로 인한 주위 사람들 건강, 주변 환경 오염을 고려한다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런데, 현재 석면 해체/제거 작업에서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어떻게 처리해야 되는지에 관한 명문화된 규정이 없기에 석면 해체/제거 작업 수행업체에서는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집수조에 모았다가 폐수업체를 통해 방뇨하고 있으며, 심지어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지표면에 배출되도록 방치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 분야의 배수 여과 장치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석면 해체/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반드시 요구되어야 된다.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먹는 물 수준의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어야 되며, 그에 따라 하수구가 아닌 지표면 등과 같이 어떠한 장소에도 배출할 수 있어야 된다.
또한, 단일 장비가 아닌 집수조 및 정수기로 이원화된 장비로 효율적인 배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된다.
또한, 석면 해체/제거 작업이 장시간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해 정수기도 장시간 구동되어 부하가 걸리는 점, 수시로 수많은 작업자의 샤워 행위가 이루어지고 옷을 벗은 상태의 작업자가 정수기를 동작시키기 어려운 점, 정수기가 클린룸 밖에 설치되는 점 등을 고려해 배수 처리 동작 자동 수행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장비에 문외한 작업자가 정수기의 각 필터의 교체 시기를 손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된다.
또한, 동절기에도 정수기가 사용되는 점을 고려해 정수기에 남아 있는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를 위한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정수기에 남아 있는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작업장에서 정수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하는데 있어 정수기 흔들림, 부주의로 인한 정수기 파손, 필터 훼손, 필터에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이송하는 호스 훼손 등에 따라 잔수에 의한 석면 분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집수조에 모았다가 정수기를 이용하여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고,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정수기의 각 필터(1차 필터, 2차 필터, 3차 필터)별 압력을 측정해 각 필터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를 위해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정수기의 히터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 및 석면 분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의 잔수를 여과하여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는, 배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상기 정수기(12)는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 제어모듈(33), 배수 펌프(34)를 구비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상기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가 온(on)되면 제어모듈(33)이 배수 펌프(34)를 구동시켜, 이 배수 펌프(34)가 상기 수송관(16)을 통해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빨아 들여 내부 수송관을 통해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이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그 내부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다수의 수위 프로브(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기(12)는 수위 센서(31), 제어모듈(33), 배수 펌프(34)를 구비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수위 센서(31)가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에 연결된 상기 집수조(11)의 수위 프로브(20)를 통해 감지한 물 높이를 토대로 제어모듈(33)이 집수조(11)에 모인 물 높이에 따라 배수 펌프(34)를 자동으로 구동 시작 또는 구동 중지되도록 제어해 배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상기 정수기(12)는 상기 수송관(16)을 통해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빨아 들여 내부 수송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해 여과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압력 계측기들을 구비하여, 내부 수송관 연결을 통해 상기 각 필터를 통과한 물을 이 필터 압력 계측기로 이송되도록 하여 각 필터별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상기 정수기(12)는 상기 수송관(16)을 통해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빨아 들여 내부 수송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해 여과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잔수 펌프들을 구비하여, 상기 정수기(12)의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을 빨아 들여 순서대로 상기 필터들에 통과시켜 여과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기 정수기(12)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가 구비되어 있고, 외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32)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모듈(33)이 상기 온도 센서(32)에서 감지한 외부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히터를 동작시켜 정수기 내부를 방열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먹는 물 수준의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 지표면 등과 같이 어떠한 장소에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처리 자동 동작 기능을 통해, 정수기의 장시간 구동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샤워를 하는 작업자의 정수기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에 문외한 작업자가 정수기의 각 필터의 교체 시기를 손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절기에 정수기 사용 후 잔수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정수기에 남아 있는 잔수에 의한 석면 분진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여과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를 위해 정수기의 히터를 자동으로 동작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사시도.