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094A - 모션 제어 커서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모션 제어 커서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094A
KR20110084094A KR1020100125344A KR20100125344A KR20110084094A KR 20110084094 A KR20110084094 A KR 20110084094A KR 1020100125344 A KR1020100125344 A KR 1020100125344A KR 20100125344 A KR20100125344 A KR 20100125344A KR 20110084094 A KR20110084094 A KR 2011008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v
portable electronic
display
imag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915B1 (ko
Inventor
프레드 더블유. 헌지커
클라크 이. 맥콜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8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모션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모션 센서와 통신한다. 컨트롤러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의 일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 제어 논리부를 포함한다. 제1 이미지는 FOV(field of view)를 가지며, 가시 출력은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제어 논리부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의 FOV를 조정한다. 제3 제어 논리부는 내부 영역 내에서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제4 제어 논리부는 외부 영역 내에서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모션 제어 커서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OTION-CONTROLLED CURSOR}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7년 9월 11일 출원되고 그 전문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되는 미국 출원 제11/853,6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 내용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와 커서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FOV(field-of-view)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제어된다.
이 부분의 기재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만을 제공하며, 종래 기술을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은 상이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비교적으로 일반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종류는 이메일 프로그램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화된 휴대용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그룹 또는 커서 장치),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 및 문자를 생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브라우저라면, 이미지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는 크기에서 제한되며, 보통 개인용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치수의 몇 분의 몇일 뿐이다. 그 결과, 개인용 컴퓨터와 함께 사용되는 큰 디스플레이용으로 포매팅된 웹페이지와 같은 이미지는 휴대용 장치 디스플레이에서는 정확하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웹페이지의 일부 부분은 휴대용 디스플레이에서는 보기 어렵거나 심지어 보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웹페이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FOV(field of view)를 갖는다. 사용자는 전체 이미지를 보기 위하여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FOV를 부분별로 수동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지의 FOV를 위쪽,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으로 스크롤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FOV의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하여(즉, 줌인 그리고 줌 아웃하기 위하여),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FOV를 조정하기 위하여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수동 조작을 필요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떤 점에서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 장치는 더 큰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추가 사용자 입력부를 수용할 수도 있는 장치의 외부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FOV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일부 사용자에 직관적이지 않을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로 발생하는 다른 알려진 문제점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용이하게 선택하는 능력이다.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를 제어하는 외부에 탑재된 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 탑재된 마우스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터치패드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터치패드는 패키징 한계 때문에 크기에서 제한될 수 있어, 터치패드를 일부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어렵게 만든다. 다른 예에서, 장치는 커서를 전혀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 대신에 포인터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법은 디스플레이에서 보이는 커서를 선호할 수 있는 일부 사용자에게 직관적이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직관적이고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를 조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메모리, 모션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viewable output)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모션 센서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모션 센서와 통신한다.
컨트롤러는, 제1 제어 논리부, 제2 제어 논리부, 제3 제어 논리부 및 제4 제어 논리부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논리부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의 일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이미지를 생성하며, 제1 이미지는 FOV(field of view)를 가진다. 가시 출력은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내부 영역은 외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제2 제어 논리부는, 모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FOV를 조정한다. 제3 제어 논리부는 내부 영역이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내부 영역 내에서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제4 제어 논리부는 내부 영역의 일부와 외부 영역이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외부 영역 내에서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서는 내부 영역 내에서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외부 영역 내에서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위치는 가시 출력의 외부 주변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 출력의 외부 주변부는 커서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객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서는 이미지의 FOV가 조정됨에 따라 이미지에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는 가속도계, 적외선 센서, 또는 광 센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는 제1 평면 내에서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제1 평면 내에서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FOV를 스크롤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제1 평면 내에서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FOV의 척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는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축을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FOV의 척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의 FOV가 조정되어 내부 영역만을 포함할 때, 커서는 실질적으로 계속 정지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메모리, 모션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모션 센서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모션 센서와 통신한다.
