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710A - 물 냉각기용 분배부 및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 - Google Patents

물 냉각기용 분배부 및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710A
KR20110083710A KR1020117012879A KR20117012879A KR20110083710A KR 20110083710 A KR20110083710 A KR 20110083710A KR 1020117012879 A KR1020117012879 A KR 1020117012879A KR 20117012879 A KR20117012879 A KR 20117012879A KR 20110083710 A KR20110083710 A KR 2011008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tank
dispensing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 리씨오니
Original Assignee
트레플 그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레플 그루프 filed Critical 트레플 그루프
Publication of KR2011008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상호교환가능한 병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인출된 물을 사용하여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온도로 분배하기 위한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1)로서, 병(58)의 네크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인출된 물을 교체하도록 병(58)을 위한 공기 유입 파이프와 물 유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물 인출 핑거부(32)와, 인출 핑거부의 기부에서 물 유출 파이프와 연통하고, 인출 핑거부에 의해 인출된 물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수단과, 공기 유입 파이프(34)에 연결된 주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에 있어서, 분배 수단과 공기 공급 수단은, 분배 수단 내에서 그리고 인출 핑거부의 기부의 높이 위에서 병으로부터 나오는 물기둥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냉각기용 분배부 및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DISPENSING PART FOR A WATER COOLER AND WATER COOLER COMPRISING SUCH A PART}
본 발명은 다양한 온도의 물, 즉 냉수, 실온수, 및/또는 고온수를 분배하기 위한 물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일반적으로 냉각기의 상부에 상하가 뒤집어져 배치된 상호교환가능한 병으로부터의 중력에 의해 급송된다. 이러한 종류의 물 냉각기(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02/062664 호를 참조)는 병을 지지하고,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 또는 강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고정식 또는 제거가능한 개방 냉각 탱크 위에 배치된 분배 뚜껑을 포함하고 있다.
냉각 탱크는 병의 네크부 내에 기밀 방식으로 삽입된 인출 핑거부를 거쳐 급송되고, 물 유출 파이프와 공기 유입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펠티에 효과식, 압축식, 또는 스터링식(stirling) 열 교환기와 접촉하고, 물이 인출될 때마다, 상기 열교환기는 냉수의 저장소를 구성하는 냉각 탱크 내에 담겨 있는 물을 냉각하고, 상기 냉수는 냉수 탭을 거쳐 분배되어 연속적으로 재생된다.
또한, 물이 올바르게 인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분배 탭은 실질적으로 냉각 탱크의 바닥 높이에 위치하여야만 하고, 분배 탭은 종종 냉각 탱크에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물 냉각기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비이커 또는 주입 용기를 배치하기 위해 탭 하부에 약간의 높이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분배 탭을 더 높은 높이에 예를 들어, 분배 뚜껑의 높이에 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비용의 상당한 증가가 있더라도, 공기 펌프 또는 물 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회피할 수 있고 다른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유형의 물 냉각기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목적을 갖고 있는데, 상기 물 냉각기에서 냉각 탱크는 대기로 배기될 수 있고, 분배 탭이 개방 냉각 탱크에 대해 높은 높이에, 특히 바로 그 위에, 배치되어, 물 냉각기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상호교환가능한 병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인출된 물을 2가지 상이한 온도로 분배하기 위한 생수(bottle water) 냉각기용 분배부로서, 병의 네크부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인출된 물을 교체하도록 병 내로의 공기 유입 파이프와 물 유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물 인출 핑거부와, 인출 핑거부의 기부에서 물 유출 파이프와 연통하고, 인출 핑거부를 거쳐서 인출된 물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수단과, 공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된 주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에 있어서, 분배 수단과 공기 공급 수단은, 분배 수단 내에서 그리고 인출 핑거부의 기부의 높이 위에서 병으로부터 나오는 물기둥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분배 탭으로부터 출구에서 양호한 유량을 갖도록 탱크의 수위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냉각 탱크는 대기에 통풍되고, 분배 탭과 냉각 탱크의 물 유입 오리피스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물 냉각기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탱크와 연관되어 있는 물 가열기를 사용하면, 가열이 발생되는 물 가열기의 물 팽창에 의해 물이 솟아오르고, 이것은 물 가열기가 대기 주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두는 동안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유한 특징에 따르면,
공기 공급 수단은 병으로부터 나오는 물을 위한 인출 핑거부의 대략 입구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공기 공급 수단의 공기 입구가 방출되는 공기 공급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수단은 물기둥의 높이가 의도하지 않게 사전결정된 높이를 초과하면, 물기둥에 의해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며,
공기 공급 수단은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를 포함하고, 그 자유 단부가 공기 입구를 형성하고,
