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621B1 -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21B1
KR101451621B1 KR1020130160419A KR20130160419A KR101451621B1 KR 101451621 B1 KR101451621 B1 KR 101451621B1 KR 1020130160419 A KR1020130160419 A KR 1020130160419A KR 20130160419 A KR20130160419 A KR 20130160419A KR 101451621 B1 KR101451621 B1 KR 101451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sliding window
bug
window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시스템(주) filed Critical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3016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에 미닫이 창과 방충망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방충 부재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방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방충 부재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부의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각되게 측면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면부의 상면과 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모헤어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상면부 및 측면부에 직각되게 전면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창틀과 미닫이 창 사이에 형성된 수평공간부에 상기 방충 부재의 상면부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형성된 수직공간부에 상기 방충 부재의 측면부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미닫이 창에 결속되어, 상기 수평공간부와 수직공간부를 통하여 벌레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The Structure using Bug Blocking Member}
본 발명은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창틀에 미닫이 창과 방충망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방충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밀폐하여 벌레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이 구비되어지는 창틀에는 상기 미닫이 문이 개방시에 벌레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함께 구비하게 된다.
통상적인 방충망은 환기가 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하는바, 철, 황동, 스테인리스, 사란 등을 재료로 하여 촘촘한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하고 상기 미닫이 창의 외측에서 창틀에 결속될 수 있도록 테두리에 프레임이 구비된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창과 방충망이 함께 구비되어진 창틀은 미닫이 창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방충망이 벌레의 유입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으나, 창틀과 미닫이 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및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등에 의하여 일부 벌레가 여전히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의 일반적인 미닫이 창과 방충망은 상기 창틀과 맞닿는 프레임의 내측에 모헤어를 구비하여 상기한 공간부를 통한 외풍과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모헤어가 공간부를 내밀하게 밀폐하지 않아 여전히 틈을 통하여 벌레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창과 창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방충 부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114090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가 있으나, 선행기술문헌은 창틀에 방충 부재를 접착식으로 부착하게 되는바, 착탈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미닫이 창의 움직임에 의하여 방충 부재가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창 프레임과 방충 부재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창 프레임과의 간섭으로 방충 부재가 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되고, 차단 부재가 방풍의 용도에 적합하게 차단막을 형성하고 있을 뿐, 공간부를 내밀하게 밀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충망과 미닫이 창이 구비된 창틀에 있어서 창틀과 미닫이 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및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등에 의하여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방충 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그 결속력을 강화시키며, 미닫이 창이나 방충망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공간부를 보다 내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는, 창틀(10)에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방충 부재(40)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방충 구조체(S)에 있어서, 상기 방충 부재(40)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부(41)의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각되게 측면부(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면부(41)의 상면과 측면부(42)의 외측면에는 모헤어(41a,42a)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상면부(41) 및 측면부(42)에 직각되게 전면부(4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창틀(10)과 미닫이 창(20) 사이에 형성된 수평공간부(15)에 상기 방충 부재(40)의 상면부(41)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형성된 수직공간부(25)에 상기 방충 부재(40)의 측면부(42)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전면부(4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43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B)에 의하여 상기 미닫이 창(20)에 결속되어, 상기 수평공간부(15)와 수직공간부(25)를 통하여 벌레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는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방충 부재가 구비되어 창틀과 미닫이 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및 미닫이 창과 방충망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등에 의하여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충 부재의 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미닫이 창과 일체로 결속되어 방충 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그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미닫이 창이나 방충망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방충 부재가 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충 부재의 상면부의 상면과 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모헤어가 구비되어 공간부를 보다 내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모헤어는 상면부와 측면부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구비되어 미닫이 문의 개폐에도 이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측면에서 벌레가 유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방충망을 구비한 창 구조체의 단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방충망을 구비한 창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및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의 수평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방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방충망을 구비한 창 구조체의 단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한 쌍의 미닫이 창이 실내측에 구비되고 미닫이 창의 외측에 방충망이 구비되어 창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방충망을 구비한 창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 및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이 함께 구비되어진 창틀(10)은 미닫이 창(20)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방충망(30)이 벌레의 유입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으나, 통상적으로 상기 창틀(10)과 미닫이 창(20) 사이에 수평공간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수직공간부(25)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공간부(15) 및 수직공간부(25)를 통하여 일부 벌레가 여전히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에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방충 부재(40)가 구비되어 방충 구조체(S)를 형성한다.