컨트롤러는, 제1 제어 논리부, 제2 제어 논리부, 제3 제어 논리부 및 제4 제어 논리부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논리부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의 일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이미지를 생성하며, 제1 이미지는 FOV(field of view)를 가진다. 가시 출력은 외부 주변부,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내부 영역은 외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외부 영역은 외부 주변부를 포함한다. 제2 제어 논리부는, 모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휴대용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FOV를 조정한다. 제3 제어 논리부는 내부 영역이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내부 영역 내에서 제1 위치에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제4 제어 논리부는 내부 영역의 일부와 외부 영역이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가시 출력의 외부 영역 및 외부 주변부에서의 제2 위치에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시 출력의 외부 주변부는 커서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객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는 제1 평면 내에서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의 FOV가 조정되어 내부 영역만을 포함할 때, 커서는 실질적으로 계속 정지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장치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가시 출력의 일부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이미지는 FOV(field of view)를 가지며, 가시 출력은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내부 영역은 외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본 방법은, 휴대용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의 FOV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의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커서의 제2 이미지는, 내부 영역이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내부 영역 내에 있다. 커서의 제2 이미지는, 내부 영역의 일부와 외부 영역이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외부 영역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모션 센서에 의해 휴대용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제1 평면 내에서의 휴대용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휴대용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 적용 분야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설명 및 특정 예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되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예시 목적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키포브(keyfob)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3은 각각 예시적인 그래픽 메뉴 구조와 맵 뷰(map view)를 디스플레이하는 도 1에 도시된 키포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다른 크기를 각각 갖는 3개의 FOV를 나타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키포브의 디스플레이에서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맵이다;
도 5는 동일한 척도를 갖는 5개의 FOV를 나타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키포브의 디스플레이에서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맵이다;
도 6은 도 4 및 5에 도시된 FOV 사이의 이동에 사용될 수 있는 제1 모션 세트를 나타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키포브의 등각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FOV 사이에서의 이동에 사용될 수 있는 제2 모션 세트를 나타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키포브의 등각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션 제어 디스플레이를 갖는 스마트폰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인터넷 웹페이지인 예시적인 그래픽 스크린을 표시하는 도 8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전면도이다;
도 10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3개의 FOV를 나타내는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스크린이다;
도 11은 동일한 척도를 갖는 5개의 FOV를 나타내는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스크린이다;
도 12는 동일한 척도를 갖는 3개의 FOV를 나타내는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스크린이다;
도 13은 스크린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스크린이다;
도 14는 스크린의 내부 영역에 커서가 위치한 스마트폰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스크린의 외부 영역에 커서가 위치한 스마트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FOV 사이의 이동에 사용될 수 있는 모션 세트를 나타내는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등각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FOV 사이의 이동에 사용될 수 있는 제2 모션 세트를 나타내는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등각도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이며, 본 개시 내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예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모션 제어 디스플레이(22)(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20)의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22)에 더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24)와, 관련된 메모리(28)를 구비한 컨트롤러(26)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28)는 디스플레이(22)에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맵(도 1에서는 30에 도시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원한다면, 휴대용 전자 장치(20)는, 버튼 그룹, 커서 장치,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라인(34)은 컨트롤러(26)를 휴대용 전자 장치(20)의 다른 구성요소에 동작가능하게 연결한다. 전력은 연결부(38)를 통해서 전자 장치(20)의 각 구성요소에 결합되는 배터리(36)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컨트롤러(26)는 여기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 과정, 작업, 계산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이러한 관점에서, 중앙 컨트롤러(26)는 임의의 개수의 개별 마이크로프로세서, 네비게이션 장치, 메모리, 전원,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 카드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표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것들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6)는 임의의 개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예를 들어, 지도 뱁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이와 협력할 수 있다.
모션 센서(24)는, 예를 들어, 다양한 자이로스코프 및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20)의 움직임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24)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포일(foil) 스트레인 게이지 요소를 이용하여 진동성 질량의 편향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기반의 가속도계인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의 형태를 취한다.
