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813A -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813A
KR20110083813A KR1020100003744A KR20100003744A KR20110083813A KR 20110083813 A KR20110083813 A KR 20110083813A KR 1020100003744 A KR1020100003744 A KR 1020100003744A KR 20100003744 A KR20100003744 A KR 20100003744A KR 20110083813 A KR20110083813 A KR 2011008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antioxidative
suitable amount
eff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545B1 (ko
Inventor
김청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0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 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이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나 피부 내 세포의 호흡과정에서도 발생된다. 피부의 노화와 관련이 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 oxyge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일어나는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 에폭사이드 등의 다양한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말 및 세포 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산소종들은 암, 조직 손산,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세포를 구성하는 막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 효소의 누출,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들 반응 중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이 피부 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기성 생물체들은 이러한 산화제의 생성과 지질 과산화를 막기 위한 보호 기구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구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등의 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베타카로틴(beta-carotene),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자유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이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토코페롤, 아스콜빈산, 글루타치온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얻어보려고 하였으나, 화장료에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는 경우 제품 안정성이 좋지 못하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같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쇄보는 고란초과의 곡궐(Drynaria fortunei Smith)의 뿌리줄기이며, 대풍자는 산유자나무과의 대풍자(Hydnocarpus anthelmintica Pierre) 또는 동속 근연식무의 씨이며, 뇌환은 구멍장이버섯과의 뇌환(Omphalia lapidescens Schroet)의 균핵이며, 구척은 구척과의 금모구척( Cibotium barometz J. Smith)의 뿌리줄기이며, 부평초는 개구리밥과의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Schleider) 또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 Hegelm)의 전초이며, 봉출은 생강과의 아출(Curcuma zedoaria Roscoe)의 뿌리줄기이며, 미후등은 다래나무과의 다래나무(Actinidia arguta Planchon ex Miquel)의 덩굴이며, 여로는 백합과의 여로(Veratrum nigrum L. var. ussuriense Loes. fil.)의 뿌리줄기이며, 청호는 국화과의 개똥쑥(Artemisia apiacea Hance)의 지상부이며, 학슬은 국화과의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의 과실이며, 고련피는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L. var. japonica Makino)의 껍질이며, 관중은 면마과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의 뿌리줄기이며, 관동화는 국화과 관동(Tussilago farfara L.)의 꽃이며 및 자목은 뽕나무과의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원줄기이다.
상기 약재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각각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4]
건조된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을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각 100g당 부틸렌글리콜과 초순수 혼합액(혼합비율 부틸렌글리콜/초순수 = 3/7) 500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추출물들을 순차적으로 0.4 ㎛, 02 ㎛, 0.1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자유라디칼 소거율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제조한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1,1-diphenyl-2-pycryl-hydrazyl(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Blois, M.S., Nature 181, 1990(1958)]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17 ㎚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본 시험에서 DPPH는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0.15 ?M의 농도로 메틸알콜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한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을 1 ~ 100 ㎕/㎖의 농도별로 제조한 후,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100 ㎕씩 넣었다. 여기에 DPPH용액을 100 ㎕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ader, BioT다 EL-340)을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기의 추출물들을 대신하여 아스콜빈산 100 ㎕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시료를 처리군의 흡광도가 대조군의 흡광도의 절반이 될 때의 상기 추출물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
at 30 min at 60 min at 12 hrs
아스콜빈산 0.0005 % - -
실시예 1(골쇄보 추출물) 0.003% 0.003% 0.002%
실시예 2(대풍자 추출물) 0.002% 0.003% 0.003%
실시예 3(뇌환 추출물) 0.004% 0.003% 0.004%
실시예 4(구척 추출물) 0.002% 0.003% 0.003%
실시예 5(부평초 추출물) 0.005% 0.004% 0.004%
실시예 6(봉출 추출물) 0.004% 0.003% 0.003%
실시예 7(미후등 추출물) 0.003% 0.003% 0.003%
실시예 8(여로 추출물) 0.002% 0.003% 0.003%
실시예 9(청호 추출물) 0.007% 0.005% 0.005%
실시예 10(학슬 추출물) 0.003% 0.003% 0.002%
실시예 11(고련피 추출물) 0.005% 0.004% 0.004%
실시예 12(관중 추출물) 0.002% 0.003% 0.003%
실시예 13(관동화 추출물) 0.004% 0.003% 0.003%
실시예 14(자목 추출물) 0.003% 0.002% 0.003%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4는 매우 강력한 자유라디칼 소거제이며, 그 지속성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이 피부 노화 억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조예]
제조예 1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1 비교예1
골쇄보 추출물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10
8
5
6
적량
To 100
-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2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3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2 비교예 2
뇌환 추출물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정제수
1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3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7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처방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3 비교예 3
미후등 추출물
에탄올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색소
정제수
0.1
10
1
0.2
5
6
적량
적량
To 100
-
10
1
0.2
5
6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4 및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0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의 처방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4 비교예 4
학슬 추출물
바셀린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수산화칼륨
색소

