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568A - 식물 병해 방제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병해 방제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568A
KR20110086568A KR1020117011694A KR20117011694A KR20110086568A KR 20110086568 A KR20110086568 A KR 20110086568A KR 1020117011694 A KR1020117011694 A KR 1020117011694A KR 20117011694 A KR20117011694 A KR 20117011694A KR 20110086568 A KR20110086568 A KR 2011008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methyl
disease
plant diseases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736B1 (ko
Inventor
마코토 구라하시
유이치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romatic rad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병해 방제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본 발명은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물 병해 방제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에타복삼 (예를 들어, KR-B-0124552 참조) 및 톨클로포스-메틸 (예를 들어, "The Pesticide Manual - 14th edition" published by BCPC, ISBN: 1901396142, pp.1043) 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다 고활성의 식물 병해 방제제가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병해에 대한 우수한 방제 효력을 갖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을 병용함으로써, 식물 병해에 대해 향상된 방제 효력을 갖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취하는 것이다.
[1]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2] 에타복삼 대 톨클로포스-메틸의 중량비가 1 : 1 내지 1 : 200 의 범위내인 [1] 에 따른 조성물;
[3]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종자 처리제;
[4] 유효량의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로 처리되는 식물 종자;
[5] 유효량의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6] 식물 병해가 난균류 (Oomycetes) 및 리족토니아속균 (Rhizoctonia spp.) 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인 [5] 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 방법;
[7]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의 조합 사용; 등.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타복삼은 KR-B-0124552 호에 기재된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KR-B-0124552 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톨클로포스-메틸은 공지된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The Pesticide Manual - 14th edition" published by BCPC, ISBN:1901396142, pp.1043]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은 시판 제제로부터 수득되거나, 익히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에타복삼 대 톨클로포스-메틸의 중량비는 통상 1 : 1 내지 1 : 200,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1 : 50 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의 단순 혼합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통상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불활성 담체와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및 그 밖의 보조제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오일 제제, 에멀전, 유동가능한 제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분말제, 과립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상기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그대로 또는 그 밖의 불활성 성분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종자 처리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의 합계량은 통상 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90 중량% 의 범위이다.
제형화에 사용되는 고체 담체의 예로는, 카올린 클레이, 아타풀자이트 (attapulgite) 클레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산성 백토, 납석 (pyrophyllite), 탤크, 규조토 및 방해석 등의 광물; 옥수수 잎대 가루 및 호두껍질 가루 등의 천연 유기 물질; 우레아 등의 합성 유기 물질; 탄산칼슘 및 황산암모늄 등의 염류; 합성 함수 산화규소 등의 합성 무기 물질 등의 미분말 또는 과립을 들 수 있고; 액체 담체로서는, 자일렌, 알킬벤젠 및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2-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및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대두유 및 면실유 등의 식물유; 석유계 지방족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디메틸 술폭시드, 아세토니트릴 및 물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 술페이트 에스테르 염,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염,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 리그노술포네이트 염 및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중축합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제형화용 보조제의 예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고분자, 아라비아검, 알긴산 및 그 염, C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등의 다당류,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알루미나 졸 등의 무기 물질, 방부제, 착색제 및 PAP (산성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 및 BHT 등의 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이하의 식물 병해에 유효하다.
벼의 병해: 도열병 (Magnaporthe grisea), 깨씨무늬병 (Cochliobolus miyabeanus), 잎집무늬마름병 (Rhizoctonia solani) 및 벼키다리병 (Gibberella fujikuroi).
밀의 병해: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붉은곰팡이 이삭마름병 (Fusarium graminearum, F. avenacerum, F. culmorum, Microdochium nivale), 녹병 (Puccinia striiformis, P. graminis, P. recondita), 홍색 설부병 (Micronectriella nivale), 타이퓰라 설부병 (Typhula sp.), 겉 깜부기병 (Ustilago tritici), 밀그물비린깜부기병 (Tilletia caries), 눈무늬병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잎마름병 (Mycosphaerella graminicola), 껍질마름병 (Stagonospora nodorum) 및 황반병 (Pyrenophora tritici-repentis).
보리의 병해: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붉은곰팡이 이삭마름병 (Fusarium graminearum, F. avenacerum, F. culmorum, Microdochium nivale), 녹병 (Puccinia striiformis, P.graminis, P.hordei), 겉 깜부기병 (Ustilago nuda), 운형병 (Rhynchosporium secalis), 망반병 (Pyrenophora teres), 반점병 (Cochliobolus sativus), 줄무늬병 (Pyrenophora graminea) 및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Rhizoctonia solani).
옥수수의 병해: 깜부기병 (Ustilago maydis), 갈색점무늬병 (Cochliobolus heterostrophus), 표문병 (Gloeocercospora sorghi), 남방 녹병 (Puccinia polysora), 회색잎반점병 (Cercospora zeae-maydis) 및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Rhizoctonia solani).
감귤류의 병해: 흑점병 (Diaporthe citri), 붉은곰팡이병 (Elsinoe fawcetti), 푸른곰팡이병 (Penicillium digitatum, P. italicum) 및 갈색썩음병 (Phytophothora parasitica, Phytophthora citrophthora).