물 분배 수단은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는 굴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뚝부는 그 기부에서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격실로 방출되며,
분배부는 냉각 탱크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물 통로 오리피스와, 실온수 인출 출구와, 냉각 탱크로부터 분배부가 더 포함하는 냉수 인출 출구로 냉수를 급송하기 위한 파이프를 포함하고,
분배부는 물 가열기를 위한 실온수 출구와, 물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물을 위한 인출 출구를 포함하며,
분배부는 2개의 부분, 즉 굴뚝부를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상부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디플렉터의 형태를 취하는 하부로 이루어지고,
분배부는 물 냉각기의 냉각 탱크를 밀봉식으로 덮도록 되어 있는 뚜껑의 형태를 취하고, 상부에서 개방되며,
공기 필터가 굴뚝부의 상측 개구에 수용되고, 차단 수단은 공기 필터의 아래에서 굴뚝부에 장착되고 물기둥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부유체에 의해 제어되는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고,
분배부는 대체로 플레어 형상을 갖고, 공기 공급 수단은 분배부의 측부를 따라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를 포함하고, 그 자유 단부는 공기 입구를 형성하며,
주변 공기 공급 수단은 병을 배치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계량 오리피스(calibrated orifice)를 포함하고,
인출 핑거부는 병을 배치하는 도중에 공기 유입 파이프로의 물의 유입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는 시케인(chicane)을 포함하는 특징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물 냉각기와 관련된 특유한 특징에 따르면,
물 냉각기는 분배부 아래에 배치된 2개의 부분의 냉각 탱크를 포함하고, 이 냉각 탱크의 상부는 분배부와 함께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격실을 형성하며, 냉각 탱크에는 상부에 상이한 온도의 물을 위한 출구가 구비되고,
공기 공급 통로는 냉각 탱크의 상부에 형성되고, 차단 수단은 냉각 탱크의 상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부재가 마련된 부유체를 포함하며,
물 냉각기는 냉각 탱크 내에 놓여 있는 제2 제거가능한 탱크를 포함하고,
제거가능한 탱크는 그 벽의 외면에 형성되어 그 벽의 외부와 냉각 탱크의 벽의 내부 사이에서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채널을 포함하며,
제거가능한 탱크는 은이온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물 냉각기는 냉각 탱크 또는 제거가능한 탱크 내에 은이온 디퓨져를 포함하며,
물 냉각기는 공기 공급 통로 상에 배치된 공기 필터를 포함하고,
분배 탭은 탱크 물 입구의 높이에서 탱크에 고정되며,
분배 탭은 탱크에 부착된 유출 튜브 상의 신속 끼워맞춤식 커넥터에 의해 장착되고,
물 냉각기는 실온수 유출 튜브 및/또는 냉수 유출 튜브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추가 파이프를 포함하며,
물 냉각기는 탱크 내에 배치되고, 탱크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디플렉터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냉수를 인출하도록 관통하는 딥 튜브용의 커넥터를 포함하며,
물 냉각기는 신속 끼워맞춤식 커넥터에 의해 이중 커넥터에 바람직하게는 동축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고온수 탭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실온수용 파이프와 고온수용 파이프인 2개의 파이프에 의해 물 가열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조합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탱크는 물기둥의 형성을 위한 굴뚝부에 의해 덮혀 있고, 굴뚝부의 상측 개구는 병의 공기 입구를 구성하며, 이 공기 입구에는 인출 핑거부의 공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되는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유리하게도 굴뚝부의 상측 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굴뚝부에 부유체가 배치되어 있다.
자체로 신규한 본 발명의 개발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개방형 제2 탱크가 물 냉각기의 고정식 또는 제거가능한 탱크에 추가될 수 있고, 대체로 스테인레스강 또는 강성 플라스틱의 메인 냉각 탱크에 놓여 있으며, 냉각 탱크와 열적으로 연통한다. 이로 인하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제거가능한 탱크를 단순히 교체함으로써 스테인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의 제1 냉각 탱크를 세척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제거가능한 탱크는 유리하게도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은이온을 포함하는 얇은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물 냉각기 상에 뒤집어져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상호교환가능한 병 또는 어댑터에 의한 식수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중력에 의해 인출된 실온수로부터 2개의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물 냉각기가 냉수 인출 탭을 통해 전달되도록 되어 있는 냉수를 생성시키기 위한 실온수용 냉각 탱크를 포함하고, 냉각 탱크는 상부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냉각 수단에 수용되어 있고, 제거가능한 제2 탱크가 냉각 탱크 내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양태와 관련된 특정 설비에 따르면,
냉각 수단은 냉각 탱크의 벽의 외면과 열교환되는 열교환 증발기가 설치되어 있는 절연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제거가능한 탱크는 합성 재료로 제조되며,
제거가능한 탱크는 그 벽의 외면 상에 마련되어, 냉각 탱크의 벽의 외부와 제거가능한 탱크의 벽의 외부 사이에서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채널을 포함하고,
합성 재료는 은이온을 포함하며,
냉각 탱크는 고정식 또는 제거가능한 탱크이고,
냉각 탱크는 스테인레스강 또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플라스틱 재료는 식료품 등급의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및 아크릴로니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거가능한 탱크는 그 벽의 외면 상에 마련되어, 그 벽의 내면과 메인 냉각 탱크의 벽 외면 사이에서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탱크 사이에서 공기의 배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냉각 탱크 내에 제거가능한 탱크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물 냉각기는 냉각 탱크 위에 배치되고, 병으로부터 나오는 물을 직접 실온수 출구 탭을 향해 안내하는 디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비로 인하여, 실온수 분배 탭은 병에 의해 직접 물이 급송된다.