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여과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보여주기 위한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수에 의한 동파 방지를 위해 정수기의 히터를 자동으로 동작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배수 여과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배수 여과 장치는 각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형태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여과 장치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로서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도 1과 같이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클린룸 등에 설치되는 물 샤워기(14), 에어 샤워기(미도시)]의 발판으로서 설치되며, 정수기(12)는 집수조(11)와 호스(16)를 통해 연결되어 샤워 시설(13)의 외부에 설치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물의 이송 경로(통로) 기능을 하는 수송관(배관)으로서 호스를 예로 들기로 하며, 이러한 호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배수 여과 장치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집수조(11)에 모았다가 정수기(12)를 이용하여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15) 등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조(11)의 상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11)의 측면에는 정수기(12)와의 연결을 위한 호스(16)[즉 집수조로부터 정수기로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이송하는 연결 호스]가 착탈되는 유출구(17)가 장착되어 있고, 특히 집수조(11)의 외부 측면에는 정수기(12)의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이 장착되는 수위 센서 연결 포트(19)가 구비되고, 이 수위 센서 연결 포트(19)에 대응되게 집수조(11)의 내부 측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다수(예; 3개)의 수위 프로브(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집수조(11)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가볍고, 튼튼해 운반 편의성, 내구성 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해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2)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와 같이 정수기(12)의 외부 측면에는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 잔수 처리 구동 스위치(22), 다수의 필터 압력 계기판[즉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 다수의 잔수 밸브[즉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집수조측 유입구(29), 하수구측 유출구(3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수기(12)의 사용법, 작동 방식, 기능 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2)는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 잔수 처리 구동 스위치(22),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집수조측 유입구(29), 하수구측 유출구(30), 수위 센서(31) 및 온도 센서(32)가 구비된 제어모듈(33), 대형의 배수 펌프(34), 다수의 필터[즉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 다수의 필터 압력계[즉 1차 필터 압력계(38), 2차 필터 압력계(39), 3차 필터 압력계(40)], 제1 원터치 피팅(ONE TOUCH FITTING)(41), 제2 원터치 피팅(42), 장비 내부 양측에 설치된 다수(예; 2개)의 히터(43), 소형의 제1 잔수 펌프(44), 제2 잔수 펌프(45), 제3 잔수 펌프(46), 속 티(TEE)(47)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정수기(12)의 내부에서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해당 구성요소로 이송하는 다수의 호스(48)[즉 내부 수송관]가 각 구성요소간에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이러한 호스(48)를 구성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측의 연결 부재, 호스(48)측의 연결 부재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부호를 붙이지 않기로 하며, 당업자 수준에서 이해될 정도이기에 그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b를 참조해 배수 처리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정수기(12)에 1차 필터(35), 2차 필터(36) 및 3차 필터(37) 등과 같은 고밀도의 다중 필터 시스템을 탑재하며, 이러한 필터를 통해 샤워 시설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먹는 물 수준의 깨끗한 물로 여과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1차 필터(35)의 예로서 세드먼트 필터[P/S 1 ㎛], 상기 2차 필터(36)의 예로서 카본 필터[P/S 1 ㎛], 상기 3차 필터(37)의 예로서 UF(중공사) 필터[P/S 0.2 ㎛, 99.9 % 최소 여과율(retention rate)]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각 필터(35, 36, 37)는 필터 하우징에 내장된 형태로 정수기(12)의 상면에 장착된 필터 소켓에 끼워지는 형태로 그 필터 교체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의 이송 경로를 참작해 배수 처리 기능을 살펴보면,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가 온(on)되면 제어모듈(33)은 배수 펌프(34)를 구동시키며, 그에 따라 배수 펌프(34)가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집수조(11)의 유출구(17), 호스(16), 집수조측 유입구(29)를 통해 빨아 들여 호스를 통해 1차 필터(35)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1차 필터(35)에서 비교적 큰 입자의 석면 분진이 1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호스를 통해 2차 필터(36)로 보내지게 되며, 2차 필터(36)에서 석면 분진이 2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호스를 통해 3차 필터(37)로 보내지게 되며, 3차 필터(37)에서 석면 분진이 최종적으로(완전히) 여과된 물이 호스를 통해 하수구측 유출구(30)로 보내지게 된다. 