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600A -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600A
KR20110084600A KR1020100004231A KR20100004231A KR20110084600A KR 20110084600 A KR20110084600 A KR 20110084600A KR 1020100004231 A KR1020100004231 A KR 1020100004231A KR 20100004231 A KR20100004231 A KR 20100004231A KR 20110084600 A KR20110084600 A KR 2011008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
casement
screen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정
권영희
Original Assignee
(주)에어힉스
장선정
권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힉스, 장선정, 권영희 filed Critical (주)에어힉스
Priority to KR102010000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4600A/ko
Publication of KR2011008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건물의 창을 여닫는 여닫이창의 안쪽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방충장치는 여닫이창의 안쪽에 창 전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손을 뻗어 여닫이창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방충망과 구멍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보강틀을 갖는 고정방충망 조립체와, 보강틀에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구멍을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개방방충망을 갖는 개방방충망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 전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정방충망 조립체의 고정방충망에 사용자가 손을 뻗어 여닫이창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방충망의 구멍을 여닫을 수 있는 개방방충망 조립체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 의하여 여닫이창의 여닫는 동작 중에도 창을 통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방충망 조립체를 열어 여닫이창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여닫이창용 방충장치{INSECT SCREEN APPARATUS FOR CASEMENT WINDOW}
본 발명은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여닫이창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는 밀거나 당겨서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열고 닫는 문이나 창을 의미한다. 여닫이는 보통 바깥에서 열 때는 앞으로 잡아당기고, 안쪽에서 열 때는 밖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사람의 출입과 공기의 유통을 위한 건물의 개구부, 예를 들어 문과 창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이 설치되고 있다. 방충망은 미닫이와 여닫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미닫이의 방충망은 설치가 간편하고, 여닫기가 편리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4708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023호에 여닫이창용 방충망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여닫이창용 방충망은 여닫이창의 안쪽에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다. 방충망의 상단은 창틀의 상부에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여닫이창을 열기 위해서는 방충망을 먼저 열고 난 다음에 여닫이창을 열어야만 하기 때문에 여닫음 동작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방충망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여닫이창을 여닫아야 하기 때문에 여닫이창을 여닫는 동작 중에 창을 통하여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닫이창의 여닫는 동작 중에도 창을 통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닫이창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건물의 창을 여닫는 여닫이창의 안쪽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여닫이창의 안쪽에 창 전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손을 뻗어 여닫이창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방충망과 구멍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보강틀을 갖는 고정방충망 조립체와; 보강틀에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구멍을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개방방충망을 갖는 개방방충망 조립체를 포함하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창 전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정방충망 조립체의 고정방충망에 사용자가 손을 뻗어 여닫이창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방충망의 구멍을 여닫을 수 있는 개방방충망 조립체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 의하여 여닫이창의 여닫는 동작 중에도 창을 통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방충망 조립체를 열어 여닫이창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서 개방방충망이 열려 있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서 개방틀과 개방방충망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건물의 창(2)을 여닫기 위한 여닫이창(10)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여닫이창(10)의 상단은 창틀(4)의 상부에 경첩(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경첩(12)은 복수의 레버들이 여닫이창(10)의 열림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경첩(12)은 창틀(4)의 상부 양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축구멍들과, 여닫이창(10)의 상단 양쪽에 결합되어 있고 축구멍들에 회전하도록 끼워져 있는 한 쌍의 축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닫이창(10)의 내면 하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4)가 장착되어 있다. 