휴대용 전자 장치(20)는, 휴대 전화, 디지털 시계, 디지털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또는 MP4 플레이어),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키포브(keyfob)의 형태를 취한다. 키포브 형태를 가정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더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도어 열기, 도어 잠그기, 트렁크문 열기 등)을 나타내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무선 송신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업계에서의 표준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도 2 및 3은 전자 장치(20)(도 1)에 대응하는 키포브(40)의 평면도이다. 키포브(40)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키노브(40)가 키체인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개구(44)를 갖는 하우징(4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입력부(32)(도 1)는 하우징(42)의 외부에 탑재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복수의 버튼은 잠금 버튼(46), 열기 버튼(48), 원격 시동 버튼(50), 트렁크 열기 버튼(52), 모션 제어 버튼(54), 맵 디스플레이 버튼(56)을 포함할 수 있다(후자의 2개 버튼의 기능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스크롤 휠(60)은 하우징(42)의 측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22)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에 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마일리지, 타이어 압력, 현재 연료 레벨, 라디오 방송국 설정, 도어락 상태 등)를 네비게이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특징 사이를 네비게이션하도록 스크롤 휠(60)을 돌리고, 원하는 특징을 선택하여 관련된 상태 정보를 보기 위하여 스크롤 휠(60)을 누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포브(20)는 하나 이상의 맵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합한 메모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메모리(2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맵 디스플레이 버튼(56)을 이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선택 메뉴(62)를 이용하여 저장된 맵 라이브러리에서 원하는 맵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메뉴(62)는 메모리(28)에 저장된 상이한 맵을 나타내는 문자 라벨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맵을 나타내는 문자 라벨이 하이라이트 표시될 때까지(도 2에서 6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휠(60)을 돌려서 이러한 문자 라벨 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원하는 맵을 선택하기 위하여 스크롤 휠(60)을 누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6)는 이어서 디스플레이(22)에서 선택된 맵의 일부를 생성한다. 이 맵은 건물, 도로 및 다른 지리적 특징의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지도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포브(20)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또는 다른 이러한 위치 찾기 장치를 가진다면, 생성된 맵은 키포브(20)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예에도 불구하고, 특정 맵이 선택되거나 소환되는 방법은 상이한 실시예에서 블가피하게 상이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6)는 사용자 선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맵을 소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포브(20)가 GPS 장치 또는 다른 이러한 위치 찾기 장치를 가진다면, 컨트롤러(26)(도 1)는 키포브(2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메모리(28)로부터 소환할 적합한 맵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각각 메모리(28)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22)에 일부 표시될 수 있는 맵(66)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22)에서 생성될 때, 디스플레이된 맵 부분은 관련된 특정 FOV를 가질 것이다. 단지 맵(66)의 일부만이 주어진 시간에 도시되기 때문에, FOV 내에 표시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맵(66)의 전체 영역보다 더 작을 것이다. 그러나, FOV 내에 표시된 영역은 공지된 방법으로 척도를 조정함으로써(예를 들어, 줌 인 또는 줌 아웃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FOV(68)에 도시된 영역은 제2 FOV(70)으로 줌 인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으며, 또는 그 대신에, 제3 FOV(72)로 줌 아웃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FOV 내에 도시된 영역은 또한 맵(6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는 평면 내에서 키포브(20)를 움직일 때(일반적으로 "스크롤"이라 한다)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FOV(68) 내에 도시된 영역은 제4 FOV(74)로 위로 스크롤하거나, 제5 FOV(76)로 아래로 스크롤하거나, 제6 FOV(78)로 왼쪽으로 스크롤하거나, 또는 제7 FOV(80)로 오른쪽으로 스크롤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표시된 맵 부분의 FOV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맵(66)을 탐색하거나, 원하는 목적지의 위치를 찾거나, 또는 여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6)는 맵(66)에서 관심 지점(예를 들어,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22) 상에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한다면, 이러한 아이콘은 사용자 위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초기에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소의 일반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버스 아이콘(82)은 사용자가 맵(66)을 탐색하기 위하여 맵 이미지의 FOV를 조정할 때, 사용자가 아이콘(82)의 일부와 마주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키도록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FOV(도 5에서 83으로 표시됨)를 버스 아이콘(82)에 중심에 둘 때, 컨트롤러(26)는 버스 아이콘(82)에 의해 표시된 버스 정류장을 둘러싸는 맵(66) 부분을 나타내도록 버스 아이콘(82)의 척도(scale)를 낮출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 커서 장치와 같은 외부에 탑재된 사용자 입력부가 일반적으로 표시된 맵 부분의 FOV를 조정하도록(예를 들어, 스크롤 및 줌) 채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외부 장착된 사용자 입력부는 소정의 한계와 관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음은 모션 센서(24)에 의해 검출되는 바에 따라 키포브(40)(도 2)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컨트롤러(26)가 모션 센서(24)에 의해 검출되는 바에 따라 키포브(40)(도 2)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6)가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특정의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키포브(40)의 모션 센서(24)는 제1 평면(84) 내에서, 즉, 세로축(86)과 제1 가로축(88)을 따라, 키포브(40)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원한다면, 또한, 모션 센서(24)는 제2 가로축(90)을 따라 키포브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면(84)은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또는 평행)일 수 있으며, 제2 가로축(90)은 평면(84)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지면에 대한 평면(84)과 제2 가로축(90)의 배향(orientation)은 상이한 실시예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26)(도 1)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장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2)(도 2)의 FOV를 조정할 수 있다: 키포브(40)가 제1 방향으로(도 6에 연계하여 위로) 세로축(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위로 스크롤한다. 키포브(40)가 제2 반대 방향으로(도 6에 연계하여 아래로) 세로축(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검출할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아래로 스크롤한다. 키포브(40)가 제1 방향으로(도 6에 연계하여 왼쪽으로) 제1 가로축(88)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검출할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왼쪽으로 스크롤한다. 