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678A -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678A
KR20110085678A KR1020100005590A KR20100005590A KR20110085678A KR 20110085678 A KR20110085678 A KR 20110085678A KR 1020100005590 A KR1020100005590 A KR 1020100005590A KR 20100005590 A KR20100005590 A KR 20100005590A KR 20110085678 A KR20110085678 A KR 20110085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body
body portion
inner diameter
ring
inclin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742B1 (ko
Inventor
손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쥬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쥬얼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쥬얼리
Priority to KR102010000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7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07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반지들을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디자인과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반지는 내경면의 양측단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경사홈(11)을 가진 링 형상의 중앙몸체부(10); 및
상기 경사홈에 대응되게 내경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환형의 경사돌출턱(21)을 가지며, 상기 경사돌출턱이 상기 중앙몸체부의 경사홈에 맞물린 상태에서 확장을 통해 중앙몸체부와 긴밀히 밀착되는 한 쌍의 좌,우측몸체부(20,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Doulbe ring and ma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반지들을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디자인과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금이나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보석이나 장식물 또는 다양한 문양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지들은 개인마다의 취향이 모두 다르므로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 및 용접 등의 제작방법을 통해 두 가지 이상의 금속을 부착시키는 등의 다양한 제작방법을 통해 각기 다른 디자인을 갖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최근에는 몸체부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구획선을 가공하거나 몸체부의 표면을 적절히 굴곡지게 성형하여 마치 여러 반지가 일체로 결합된 것과 같은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거나, 동종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몸체부에 이종금속의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도금을 한 후에 각 몸체부를 포개놓은 상태에서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고정시키거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몸체부를 포개놓은 상태로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고정시키는 제작방법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각기 다른 종류의 반지를 한꺼번에 착용한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크게 높인 다중반지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중반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몸체부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구획선을 가공하거나 몸체부의 표면을 적절히 굴곡지게 성형하는 제작방법을 따를 경우에 여러 반지가 일체로 결합된 것과 같은 분위기가 제대로 연출되지도 않아서 고객의 만족도가 매우 낮다.
둘째, 동종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몸체부에 이종금속의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도금을 한 후에 각 몸체부를 포개놓은 상태에서 용접이나 접착제를 통해 상호고정시키거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몸체부를 포개놓은 상태로 용접을 통해 상호고정시키는 제작방법은 이종금속간의 도금 및 용접된 부위가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변색되거나 균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도금으로 인한 다양한 품질문제를 야기시킨다.
뿐만 아니라, 사용 중 반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반지의 내경면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경우에 용접 및 접착부위가 몸체부와 동일하게 신축되지 않게 되므로 용접 및 접착부위에 균열이 발생되고 몸체부들이 서로 분리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몸체부에 도금이나 용접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동종은 물론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지들을 결합시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중반지는 내경면의 양측단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경사홈을 가진 링 형상의 중앙몸체부; 및 상기 경사홈에 대응되게 내경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환형의 경사돌출턱을 가지며, 상기 경사돌출턱이 상기 중앙몸체부의 경사홈에 맞물린 상태에서 확장을 통해 중앙몸체부와 긴밀히 밀착되는 한 쌍의 좌,우측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경사홈은 중앙몸체부의 중앙을 향해 외경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중앙몸체부의 내경면에 이르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반지의 제작방법은 경사홈을 가진 중앙몸체부가 제작되는 단계; 경사돌출턱을 가진 좌,우측몸체부가 제작되는 단계; 좌,우측몸체부에 경사돌출턱이 가공되는 단계; 중앙몸체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측몸체부와 우측몸체부가 위치된 다음 좌우측에서 압착되어 경사홈에 경사돌출턱이 맞물리면서 중앙몸체부에 좌,우측몸체부가 가결합되는 단계; 경사돌출턱이 경사홈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가결합된 중앙몸체부와 좌,우측몸체부의 내경면이 확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반지는 내경면의 양측단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경사홈을 가진 링 형상의 중앙몸체부의 양측부에 상기 경사홈에 대응되는 경사돌출턱을 가진 좌,우측몸체부를 결합시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 및 접착제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변색이나 균열, 그리고 이로 인한 외관불량 및 좌,우측몸체부의 분리 등과 같은 각종 품질문제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좌,우측몸체부 및 중앙몸체부를 다양한 