사과의 병해: 꽃썩음병 (Monilinia mali), 부란병 (Valsa ceratosperma), 흰가루병 (Podosphaera leucotricha), 반점 낙엽병 (Alternaria alternata apple pathotype), 붉은곰팡이병 (Venturia inaequalis), 탄저병 (Colletotrichum acutatum), 근두썩음병 (Phytophotora cactorum) 및 자문우병 (Helicobasidium mompa).
배의 병해: 붉은곰팡이병 (Venturia nashicola, V. pirina), 흑반병 (Alternaria alternata Japanese pear pathotype), 녹병 (Gymnosporangium haraeanum) 및 역병 (phytophotora cactorum).
복숭아의 병해: 잿빛무늬병 (Monilinia fructicola), 붉은곰팡이병 (Cladosporium carpophilum) 및 포모프시스 부패병 (Phomopsis sp.).
포도의 병해: 탄저병 (Elsinoe ampelina), 만부병 (Glomerella cingulata), 흰가루병 (Uncinula necator), 녹병 (Phakopsora ampelopsidis), 흑균병 (Guignardia bidwellii) 및 노균병 (Plasmopara viticola).
감의 병해: 탄저병 (Gloeosporium kaki) 및 잎반점병 (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호박의 병해: 탄저병 (Colletotrichum lagenarium), 흰가루병 (Sphaerotheca fuliginea), 덩굴마름병 (Mycosphaerella melonis), 반고병 (Fusarium oxysporum), 노균병 (Pseudoperonospora cubensis), 역병 (Phytophthora sp.) 및 모종 마름병 (Pythium sp.).
토마토의 병해: 겹무늬병 (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 (Cladosporium fulvum) 및 잎마름병 (Phytophthora infestans).
가지의 병해: 깨씨무늬병 (Phomopsis vexans) 및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십자화과 야채의 병해: 흑반병 (Alternaria japonica), 백반병 (Cercosporella brassicae), 뿌리혹병 (Plasmodiophora brassicae) 및 노균병 (Peronospora parasitica).
파의 병해: 녹병 (Puccinia allii) 및 노균병 (Peronospora destructor).
대두의 병해: 자반병 (Cercospora kikuchii), 스파셀로마 붉은곰팡이병 (Elsinoe glycines), 미이라병 (Diaporthe phaseolorum var. sojae), 갈색무늬병 (Septoria glycines), 콩잎마름병 (Cercospora sojina), 녹병 (Phakopsora pachyrhizi), 갈색 줄기썩음병 (Phytophthora sojae) 및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Rhizoctonia solani).
강낭콩의 병해: 탄저병 (Colletotrichum lindemthianum);
땅콩의 병해: 잎점무늬병 (Cercospora personata), 갈반병 (Cercospora arachidicola) 및 백견병 (Sclerotium rolfsii);
완두콩의 병해: 흰가루병 (Erysiphe pisi) 및 뿌리썩음병 (Fusarium solani f. sp. pisi).
감자의 병해: 겹무늬병 (Alternaria solani), 잎마름병 (Phytophthora infestans), 핑크 로트병 (Phytophthora erythroseptica), 흰가루반점병 (Spongospora subterranean f. sp. subterranea) 및 흑지병 (Rhizoctonia solani).
딸기의 병해: 흰가루병 (Sphaerotheca humuli) 및 탄저병 (Glomerella cingulata).
차의 병해: 망변병 (Exobasidium reticulatum), 흰별무늬병 (Elsinoe leucospila), 겹둥근무늬병 (Pestalotiopsis sp.) 및 탄저병 (Colletotrichum theae-sinensis);
담배의 병해: 갈문병 (Alternaria longipes),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 (Colletotrichum tabacum), 노균병 (Peronospora tabacina) 및 잎마름병 (Phytophthora nicotianae);
유채씨의 병해: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및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Rhizoctonia solani).
목화의 병해: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Rhizoctonia solani).
사탕무우의 병해: 갈반병 (Cercospora beticola), 잎마름병 (Rhizoctonia solani), 뿌리썩음병 (Rhizoctonia solani) 및 아파토마이세스 뿌리썩음병 (Aphanomyces cochlioides).
장미의 병해: 흑점병 (Dip1ocarpon rosee), 흰가루병 (Sphaerotheca pannosa) 및 노균병 (Peronospora sparsa).
국화 및 국화과 식물의 병해: 노균병 (Bremia lactucae), 잎마름병 (Septoria chrysanthemi-indici), 및 흰녹병 (Puccinia horiana).
여러 식물의 병해: 피슘 속균 (Pythium spp.) 에 의한 병해 (Pythium aphanidermatum, Pythium debrianum, Pythium graminicola, Pythium irregulare, Pythium ultium),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및 백견병 (Sclerotium rolfsii).
무우의 병해: 점무늬낙엽병 (Alternaria brassicicola).
잔디의 병해: 달러 스포트병 (Sclerotinia homeocarpa), 및 브라운 패치병 및 라지 패치병 (Rhizoctonia solani).
바나나의 병해: 시가토카병 (Mycosphaerella fijiensis, Mycosphaerella musicola).
해바라기의 병해: 노균병 (Plasmopara halstedii).