그에 따라 하수구측 유출구(30)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깨끗한 물이 하수구(15) 등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 처리 기능에 있어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모두가 잠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수 펌프(34)에서 빨아들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의 이송 경로를 1차 필터(35), 2차 필터(36) 및 3차 필터(37)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b, 도 4, 도 5a 및 도 5b,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의 배수 여과 장치[정수기(12) 및 집수조(11)]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해 집수조의 물 높이를 단계별로 감지하여 배수 처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11)의 수위 센서 연결 포트(19)에 정수기(12)의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이 연결되는데, 집수조(11)의 내부 측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수위 프로브(20)[즉 제1 수위 프로브(20a), 제2 수위 프로브(20b), 제3 수위 프로브(20c)]가 장착되어 있으며, 집수조(11)의 수위 센서 연결 포트(19)에는 수위 프로브(20a, 20b, 20c)와 연결되는 다수(3개)의 핀이 장착되어 있으며,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에는 수위 센서 연결 포트(19)의 핀에 끼워지는 다수(3개)의 홈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을 통해 집수조(11)의 수위 프로브(20a, 20b, 20c)와 정수기(12)의 수위 센서(31)가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샤워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이 집수조(11)에 모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물이 조금이라도 모일 때마다 정수기(12)의 배수 펌프(34)를 구동시켜 집수조(11)로부터 정수기(12)로 물을 이송(빨아들이기)하는 것이 아니라, 집수조(11)에 일정 높이의 물이 모이는 경우에 정수기(12)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배수 처리를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정수기(12)의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가 온된 상태이더라도 배수 펌프(34)가 항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집수조(11)의 물 높이에 따라 배수 펌프(34)가 구동 시작 또는 구동 중지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물이 전도체로서 기능하는 점에 착안해, 정수기(12)의 수위 센서(31)에서는 정수기(12)의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 수위 센서 연결 포트(19)를 통해 수위 프로브(20a, 20b, 20c)로 전류를 흘려 보내며, 도 4의 '③'의 집수조 높이까지 물이 참에 따라 제2 수위 프로브(20b)와 제3 수위 프로브(20c)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수위 센서(31)에서 감지되면 제어모듈(33)이 배수 펌프(34)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배수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덧붙여, 이때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수기 배수 처리 동작 수행 중에 도 4의 '②'의 집수조 높이 아래로 물이 떨어짐에 따라 제1 수위 프로브(20a)와 제2 수위 프로브(20b)가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되는 것이 수위 센서(31)에서 감지되면 제어모듈(33)이 배수 펌프(34)의 구동을 중지시켜 자동으로 배수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3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는 1차 필터 압력계(38), 2차 필터 압력계(39), 3차 필터 압력계(40)의 후단이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의 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 1차 필터 압력계(38)와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이 일체형이고, 2차 필터 압력계(39)와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이 일체형이고, 3차 필터 압력계(40)와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이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터 압력계(38, 39, 40)에는 각각의 연결구(49, 50, 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연결구(49, 50, 51)에 각각의 호스가 연결되어 정수기(12)의 각 필터(35, 36, 37)를 통과한 물이 각각의 필터 압력계(38, 39, 40)로 전달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1차 필터(35)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연결구(52, 53)를 형성하고, 2차 필터(36)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연결구(54, 55)를 형성하고, 3차 필터(37)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연결구(56, 57)를 형성해 놓는다. 여기서 각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구(52, 54, 56)가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이며, 각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구(53, 55, 57)는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과 무관한 것으로서 이는 하기에서 후술할 잔수 처리 기능과 관계된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정수기(12)에서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과 잔수 처리 기능이 모두 구현될 수 있도록 제1 원터치 피팅(41) 및 제2 원터치 피팅(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원터치 피팅(41) 및 제2 원터치 피팅(42)은 'ㅏ' 자형의 호스 연결용 원터치 피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차 필터(35)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2)와 1차 필터 압력계(38)의 연결구(49)를 호스로 서로 연결하고, 2차 필터(36)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4)와 제1 원터치 피팅(41)을 호스로 서로 연결하고, 이 제1 원터치 피팅(41)과 2차 필터 압력계(39)의 연결구(50)를 호스로 서로 연결하고, 3차 필터(37)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6)와 제2 원터치 피팅(42)을 호스로 서로 연결하고, 이 제2 원터치 피팅(42)과 3차 필터 압력계(40)의 연결구(51)를 호스로 서로 연결한다. 한편 잔수 처리 기능을 위한 각각의 호스가 제1 원터치 피팅(41) 및 제2 원터치 피팅(42)에 각각 연결된다.