마지막으로, 키포브(40)가 제2 반대 방향으로(도 6에 연계하여 오른쪽으로) 제1 가로축(88)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오른쪽으로 스크롤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맵을 참조하며, 사용자는 키포프(40)를 위쪽, 아래쪽,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움직여 FOV(68)로부터 FOV(74), FOV(76), FOV(78) 또는 FOV(80)로 각각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6)는 제2 가로 방향을 따른 키포브(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2)에서 생성된 FOV의 척도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키포브(40)가 제1 방향으로 제2 가로축(90)을 따라 (도 6에 연계하여 뷰어(viewer)를 향하여) 움직여진다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척도를 감소시킨다(즉, 줌 아웃한다). 반대로, 키포브(40)가 제2 반대 방향으로 제2 가로축(90)을 따라 (도 6에 연계하여 뷰어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여진다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척도를 증가시킨다(즉, 줌 인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맵(66)에 관련하여, 사용자의 몸을 향하거나 몸으로부터 멀어지게 키포브(40)를 움직임으로써 사용자는 FOV(68)로부터 FOV(62) 또는 FOV(70)으로 각각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키포브(40)는 디스플레이(22)의 FOV가 하나 또는 여러 축을 따른 키포브(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키포브(40)가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될 때, 사용자는 궁극적으로 자신의 모션 범위에서의 한계에 도달할 수 있으며 결국 특정 방향으로 키포브(40)를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조정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키포브(40)는, 활성화될 때 디스플레이(22)의 모션 제어를 턴온 또는 턴오포하는 사용자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포브(40)는 눌러질 때 디스플레이(22)의 모션 제어를 비활성화하는 모션 제어 버튼(5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포브(40)를 움직일 때, 예를 들어 가능한 한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멀리 키포프(40)를 움직일 때, 사용자는 모션 제어 버튼(54)을 눌러서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조정하지 않고서 자신의 몸을 향하여 키포브(40)를 가져 올 수 있다. 이 대신에, 컨트롤러(26)는 모션 제어 버튼(54)이 눌러진 때에만 모션 센서(24)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에 관련하여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컨트롤러(26)가 키포브(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제2 방법을 도시하며, 이는 사용자의 제한된 모션 범위에 관한 전술한 문제점을 제거한다. 이 예시적인 경우에 있어서, 모션 센서(2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에 대하여 키포브(40)의 회전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24)는 세로축 및 가로축(86, 88)을 따라 키포브(40)의 회전을 모니터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축(86, 88)이 수직이지만, 축들(또는 단일 축)의 상대적인 배향(orientation)은 원하는 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6)(도 1)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모션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에 관련하여 디스플레이(22)(도 2)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키포브(40)가 제1 방향으로(화살표 94로 표시됨)에서 세로축(86)에 대하여 회전되었다고 모션 센서(24)가 검출한 경우,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오른쪽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2)는 FOV(68)에서 FOV(80)로 이동할 수 있다. 키포브(40)가 제2 반대 방향(화살표 96으로 표시됨)으로 축(86)에 대하여 회전되었다고 모션 센서(24)가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왼쪽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2)는 FOV(68)에서 FOV(78)로 이동할 수 있다. 키포브가 제1 방향(화살표 98로 표시됨)으로 가로축(88)에 대하여 회전되었다고 모션 센서(24)가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위쪽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연계하여, 디스플레이(22)는 FOV(68)에서 FOV(74)로 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키포브(40)가 제2 반대 방향(화살표 100으로 표시됨)으로 축(88)에 대하여 회전되었다고 모션 센서(24)가 검출한 경우,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22)의 FOV를 아래쪽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2)는 FOV(68)에서 FOV(76)(도 5)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6)와 관련하여 모션 센서(24)는 새로운 FOV를 획득하는데 필수적인 필요한 거리 및 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모션 속도 및 가속도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키포브(40)에 주어진 움직임의 속도 및/또는 가속도는 제2 FOV의 가상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6)와 관련하여 모션 센서(24)는 흔들기 또는 두드리기와 같은 복잡한 모션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24)가 흔들기 모션을 검출할 때, 컨트롤러(26)는 디폴트 모드로 되돌아가서 맵 상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아이콘을 클리어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키포브(40)는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다른 복잡한 모션(예를 들어, 맵 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문자 "M"의 형상으로 또는 상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하여 문자 "S"의 형상으로 키포브를 움직이는)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키포브(40)는 흔들기 또는 두드리기 모션의 연속하는 반복 회수를 카운트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수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의 관점에서, 직관적인 방법으로 그리고 외부 장착된 제어부와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생성된 맵 이미지의 FOV 조작을 허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예를 들어, PDA, 키포브 등)가 제공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2차원 플랫폼 맵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지만, 다른 데이터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전술한 모션 제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또한, 맵은 3차원 조감도를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뷰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블록도가 도면 부호 120으로서 나타내어진다. 휴대용 전자 장치(120)는 모션 제어 디스플레이(122),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124), 및 메모리(128)를 갖는 컨트롤러(126)를 포함한다. 메모리(128)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관련된 에뮬레이터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26)는 문자 또는 그래픽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22) 상에서 가시(viewable) 출력(130)을 생성하도록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논리부를 포함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122) 상에 보이는 가시 출력(130)의 디스플레이 부분(137)을 생성한다.
또한,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122) 상에서 커서(133)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에뮬레이터를 개시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논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원한다면, 휴대용 전자 장치(120)는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라인(134)은 휴대용 전자 장치(120)의 다른 부품에 컨트롤러(126)를 동작가능하게 연결한다. 전력은 연결부(138)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의 각 부품에 연결되는 배터리(136)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컨트롤러(126)는 다양한 방법, 과정, 작업, 계산 및 설명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컨트롤러(126)는 임의의 개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전원,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 카드,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표준 부품을 포함할 수(또는 이에 관련될 수) 있다.
