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051A -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051A
KR20110084051A KR1020100004097A KR20100004097A KR20110084051A KR 20110084051 A KR20110084051 A KR 20110084051A KR 1020100004097 A KR1020100004097 A KR 1020100004097A KR 20100004097 A KR20100004097 A KR 20100004097A KR 20110084051 A KR20110084051 A KR 2011008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power cable
box
pow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세
송재혁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4051A/ko
Publication of KR2011008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는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를 구비하는 절연통;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을 구비한 제 1 동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을 구비한 제 2 동관; 및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A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Insulator in Joint Box for Power Cables, and A Joint Box for Power Cabl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함용 동관과 절연통의 양측 표면 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절연통과 동관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접속함의 경량화를 통한 작업성 개선, 플랜지의 미사용 및 방습 컴파운드 등의 매립에 요구되는 공매 처리 불필요에 따른 접속함의 현장 조립 시간 및 비용 절감, 및 외함의 접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접속함의 추가적인 경량화가 가능한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일정한 가닥으로 서로 모아서 합성수지로 주절연층을 형성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와 이의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 지중 혹은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전선이다.
상술한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이 사용된다. 접속함은 종단 접속함(termination)과 중간 접속함(joint)으로 구분된다. 종단 접속함은 기중 종단 접속함, 가스(gas)중 종단 접속함, 및 유(oil) 중 종단 접속함 등으로 구분되며, 중간 접속함은 보통 접속함(normal joint)과 절연 접속함(insulation joint) 등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중간 접속함은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절연 접속함은 케이블 차폐층 간을 절연하기 위하여 절연통(insulator)을 사용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이 코핀 박스(coffin box) 내에 내장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101);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101)의 양단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 접속된 상기 전력케이블(101)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물 유닛(103);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의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플랜지(106a,106b);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을 절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106a,106b)와 결합되는 절연통(120);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의 외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외함(104a,104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절연물 유닛(103)에 사용되는 절연물로는 통상적으로 에폭시 재질 또는 합성고무 재질이 사용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에서, 통상적으로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은 각각 동(copper)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외함(104a,104b)은 각각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절연통(120)은 에폭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외함(104a,104b)은 상기 절연물 유닛(103)을 보호하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절연통(120)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을 연결하는 절연통 연결 구조(100a)에서는, 제 1 및 제 2 플랜지(106a,106b)가 각각 제 1 및 제 2 동관(102a,102b)에 용접 방식으로 부착된다. 제 1 및 제 2 플랜지(106a,106b)에는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109a,109b)이 형성되고, 절연통(120)의 양 측면 상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109a,109b)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122a,122b)가 제공된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110a,110b)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109a,109b)을 통해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122a,122b)와 체결된다. 제 1 및 제 2 플랜지(106a,106b)와 절연통(120) 간의 기밀을 위해 제 1 및 제 2 오링 개스킷(O-ring gasket: 107a,107b)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된 절연통 연결 구조(100a)는 돌출 형상(도 1c의 A 부분 참조)을 갖게 된다. 돌출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공간(140a,140b)에는 방습 컴파운드 등을 매립하기 위한 공매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 후, 테이핑 공정 및 열수축 튜브(130)에 의한 마감 공정에 의해 최종 절연통 연결 구조(100a)가 얻어진다.
도 1d를 참조하면,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을 외상이나 침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 제공되는 코핀 박스(160)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은 제 1 및 제 2 외함(104a,104b)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용 접지선(150)이 제공된 후, 코핀 박스(160) 내에 내장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100a)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절연통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에폭시 재질로 이루어지고 또한 플랜지가 황동 재질로 이루어져 접속함 전체의 중량이 무겁다.
2. 무거운 접속함의 취급을 위해 통상적으로 2인의 인력이 요구되므로, 접속함의 설치 비용이 증가한다.
3. 에폭시 재질의 절연통은 깨지기 쉽고 체결 부재의 체결 작업 중 매입 금구가 절연통으로부터 빠지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까다로운 취급이 요구되며, 절연통의 연결에 필요한 작업 시간이 증가한다.
