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143A -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143A
KR20110087143A KR1020100006642A KR20100006642A KR20110087143A KR 20110087143 A KR20110087143 A KR 20110087143A KR 1020100006642 A KR1020100006642 A KR 1020100006642A KR 20100006642 A KR20100006642 A KR 20100006642A KR 20110087143 A KR20110087143 A KR 20110087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ntainer
marine
unloading system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태
문일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0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143A/ko
Publication of KR2011008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에서 선박 화물의 하역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안된 새로운 개념의 해양 화물하역 분야의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한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가변흘수 선박 및 자기추진 해상터미널의 상호 작용으로 해상에서 화물창 게이트를 교체하고 화물이 들어있는 부유식 초대형 화물통(Floating Mega Cargo-Box)을 교환하여 화물적재 및 하역작업을 완료함으로써, 해양 화물의 하역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이 들어 있는 화물통을 적재한 선박이 항구 내수면에 진입하면 해상터미널이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통을 넘겨받아 이를 육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항만에서의 하역작업의 신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Marin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Using Cargo-Boxes}
본 발명은 항만에서 선박 화물의 하역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안된 새로운 개념의 해양 화물하역 분야의 기술이다.
도 1은 항만에서 컨테이너 전용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선박에 의해 운송된 컨테이너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1개씩 항만으로 하역되며, 항만의 컨테이너는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1개씩 선박에 선적되므로, 모든 컨테이너의 하역 또는 선적을 완료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는 곧 물류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항만에서 선박 화물의 하역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탈착 가능한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가변흘수 선박(이하, ‘선박’이라 함) 및 자기추진 해상터미널(이하, ‘해상터미널’이라 함)의 상호 작용으로 해상에서 화물창 게이트를 교체하고 화물이 들어있는 부유식 초대형 화물통(이하, ‘화물통’이라 함)을 교환함으로써 해양 화물의 운송 및 하역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화물통 및;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가지며,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해상터미널;을 포함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에 ‘항만’ 요소를 부가한 시스템으로서,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화물통;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가지며,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해상터미널 및; 화물통의 이동수단을 구비한 항만;을 포함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1. 선적 및 하역시간 단축
본 발명은 화물통에 각종 화물을 미리 담은 상태에서 선적 및 하역이 일시에 이루어지므로 선적 및 하역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즉, 선박이 항만에 도착하기 전에 선적할 화물을 분류하여 화물통에 담아놓는 등 모든 준비를 미리 완료해 놓을 수 있으므로 선적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선적작업을 선행적으로 처리하므로 항만의 화물(컨테이너) 장치장의 면적을 축소하여 항만 공간 활용의 효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르면 1000TEU 컨테이너선 기준 하역시간 24시간을 4시간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2. 화물운반 안전성 증가
화물통 내부에는 컨테이너 고정장치가 설치되므로 래싱 문제가 감소하고, 컨테이너를 5단 이상 적층할 경우에는 중간 보강판을 설치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해상에서 부력에 의해 화물통이 지지되므로 화물통의 무게로 인한 파손의 위험성이 감소하고, 화물통 단위로 하역관리가 가능하므로 화물의 보안문제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3. 화물종류에 관계 없이 적재 및 하역 가능
본 발명은 화물통에 화물을 담은 상태에서 적재 및 하역이 이루어지므로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벌크 화물의 운반에도 효과적이며, 자동차 및 Ro/Ro 화물의 운송에도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물통에 액체화물을 선적하여 화학운반선 등 탱커선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화물통 구역별로 다른 종류의 화물을 선적할 수 있으므로 범용 화물선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초대형 화물도 화물통의 구조적 보강에 의해 운송할 수 있다.
4. 연안 화물운송에 탁월한 효과
본 발명의 경우 화물선의 화물창 크기에 맞추어 화물통의 모양이나 크기의 규격화 및 표준화가 가능하므로 해양운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운항시간에 비해 하역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연안 및 근해 화물운송에 적용한다면 더욱 커다란 효과가 나타나리라 예상된다. 특히 4대강 하류 내수면에 설치된 내륙 화물 터미널과 연계하여 해양운송시스템을 구축한다면 그 효과가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수면과 접한 내륙화물터미널에서 화물을 분류하여 화물통에 넣고 자기추진 해상터미널을 이용하여 내수면을 통하여 화물통을 인접 항만으로 이송한 후 연안운송 화물선의 화물창에 화물통을 적재하여 부산, 청도, 상해, 코베 등으로 곧바로 운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항만에서 컨테이너 전용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모습.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도 3은 본 발명의 화물통을 이용한 선박 화물의 적재 및 하역 모습(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물통을 이용한 선박 화물의 적재 및 하역 모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을 위한 초대형 화물통.