아스페르길루스속 (Aspergillus spp.), 페니실륨속 (Penicillium spp), 푸사리윰속 (Fusarium spp.), 지베렐라속 (Gibberella spp.), 트리코데르마속 (Tricoderma spp.), 티엘라비옵시스속 (Thielaviopsis spp.), 리조푸스속 (Rhizopus spp.), 무코르속 (Mucor spp.), 코프티슘속 (Corticium spp.), 포마속 (Phoma spp.), 리족토니아속 (Rhizoctonia spp.) 및 디플로디아속 (Dip1odia spp) 균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식물의 종자 병해 또는 생육 초기의 병해.
폴리믹사속 (Polymixa spp.) 또는 올리피윰속 (Olpidium spp.) 등에 의해 매개되는 각종 식물의 바이러스성병.
상기 중, 특히 난균류 또는 리족토니아속 균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식물의 경엽 병해, 토양 전염성 병해, 또는 종자 전염성 병해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가 기대된다.
산포 처리의 경우, 난균류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의 예로는, 대두의 갈색 줄기 역병 (Phytophthora sojae), 담배의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 해바라기의 노균병 (Plasmopara halstedii), 감자의 잎마름병 (Phytophthora infestans) 을 들 수 있고;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의 예로는, 옥수수, 벼, 대두, 목화, 유채씨, 사탕무우 및 잔디의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Rhizoctonia solani), 감자의 흑지병 (Rhizoctonia solani), 잔디의 브라운 패치병 및 라지 패치병 (Rhizoctonia solani) 및 사탕무우의 근부병 및 엽부병 (Rhizoctonia solani) 을 들 수 있다.
종자, 구근 등의 처리의 경우, 난균류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의 예로는, 밀, 보리, 옥수수, 벼, 수수, 대두, 목화, 유채씨, 사탕무우 및 잔디의 피슘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및 근부병 (Pythium aphanidermatum, Pythium debarianum, Pythium graminicola, Pythium irregulare, Pythium ultimum), 대두의 갈색 줄기 역병, 담배의 역병, 해바라기의 노균병, 및 사탕무우의 아파노마이세스 뿌리썩음병 (Aphanomyces cochlioides) 를 들 수 있고;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의 예로는, 옥수수, 벼, 대두, 목화, 유채씨, 사탕무우 및 잔디의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모종 마름병, 감자의 흑지병, 잔디의 브라운 패치병 및 라지 패치병, 사탕무우의 근부병 및 엽부병을 들 수 있다.
유효량의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식물 병원균, 또는 식물 병원균이 생식하는 장소 또는 식물 병원균이 생식할 수 있는 장소 (식물, 토양) 에 시용함으로써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유효량의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에 시용함으로써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시용 대상이 되는 식물로는, 식물의 경엽, 식물의 종자, 식물의 구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구근이란, 알뿌리, 구경, 뿌리줄기, 덩이줄기, 덩이뿌리 및 담근체를 의미한다.
식물 병해,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시용되는 경우에는,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은 동 시기에 따로 따로 시용될 수 있지만, 통상은 시용의 간편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로서 시용된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으로서는 식물의 경엽 처리, 토양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의 처리, 종자 소독/종자 코팅 등의 종자 처리, 감자 등의 구근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의 식물의 경엽 처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경엽 산포 및 나무 줄기 산포 등의 식물의 표면에 시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의 토양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토양에 대한 산포, 토양과의 혼화, 토양에 대한 약액 관주 (약액 관수, 토양 주입, 약액 드립) 을 들 수 있으며, 처리하는 장소의 예로는, 식혈, 고랑, 식혈 부근, 심을 고랑 부근, 재배지의 전체면, 토양과 식물 사이, 뿌리 사이, 나무 줄기 아래, 주요 고랑, 배양토, 육묘 상자, 육묘 트레이, 묘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처리는 파종 전, 파종 시, 파종 직후, 육묘기 시, 모심기 전, 모심기 시 및 모심기 후의 생육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토양 처리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식물에 동시에 시용할 수 있거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페이스트 비료 등의 고형 비료를 토양에 시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을 관수액에 혼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관수 설비 (관수 튜브, 관수 파이프, 스프링클러 등) 에 주입, 고랑간 담수액에 혼합, 또는 수경 매질에 혼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미리 관수액과 유효 성분을 혼합하고, 예를 들어, 상기한 관수 방법 및 그 이외의 살수 및 담수 등의 방법을 비롯한 적절한 관수 방법에 의해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의 종자의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식물 병해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종자, 구근 등을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그 구체예로는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의 현탁액을 분무화하여 종자 표면 또는 구근 표면에 살포하는 살포 처리;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의 수화제, 에멀전, 유동가능한 제제 등을 그대로 또는 소량의 물을 더하여 종자 표면 또는 구근 표면에 도포하는 도말 처리;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의 용액에 일정 시간 종자를 침지하는 침지 처리; 필름 코팅 처리 및 펠릿 코팅 처리를 들 수 있다.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이용해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을 처리하는 경우, 그 처리량은, 처리하는 식물의 종류, 방제하는 병해의 종류 및 발생 빈도, 제형 형태, 처리 기간, 기상 조건 등에 의해 변할 수 있지만, 10,000 m2 당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의 합계량 (이하, 유효 성분량으로 칭함) 이 통상 1 내지 5000 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g 이다. 토양 처리의 경우, 10,000 m2 당 유효 성분량은 통상 0.1 kg 내지 50 kg, 바람직하게는 1 kg 내지 10 kg 이다.