4. 절연통 연결 구조를 얻기 위해 한 쌍의 플랜지의 사용 및 공매 처리에 필요한 방습 컴파운드 등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그에 따라 절연통의 현장 조립시 요구되는 공정수가 증가하여 전체 조립 시간(tact time) 및 비용이 증가한다.
5. 코핀 박스 내에서 제 1 및 제 2 외함 사이에 접지용 접지선을 인입할 때 절연통 연결 구조의 돌출 형상에 의해 간섭이 발생(도 1d의 A 및 B 부분 참조)하여 외함의 접지 작업이 어렵다. 또한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코핀 박스의 사이즈가 커져야 한다.
상술한 종래 술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100a)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2003년 3월 27일자로 엘에스 전선 주식회사에 의해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구조"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2004년 10월 6일자로 공개번호 제 10-2004-0084290호로 공개된 후, 2006년 1월 17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 10-0545757호(이하 "757 특허"라 합니다)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757 특허에서는 전력케이블의 중간 접속함에서 절연통의 에폭시 몸체와 플랜지가 일체로 성형되어 플랜지와 에폭시 몸체를 체결하는 매입볼트의 미사용에 따른 절연통의 길이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757 특허에서는 절연통의 에폭시 몸체와 플랜지는 플랜지에 형성된 샌드블래스트부에 에폭시 몸체를 열처리로 융착하거나 또는 플랜지의 표면 부분에 요철 홈부를 형성하고, 이 요철 홈부에 주형을 이용하여 에폭시 몸체의 성형 및 경화시켜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757 특허는 여전히 플랜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절연통의 에폭시 몸체와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들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100a)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100)의 문제점들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제10-05457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함용 동관과 절연통의 양측 표면 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절연통과 동관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접속함의 경량화를 통한 작업성 개선, 플랜지의 미사용 및 방습 컴파운드 등의 매립에 요구되는 공매 처리 불필요에 따른 접속함의 현장 조립 시간 및 비용 절감, 및 외함의 접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접속함의 추가적인 경량화가 가능한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는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를 구비하는 절연통;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을 구비한 제 1 동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을 구비한 제 2 동관; 및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양단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동관; 접속된 상기 전력케이블을 보강 및 보호하기 위한 절연물 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을 절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과 직접 결합되는 절연통;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의 외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외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은 a) 절연통의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동관의 일측 단부를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c)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무거운 황동 재질의 플랜지가 미사용되므로 접속함 전체의 중량이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절연통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접속함의 중량이 대략 18.4% 내지 25.2% 범위만큼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플랜지의 미사용 및 절연통의 재질 변경에 따른 접속함의 중량이 종래 기술에 비해 대략 1/2(또는 50%) 정도로 현저하게 감소된다.
2. 접속함의 경량화에 따라 1인의 인력으로 접속함의 취급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접속함의 설치비용이 감소되며,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3.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절연통은 깨지기 어렵다. 또한, 매입 금구가 동관의 내부 표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체결 부재와 체결되므로 체결 부재의 체결 작업 중 절연통으로부터 빠질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절연통의 취급이 용이하며, 절연통의 연결에 필요한 작업 시간이 감소된다.
4.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절연통 연결 구조를 얻기 위해 한 쌍의 플랜지 및 공매 처리에 필요한 방습 컴파운드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절연통의 현장 조립시 요구되는 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전체 조립 시간(tact time) 및 비용이 상당히 감소된다.