여닫이창(10)은 상단이 경첩(12)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되어 여닫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닫이창(10)은 상하단이 창틀(4)의 상하부에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여닫이창(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창틀(4)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방충망 조립체(20)를 구비한다. 고정방충망 조립체(20)는 고정틀(22)과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방충망(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틀(22)은 창틀(4)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방충망(24)의 가장자리는 고정틀(22)에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14)와 정렬되는 고정방충망(24)의 일측에 사용자가 고정방충망(24)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손을 뻗어 여닫이창(10)에 접근해서 손잡이(14)를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방충망(24)은 금속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멍(26)의 가장자리에 고정방충망(24)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틀(28)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고정방충망(24)의 구멍(26)에 구멍(26)을 여닫을 수 있도록 개방방충망 조립체(30)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방충망 조립체(30)는 개방틀(32), 경첩(34), 개방방충망(36)과 손잡이(38)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틀(32)의 하단은 경첩(34)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보강틀(28)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경첩(34)은 보강틀(28)의 상부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축구멍들과, 개방틀(32)의 상단 양쪽에 결합되어 있고, 축구멍들에 회전하도록 끼워져 있는 한 쌍의 축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개방방충망(36)의 가장자리는 개방틀(32)에 고정되어 있다. 개방방충망(36)은 그 전방, 즉 건물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구형의 개방방충망(36)은 그 바깥쪽에 여닫이창(10)의 손잡이(14)와 간섭을 방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를 여닫이창(10)과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손잡이(14)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다. 손잡이(38)는 개방틀(32)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개방방충망(36)은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개방방충망(36)은 여닫이창(10)의 손잡이(14)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닫혀있는 여닫이창(10)을 열기 위해서는 먼저 개방방충망 조립체(30)를 열어야 한다. 사용자가 손잡이(38)를 앞으로 당기면, 개방틀(32)이 경첩(3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틀(32)을 위로 젖혀 고정방충망(24)의 구멍(26)을 간편하게 열어줄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열려져 있는 개방틀(32)을 잡은 상태에서 구멍(26)을 통하여 다른 한 손을 집어넣어 여닫이창(10)의 손잡이(38)를 밀면, 여닫이창(10)이 경첩(1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바깥쪽으로 열려진다. 여닫이창(10)이 열려진 후, 사용자는 구멍(26)에 집어넣었던 손을 빼고, 개방방충망 조립체(30)를 닫아 구멍(26)을 폐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고정방충망(24)과 개방방충망(36)에 의하여 창(2) 전체가 항상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여닫이창(10)을 여닫을 때에만 개방방충망(36)을 열기 때문에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려 있는 고정방충망(24)의 구멍(26)을 통하여 여닫이창(10)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고정방충망 조립체(20)와 개방방충망 조립체(130)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방충망 조립체(130)는 개방틀(132), 경첩(134), 개방방충망(136)과 손잡이(138)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틀(132)의 하단은 경첩(134)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보강틀(28)에 결합되어 있다. 개방방충망(136)의 가장자리는 개방틀(132)에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138)는 개방틀(132)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개방방충망 조립체(130)는 개방틀(132)의 하단이 경첩(13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에 의하여 하방으로 젖혀져 열려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열려져 있는 개방방충망 조립체(130)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여닫이창(10)을 여닫을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고정방충망 조립체(20)와 개방방충망 조립체(230)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방충망 조립체(230)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는 개방틀(232), 경첩(234), 개방방충망(236)과 손잡이(238)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틀(232)의 상단은 경첩(234)에 의하여 보강틀(28)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경첩(234)은 고리(234a)와 구멍(23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234a)는 보강틀(28)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멍(234a)은 고리(234b)에 끼워지도록 개방틀(2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경첩(234)은 보강틀(28)에 형성되어 있는 축구멍과, 개방틀(232)에 형성되어 있고 축구멍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238)는 개방틀(232)의 전면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틀(232)은 전후로 분리할 수 있는 전면틀(232a)과 후면틀(232b)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틀(232a)의 후면에 돌기(232c)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틀(232c)의 전면에 돌기(232c)가 맞춤되는 홈(232d)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틀(232a)과 후면틀(232b) 사이에 개방방충망(236)의 가장자리를 끼운 후, 돌기(232c)를 홈(232d)에 맞춤시키면 개방방충망(236)의 가장자리는 전면틀(232a)과 후면틀(232b)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면틀(232a)의 돌기(232c)와 후면틀(232b)의 홈(232d)에 의한 개방방충망(236)의 고정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개방틀(23, 12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여닫이창용 방충장치는 개방틀(232)을 붙이고 뗄 수 있는 복수의 자석(240)들을 구비한다. 