도 6은 화물창에서 종방향 보강재가 제거된 상태의 선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및 해상터미널의 상호 작용으로 해상에서 화물창 게이트를 교체하고 화물이 들어있는 부유식 초대형 화물통을 교환하여 화물적재 및 하역작업을 완료함으로써, 해양 화물의 하역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이 들어 있는 화물통을 적재한 선박이 항구 내수면에 진입하면 해상터미널이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통을 넘겨받아 이를 육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항만에서의 하역작업의 신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화물통 및;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가지며,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해상터미널;을 포함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에 ‘항만’ 요소를 부가한 시스템으로서,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화물통;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가지며,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해상터미널 및; 화물통의 이동수단을 구비한 항만;을 포함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박
본 발명에서 선박은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다.
화물창은 일반적으로는 선박 안에 마련된 화물을 싣는 창고의 의미를 갖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화물통에 초점을 맞추어, 화물통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통을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과정을 통하여 해상 화물의 모든 하역 및 적재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선박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을 갖는다. 화물창의 크기는 선박의 크기와 화물의 종류 및 취급 용이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만약 화물창의 종방향 길이가 과다하게 큰 경우 선박은 선체의 구조 종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져 안전사고의 위험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화물통의 크기가 너무 과다해지면 화물통의 운반 및 관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물을 구분하여 적재할 수 없어 적재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화물통의 경우 그 길이는 40피트 컨테이너를 종방향으로 실을 수 있도록 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박은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을 가짐으로써 선체의 구조 강도도 안전하게 유지하는 한편, 효율적이고 유용한 화물통의 운반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적 장점을 유지할 수 있는 이상 선박에 몇 개의 화물창을 둘 것인가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은 4개의 화물창을 구비하고 있다(도 2).
한편, 선박의 측면 선체는 구역별로 분리될 수 있는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화물창 게이트는 선박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다.
화물창 게이트는 말 그대로 화물창을 개폐하는 문이다. 즉, 화물창 게이트가 선박으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물창도 개폐되며, 화물창이 개폐됨에 따라 화물통이 화물창에 대하여 출입(적재 및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화물창 게이트는 선박의 측면 구조물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부착되며, 선박에 구속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갖는다. 화물창 게이트는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어 자체적으로 흘수 조정이 가능하다.
선박은 화물창 게이트를 분리하기 위해 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 물을 채워 선박의 흘수를 증가시킨다. 그러면 화물창으로 물이 침수되어 들어오면서 화물창 내부 및 외부의 압력(수압)이 일치하게 된다. 이때 선박이 화물창 게이트를 구속하고 있던 체결장치를 해제하면 화물창 게이트가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게 된다.
이 경우 선박은 발라스트 적재 현황 모니터링 및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제어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박은 화물창 게이트가 분리되어도 선체 종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화물창마다 종방향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도 2), 이 종방향 보강재는 화물통이 적재 및 하역되는 동안에는 제거되며 화물통의 적재 및 하역이 완료된 이후에는 재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즉, 종방향 보강재를 화물창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화물통
화물창의 형태에 맞추어 제작된 화물통은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과정을 통하여 화물을 선박에 적재 및 하역한다.
화물통은 취급하기 용이한 크기와 무게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목적이 해상 화물의 신속한 하역 및 적재를 통하여 하역 효율을 높이고자 함에 있음을 감안한다면 너무 작은 크기로 된 다수 개의 화물통을 한 화물창에 여러 개 적재하는 방식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 이는 기존의 컨테이너 전용선에 대하여 하나하나의 컨테이너를 일일이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경우와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은 4개의 화물창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물통은 각각의 화물창에 한 개씩 적재되도록 총 4개가 구비되어 있다(도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을 위한 초대형 화물통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 화물통은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위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를 갖는다. 화물통은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어 자체적으로 흘수 조정이 가능하며, 화물통 내부에 들어 있는 화물의 보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습도 등의 제어시스템을 보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화물통이 특히 컨테이너의 선적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면, 화물통 내부에는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래싱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테이너를 5단 이상 적층할 경우에는 중간 보강판을 설치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파손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화물통이 컨테이너의 선적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화물통에 화물을 담은 상태에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즉, 화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화물통은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벌크 화물의 운반에도 효과적이며, 자동차 및 Ro/Ro 화물의 운송에도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물통에 액체화물을 선적하여 화학운반선 등 탱커선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화물통 구역별로 다른 종류의 화물을 선적할 수 있으므로 범용 화물선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초대형 화물도 화물통의 구조적 보강에 의해 운송할 수 있다.