5.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절연통 연결 구조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지게 되어 코핀 박스 내에서 제 1 및 제 2 외함 사이에 접지용 접지선을 인입할 때 절연통 연결 구조와의 간섭 발생이 제거된다. 따라서, 외함의 접지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코핀 박스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이 코핀 박스(coffin box) 내에 내장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이 코핀 박스 내에 내장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중간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이 코핀 박스 내에 내장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201);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201)의 양단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 접속된 상기 전력케이블(201)을 보강 및 보호하기 위한 절연물 유닛(203);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을 절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과 직접 결합되는 절연통(220);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의 외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외함(204a,20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절연물 유닛(203)에 사용되는 절연물로는 통상적으로 에폭시 재질 또는 합성고무 재질이 사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에서, 통상적으로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은 각각 동(copper)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외함(204a,204b)은 각각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절연통(220)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합성수지 중 폴리에틸렌의 비중은 0.92 내지 0.97의 범위를 가지며, 종래 기술의 절연통(120)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비중인 1.189 내지 1.23의 범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대략 18.4% 내지 25.2% 범위의 낮은 값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200a)는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 상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를 구비하는 절연통(220);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단차부(224a)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매입 금구(22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209a)을 구비한 제 1 동관(202a);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단차부(224b)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매입 금구(2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209b)을 구비한 제 2 동관(202b); 및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209a,209b)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200a)는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와 체결된 상태의 상기 절연통(220)의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테이핑 부재(242); 및 상기 테이핑 부재(242)의 외부에 제공되는 열수축 튜브(2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에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201)의 양단 금속 시스(metallic sheath)가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의 내부에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된 전력케이블(201)은 그 외부에 제공되는 절연물 유닛(203)에 의해 보강 및 보호된다.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은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며, 절연통(220)과 직접 결합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은 외부에 각각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외함(204a,204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에서는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이 절연통(220)과 직접 결합되는 절연통 연결 구조(20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에서는 절연통(220)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200a)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200a)에서는 절연통(220)이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 상에는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가 제공된다. 제 1 동관(202a)의 일측 단부는 제 1 단차부(224a) 상에 제공되고, 제 2 동관(202b)의 일측 단부는 제 2 단차부(224b) 상에 제공된다. 또한, 제 1 동관(202a)은 복수의 제 1 매입 금구(22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209a)을 구비하고, 제 2 동관(202b)은 복수의 제 2 매입 금구(2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209b)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이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209a,209b)이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에 정렬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 상에 위치되면,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가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209a,209b)을 통해 삽입되어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와 체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는 각각 나사 또는 보울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와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가 각각 보울트와 너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로 사용될 수 있는 나사 또는 보울트 및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와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로 각각 사용될 수 있는 보울트와 너트는 각각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은 종래 기술의 제 1 및 제 2 플랜지(106a,106b)를 사용함이 없이 절연통(220)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에 의해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과 결합된 절연통(220)의 외주면 상에 테이핑 부재(242)가 제공되고, 테이핑 부재(242)의 외부에는 열수축 튜브(230)가 제공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을 외상이나 침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 제공되는 코핀 박스(260)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은 제 1 및 제 2 외함(204a,204b)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용 접지선(250)이 제공된 후, 코핀 박스(260) 내에 내장된다.
상술한 도 2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에서는 절연통 연결 구조(200a)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상(도 2c 및 도 2의 A 부분 참조)을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제 1 및 제 2 외함(204a,204b) 사이에 접지용 접지선(250)이 제공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200)을 코핀 박스(260) 내에 인입할 때, 코핀 박스(260)와 절연통 연결 구조(200a) 간의 간섭 발생이 제거된다. 따라서, 외함의 접지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코핀 박스(260)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중간 접속함 및 종단 접속함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도 2a 내지 도 2d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300)은 a) 절연통(220)의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 상에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를 제공하는 단계(310); b)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209a,209b)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동관(202a,202b)의 일측 단부를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224a,224b) 상에 제공하는 단계(320); 및 c)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210a,210b)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209a,209b)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222a,222b)와 체결하는 단계(3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300)은 d) 상기 절연통(220)의 외주면 상에 테이핑 부재(242)를 제공하는 단계(340); 및 e) 상기 테이핑 부재(242)의 외부에 열수축 튜브(230)를 제공하는 단계(3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을 사용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에서는 접속함의 중량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접속함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며, 절연통의 연결에 필요한 작업 시간이 감소되고, 접속함의 전체 조립 시간 및 비용이 상당히 감소되며, 외함의 접지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코핀 박스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0,200: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00a,200a: 절연통 연결 구조
