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009A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009A
KR20110088009A KR1020100007711A KR20100007711A KR20110088009A KR 20110088009 A KR20110088009 A KR 20110088009A KR 1020100007711 A KR1020100007711 A KR 1020100007711A KR 20100007711 A KR20100007711 A KR 20100007711A KR 20110088009 A KR20110088009 A KR 20110088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weight
rotor
support shaf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009A/ko
Publication of KR2011008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 모터는,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고 마그네트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지지축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기판, 상기 회전자 기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 상기 한 쌍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 상기 베어링과 결합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회전자; 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지지축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웨이트에 삽입 고정된다.

Description

진동 모터{Coi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모터는 상호 결합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에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에는 편심된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는 고정자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가 상호 작용하면 상기 편심된 회전자가 회전되면서 진동이 발생된다.
여기서, 회전자를 이루는 구성품의 전기적 절연성을 증가시켜 동작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회전자의 발생 토크를 증가시켜 진동 모터의 진동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감안한 것으로서, 회전자의 전기적 절연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토크의 증대를 통한 회전자의 진동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진동 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진동 모터는,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고 마그네트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지지축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기판, 상기 회전자 기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 상기 한 쌍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 상기 베어링과 결합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회전자; 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지지축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웨이트에 삽입 고정된다.
본 발명의 진동 모터에 따르면, 회전자 부품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요크가 코일을 덮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코일과 요크 사이의 절연불량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회전자 조립시 별도의 절연 테이프나 와셔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조립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통해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코일과 웨이트의 두께를 증대시켜 토크의 증대를 통한 회전자의 진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동 모터의 회전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 모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 모터용 회전자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크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 모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 모터용 회전자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크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 모터는 상부 케이스(290) 및 하부 케이스(210)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며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100)를 포함한다.
케이스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210)에는 브러시(240) 및 마그네트(250)가 장착된다. 도시된 마그네트(250)는 위에서 보았을 때 도넛 형상이며 그 내주 측에 브러시(240)가 배치된다. 지지축(295)은 상부 케이스(290)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회전자(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부 케이스(290)는 하부 케이스(210)와 상호 결합되며 진동 모터의 외장을 형성한다. 상부 케이스(290) 및 하부 케이스(210)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용접, 납땜, 본딩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진동 모터를 구성하는 회전자(100)는 회전자 기판(110), 코일(120),요크(130) 및 웨이트(140)의 조립을 통해 구성된다.
회전자 기판(110)은 그 상부에 한 쌍의 코일(120)과 요크(130)가 조립된다.
코일(120)은 회전자 기판(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자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요크(130)는 상기 회전자 기판(110)에 안착되면서 회전자(100)의 회전 중심인 지지축(150)에 연결된다. 요크(130) 및 코일(120)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배치됨으로써 별도의 절연 수단이 없어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웨이트(140)는 상기 지지축(150)에 수직한 레디얼방향으로 상기 요크(130)와 조립 고정된다.
요크(130)는 상기 코일(120)과 코일(120) 사이에서 상기 웨이트(140)와 조립된다.
즉, 상기 회전자(100)는 코일(120)과 요크(130)가 분리된 상태로 상기 회전자 기판(110)에 조립되고, 상기 웨이트(140)는 상기 요크(130)의 측방향으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상기 요크(130)는 코일(120)과 코일(120) 사이에서 상기 웨이트(140)에 조립됨으로써 조립시 코일(120)을 덮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요크(130)가 코일(120)과 겹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어 요크 두께 만큼 코일(120) 두께를 증가시킨다.
상기 코일(120) 두께가 증가되면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토크의 증대는 회전자(100)의 진동력을 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요크(130)와 코일(120)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요크(130)와 코일(120) 사이에 사용하던 절연 테이프나 와셔 등을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구조가 단순해지고, 상기 요크(130)와 코일(120) 사이의 절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100)는 웨이트(134)가 요크(130)에 상기 지지축(150)에 수직한 레디얼방향으로 조립되어 조립시 요크(130)가 웨이트(140)를 덮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요크(130)가 웨이트(140)와 겹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어 웨이트(140)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요크(130)와 웨이트(140)가 조립됨으로써 요크(130)와 웨이트(140)가 상부쪽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아 웨이트(140)의 두께를 상부쪽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진동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크(130)는 그 몸체 중앙에 중앙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140)와의 조립방향으로 몸체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돌기(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140)는 상기 요크(130)와의 조립방향에 상기 돌기(131)와 대응되는 홈(141)이 형성되어 요크(130)의 돌기(131)가 웨이트(140)의 홈(141)에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요크(130)와 웨이트(140)는 회전자 기판(110)의 상부에서 요크(130)의 돌기(131)가 웨이트(140)의 홈(141)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조립된다. 상기 웨이트(140)의 홈(141)에 요크(130)의 돌기(131)가 삽입되어 웨이트(140) 일부분만 요크(130) 두께 만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요크(130)와 웨이트(140)가 서로의 일부분만 조립되기 때문에 이 조립부에 스팟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 등으로 용접하여 서로 조립한다.
또한, 상기 요크(130)의 중앙홀(132)에는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100)는 회전자 기판(110) 중앙에 요크(130)가 배치되고, 상기 요크(130)를 중심으로 그 좌우측에 각각 코일(120)이 배치되며, 상기 코일(12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웨이트(140)가 배치되면서 상기 요크(130)와 서로 조립니다.
이러한 조립 구조에 따르면 상기 요크(130)와 코일(120)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요크(130)가 코일(120)의 상부를 덮지 않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요크(130)와 코일(120)간의 절연 문제가 발생할 수 없고, 요크(130) 두께 만큼 코일(120) 두께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회전자(100)의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자(100)의 조립 구조에 의해 상기 웨이트(140) 또한 요크(130)의 상부를 덮지 않기 때문에 웨이트(140)의 두께를 상방향으로 증대시켜 회전자(100)의 진동력을 키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자(100)의 조립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회전자 110...회전자 기판
120...코일 130...요크
131...돌기 132...중앙홀
140...웨이트 141...홈
150...지지축