해상터미널
해상터미널은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다.
해상터미널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부유식 자기이동 터미널이다. 따라서 해상터미널은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어 자체적으로 흘수 조정이 가능하며, 자체 추진기를 갖추고 있어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해상터미널의 특징은 전체적인 구조나 기능이 선박의 경우와 흡사하다는 데 있다. 즉, 해상터미널은 선박처럼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다. 다만, 해상터미널이 갖는 화물창의 개수가 선박의 경우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터미널은 2개의 화물창을 구비하고 있다(도 3).
이하에서는 해상터미널이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과정을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물이 들어 있는 화물통을 적재한 선박이 항만에 입항하여 화물창 게이트를 분리하기 위해 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 물을 채워 선박의 흘수를 증가시킨다. 그러면 화물창으로 물이 침수되어 들어오면서 화물창 내부 및 외부의 압력(수압)이 일치하게 된다. 이때 선박이 화물창 게이트를 구속하고 있던 체결장치를 해제하면 화물창 게이트가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게 된다. 그리고 선박이 화물통의 잠금장치를 풀면 화물통도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게 된다.
한편,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해상터미널이 선박의 측면에 도착한다. 이 경우 해상터미널의 화물창은 비어있는 상태이다. 이때 선박의 한쪽 측면에는 항만이, 반대쪽 측면에는 해상터미널이 위치하여야 한다(도 3, 도 4). 이는 항만, 선박, 그리고 해상터미널 상호간에 단계적으로 화물통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이하에서 계속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해상터미널은 화물창 게이트를 분리하기 위해 해상터미널의 발라스트 탱크에 물을 채워 해상터미널의 흘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 해상터미널은 선박과 마찬가지로 발라스트 적재 현황 모니터링 및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제어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해상터미널의 화물창으로 물이 침수되어 들어오면서 화물창 내부 및 외부의 압력(수압)이 일치하게 된다. 이때 해상터미널이 화물창 게이트를 구속하고 있던 체결장치를 해제하면 화물창 게이트가 해상터미널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게 된다.
이때 해상터미널은 로프 및 윈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고 있는 화물통을 해상터미널의 화물창으로 끌어당겨 적재한 후 잠금장치로 구속시킨다. 그리고 역시 로프 및 윈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조금 전 해상터미널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고 있던 해상터미널의 화물창 게이트를 해상터미널의 화물창으로 끌어당긴 후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구속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선박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통은 해상에서 곧바로 해상터미널로 이동하였으며, 선박의 화물창은 빈 상태가 된다.