모션 센서(124)는, 예를 들어, 다양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20)의 움직임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124)는 광 마우스에서 사용되는 모션 센서에 유사한 하부에 놓이는 표면에 상대적인 운동을 검출하는 광 센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센서는 하부에 놓이는 표면에 빛을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반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CMOS 센서는 임의의 상당한 움직임의 양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분석을 위해 각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이 대신에, 모션 센서(124)는 적어도 가속도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계는 실리콘 또는 포일 스트레인 게이지 요소를 이용하여 진동 질량의 편향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기반의 가속도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브라우저이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이메일 프로그램, 워드 프로세서, 또는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최종 사용자가 수행하기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임의의 종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 그 다음, 에뮬레이터는 모션 센서(124)에 의해 검출된 바에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22) 상에서 커서(133)의 위치를 조정한다. 에뮬레이터는 모션 센서(124)로부터 휴대용 전자 장치(12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유익하게는, 에뮬레이터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2)에 대한 커서(13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컴퓨터 마우스와 같은 개별 컨트롤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다. 이 대신에, 외부 마우스 장치가 커서(133)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1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마우스는 커서(13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120)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2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키포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노트북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120)는 스마트폰(140)의 형태를 취한다. 스마트폰(140)은 인터넷 브라우저 또는 이메일 프로그램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전화일 수 있다. 스마트폰의 형태를 가정할 때, 휴대용 전자 장치(120)는 휴대 전화 수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와 같은 도 8에 도시된 것 이상의 하나 이상의 추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산업계에서 표준이며,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8에서의 휴대용 전자 장치(120)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의 평면도이다. 스마트폰(140)은, 하우징(142)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132)(도 8)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132)는 홈 버튼(146) 및 터치 스크린(148)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48)은 디스플레이(122)의 표면에서 사용자의 접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이 접촉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가 버튼(146)과 터치 스크린(148)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스마트폰(140)은 사용자 입력 장치(132)의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40)은 자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버튼 또는 소프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40)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에뮬레이터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40)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전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터넷 브라우저가 사용을 위해 선택되고, 그 가시 출력(130)은 인터넷 웹페이지이다. 에뮬레이터는 디스플레이(122) 상의 제1 위치(P1)에 커서(133)를 배치한다. 인터넷 웹페이지는 HTML 링크(160)와 같은 여러 가지 선택가능한 객체를 포함한다. 링크(160)는, 링크(160) 위에 커서(133)를 배치하고 버튼(146)이나 터치 스크린(148)을 누르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은 관련된 특정 FOV를 가진다. FOV는 디스플레이(122)에 보이는 가시 출력(130)의 부분을 나타낸다. 가시 출력(130)의 일부만이 주어진 시간에 보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22)에 보이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은 일반적으로 가시 출력(130)의 전체 영역보다도 작다. 그러나, 디스플레이(122)에 보이는 FOV는 가시 출력(130)의 다른 부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디스플레이(122)에서 가시 출력(130)의 다른 부분을 보도록 사용자가 FOV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을 조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각각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는 증가되거나(즉, 줌 인한다) 또는 감소될 수 있다(즉, 줌 아웃한다). 예를 들어, 초기 FOV(168)는 제2 FOV(170)로 줌 인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거나, 이 대신에, 제3 FOV(172)로 줌 아웃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2)에 보이는 가시 출력(130) 부분도 FOV가 가시 출력(130)에 대하여 스크롤됨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초기 FOV(168)는 제4 FOV(174)로 위쪽으로 스크롤하거나, 제5 FOV(176)로 아래쪽으로 스크롤하거나, 제6 FOV(178)로 왼쪽으로 스크롤하거나, 제7 FOV(180)로 오른쪽으로 스크롤함으로써 조정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V는 가시 출력(1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어, 초기 FOV(182)는 FOV를 제8 FOV(181)로 오른쪽으로 대략 60도 회전하거나, FOV를 제9 FOV(183)로 왼쪽으로 대략 60도 회전함으로써 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가 대략 90도 회전되는 FOV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FOV는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FOV를 조정함으로써, 가시 출력(130)의 다른 부분이 디스플레이(122)에 보이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내부 영역(185)과 외부 영역(187)을 포함하는 가시 출력(130)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영역(187)은, 내부 영역(185)이 외부 영역(187)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도록, 가시 출력(130)의 외부 주변부(189)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다. 외부 영역(187)은 내부 영역(185)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가능한 객체(191)는 외부 주변부(189)를 따라 배치된 스크롤바(scrollbar)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크롤바, 드롭 다운 메뉴(drop-down menu) 및 인터넷 웹페이지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복수의 아이콘과 같은, 여러 개의 선택가능한 객체(191)는 외부 영역(187)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가시 출력(130)의 외부 영역(187)은 선택가능한 객체(191)의 다른 변형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가 조정됨에 따라, 커서(133)는 내부 영역(185) 내에 배치될 때 제1 위치(P1)에 계속 배치된다. 