에멀전, 수화제, 유동가능한 제제 등은 통상 물로 희석한 후, 살수 처리한다. 이 경우, 유효 성분의 농도는 통상 0.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 중량% 범위이다. 분말제, 과립제 등은 통상 희석하지 않고 사용하여 처리한다.
종자 처리에 있어서는, 시용하는 유효 성분량은 종자 1 kg 당 통상 0.00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g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은, 밭, 논, 잔디 및 과수원 등의 농경지 또는 비-농경지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식물" 등을 재배하는 농경지에 있어서, 당해 식물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병해 방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농작물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농작물: 옥수수, 쌀, 밀, 보리, 호밀, 귀리, 수수, 목화, 대두, 땅콩, 사라진, 비트, 유채씨, 해바라기, 사탕수수, 담배 등;
야채: 가지과 야채 (가지, 토마토, 피망, 고추, 감자 등), 박과 야채 (오이, 호박, 주키니, 수박, 멜론, 스퀴시 등), 십자화과 야채 (왜무, 순무, 양고추냉이, 콜라비, 배추, 양배추, 갓, 브로콜리, 컬리플라워 등), 국화과 야채 (우엉, 쑥갓, 아티초크, 양상치 등), 백합과 야채 (대파, 양파, 마늘 및 아스파라거스), 미나리과 야채 (당근, 파슬리, 샐러리, 파스닙 등), 명주아과 야채 (시금치, 근대 등), 꿀풀과 야채 (차조기, 민트, 바질 등), 딸기, 고구마, 마, 토란 등,
화훼,
관엽 식물,
잔디,
과수: 인과류 (사과, 배, 일본배, 중국모과, 모과 등), 핵과류 (복숭아, 자두, 승도복숭아, 매실, 체리, 살구, 프룬 등), 감귤류 (온주밀감, 오렌지, 레몬, 라임, 자몽 등), 견과류 (밤, 호두, 헤이즐넛, 아몬드, 피스타치오, 캐슈넛, 마카다미아넛 등), 장과류 (블루베리, 크랜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등), 포도, 감, 올리브, 비파나무 열매, 바나나, 커피, 대추, 코코넛 등,
과수 이외의 나무: 녹차, 오디, 화목, 가로수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층층나무, 유칼립투스, 은행나무, 라일락, 단풍나무, 떡갈나무, 포플러, 박태기나무, 중국풍나무, 버즘나무, 느티나무, 일본측백나무, 전나무, 솔송나무, 삼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및 주목) 등.
상기 "식물" 에는 이속사플루톨 등의 HPPD 저해제, 이마제타피르 또는 디펜술푸론-메틸 등의 ALS 저해제, 글리포세이트 등의 EPSP 합성 효소 저해제, 글루포시네이트 등의 글루타민 합성 효소 저해제, 세톡시딤 등의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 플루미옥사진 등의 PPO 저해제, 및 브로목시닐, 디캄바, 2,4-D 등의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 고전적인 육종법 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부여된 식물도 포함된다.
고전적인 육종법에 의해 내성이 부여된 "식물" 의 예로서 이마제타피르 등의 이미다졸리논계 ALS 저해형 제초제에 내성인 유채, 밀, 해바라기 및 벼를 들 수 있으며, Clearfield (등록상표) 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유사하게, 고전적인 육종법에 의해 디펜술푸론-메틸 등의 술포닐우레아계 ALS 저해형 제초제에 내성이 부여된 대두가 있으며, STS 대두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유사하게, 고전적인 육종법에 의해 트리온 옥심계 또는 아릴옥시 페녹시프로피온산계 제초제 등의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부여된 식물의 예로서 SR 콘이 있다.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부여된 식물은 [Proceedings of United States of America (Proc. Natl. Acad. Sci. USA), vol. 87, pp. 7175-7179 (1990)] 에 기재되어 있다.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인 변이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가 [Weed Science, vol. 53, pp. 728-746 (2005)] 에 보고되어 있고, 이러한 변이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의 유전자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식물에 도입함으로써, 또는 내성을 부여하는 변이를 식물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에 도입함으로써,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인 식물을 만들 수 있다. 게다가, Chimeraplsty 기술 (Gura T. 1999. Repairing the Genome's Spelling Mistakes. Science 285: 316-318) 로 대표되는 염기 치환 변이를 도입한 핵산을 식물 세포 내에 도입함으로써 식물의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 유전자 또는 ALS 유전자에 부위-특이적 아미노산 치환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 또는 ALS 저해제 등에 내성인 식물을 만들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내성이 부여된 식물의 예로서, 글리포세이트에 대해 내성인 옥수수, 대두, 목화, 유채, 사탕무우를 들 수 있으며, RoundupReady (등록상표), AgrisureGT 등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유사하게,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된 옥수수, 대두, 목화 및 유채가 있고, LibertyLink (등록상표) 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유사하게,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브로목시닐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된 목화는 BXN 등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상기 "식물" 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바실루스속으로 알려져 있는 선택적 독소를 합성하는 것이 가능해진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에서 