101,201: 전력케이블 102a,202a;102b,202b: 제 1 및 제 2 동관
103,203: 절연물 유닛 104a,204a;104b,204b: 제 1 및 제 2 외함
106a,106b: 제 1 및 제 2 플랜지 107a,107b: 제 1 및 제 2 오링 개스킷
109a,209a;109b,209b: 제 1 및 제 2 관통공 120,220: 절연통
110a,210a;110b,210b: 제 1 및 제 2 체결부재
122a,222a;122b,222b: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금구
224a,224b: 제 1 및 제 2 단차부 130,230: 열수축 튜브
242: 테이핑 부재 150,250: 접지선 160,260: 코핀 박스

Claims (20)

  1.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에 있어서,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를 구비하는 절연통;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을 구비한 제 1 동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을 구비한 제 2 동관; 및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는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된 상태의 상기 절연통의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테이핑 부재; 및
    상기 테이핑 부재의 외부에 제공되는 열수축 튜브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중간 접속함 및 종단 접속함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는 각각 나사 또는 보울트로 구현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가 각각 보울트와 너트로 구현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8.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
    내부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양단 금속 시스(metallic sheath)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동관;
    접속된 상기 전력케이블을 보강 및 보호하기 위한 절연물 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을 절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과 직접 결합되는 절연통;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의 외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동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외함
    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은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동관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동관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 단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는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통해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된 상태의 상기 절연통의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테이핑 부재; 및
    상기 테이핑 부재의 외부에 제공되는 열수축 튜브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통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3.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중간 접속함 및 종단 접속함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4.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는 각각 나사 또는 보울트로 구현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5.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가 각각 보울트와 너트로 구현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6.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 유닛에 사용되는 상기 절연물은 에폭시 재질 또는 합성고무 재질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7.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상기 제 1 및 제 2 외함 사이에 제공되는 접지용 접지선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8.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은 외부에 제공되는 코핀 박스(coffin box)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19.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에 있어서,
    a) 절연통의 양측 표면 상에 제 1 및 제 2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동관의 일측 단부를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부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c) 복수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매입 금구와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은
    d) 상기 절연통의 외주면 상에 테이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테이핑 부재의 외부에 열수축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방법.
KR1020100004097A 2010-01-15 2010-01-15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KR20110084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97A KR20110084051A (ko) 2010-01-15 2010-01-15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097A KR20110084051A (ko) 2010-01-15 2010-01-15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51A true KR20110084051A (ko) 2011-07-21

Family

ID=4492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097A KR20110084051A (ko) 2010-01-15 2010-01-15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4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70B1 (ko) * 2012-11-28 2013-11-21 조성전력 주식회사 전력선 접속개소의 열화 감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70B1 (ko) * 2012-11-28 2013-11-21 조성전력 주식회사 전력선 접속개소의 열화 감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965B1 (en) Coaxial cable compression connector
KR20110100475A (ko)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
US10777988B2 (en) Cable reinforcement sleeve for subsea cable joint
KR20120062637A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895720B2 (ja) 分岐付ケーブル及びその布設方法
KR102342659B1 (ko) 강성 조인트 조립체
US20170130883A1 (en) Modular pipe systems and components
CN107994359B (zh) 内置光纤电缆的接头组件及接头连接方法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20110084051A (ko)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절연통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
US20160363731A1 (en) Device for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EP0922319B1 (en)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channelsystem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the parts in the system
KR200390068Y1 (ko) 케이블 보호관
JP4574276B2 (ja) ケーブル接続部の遮水構造およびその遮水構造の形成方法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101677054B1 (ko) 지중 송전선로용 조립식 덕트
KR100908672B1 (ko)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JP6754233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
JPS61251410A (ja) コンジツトケ−ブル支持体
WO2023152842A1 (ja) 埋設管及び埋設管の防護方法
JP5496592B2 (ja) 地中ケーブル接続部保護管
RU2284080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водогаз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муфта для телефонных кабелей связи с пластмассовой изоляцией жил
JPS5891414A (ja) 無外装海底光フアイバケ−ブル接続函
JPH10243537A (ja) サブダクト対応管路口防水装置
CN101494369A (zh) 具有单一保护箱的动力电缆接线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