위와 같은 장착 및 연결 구조를 갖는 상태에서 물의 이송 경로를 참작해 배수 처리 기능과 함께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살펴보면, 1차 필터(35)를 통과한 물은 2차 필터(36)측으로 보내짐과 동시에 1차 필터(35)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2), 호스 및 1차 필터 압력계(38)의 연결구(49)를 통해 1차 필터 압력계(38)로 전달되며, 이에 1차 필터 압력계(38)에서는 이 1차 필터(35)를 통과한 물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여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을 통해 그 필터 압력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2차 필터(36)를 통과한 물은 3차 필터(37)측으로 보내짐과 동시에 2차 필터(36)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4), 호스, 제1 원터치 피팅(41) 및 2차 필터 압력계(39)의 연결구(50)를 통해 2차 필터 압력계(39)로 전달되며, 이에 2차 필터 압력계(39)에서는 이 2차 필터(36)를 통과한 물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여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을 통해 그 필터 압력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3차 필터(37)를 통과한 물은 하수구측 유출구(30)측으로 보내짐과 동시에 3차 필터(37)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6), 호스, 제2 원터치 피팅(42) 및 3차 필터 압력계(40)의 연결구(51)를 통해 3차 필터 압력계(40)로 전달되며, 이에 3차 필터 압력계(40)에서는 이 3차 필터(37)를 통과한 물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여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을 통해 그 필터 압력 정보를 표시한다.
덧붙여, 위와 같이 각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구(53, 55, 57)는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과 무관한 것이나, 잔수 처리 기능도 구현된 정수기인 경우라면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에서도 각 필터 하우징 하부의 연결구(53, 55, 57)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잔수 밸브(26, 27, 28)를 모두 잠궈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정수기의 각 필터별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사용자)가 각 필터의 교체 시기를 손쉽게 확인,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의 1차 필터 압력계(38)에서 측정해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에 표시되는 1차 필터 압력 정보를 통해 집수조(11)측에 설치된 필터(예; 부직포 등)의 상태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샤워 시설에서 나온 물이 석면 분진을 포함하고 있기에 집수조(11)의 유출구(17)의 끝단에도 부직포 등과 같은 필터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1차 필터 압력 정보가 집수조측 필터 압력 정보도 일부 포함하기에 이를 통해 집수조측 필터 교체 시기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터 압력 정보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면, 물이 꽉찬 상태의 필터에 이물질(즉 석면 분진)이 많이 묻으면 그 압력이 떨어지는데, 이러한 필터 오염은 여과 기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압력이 떨어지는 것은 집수조(11)에 모이는 물의 양이 정수기(12)의 필터링 처리량을 초과, 즉 집수조(11)에 물이 차는 속도가 빼는 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집수조(11)의 상부로 물이 유출(결국 샤워하는 작업자의 몸에 석면 분진이 묻는 현상 초래)되기에 이러한 경우에 필터를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b, 도 6을 참조해 히터 자동 동작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2)의 내부 양측에는 다수(예; 2개)의 히터(일명 라디에이터)(43)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수기(12)의 내부에 잔수가 남아 있는 것, 즉 잔수가 각 필터, 펌프들, 호스들, 원터칭 피팅들, 잔수 밸브들 등에 남아 있는 것으로 인해 겨울철에 동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모듈(33)의 온도 센서(32)에서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사전에 설정된 온도(바람직하게는 동파 발생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제어모듈(33)이 자동으로 히터(43)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정수기 내부를 방열시키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히터(43)는 200 W 등의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b를 참조해 잔수 처리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했지만 정수기(12)의 내부에 잔수가 남아 있는 것은 동파 발생 요인이기에 히터(43)를 통해 방열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 잔수를 정수기(12)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정수기(12)에 남아 있는 잔수는 석면 분진이 포함된 것이기에 이러한 석면 분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석면 분진이 포함된 잔수를 바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 잔수 역시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잔수 처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잔수 처리 구동 스위치(22), 제1 잔수 펌프(44), 제2 잔수 펌프(45), 제3 잔수 펌프(46),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 제1 원터치 피팅(41), 제2 원터치 피팅(42), 하수구측 유출구(30)에 연결된 속 티(TEE)(4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연결, 결합 방식은 다음과 같다.