발현되는 독소의 예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또는 바실러스 포필리아에 (Bacillus popilliae) 유래의 살충 단백질;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유래의, δ-내독소, 예컨대 Cry1Ab, Cry1Ac, Cry1F, Cry1Fa2, Cry2Ab, Cry3A, Cry3Bb1 또는 Cry9C; VIP1, VIP2, VIP3 및 VIP3A 와 같은 살충 단백질; 선충 유래의 살충 단백질; 동물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 예컨대 전갈 독소, 거미 독소, 꿀벌 독소 또는 곤충-특이적 신경계 독소; 사상 진균 독소; 식물 렉틴; 아글루티닌; 프로테아제 저해제, 예컨대 트립신 저해제,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 파타틴, 시스타틴 또는 파파인 저해제; 리보좀-불활성화 단백질 (RIP), 예컨대 리신, 옥수수-RIP, 아브린, 루핀, 사포린 또는 비리오딘; 스테로이드-대사 효소, 예컨대 3-히드록시스테로이드 산화효소, 에크디스테로이드-UDP-글루코실 트랜스페라아제, 또는 콜레스테롤 산화효소; 에크디손 저해제; HMG-CoA 환원효소; 이온 채널 저해제, 예컨대 나트륨 채널 또는 칼슘 채널 저해제; 유충 호르몬 에스테라아제; 디우레틱 호르몬 수용체; 스틸벤 신타아제; 비벤질 신타아제; 키티나아제; 및 글루카나아제가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에서 발현되는 독소에는, Cry1Ab, Cry1Ac, Cry1F, Cry1Fa2, Cry2Ab, Cry3A, Cry3Bb1, Cry9C, Cry34Ab 또는 Cry35Ab 등의 δ-내독소 단백질, 및 VIP1, VIP2, VIP3 또는 VIP3A 등의 살충 단백질의 잡종 독소; 일부가 결실된 독소; 및 변형된 독소가 포함된다. 이러한 잡종 독소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이러한 단백질의 상이한 도메인의 새로운 조합에 의해 생성된다. 일부가 결실된 독소로는,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가 결실된 Cry1Ab 가 알려져 있다. 변형된 독소는 천연 독소의 하나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이 치환되어 생성된다.
이러한 독소 및 이러한 독소를 합성할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식물의 예는, EP-A-0 374 753 호, WO 93/07278 호, WO 95/34656 호, EP-A-0 427 529 호, EP-A-451 878 호, WO 03/052073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식물에 포함되는 독소는, 특히 콜레오프테라 (Coleoptera), 헤미프테라 (Hemiptera), 디프테라 (Diptera), 레피도프테라 (Lepidoptera) 및 네마토드 (Nematodes) 에 속하는 해충에 대한 내성을 식물에 부여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살충성 해충-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독소를 발현하는 유전자 재조합 식물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식물 중 일부는 이미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식물의 예로는, YieldGard (등록상표) (Cry1Ab 독소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YieldGard Rootworm (등록상표) (Cry3Bb1 독소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YieldGard Plus (등록상표) (Cry1Ab 와 Cry3Bb1 독소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Herculex I (등록상표) (Cry1Fa2 독소와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기 위해 포스피노트리신 N-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 (PAT) 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NuCOTN33B (등록상표) (Cry1Ac 독소를 발현하는 목화 품종), Bollgard I (등록상표) (Cry1Ac 독소를 발현하는 목화 품종), Bollgard II (등록상표) (Cry1Ac 와 Cry2Ab 독소를 발현하는 목화 품종), VIPCOT (등록상표) (VIP 독소를 발현하는 목화 품종), NewLeaf (등록상표) (Cry3A 독소를 발현하는 감자 품종), NatureGard (등록상표) Agrisure (등록상표) GT Advantage (GA21 글리포세이트-내성 형질), Agrisure (등록상표) CB Advantage (Bt11 콘 보러 (corn borer) (CB) 형질), 및 Protecta (등록상표) 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식물" 에는,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작용을 갖는 항병원성 물질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게 된 농작물도 포함된다.
이러한 항병원성 물질로는 PR 단백질 등이 알려져 있다 (PRP, EP-A-0 392 225 호). 이러한 항병원성 물질과 그것을 생성하는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은 EP-A-0 392 225 호, WO 95/33818 호, EP-A-0 353 191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에서 발현되는 항병원성 물질의 예에는, 이온 채널 저해제, 예컨대 나트륨 채널 저해제 또는 칼슘 채널 저해제 (바이러스에 의해 생성되는 KP1, KP4 및 KP6 독소 등이 알려져 있음); 스틸벤 신타아제; 비벤질 신타아제; 키티나아제; 글루카나아제; PR 단백질; 및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항병원성 물질, 예컨대 펩티드 항생제, 헤테로고리를 갖는 항생제, 식물 병해에 대한 내성과 관련된 단백질 인자 (식물 병해-저항성 유전자로 불리며 WO 03/000906 호에 기재되어 있음) 등이 포함된다. 이들 항병원성 물질과 그것을 생성하는 유전자 재조합 식물은 EP-A-0392225 호, WO95/33818 호, EP-A-0353191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식물" 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오일형 성분에서의 개선된 형질 또는 아미노산 함량 증가 형질 등의 유리한 형질을 부여한 식물이 포함된다. 이의 예로는 VISTIVE (등록상표) (리놀렌 함량을 저감시킨 저 리놀렌 대두) 또는 고-리신 (고-오일) 옥수수 (리신 또는 오일 함량을 증가시킨 옥수수) 를 들 수 있다.