이종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종금속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도금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도금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품질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반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반지의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반지를 구성하는 중앙몸체부에 좌,우측몸체부가 가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반지를 구성하는 중앙몸체부에 좌,우측몸체부가 가결합된 상태에서 좌,우측몸체부의 내경면을 확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반지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반지(1)는 중앙몸체부(10)와 중앙몸체부(10)의 양측으로 결합된 좌,우측몸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몸체부(10)는 일정 내경을 갖는 링형상의 금속으로서, 내경면의 양측단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경사홈(11)을 가진다. 상기 경사홈(11)은 전체적으로는 환형으로서 중앙몸체부(10)의 중앙을 향해 외경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a)과, 상기 경사면(11a)으로부터 중앙몸체부(10)의 내경면에 이르는 수직면(11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몸체부(20)는 일정 내경(d)을 갖는 링형상의 금속으로서 중앙몸체부(10)의 내경(D) 보다 작은 내경(d)을 가진다. 상기 좌,우측몸체부(20)는 제품의 다양한 중앙몸체부(10)와 동일재질로 이루어져도 되고 이종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예컨대, 중앙몸체부(10)는 금이고 좌측몸체부(20)는 은이며, 우측몸체부(20)는 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우측몸체부(20)는 상기 경사홈(11)에 대응되는 환형의 경사돌출턱(21)을 갖는다. 상기 경사돌출턱(21)은 좌,우측몸체부(2)의 내경면을 따라 좌,우측몸체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좌,우측몸체부(20)의 내경면은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사돌출턱(21)의 내주면(21a)은 좌,우측몸체부(20)의 연장된 내경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몸체부(20)는 상기 경사돌출턱(21)이 중앙몸체부(10)의 경사홈(11)에 맞물린 상태로 중앙몸체부(10)의 양측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홈(11)과 경사돌출턱(21)은 경사진 상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중앙몸체부(10)를 기준으로 양측방으로 외력이 작용해도 좌,우측몸체부(20)은 중앙몸체부(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반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제작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11)이 형성된 중앙몸체부(10)와 경사돌출턱(21)이 형성된 좌,우측몸체부(20)를 각각 제작한다.(S1,S2) 상기 경사홈(11)과 경사돌출턱(21)은 후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몸체부(10)와 좌,우측몸체부(20)가 제작될 때 일체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몸체부(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측몸체부(20)와 우측몸체부(20)를 위치시킨 다음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중앙몸체부(10)의 좌우측에 각각 좌측몸체부(20)와 우측몸체부(20)를 가결합시킨다.(S3)
이때, 상기 좌,우측몸체부(20)는 중앙몸체부(10)와의 가결합이 가능하도록 경사돌출턱(21)과 중앙몸체부(10)의 경사홈(11)이 미세하게 간섭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만일 경사돌출턱(21)과 경사홈(11)이 간섭되지 않으면 가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경사돌출턱(21)과 경사홈(11)이 지나치게 간섭되면 압착과정에서 간섭부위가 손상되면서 가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사돌출턱(21)과 경사홈(11)이 미세하게 간섭된 상태에서 압착기를 이용하여 중앙몸체부(10)와 좌,우측몸체부(20)를 압착하게 되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좌,우측몸체부(20)의 특성상 경사돌출턱(21)이 자체탄성에 의하여 경사홈(11) 선단에 밀려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경사홈(11)을 타고 넘어 경사홈(11)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진입된 이후에는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가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몸체부(10)와 좌,우측몸체부(20)와의 가결합이 이루어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결합된 중앙몸체부(10)와 좌,우측몸체부(20)의 내경면을 확장시켜 경사돌출턱(21)을 경사홈(11)에 긴밀히 밀착시킨다.(S4)
이때, 상기 좌,우측몸체부(20)의 내경(d)이 중앙몸체부(10)의 내경(D)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확장되는 내경면은 좌,우측몸체부(20)가 되며, 상기 경사면(11a)과 경사돌출턱(21)은 경사지게 형성된 관계로 맞물린 상태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좌,우측몸체부(20)에 외력이 작용해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좌,우측몸체부(20)의 확장은 반지를 늘릴 때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링확장기(미도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몸체부(10)의 내경면과 일치되도록 좌측몸체부(20)의 내경면을 먼저 확장시킨 다음에, 중앙몸체부(10)의 내경면과 일치되도록 우측몸체부(20)의 내경면을 확장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반지(1)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우측몸체부(20)의 내경면의 확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중앙몸체부(10)를 비롯한 좌,우측몸체부(20)의 내경면 전체를 한번 더 확장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경사홈(11)과 경사돌출턱(21)이 이미 밀착되게 맞물린 상태에서 내경면의 확장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중앙몸체부(10)의 경사홈(11)과 좌,우측몸체부(20)의 경사돌출턱(21)과 긴밀도가 더욱 향상되면서 중앙몸체부(10)와 좌,우측몸체부(20)와의 결합력도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중앙몸체부 11...경사홈
11a...경사면 11b...수직면
20...좌,우측몸체부 21...경사돌출턱

Claims (3)

  1. 내경면의 양측단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경사홈을 가진 링 형상의 중앙몸체부; 및
    상기 경사홈에 대응되게 내경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환형의 경사돌출턱을 가지며, 상기 경사돌출턱이 상기 중앙몸체부의 경사홈에 맞물린 상태에서 확장을 통해 중앙몸체부와 긴밀히 밀착되는 한 쌍의 좌,우측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중앙몸체부의 중앙을 향해 외경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중앙몸체부의 내경면에 이르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반지.