1차 필터(35) 하우징의 하부 연결구(53)와 제1 잔수 밸브(26)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이 제1 잔수 밸브(26)와 제1 잔수 펌프(44)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이 제1 잔수 펌프(44)와 제1 원터치 피팅(41)이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앞서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1 원터치 피팅(41)과 2차 필터(36)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4)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 2차 필터(36) 하우징의 하부 연결구(55)와 제2 잔수 밸브(27)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이 제2 잔수 밸브(27)와 제2 잔수 펌프(45)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이 제2 잔수 펌프(45)와 제2 원터치 피팅(42)이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앞서 필터별 압력 측정 기능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2 원터치 피팅(42)과 3차 필터(37)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6)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 3차 필터(37) 하우징의 하부 연결구(57)와 제3 잔수 밸브(28)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이 제3 잔수 밸브(28)와 제3 잔수 펌프(46)가 호스로 서로 연결되고, 이 제3 잔수 펌프(46)와 하수구측 유출구(30)측의 속 티(TEE)(47)와 호스로 서로 연결된다.
석면 분진이 포함된 잔수의 이송 경로를 참작해 잔수 처리 기능을 살펴보면,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모두가 열린 상태이어야 되며, 잔수 처리 구동 스위치(22)가 온되면 제어모듈(33)은 제1 잔수 펌프(44), 제2 잔수 펌프(45), 제3 잔수 펌프(46)를 구동시키며, 그에 따라 제1 잔수 펌프(44)가 1차 필터(35)측으로부터 잔수를 빨아 들여 호스, 제1 원터치 피팅(41)을 거쳐 2차 필터(36)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4)를 통해 2차 필터(36)로 보내게 되며, 동시에 제2 잔수 펌프(45)가 2차 필터(36)측으로부터 잔수를 빨아 들여 호스, 제2 원터치 피팅(42)을 거쳐 3차 필터(37)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6)를 통해 3차 필터(37)로 보내게 되며, 동시에 제3 잔수 펌프(46)가 3차 필터(37)측으로부터 잔수를 빨아 들여 호스를 거쳐 속 티(TEE)(47)를 통해 하수구측 유출구(30)측으로 보내게 되며, 그에 따라 하수구측 유출구(30)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깨끗한 잔수가 하수구(15) 등으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석면 분진이 포함된 잔수는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를 거치는 정수기 구조를 통해 깨끗이 여과되는 것이다. 또한 1차 필터(35)의 잔수가 제1 잔수 펌프(44)측 호스[즉 잔수 이송 경로]가 아닌 배수 연결 호스[즉 배수 이송 경로]를 통해 2차 필터(36)로 유입되고, 2차 필터(36)의 잔수가 제2 잔수 펌프(45)측 호스가 아닌 배수 연결 호스를 통해 3차 필터(37)로 유입되더라도, 잔수 펌프(44, 45, 46)의 구동에 의해 필터 순서대로 이 잔수가 빨려 여과되기에 필터간 배수 이송 경로를 차단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 : 집수조 12 : 정수기
13 : 샤워 시설 16 : 수송관
18 :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 20 : 수위 프로브
21 :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 33 : 제어 모듈
34 : 배수 펌프 35, 36, 37 : 필터

Claims (14)

  1.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상기 정수기(12)는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 제어모듈(33), 배수 펌프(34)를 구비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상기 배수 처리 구동 스위치(21)가 온(on)되면 제어모듈(33)이 배수 펌프(34)를 구동시켜, 이 배수 펌프(34)가 상기 수송관(16)을 통해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빨아 들여 내부 수송관을 통해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이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2.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그 내부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다수의 수위 프로브(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기(12)는 수위 센서(31), 제어모듈(33), 배수 펌프(34)를 구비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수위 센서(31)가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에 연결된 상기 집수조(11)의 수위 프로브(20)를 통해 감지한 물 높이를 토대로 제어모듈(33)이 집수조(11)에 모인 물 높이에 따라 배수 펌프(34)를 자동으로 구동 시작 또는 구동 중지되도록 제어해 배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12)의 수위 센서(31)가 수위 센서 연결 케이블(18)을 통해 상기 집수조(11)의 다수의 수위 프로브(20)로 전류를 흘려 보내어, 다수의 수위 프로브(20)간의 물에 의한 전기적인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집수조(11)의 물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4.