또한, 스택 품종에는 상기한 고전적인 제초제 형질 또는 제초제 내성 유전자, 유해 해충 저항성 유전자, 항병원성 물질 생성 유전자, 오일형 성분의 개선된 형질 또는 아미노산 함량 증강 형질 등의 유리한 형질을 복수 조합한 것도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제형예, 종자 처리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예에 있어서, 부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형예 1
톨클로포스-메틸 2.5 부, 에타복삼 1.25 부,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페닐 에테르 14 부, 도데실 벤젠 술폰산 칼슘 6 부, 및 자일렌 76.25 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에멀전을 얻는다.
제형예 2
톨클로포스-메틸 5 부, 에타복삼 5 부, 화이트 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암모늄 염과의 혼합물 (중량비 1:1) 35 부, 및 물 55 부를 혼합 하고, 혼합물을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하여 유동가능한 제형을 얻는다.
제형예 3
톨클로포스-메틸 10 부, 에타복삼 10 부,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1.5 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 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3.5 부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다. 그 후, 잔탄 검 0.05 부 및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1 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 부를 수득한 혼합물에 첨가하고, 추가로 프로필렌 글리콜 10 부를 첨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교반 배합하여 유동가능한 제형을 얻는다.
제형예 4
톨클로포스-메틸 20 부, 에타복삼 5 부,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1.5 부, 및 폴리비닐 알코올 2 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 부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다. 그 후, 잔탄 검 0.05 부 및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1 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 부를 수득한 혼합물에 첨가하고, 추가로 프로필렌 글리콜 10 부를 첨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교반 배합하여 유동가능한 제형을 얻는다.
제형예 5
톨클로포스-메틸 40 부, 에타복삼 5 부, 프로필렌 글리콜 5 부 (Nacalai Tesque 제조), SoprophorFLK 5 부 (Rhodia Nikka 제조), 안티-폼 C 에멀전 0.2 부 (Cow Corning 제조), proxel GXL 0.3 부 (Arch Chemicals 제조), 및 이온 교환수 49.5 부를 혼합하여 벌크 슬러리를 얻는다. 상기 슬러리 100 부에 150 부의 유리 비즈 (직경 = 1 mm) 를 넣고, 슬러리를 냉각수로 냉각하면서 2 시간 분쇄한다. 분쇄 후, 수득물을 여과하여 유리 비즈를 제거하고 유동가능한 제형을 수득한다.
제형예 6
톨클로포스-메틸 50 부, 에타복삼 0.5 부, NN 카올린 클레이 38.5 부 (Takehara Chemical industrial 제조), MorwetD425 10 부, 및 MorwerEFW 1.5 부 (Akzo Nobel Corp. 제조) 를 혼합하여 AI 프리믹스를 얻는다. 상기 프리믹스를 제트 밀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다.
제형예 7
톨클로포스-메틸 4 부, 에타복삼 1 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 부, 리그닌 술폰산 칼슘 2 부, 벤토나이트 30 부, 및 카올린 클레이 62 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충분히 혼련한 후, 과립화하고 건조하여 과립을 얻는다.
제형예 8
톨클로포스-메틸 40 부, 에타복삼 1 부, 리그닌 술폰산 칼슘 3 부, 라우릴 황산 나트륨 2 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54 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는다.
제형예 9
톨클로포스-메틸 2 부, 에타복삼 1 부, 카올린 클레이 87 부, 및 탤크 10 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여 분말을 얻는다.
제형예 10
톨클로포스-메틸 2 부, 에타복삼 0.25 부,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페닐 에테르 14 부, 도데실 벤젠 술폰산 칼슘 6 부, 및 자일렌 77.75 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에멀전을 얻는다.
제형예 11
톨클로포스-메틸 10 부, 에타복삼 2.5 부,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1.5 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 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30 부를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다. 그 후, 잔탄 검 0.05 부 및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1 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7.5 부를 분쇄한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프로필렌 글리콜 10 부를 첨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교반 배합하여 유동가능한 제형을 얻는다.
제형예 12
톨클로포스-메틸 20 부, 에타복삼 1 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 부, 리그닌 술포산 칼슘 2 부, 벤토나이트 30 부, 및 카올린 클레이 47 부를 분쇄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충분히 혼련한 후, 과립화하고 건조하여 과립을 얻는다.