  3. 내경면의 양측단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경사홈을 가진 링 형상의 중앙몸체부; 및 상기 경사홈에 대응되게 내경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환형의 경사돌출턱을 통해 상기 중앙몸체부의 측부로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측몸체부로 구성된 다중반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경사홈이 형성된 중앙몸체부가 제작되는 단계;
    경사돌출턱이 형성된 좌,우측몸체부가 제작되는 단계;
    중앙몸체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측몸체부와 우측몸체부가 위치된 다음 좌우측에서 압착되어 경사홈에 경사돌출턱이 맞물리면서 중앙몸체부에 좌,우측몸체부가 가결합되는 단계;
    경사돌출턱이 경사홈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가결합된 중앙몸체부와 좌,우측몸체부의 내경면이 확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반지의 제작방법.
KR1020100005590A 2010-01-21 2010-01-21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KR10116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90A KR101163742B1 (ko) 2010-01-21 2010-01-21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90A KR101163742B1 (ko) 2010-01-21 2010-01-21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78A true KR20110085678A (ko) 2011-07-27
KR101163742B1 KR101163742B1 (ko) 2012-07-09

Family

ID=4492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590A KR101163742B1 (ko) 2010-01-21 2010-01-21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142A (ko) * 2015-05-21 2016-01-29 송정수 경량성, 내구성, 내충격성, 광택성 및 가공성 등이 향상된 반지
WO2017200161A1 (ko) * 2016-05-16 2017-11-23 이연서 탈부착 가능한 반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465A (ko) 2015-06-06 2016-12-14 주식회사 구티에르 패션 반지
KR20180064069A (ko) 2016-12-05 2018-06-14 선건희 건강 반지 제조방법 및 건강 반지
KR20230108665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이야기 앤티크 외관을 갖는 실버 다이아 반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313Y1 (ko) 2002-11-14 2003-02-15 홍표 결합형 이중 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142A (ko) * 2015-05-21 2016-01-29 송정수 경량성, 내구성, 내충격성, 광택성 및 가공성 등이 향상된 반지
WO2017200161A1 (ko) * 2016-05-16 2017-11-23 이연서 탈부착 가능한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742B1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742B1 (ko) 다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JP5472272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05004A (ja) バイメタル式コイニングブランクの外側エレメントと内側エレメントとを分離しないように組み合わせる方法
KR20180007148A (ko) 트윈 스냅 버튼
CN106572729B (zh) 大致环状饰品
CN106073075A (zh) 珠宝和/或首饰物件
JP2013146561A (ja) 宝飾装身具
CN105146863A (zh) 方便调节长度的表带
KR19980033744A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JP5599947B2 (ja) スナップボタンの形成方法、中間スナップ部材、及びスナップボタン
KR20110085685A (ko) 이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KR200304313Y1 (ko) 결합형 이중 반지
CN212989892U (zh) 手表
KR101773816B1 (ko) 보석이 부착된 반지의 제조방법
JPH10228938A (ja) 雌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9642446B2 (en) Two-layer wristban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220324U (ja) 装身具
KR101894949B1 (ko) 탈부착 가능한 반지
KR101942780B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KR200396530Y1 (ko) 반지
KR101588832B1 (ko) 액세서리 연결구조체
JP3200528U (ja) イヤクリップ
KR20160126929A (ko) 보석부재를 가지는 액세서리 및 그 제조 방법
JP6896521B2 (ja) ボタンの製造方法
CN213487310U (zh) 一种镂空手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