크기, 형상 및 배향과 같은 커서(133)의 모양은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가 조정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가 내부 영역(185) 내에서 조정됨에 따라, 커서(133)는 디스플레이(122)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링크(160)와 같은 가시 출력(130) 내의 객체는, 링크(160)가 커서(133) 아래에 놓이고 버튼(146) 또는 터치 스크린(148)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것으로 선택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커서(133)의 위치는 FOV가 외부 영역(187)에 접근함에 따라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FOV가 가시 출력(130)의 외부 영역(187)에 접근함에 따른 디스플레이(122)를 각각 도시한다. 도 14는 커서(133)가 외부 영역(187)에 들어가기 직전에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커서(133)는 여전히 내부 영역(185) 내에 위치한다. 도 14 및 15의 도시에서, 내부 영역(185)에 있을 때 커서(133)는 제1 위치(P1)에 계속 정지해 있고, FOV의 조정과 독립적이다. 그러나, 커서(133)는 내부 영역(185) 내에 배치될 때 제1 위치(P1)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5는 내부 영역(185)(도 14) 내의 제1 위치(P1)로부터 외부 영역(187) 내의 제2 위치(P2)로 커서가 이동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가 조정된 후의 커서(133)를 도시한다. 커서(133)는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FOV의 조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FOV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스크롤되며, 이는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커서(133)를 이동시키게 한다.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는 가시 출력(130)의 외부 주변부(189)가 디스플레이(122)에 보이는 것과 같이 스크롤되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는 오른쪽으로 더 스크롤될 수 없다. 커서(133)의 위치(P2)는 가시 출력(130)의 외부 주변부(189)에 위치한다. 외부 주변부(189)를 따라 배치된 선택가능한 객체(191)는 커서(133)가 제2 위치(P2)에 있을 때 커서(133) 아래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택가능한 객체(191)는 스크롤바이다. 사용자는 인터넷 웹패이지의 다른 부분을 보기 위하여 커서(133)를 이용하여 스크롤바를 드랙(drag)할 수 있다. 따라서, 커서(133)는 FOV가 오른쪽으로 더 스크롤할 수 없을 때 가시 출력(130)의 외부 주변부(190)의 근처 또는 그 위에 배치된 객체를 선택하도록 제2 위치(P2)로 조정될 수 있다.
커서(133)는 이벤트 구동 프로그래밍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벤트 구동 프로그래밍은, 커서(133)가 외부 영역(187)(도 14)을 접근하는 경우와 같은 이벤트를 검출한다. 그 다음, 이벤트 구동 프로그램은 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이벤트에 응답하며, 커서(133)는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도 15)로 이동한다. 이벤트 구동 프로그래밍은, 예를 들어, 비주얼 베이직 또는 자바와 같은 많은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래밍 코드로 작성될 수 있다. 이벤트 구동 프로그래밍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서 편입되는 D.S. Malik의, Java Programming: From Problem Analysis to Program Design, Boston: Course Technology, Cengage Learning, 2010에서 제공된다.
도 15가 오른쪽으로 스크롤되는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와 커서(133)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 및 커서(133)는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가시 출력(1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FOV(168)로부터 FOV(174), FOV(176) 또는 FOV(178)로 각각 위쪽, 아래쪽 또는 왼쪽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도 16은 컨트롤러(126)가 모션 센서(124)에 의해 검출된 바에 따라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제1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특정의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40)의 모션 센서(124)(도 8)는 광 센서이다. 광 센서는, 스마트폰(140)의 뒤쪽에 고정 장착되어, 아래에 놓이는 표면에 상대적인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패드와 같은 아래에 놓이는 표면에 스마트폰(140)의 뒤쪽을 배치할 수 있다. 모션 센서(124)는 제1 평면(184) 내에서, 즉 세로축(186)과 제1 가로축(188)을 따라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면(184)은 마우스 패드와 같은 아래에 놓인 평면을 나타내며, 휴대용 전자 장치(140)의 뒤쪽이 평면(184)에 대하여 움직여진다. 평면(184)은 지면에 실질적으로 평행(또는 수직)할 수 있지만, 지면에 대한 평면(184)의 배향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바뀔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컨트롤러(126)(도 8)는 다음의 방법으로의 장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논리부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40)이 제1 방향으로(도 16에 연계하여 위로) 세로축(1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위로 스크롤한다. 스마트폰(140)이 제2 반대 방향으로(도 16에 연계하여 아래로) 세로축(1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검출할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아래로 스크롤한다. 스마트폰(140)이 제1 방향으로(도 16에 연계하여 왼쪽으로) 제1 가로축(188)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검출할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왼쪽으로 스크롤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140)이 제2 반대 방향으로(도 16에 연계하여 오른쪽으로) 제1 가로축(188)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오른쪽으로 스크롤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가시 출력(130)을 참조하며,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을 위쪽, 아래쪽,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움직여 FOV(168)로부터 FOV(174), FOV(176), FOV(178) 또는 FOV(180)로 각각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6)는 평면(184) 내에서 스마트폰(140)의 회전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40)이 회전 방향(R1, R2)으로 평면(184)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시 출력(1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을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FOV(182)로부터 FOV(181) 또는 FOV(183)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6)는 평면 내에서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마트폰(140)이 평면(184)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광 센서(150)가 나타내면 컨트롤러(126)가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조정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132)(도 8)를 이용하여 특정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40)이 제1 방향으로(도 16에 연계하여 위로) 세로축(1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다고 모션 센서(124)가 검출하면,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감소시킨다(즉, 줌 아웃한다). 