제형예 13
톨클로포스-메틸 40 부, 에타복삼 1 부, 리그닌 술폰산 칼슘 3 부, 라우릴 황산 나트륨 2 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54 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1
제형예 1 에 준해 제조한 에멀전을, 수수 건조 종자 10O kg 당 50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2
제형예 2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을, 유채 건조 종자 10 kg 당 5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3
제형예 3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을, 옥수수 건조 종자 10 kg 당 4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4
제형예 4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 5 부, 안료 BPD6135 (Sun Chemical 제조) 5 부, 및 물 35 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그 혼합물을, 벼 건조 종자 10 kg 당 6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5
제형예 5 에 준해 제조한 분말제를, 옥수수 건조 종자 10 kg 당 50 g 의 양으로 분말 코팅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6
제형예 1 에 준해 제조한 에멀전을, 사탕무우 건조 종자 100 kg 당 50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7
제형예 2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을, 대두 건조 종자 10 kg 당 5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8
제형예 3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을, 밀 건조 종자 10 kg 당 5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9
제형예 4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 5 부, 안료 BPD6135 (Sun Chemical 제조) 5 부, 및 물 35 부를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을, 감자 덩이줄기 조각 10 kg 당 7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10
제형예 4 에 준해 제조한 유동가능한 제형 5 부, 안료 BPD6135 (Sun Chemical 제조) 5 부, 및 물 35 부를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을, 해바라기 종자 10 kg 당 70 ml 의 양으로 회전식 종자 처리기 (시드 드레서, Hans-Ulrich Hege GmbH 제조) 를 이용하여 도말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종자 처리예 11
제형예 6 에 준해 제조한 분말을, 목화 건조 종자 10 kg 당 40 g 의 양으로 분말 코팅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처리 종자를 얻는다.
시험예 1
에타복삼의 아세톤 용액과 톨클로포스-메틸의 아세톤 용액을 혼합하여 소정 농도의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을 함유하는 혼합액을 제조했다. 상기 혼합액을 오이 (Sagamihanjiro) 종자 표면에 부착시켜 하룻밤 정치시켰다. 플라스틱 포트에 모래 토양을 채워 그 위에 상기 종자를 파종하였다. 그 후, 종자를, 오이 모종 마름병균인 피슘 울티뭄 (Pythium ultimum) 을 생육시킨 겨 배지와 혼합한 모래 토양으로 덮었다. 이들을 관수하고, 18 ℃, 보습 하에서 13 일간 생육시킨 다음,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비교를 위해, 소정 농도의 에타복삼을 함유하는 아세톤 용액, 및 소정 농도의 톨클로포스-메틸을 함유하는 아세톤 용액을 제조하고, 유사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방제값 산출을 위해, 종자를 약제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서의 발병도도 또한 조사하였다.
식 1 에 의해 발병도를 산출하여, 그 발병도를 기초로 식 2 에 의해 방제값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식 1]
발병도 = (싹트지 않은 묘목수 및 발병이 관찰되는 묘목수)×100/(총 파종수)
[식 2]
방제값 = 100 × (A - B) / A
A: 미처리부 식물의 발병도
B: 처리부 식물의 발병도
일반적으로, 주어진 2 종류의 유효 성분 화합물을 혼합 사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기대되는 방제값, 이른바 방제값 기대치는 하기 콜비 (Colby's) 계산식에 의해 구한다.
[식 2]
E = X + Y - (X × Y) / 100
X: 100 kg 의 종자에 대해 유효 성분 화합물 A 를 M g 사용하여 처리할 때의 방제값 (%)
Y: 100 kg 의 종자에 대해 유효 성분 화합물 B 를 N g 사용하여 처리할 때의 방제값 (%)
E: 100 kg 의 종자에 대해 유효 성분 화합물 A 를 M g 및 100 kg 의 종자에 대해 유효 성분 화합물 B 를 N g 혼합 사용하여 처리할 때의 방제값 (%) (이하 "방제값 기대치" 라고 함)
"상승 효과 (%)" = (실제 방제값) × 100 / (방제값 기대치)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고활성을 갖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7)

  1.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타복삼 대 톨클로포스-메틸의 중량비가 1 : 1 내지 1 : 200 의 범위내인 조성물.
  3.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종자 처리제.
  4. 유효량의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로 처리되는 식물 종자.
  5. 유효량의 에타복삼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식물 병해가 난균류 (Oomycetes) 및 리족토니아속균 (Rhizoctonia spp.) 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인 식물 병해 방제 방법.
  7.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에타복삼과 톨클로포스-메틸의 조합 사용.