자석(240)들은 보강틀(28)의 전면에 몰입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개방틀(232)은 자석(240)들의 자력에 의하여 자석(240)들에 달라붙고, 보강틀(28)의 전면과 개방틀(232)의 후면은 밀착된다. 사용자가 손잡이(238)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개방틀(232)이 자석(240)들로부터 떨어지고, 개방틀(232)은 고리(234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고정방충망(24)의 구멍(26)을 열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자석(240)들의 자력에 의하여 보강틀(28)과 개방틀(232)의 착탈이 이루어짐으로써, 개방틀(232)이 보강틀(28)에 밀착되어 고정되면서도 보강틀(28)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틀(232)의 후면틀(232b)은 자석(240)에 붙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석(240)들은 보강틀(28)에 대하여 개방틀(232)을 쉽게 붙이고 뗄 수 있는 접착천(상표명: 벨크로(Velcro))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여닫이창 20: 고정방충망 조립체
22: 고정틀 24: 고정방충망
26: 구멍 28: 보강틀
30, 130, 230: 개방방충망 조립체 32, 132, 232: 개방틀
34, 134, 234: 경첩 36, 136, 236: 개방방충망
38, 138, 238: 손잡이 240: 자석

Claims (3)

  1. 건물의 창을 여닫는 여닫이창의 안쪽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창의 안쪽에 상기 창 전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손을 뻗어 상기 여닫이창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방충망과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보강틀을 갖는 고정방충망 조립체와;
    상기 보강틀에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구멍을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개방방충망을 갖는 개방방충망 조립체를 포함하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방충망의 가장자리를 따라 개방틀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개방틀은 상기 경첩에 의하여 상기 보강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틀의 전면에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는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틀은 후면에 돌기를 갖는 전면틀과 전면에 상기 돌기가 맞춤되는 홈을 가지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후면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방충망의 가장자리는 상기 전면틀과 상기 후면틀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보강틀의 전면에 상기 후면틀을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자석들을 더 구비하는 여닫이창용 방충방치.
KR1020100004231A 2010-01-18 2010-01-18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KR20110084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231A KR20110084600A (ko) 2010-01-18 2010-01-18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231A KR20110084600A (ko) 2010-01-18 2010-01-18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600A true KR20110084600A (ko) 2011-07-26

Family

ID=4492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231A KR20110084600A (ko) 2010-01-18 2010-01-18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46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52A (ko) * 2020-07-17 2022-01-25 김진원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WO2023023735A1 (en) * 2021-08-24 2023-03-02 Paul Kerr Access openings in scree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52A (ko) * 2020-07-17 2022-01-25 김진원 로터리 개폐식 방진 창호
WO2023023735A1 (en) * 2021-08-24 2023-03-02 Paul Kerr Access openings in scre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140145784A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JP4875953B2 (ja) 開閉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KR20110084600A (ko) 여닫이창용 방충장치
KR101349219B1 (ko) 방범도어가 구비된 현관출입문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JP4864505B2 (ja) 窓シャッターにおける操作紐の吊玉の固定装置
KR20090003262U (ko) 권취식 방충망의 자석 장착구조
KR20180025549A (ko) 여닫이 창문용 방충망
KR20035586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WO2006038302A1 (ja) 横引き網戸
JP6031135B2 (ja) 網戸およびサッシ
KR100983315B1 (ko) 여닫이문용 방충장치
KR101451621B1 (ko)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KR20140000611U (ko) 건물 개구용 방충 및 방한장치
KR101195894B1 (ko)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KR102530100B1 (ko) 도어 고정장치
JP2009299444A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JP2012117240A (ja) 建具
JP3245676U (ja) カートリッジネット式の可動網戸
KR102640353B1 (ko)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구조체
KR200325660Y1 (ko) 롤러식 방충망의 걸림구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JP5580039B2 (ja) 引き戸用換気装置
KR20034922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