대조적으로, 스마트폰(140)이 제2 반대 방향으로(도 16에 연계하여 아래로) 세로축(1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다고 모션 센서(124)가 검출하면,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증가시킨다(즉, 줌 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6)는 제1 가로축(188)을 따른 모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가시 출력(1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평면(184)을 따라 스마트폰(140)을 움직임으로써 FOV(168)로부터 FOV(172) 또는 FOV(170)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40)은 PC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외부 컨트롤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가시 스크린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과 통신하며, 스마트폰(140)은 종래의 마우스 장치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가시 출력뿐만 아니라 커서가 디스플레이(122) 대신에 컴퓨팅 장치의 가시 스크린에 보여진다. 본 예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패드와 같은 아래에 놓이는 표면 상에 스마트폰(140)의 뒤쪽을 놓는다. 디스플레이(122)는 마우스 버튼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22)의 상이한 영역은 종래의 마우스 장치 상의 하드웨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2)의 상부 왼쪽 부분은 종래의 마우스에서의 왼쪽 버튼으로서 기능하며, 디스플레이(122)의 상부 오른쪽 부분은 종래의 마우스에서의 오른쪽 버튼으로서 기능하며, 디스플레이의 하부 왼쪽 부분은 줌잉(zooming)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가 터치 스크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다른 부분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122)를 접촉할 수 있다.
도 17은 컨트롤러(126)가 모션 센서(124)에 의해 검출된 바에 따라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제2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특정의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40)의 모션 센서(124)(도 8)는 제1 평면(184) 내에서, 즉 세로축(186)과 제1 가로축(188)을 따라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이다. 또한, 원한다면, 모션 센서(124)는 제2 가로축(190)을 따라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면(184)은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또는 평행)일 수 있으며, 제2 가로축(190)은 평면(184)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지면에 대한 평면(184)과 제2 가로축(190)의 배향은 상이한 실시예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컨트롤러(126)(도 8)는 평면(184) 내에서의 장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40)이 세로축(186)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위로 또는 아래로 스크롤한다. 스마트폰(140)이 제1 가로축(188)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검출할 때, 컨트롤러(126)는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스크롤한다. 컨트롤러(126)는 평면(184) 내에서 스마트폰(140)의 회전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40)이 회전 방향(R1, R2)으로 평면(184) 내에서 회전되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124)가 나태낼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를 회전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26)는 제2 가로축(190)을 따른 스마트폰(14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40)이 제1 방향으로(도 17에 연계하여 뷰어(viewer)를 향하여) 제2 가로축(190)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나타낼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FOV의 척도를 감소시킨다(즉, 줌 아웃한다). 반대로, 스미트폰(140)이 제2 반대 방향으로(도 17에 연계하여 뷰어로부터 멀어지게) 제2 가로축(190)을 따라 움직여지고 있는 것을 모션 센서(24)가 검출할 때, 컨트롤러(126)는 디스플레이되는 부분(137)의 척도를 증가시킨다(즉, 줌 인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가시 출력(130)에 관련하여, 사용자의 몸을 향하거나 몸으로부터 멀어지게 스마트폰(140)을 움직임으로써 사용자는 FOV(168)로부터 FOV(172) 또는 FOV(170)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이 단지 본질적으로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형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변형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시 출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모션 센서와 통신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가시 출력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 제어 논리부 - 상기 제1 이미지는 FOV를 가지며, 상기 가시 출력은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상기 외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임 -;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FOV를 조정하는 제2 제어 논리부;
    상기 내부 영역이 상기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영역 내에서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제어 논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의 일부와 상기 외부 영역이 상기 제1 이미지의 FOV 내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영역 내에서 상기 커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4 제어 논리부
    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서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영역 내에서 제2 위치에 위치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가시 출력의 외부 주변부에 위치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출력의 외부 주변부는 상기 커서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객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FOV가 조정됨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가속도계, 적외선 센서, 및 광 센서 중 하나인,
    휴대용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제1 평면 내에서의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평면 내에서의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FOV를 스크롤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평면 내에서의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FOV의 척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도록 더 구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0100125344A 2010-01-15 2010-12-09 모션 제어 커서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215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88,588 2010-01-15
US12/688,588 US8810511B2 (en) 2007-09-11 2010-01-15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otion-controlled cur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94A true KR20110084094A (ko) 2011-07-21
KR101215915B1 KR101215915B1 (ko) 2012-12-27

Family

ID=4426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344A KR101215915B1 (ko) 2010-01-15 2010-12-09 모션 제어 커서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0511B2 (ko)