이때,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충 부재(40)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부(41)의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각되게 측면부(42)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방충 부재(40)는 전체적으로 ┐ 형상의 단면을 지니며, 상기 ┐ 형상의 단면 내측 모서리가 외측 미닫이 창(20)의 상,하단 모서리를 감싸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틀(10)과 미닫이 창(20) 사이에 형성된 수평공간부(15)에 상기 방충 부재(40)의 상면부(41)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형성된 수직공간부(25)에 상기 방충 부재(40)의 측면부(42)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공간부(15)와 수직공간부(25)를 일차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충 부재(40)가 상기 수평공간부(15) 및 수직공간부(25)를 완전히 밀폐시킬 경우, 외측 미닫이 창(20)의 가동성이 저하되고, 상기 방충 부재(40)가 미닫이 창(20)이나 방충망(30)과 간섭이 일어나 방충 부재(40)가 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상면부(41)의 상면과 측면부(42)의 외측면에는 모헤어(41a,42a)를 구비하여 수평공간부(15) 및 수직공간부(25)를 보다 내밀하게 밀폐하면서도 외측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의 가동성을 확보하고, 간섭이 일어나 방충 부재(40)가 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충 부재(40)는 창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부착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창을 닫은 상태에서 외측 미닫이 창과 내측 미닫이 창(20)이 상호 중첩되는 단부의 외측 미닫이 창(2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레가 외측 미닫이 창(20) 단부의 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며, 방충 부재(40)의 길이를 미닫이 창(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지 않는 것은 미닫이 창(20) 단부를 제외한 수평공간부(15) 및 수직공간부(25)는 벌레가 연속적으로 창틀(10)에 형성된 레일을 넘어야 하는바, 외부에서 진입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외측 미닫이 창(20)은 통상적으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많으며, 이 경우도 방충 부재(40)를 외측 미닫이 창(20)에 구비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방충 부재(40)는 미닫이 창(20)에 결속되어지는 것으로, 접착식으로 결속할 수도 있으나, 접착식으로 결속하는 경우, 방충 부재가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는바,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부재(B)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충 부재(40)는 상면부(41) 및 측면부(42)에 직각되게 전면부(43)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43)는 방충 부재(40)가 체결부재(B)를 매개로 미닫이 창(20)에 용이하게 일체로 체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체결부재(B)만 제거하여 상기 방충 부재(40)의 탈착이 가능하므로 상기 모헤어(41a,42a)가 마모되거나 훼손될 경우, 새로운 방충 부재(4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방충 부재(40)의 전면부(4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43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B)를 매개로 미닫이 창(20)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다.
도 7은 방충 부재(40)가 ┬ 형상의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한 것으로 방충망(30)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공간부(15)까지 커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충 부재(40)의 모헤어(41a,42a)는 상면부(41)와 측면부(42)의 양 방향 모서리와 평행한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질 수 있다.
방충 부재(40)의 상면부(41)와 측면부(42) 전면에 걸쳐 모헤어(41a,42a)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작상의 비효율성, 비경제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외측 미닫이 창(20)의 가동성을 저하하는바, 상면부(41)와 측면부(42)의 양 방향 모서리와 평행한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면부(41)와 측면부(42) 각각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헤어 라인을 형성하면, 벌레의 예상 진입경로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는바, 전면에 걸쳐 모헤어(41a,42a)를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방충 구조체 10:창틀
15:수평공간부 20:미닫이 창
25:수직공간부 30:방충망
40:방충 부재 41:상면부
41a,42a:모헤어 42:측면부
43:전면부 43a:고정홀
B:체결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창틀(10)에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방충 부재(40)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방충 구조체(S)에 있어서,
    상기 방충 부재(40)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부(41)의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각되게 측면부(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면부(41)의 상면과 측면부(42)의 외측면에는 모헤어(41a,42a)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상면부(41) 및 측면부(42)에 직각되게 전면부(4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창틀(10)과 미닫이 창(20) 사이에 형성된 수평공간부(15)에 상기 방충 부재(40)의 상면부(41)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미닫이 창(20)과 방충망(30) 사이에 형성된 수직공간부(25)에 상기 방충 부재(40)의 측면부(42)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전면부(4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43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B)에 의하여 상기 미닫이 창(20)에 결속되어, 상기 수평공간부(15)와 수직공간부(25)를 통하여 벌레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KR1020130160419A 2013-12-20 2013-12-20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KR10145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19A KR101451621B1 (ko) 2013-12-20 2013-12-20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19A KR101451621B1 (ko) 2013-12-20 2013-12-20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621B1 true KR101451621B1 (ko) 2014-10-22

Family

ID=5199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19A KR101451621B1 (ko) 2013-12-20 2013-12-20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099B1 (ko) * 2019-08-22 2019-10-14 차경익 창호용 틈새차단 부재
KR20190128344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04Y1 (ko) * 1988-07-29 1992-08-13 주식회사 럭 키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piece)
KR200344967Y1 (ko) 2003-11-24 2004-03-11 신순영 강화유리도어용 방풍패드
JP2004156239A (ja) * 2002-11-05 2004-06-03 Burrtec Co Ltd 建造物開閉部の隙間封鎖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04Y1 (ko) * 1988-07-29 1992-08-13 주식회사 럭 키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piece)
JP2004156239A (ja) * 2002-11-05 2004-06-03 Burrtec Co Ltd 建造物開閉部の隙間封鎖機構
KR200344967Y1 (ko) 2003-11-24 2004-03-11 신순영 강화유리도어용 방풍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344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KR102081269B1 (ko) * 2018-05-08 2020-02-25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KR102032099B1 (ko) * 2019-08-22 2019-10-14 차경익 창호용 틈새차단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621B1 (ko)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KR101592476B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200459938Y1 (ko) 방충망 고정장치
KR200479530Y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102083451B1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20180049695A (ko) 빗물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창구조
KR101795578B1 (ko)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KR102053957B1 (ko) 창호
US20100325974A1 (en) Environmental protection apparatus
KR200489546Y1 (ko)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KR200423687Y1 (ko) 차량용 방충망
KR20110004320A (ko) 복합기능 방충창
KR20200017289A (ko) 창호용 방진필터 고정장치
KR101863808B1 (ko) 롤형 방충망 고정구조
KR102088646B1 (ko) 창틀 물구멍 차단장치
KR101195894B1 (ko)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KR102153306B1 (ko) 방충망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
KR20180078551A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20090010114U (ko) 방충망 고정클립
JP6990591B2 (ja) 止水パネル
KR102027835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프레임
KR102081269B1 (ko)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CN104989252A (zh) 一种便于密封的窗扇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