KR1020117011694A 2008-11-25 2009-11-20 식물 병해 방제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665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9270A JP5359223B2 (ja) 2008-11-25 2008-11-25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JP-P-2008-299270 2008-11-25
PCT/JP2009/070067 WO2010061935A2 (en) 2008-11-25 2009-11-20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568A true KR20110086568A (ko) 2011-07-28
KR101665736B1 KR101665736B1 (ko) 2016-10-12

Family

ID=4222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694A KR101665736B1 (ko) 2008-11-25 2009-11-20 식물 병해 방제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8486920B2 (ko)
EP (1) EP2358205B1 (ko)
JP (1) JP5359223B2 (ko)
KR (1) KR101665736B1 (ko)
CN (1) CN102316741B (ko)
AR (1) AR075301A1 (ko)
AU (1) AU2009320714B2 (ko)
BR (1) BRPI0921241A2 (ko)
CA (1) CA2743918C (ko)
CL (1) CL2011001196A1 (ko)
CO (1) CO6382084A2 (ko)
ES (1) ES2569915T3 (ko)
MX (1) MX2011005350A (ko)
MY (1) MY152388A (ko)
NZ (1) NZ592913A (ko)
RU (1) RU2512286C2 (ko)
TW (1) TWI491357B (ko)
UA (1) UA102712C2 (ko)
WO (1) WO2010061935A2 (ko)
ZA (1) ZA201103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110B1 (ko) * 2009-12-25 2017-11-2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방법
CN101960957B (zh) * 2010-09-08 2011-11-16 天津滨海国际花卉科技园区股份有限公司 宝莲灯黑胫病的防治方法
US11130964B2 (en) 2014-11-20 2021-09-28 Monsanto Technology Llc Insect inhibitory proteins
PE20170955A1 (es) 2014-11-20 2017-07-13 Monsanto Technology Llc Nuevas proteinas inhibidoras de insectos
CN107964560B (zh) * 2017-12-14 2022-05-06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西甜瓜枯萎病和蔓枯病苗期联合抗性快速鉴定方法
CN111154897B (zh) * 2019-12-16 2022-09-16 福建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快速检测马铃薯黑胫病的rpa引物、试剂盒、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312A (ko) * 2007-12-03 2010-10-12 베일런트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종자 처리 제형 및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600161A (pt) 1985-01-18 1986-09-23 Plant Genetic Systems Nv Gene quimerico,vetores de plasmidio hibrido,intermediario,processo para controlar insetos em agricultura ou horticultura,composicao inseticida,processo para transformar celulas de plantas para expressar uma toxina de polipeptideo produzida por bacillus thuringiensis,planta,semente de planta,cultura de celulas e plasmidio
CA1340685C (en) 1988-07-29 1999-07-27 Frederick Meins Dna sequences encoding polypeptides having beta-1,3-glucanase activity
EP0374753A3 (de) 1988-12-19 1991-05-29 American Cyanamid Company Insektizide Toxine, Gene, die diese Toxine kodieren, Antikörper, die sie binden, sowie transgene Pflanzenzellen und transgene Pflanzen, die diese Toxine exprimieren
EP0392225B1 (en) 1989-03-24 2003-05-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Disease-resistant transgenic plants
DK0427529T3 (da) 1989-11-07 1995-06-26 Pioneer Hi Bred Int Larvedræbende lactiner og planteinsektresistens baseret derpå
US5639949A (en) 1990-08-20 1997-06-17 Ciba-Geigy Corporation Genes for the synthesis of antipathogenic substances
UA48104C2 (uk) 1991-10-04 2002-08-15 Новартіс Аг Фрагмент днк, який містить послідовність,що кодує інсектицидний протеїн, оптимізовану для кукурудзи,фрагмент днк, який забезпечує направлену бажану для серцевини стебла експресію зв'язаного з нею структурного гена в рослині, фрагмент днк, який забезпечує специфічну для пилку експресію зв`язаного з нею структурного гена в рослині, рекомбінантна молекула днк,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оптимізованої для кукурудзи кодуючої послідовності інсектицидного протеїну, спосіб захисту рослин кукурудзи щонайменше від однієї комахи-шкідника
US5514643A (en) 1993-08-16 1996-05-07 Lucky Ltd. 2-aminothiazolecarboxamid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organisms
US5530195A (en) 1994-06-10 1996-06-25 Ciba-Geigy Corporation Bacillus thuringiensis gene encoding a toxin active against insects
KR100426179B1 (ko) * 2000-05-10 2004-04-03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N-(α-시아노-2-테닐)-4-에틸-2-(에틸아미노)-5-티아졸카르복사미드를 함유하는 신규한 살균제 조성물
AU2002345250A1 (en) 2001-06-22 2003-01-08 Syngenta Participations Ag Plant disease resistance genes
AU2002361696A1 (en) 2001-12-17 2003-06-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Novel corn event
GB0422400D0 (en) * 2004-10-08 2004-11-10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PE20060796A1 (es) * 2004-11-25 2006-09-29 Basf Ag Procedimiento para intensificar la eficiencia de etabox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312A (ko) * 2007-12-03 2010-10-12 베일런트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종자 처리 제형 및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6741A (zh) 2012-01-11
WO2010061935A2 (en) 2010-06-03
ZA201103412B (en) 2012-07-25
BRPI0921241A2 (pt) 2015-08-25
CA2743918A1 (en) 2010-06-03
CA2743918C (en) 2018-03-13
CO6382084A2 (es) 2012-02-15
JP5359223B2 (ja) 2013-12-04
TW201023745A (en) 2010-07-01
US8486920B2 (en) 2013-07-16
MY152388A (en) 2014-09-15
MX2011005350A (es) 2011-06-09
RU2512286C2 (ru) 2014-04-10
AU2009320714B2 (en) 2015-02-19
WO2010061935A3 (en) 2011-05-26
AR075301A1 (es) 2011-03-23
RU2011126120A (ru) 2013-01-10
US20110263538A1 (en) 2011-10-27
KR101665736B1 (ko) 2016-10-12
CL2011001196A1 (es) 2012-04-09
JP2010126438A (ja) 2010-06-10
EP2358205A2 (en) 2011-08-24
TWI491357B (zh) 2015-07-11
NZ592913A (en) 2012-10-26
EP2358205B1 (en) 2016-04-20
CN102316741B (zh) 2014-01-01
UA102712C2 (ru) 2013-08-12
ES2569915T3 (es) 2016-05-13
AU2009320714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8183B2 (ja)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KR101722428B1 (ko) 식물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해의 방제방법
KR101722434B1 (ko) 식물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해의 방제방법
RU2512286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KR101803110B1 (ko)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방법
RU2542766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JP5618184B2 (ja)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RU2513561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JP5618185B2 (ja)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BRPI0921241B1 (pt)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