KR (1) KR101215915B1 (ko)
CN (1) CN102129291B (ko)
DE (1) DE10201100824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4694B2 (en) 2011-11-30 2015-03-31 Blackberry Limited Optical interference based user input device
US9442517B2 (en) 2011-11-30 2016-09-13 Blackberry Limited Input gestures using device movement
US9361739B2 (en) * 2012-02-23 2016-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dometer monitoring and redundant storage system
CN103197775A (zh) * 2012-08-03 2013-07-10 顾红波 一种用于手持式电脑设备的操控系统和方法
CN103677259B (zh) * 2012-09-18 2018-05-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引导控制器的方法、多媒体装置及其目标跟踪装置
WO2015061793A1 (en) * 2013-10-25 2015-04-30 The University Of Akron Multipurpose imaging and display system
CN105676625B (zh) * 2014-11-19 2018-05-04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手表装置
US10229540B2 (en) 2015-12-22 2019-03-12 Google Llc Adjusting video rendering rate of virtual reality content and processing of a stereoscopic image
CN106293065A (zh) * 2016-07-26 2017-01-04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11138449B2 (en) * 2018-09-28 2021-10-05 Intel Corporation Obstacle representation display
DE102019114839A1 (de) * 2019-06-03 2020-1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üsselanhäng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079A (en) * 1996-11-12 1999-02-09 Legaltech, Inc. Computer input device and controller therefor
US20020024506A1 (en) * 1999-11-09 2002-02-28 Flack James F. Motion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to control navigation and display of object viewers
CN1220366C (zh) * 2002-08-23 2005-09-21 赖金轮 自动辨识追踪移动物体及清晰影样取得方法
US20060176294A1 (en) * 2002-10-07 2006-08-10 Johannes Vaananen Cursor for electronic devices
US20040215719A1 (en) * 2003-04-09 2004-10-28 Altshuler Dennis Wayne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editing and publishing web page content in a live internet session
US7489299B2 (en) * 2003-10-23 2009-02-10 Hillcrest Laboratories, Inc.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accelerometers
US7506260B2 (en) * 2003-10-31 2009-03-1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browser functionality through a browser button
US8150824B2 (en) * 2003-12-31 2012-04-03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 navigation to specific portion of target document
US7949642B2 (en) * 2004-10-12 2011-05-24 Wendy W Ya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esenting entity information
US20060164382A1 (en) * 2005-01-25 2006-07-27 Technology Licensing Company, Inc. Image manipulation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display
US20060288314A1 (en) * 2005-06-15 2006-12-21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ating cursor interaction with display objects
US20070057911A1 (en) * 2005-09-12 2007-03-15 Sina Fateh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content conversion for intuitively controlled portable displays
TWI311741B (en) * 2005-12-30 2009-07-01 High Tech Comp Corp Intuitive display controller
US20070202914A1 (en) * 2006-02-27 2007-08-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telephone handset with internet browsing capability
US20070216641A1 (en) * 2006-03-20 2007-09-20 Motorola, Inc. User interface stabilization method and system
US20080106523A1 (en) * 2006-11-07 2008-05-08 Conrad Richard H Ergonomic lift-clic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ctuating home switches on computer in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915B1 (ko) 2012-12-27
CN102129291B (zh) 2014-06-25
CN102129291A (zh) 2011-07-20
DE102011008248A1 (de) 2011-09-01
US8810511B2 (en) 2014-08-19
DE102011008248B4 (de) 2014-05-22
US20100117960A1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915B1 (ko) 모션 제어 커서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EP240284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9519350B2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KR1020589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6624824B1 (en) Tilt-scrolling on the sunpad
TWI571790B (zh) 依感測信號更改圖示座標值的方法與電子裝置
KR102079348B1 (ko)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926286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110316888A1 (en)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US10955928B2 (en) Application swap based on smart device movement
US200901534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crolling and Selection Activity
US20090066637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otion-controlled display
KR20130069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3096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6691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177947A1 (en) Enhance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US926836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JP5367911B2 (ja) 文字列検索装置
KR20100136289A (ko)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50058792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navigation, display interactivity and multi-browser arrays
US2005011075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mbol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KR102117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72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1892613A2 (en) Method of controlling pointer in mobile terminal having po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