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상기 정수기(12)는 상기 수송관(16)을 통해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빨아 들여 내부 수송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해 여과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압력 계측기들을 구비하여, 내부 수송관 연결을 통해 상기 각 필터를 통과한 물을 이 필터 압력 계측기로 이송되도록 하여 각 필터별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은,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압력 계측기들은, 1차 필터 압력계(38)와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 2차 필터 압력계(39)와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 3차 필터 압력계(40)와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35, 36, 37)가 각각의 필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고, 이 각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각각의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차 필터(35)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2)와 1차 필터 압력계(38)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2차 필터(36)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4)와 제1 원터치 피팅(41)이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1 원터치 피팅(41)과 2차 필터 압력계(39)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3차 필터(37)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6)와 제2 원터치 피팅(42)이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2 원터치 피팅(42)과 3차 필터 압력계(40)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 압력계(38)는 1차 필터(35)를 통과한 물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여 1차 필터 압력 계기판(23)을 통해 그 필터 압력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2차 필터 압력계(39)는 2차 필터(36)를 통과한 물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여 2차 필터 압력 계기판(24)을 통해 그 필터 압력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3차 필터 압력계(40)는 3차 필터(37)를 통과한 물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여 3차 필터 압력 계기판(25)을 통해 그 필터 압력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8. 석면 해체/제거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배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여과 장치는 집수조(11) 및 정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11)는 샤워 시설(13)에서 나온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모았다가 수송관(16)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정수기(12)로 공급하며,
    상기 정수기(12)는 상기 수송관(16)을 통해 집수조(11)에 모인 석면 분진이 포함된 물을 빨아 들여 내부 수송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해 여과하며,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잔수 펌프들을 구비하여, 상기 정수기(12)의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을 빨아 들여 순서대로 상기 필터들에 통과시켜 여과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은, 1차 필터(35), 2차 필터(36), 3차 필터(37)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잔수 펌프들은, 소형의 제1 잔수 펌프(44), 제2 잔수 펌프(45), 제3 잔수 펌프(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35, 36, 37)가 각각의 필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고, 이 각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각각의 연결구(53, 55, 5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각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각각의 연결구(52, 54, 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차 필터(35) 하우징의 하부 연결구(53)에 제1 잔수 밸브(26)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1 잔수 밸브(26)와 제1 잔수 펌프(44)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1 잔수 펌프(44)와 제1 원터치 피팅(41)이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원터치 피팅(41)과 상기 2차 필터(36)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4)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2차 필터(36) 하우징의 하부 연결구(55)에 제2 잔수 밸브(27)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2 잔수 밸브(27)와 제2 잔수 펌프(45)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2 