항만
이때, 항만에는 새로운 화물이 들어 있는 화물통이 승강기 등에 의하여 해상에 내려놓아진 상태에 있다. 이 경우 화물통은 잠금장치에 의해 항만에 구속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이란 육상과 해상활동이 연결되는 지리적인 결절지로, 자연지형 또는 인공 축조물로 풍랑을 막아놓은 바닷가에서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하고 여객과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진 해수면의 일부를 말하는데, 본 발명의 항만은 특히 승강기 등과 같은 화물통의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즉, 항만 안벽에 승강기를 설치하여 화물통을 육상에서 해상으로 이송하며, 해상에서 육상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한다(도 4). 그리고 육상에서의 화물통 이송을 위하여 컨베이어 시스템(혹은 트렌스포터)을 활용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통이 해상터미널로 이동하게 되면, 항만에 구속되어 있던 새로운 화물통의 잠금장치를 해제한다. 그러면 화물통은 해상에 부유하게 된다. 이때, 선박은 로프 및 윈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항만으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고 있는 화물통을 선박의 화물창으로 끌어당겨 적재한 후 잠금장치로 구속시킨다. 그리고 역시 로프 및 윈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조금 전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부유하고 있던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를 선박의 화물창으로 끌어당긴 후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선박에 구속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항만에 대기 중이던 새로운 화물이 들어 있는 화물통이 해상에서 곧바로 선박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선박이 항만의 새로운 화물을 적재(선적)하는 데에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새로운 화물을 적재한 선박이 출항하고 나면(이 경우 선박은 발라스트를 배출하여 선박의 흘수를 감소시키고 수면으로 부상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던 화물통을 옮겨 받은 해상터미널은 항만에 접안한 후 다시 화물통을 항만에 부유시킨다. 그러면 항만에서는 로프 및 윈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이 화물통을 항만으로 끌어당긴 후 승강기 등을 이용하여 육상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항만에 입항한 선박이 적재하고 있던 화물통이 항만으로 최종 이동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선박이 항만으로 실어온 화물을 항만에 하역하는 데에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화물창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된 화물통에 미리 화물을 담아, 선박이 항만에 도착하면 해상에서 곧바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를 교체한 후 화물통을 선박에 설치함으로써 하역작업의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화물통;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가지며,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해상터미널 및;
    화물통의 이동수단을 구비한 항만;
    을 포함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은 발라스트 적재 현황 모니터링 및 통합 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는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은 화물창마다 종방향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종방향 보강재는 화물창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온도 및 습도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컨테이너의 선적을 위하여 화물통 내부에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컨테이너를 5단 이상 적층할 수 있도록 중간 보강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부유식 자가이동 터미널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자체 추진기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발라스트 적재 현황 모니터링 및 통합 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항만의 안벽에는 화물통을 육상에서 해상으로 내리거나, 해상에서 육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대형 승강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항만은 육상에서의 화물통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6.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갖는 선박;
    선박의 화물창에 대하여 적재 및 하역되는 화물통 및;
    구역별로 분리된 다수 개의 화물창 및 탈착 가능한 다수 개의 화물창 게이트를 가지며, 해상에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 및 화물통의 교체를 돕는 해상터미널;
    을 포함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선박은 발라스트 적재 현황 모니터링 및 통합 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선박의 화물창 게이트는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선박은 화물창마다 종방향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종방향 보강재는 화물창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1. 제 16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2. 제 16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온도 및 습도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3. 제 16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컨테이너의 선적을 위하여 화물통 내부에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화물통은 컨테이너를 5단 이상 적층할 수 있도록 중간 보강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5. 제 16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부유식 자기이동 터미널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6. 제 16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자체 발라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7. 제 16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자체 추진기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28. 제 16 항에 있어서,
    해상터미널은 발라스트 적재 현황 모니터링 및 통합 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KR1020100006642A 2010-01-25 2010-01-25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KR20110087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42A KR20110087143A (ko) 2010-01-25 2010-01-25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42A KR20110087143A (ko) 2010-01-25 2010-01-25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43A true KR20110087143A (ko) 2011-08-02

Family

ID=4492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642A KR20110087143A (ko) 2010-01-25 2010-01-25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1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4481A (zh) * 2012-06-11 2015-02-04 西门子公司 漂浮式的转运平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4481A (zh) * 2012-06-11 2015-02-04 西门子公司 漂浮式的转运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3285A (en) Container ship
JP6113832B2 (ja) クレーンと、ハッチカバーを支持し積み重ねるクレーンの本体に設置されたベースとを備える、港湾作業時に積み下ろし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CN106043610B (zh) 一种采用半潜船运输船舶的方法
CN108602549B (zh) 集装箱船
CN104386209A (zh) 一种砂舱型自卸式运砂船
CN203461562U (zh) 转载平台
KR101136095B1 (ko)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방법
KR20110087143A (ko)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시스템
CN208843326U (zh) 集装箱运输系统
WO2014013584A1 (ja) 船舶
KR101904618B1 (ko)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10087145A (ko) 초대형 화물통 운반용 가변흘수 화물운송선박
JP2012153334A (ja) 船舶
EP0784562B1 (en) A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CN218368171U (zh) 一种核燃料装卸船
US20080289560A1 (en) Submersible cargo container
RU26511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терминал
RU26512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терминал
KR20100123452A (ko)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CN117622377A (zh) 一种核燃料装卸船
KR20150000890U (ko) 안벽계류선박의 화물 선적 및 하역용 운송장치
JPH06127470A (ja) スラリー船を利用した荷役設備
KR100976954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의결합방법
WO2018047214A1 (ja) ばら積み貨物の荷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