Claims (5)

  1.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고 마그네트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지지축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기판, 상기 회전자 기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코일, 상기 한 쌍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 상기 베어링과 결합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회전자; 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지지축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웨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진동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한 쌍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과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진동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중앙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홀에는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고정되는 진동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돌기가 상기 웨이트의 홈에 삽입 고정되는 진동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및 상기 웨이트는 용접 체결되는 진동 모터.
KR1020100007711A 2010-01-28 2010-01-28 진동 모터 KR20110088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11A KR20110088009A (ko) 2010-01-28 2010-01-28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11A KR20110088009A (ko) 2010-01-28 2010-01-28 진동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09A true KR20110088009A (ko) 2011-08-03

Family

ID=4492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11A KR20110088009A (ko) 2010-01-28 2010-01-28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70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오리엔텍 로터를 사용하는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70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오리엔텍 로터를 사용하는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263B2 (ja) 駆動装置
JP6239393B2 (ja) 燃料ポンプ
JP5518255B2 (ja) 駆動装置一体型回転電機
US20150180301A1 (en) Inner-rotor motor
WO2012086389A1 (ja) 回転電機
JP2014099971A (ja) モータ
JP2016127797A (ja) 電気モータ
JP6750451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用いた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JP5896333B2 (ja) モータ
JP2019170013A (ja)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38892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回転電機の固定子
JP7406546B2 (ja) モータ
JP2011501641A (ja) 回転子及び振動モータ
KR20110088009A (ko) 진동 모터
JP200232036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6112983B2 (ja) 回転電機
KR101807550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JP6041670B2 (ja) 回転機
JP2021505114A (ja) ローター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モーター
JP2019068553A (ja) モータ
KR101768988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JP2003348782A (ja) 固定子、固定子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CN210074947U (zh) 一种外转子无刷电机
JP2022510942A (ja) モータ
KR20080078946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