잔수 펌프(45)와 제2 원터치 피팅(42)이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터치 피팅(42)과 상기 3차 필터(37) 하우징의 상부 연결구(56)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3차 필터(37) 하우징의 하부 연결구(57)에 제3 잔수 밸브(28)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3 잔수 밸브(28)와 제3 잔수 펌프(46)가 내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제3 잔수 펌프(46)의 내부 수송관이 하수구측 유출구(30)측에 장착된 속 티(TEE)(4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잔수 처리 동작 시 상기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모두를 열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12)에서는 잔수 처리 동작 시 잔수 처리 구동 스위치(22)가 온되면 제어모듈(33)이 제1 잔수 펌프(44), 제2 잔수 펌프(45), 제3 잔수 펌프(46)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12)에서는 배수 처리 동작 시 상기 제1 잔수 밸브(26), 제2 잔수 밸브(27), 제3 잔수 밸브(28) 모두를 잠궈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12)의 내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가 구비되어 있고, 외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32)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모듈(33)이 상기 온도 센서(32)에서 감지한 외부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히터를 동작시켜 정수기 내부를 방열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여과 장치.
KR1020100008071A 2010-01-28 2010-01-28 배수 여과 장치 KR10115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071A KR101151175B1 (ko) 2010-01-28 2010-01-28 배수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071A KR101151175B1 (ko) 2010-01-28 2010-01-28 배수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250A true KR20110088250A (ko) 2011-08-03
KR101151175B1 KR101151175B1 (ko) 2012-06-04

Family

ID=4492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071A KR101151175B1 (ko) 2010-01-28 2010-01-28 배수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976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20190072000A (ko) * 2017-12-15 2019-06-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독스 흐름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38B1 (ko) * 2019-10-18 2021-11-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렌즈 연마가공폐수 자동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363A (en) 1982-03-08 1983-11-08 Joseph Troiano Portable shower system
JP2005198692A (ja) * 2004-01-13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循環式入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976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20190072000A (ko) * 2017-12-15 2019-06-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독스 흐름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175B1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0670B2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KR20100021389A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1151175B1 (ko) 배수 여과 장치
CN111059649A (zh) 一种具有多功能排水的除湿机及排水方法
CN110864731A (zh) 水质检测柜
JP3690547B2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CN210566956U (zh) 一种漏水保护设备
JP3557997B2 (ja) 空調機用ドレン排出手段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0544491B1 (ko)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KR20110005582A (ko) 관로에 흐르는 수질을 계측하기 위한 안정적인 장치
CN211822856U (zh) 一种具有多功能排水的除湿机
CN108692871B (zh) 一种用于检测立管集水器密封性能的水检设备
CN212469128U (zh) 一种清洗装置
CN209635958U (zh) 一种一体化排污装置
CN208023678U (zh) 真空工作站
RU24393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екущего контроля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и/или аэрации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JP2019048266A (ja) 消防水利の異物取除き器具、異物取除き方法及び異物取除きシステム
CN203964306U (zh) 一种吊顶式空调冷保管的漏水收集装置
JP6828082B2 (ja) 真空式排液収集システムおよび排液収集方法
JP4416069B2 (ja) 下水管作業用バイパス排水装置
CN220747118U (zh) 工业厂房同层加压排水系统
KR101042174B1 (ko) 관로세척장치
CN206554234U (zh) 一种单泵污水提升设备
CN104034011A (zh) 一种吊顶式空调冷保管的漏水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