정제수
0.5
2
1
1
적량
5
3
18
0.1
적량
적량
To 100
-
2
1
1
적량
5
3
18
0.1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5 및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1을 이용하여 하기 표 6의 처방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5 비교예 5
고련피 추출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색소

정제수
1
5
4
15
8
1
0.2
적량
적량
To 100
-
5
4
15
8
1
0.2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6 및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2를 이용하여 하기 표 7의 처방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6 비교예 6
관중 추출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정제수
5
10
10
5
5
1
0.2
적량
To 100
-
10
10
5
5
1
0.2
적량
To 100
[실험예2] 항노화 실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항노화 효과를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각 실험군 당 생후 15 내지 20 주령의 무모 생쥐 20 마리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모 생쥐의 등 부위에 자외선 조사기(UV simulator, US)를 이용하여 2 mJ/cm2의 조사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주당 2회의 빈도로 4주 동안 실시함으로써 생쥐의 피부에 광노화를 유발시켰다. 그 후, 제조예 1 내지 6의 화장료를 무모 생쥐 등 부위의 한쪽면에 1일 2회, 2주간 적당량 도포해 주고, 다른 한쪽면에는 비교를 위해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를 도포해주었다. 이때, 제조예 5 및 비교예 5의 팩은 도포한 15분 후 떼어내었다. 2주 후에 노화 완화 효과를 육안으로 상대 비교하여 관찰한 후,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뚜렷한 효과(마리) 효과 있음(마리) 차이 없음(마리)
제조예 1 7 6 6
제조예 2 6 8 6
제조예 3 8 9 3
제조예 4 8 7 5
제조예 5 5 9 6
제조예 6 9 6 5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는 피시험동물 20마리 중에서 최소 14마리 이상에 대하여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피부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항산화 기능의 항노화 화장료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골쇄보, 대풍자, 뇌환, 구척, 부평초, 봉출, 미후등, 여로, 청호, 학슬, 고련피, 관중, 관동화 및 자목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03744A 2010-01-15 2010-01-15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44A KR101809545B1 (ko) 2010-01-15 2010-01-15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44A KR101809545B1 (ko) 2010-01-15 2010-01-15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13A true KR20110083813A (ko) 2011-07-21
KR101809545B1 KR101809545B1 (ko) 2017-12-15

Family

ID=4492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744A KR101809545B1 (ko) 2010-01-15 2010-01-15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9008A1 (ko) * 2012-05-08 2013-11-1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99453B1 (ko) * 2013-05-13 2015-03-06 주식회사 이지함화장품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KR20190093283A (ko) * 2018-02-01 2019-08-0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269B1 (ko) 2018-10-02 2020-09-29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후박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9008A1 (ko) * 2012-05-08 2013-11-1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99453B1 (ko) * 2013-05-13 2015-03-06 주식회사 이지함화장품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KR20190093283A (ko) * 2018-02-01 2019-08-0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545B1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2B2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6816A (ko) 천연 방부 조성물
AU2011252628A1 (en) Snow lotus extract, prepar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22216B1 (ko) 피토플라센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545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4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754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초임계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708779B1 (ko)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477126B1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93164A (ko)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2517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1061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5A (ko)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688B1 (ko)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보호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6121A (ko) 유리코마 롱기폴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4620A (ko)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985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0322A (ko) 비파, 석류, 울금 약재의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고기능성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