디플렉터는 유리하게도 분배 뚜껑 내에 배치된다.
고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가 있는 경우, 물 냉각기는 유리하게도 물 가열기의 입구에 연결되고 디플렉터를 통해 급송되는 공급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역전된 상호교환가능한 병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인출된 물로부터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물 냉각기는 병을 지지하고 병의 네크부 내로 밀봉식으로 삽입되는 인출 핑거부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 탱크 위에 배치된 수용 뚜껑을 포함하고, 병의 공기 유입 통로와 연통하고 대기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 파이프와 물 유출 파이프를 포함한다.
물 냉각기의 외부 공기 유입 통로가 물 인출 핑거부의 상단부 위에서 파이프를 통해 공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하도록 탱크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는 점은 특히 주목할만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로 인하여 탱크에 대해 더 높은 높이에 분배 탭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추가의 특유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파이프는 백조 네크 형상이다.
파이프는 유리하게도 수용 뚜껑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하나의 특유한 특징에 따르면, 물 냉각기는 탱크 내에 배치되고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탱크의 측벽에 마련된 공기 유입 통로를 차단시키는 부유체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병이 천공되더라도 물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안정성 특징부를 제공할 수 있다.
부유체는 유리하게도 환형의 중공형 용기이다.
또한, 더 유리하게도 물 냉각기는 공기 유입 통로 상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분배 탭은 탱크의 물 입구의 높이에 탱크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리하게도 분배 탭은 탱크에 고정된 유출 튜브 상에 신속 끼워맞춤식 커넥터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분배 탭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냉수 또는 실온수를 탄산화 장치로 보내서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다.
후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물 냉각기는 탱크 내에 배치되고 탱크로부터 나오는 물을 실온수 탭 및/또는 물 가열기를 향해 안내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있다.
디플렉터는 대체로 수평 디스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스크는 병으로부터 탱크 내로 물의 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중앙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플렉터는 탱크의 바닥에서 냉수를 인출하도록 되어 있는 관통 딥 튜브용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진화에 따르면, 물 냉각기는 실온수 유출 튜브 또는 냉수 유출 튜브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예시로서 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으며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고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물 냉각기 내부 부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분배 탭이 제거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물 냉각기의 부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특히 분배 뚜껑이 도시되어 있는 물 냉각기의 부품에 대한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물 냉각기의 상부 뚜껑 및 병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물 냉각기 분배 뚜껑의 바닥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물 냉각기의 디플렉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분배 뚜껑 및 이 분배 뚜껑 하부에 장착된 디플렉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고온수 또는 냉수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분배 탭이 물 냉각기의 전방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물 냉각기에 대한 일반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분배 탭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일반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물 냉각기 부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수용기 뚜껑 및 분배 탭이 없는 물 냉각기 부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수용기 뚜껑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17은 수용기 뚜껑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물 냉각기 부품의 탱크에 대한 상측으로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탱크 내에 배치되어 있는 부유체에 대한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병의 하부가 물 냉각기 상에 배치되어 있는 물 냉각기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1은 물 냉각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는 수용기 뚜껑과 탱크의 상부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탱크와 그 냉각 재킷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4는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디플렉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대응하는 물 냉각기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20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물 냉각기는 냉각 인클로져(7)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 탱크(6)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탱크 상에는 네크부의 단부에 스토퍼(57)를 포함하는 역전된 병(58)(도 5)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분배 뚜껑(1)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분배 뚜껑은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 탭과 외부 공급부에 분배하고, 이러한 목적으로 물 분배 격실(82)을 포함하고 있다.
분배 뚜껑(1)은 대기에 개방되는 냉각 탱크(6)에 수밀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냉각 탱크(6)와 병(58)의 물 인출 핑거부(32) 사이에 연결을 제공한다. 3개의 외부 제어 분배 탭(2, 3, 4)과, 고온수 입구 연결부(50)와, 실온수 출구 연결부(51)가 분배 뚜껑(1)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탱크(6)는 고정된 냉각 인클로져(7)의 벽과 열교환 증발기(30)에 의해 열을 교환하고, 그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60) 위에 놓여 있다.
여기에서 분배 뚜껑(1)과 일체로 제조되는 물 인출 핑거부(32)는 물 유출 개구(35)와 물 유입 파이프(36)를 거쳐서 냉각 탱크(6)와 공기 유입 파이프(34)로 물을 급송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대기 중으로 개방되는 굴뚝부(33)로 올라가는 파이프(38)에 접합부(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37)(특히, 도 4 참조)로 방출된다. 여기서, 파이프(38)의 단부는 하측으로 방출되는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15)에서 종료된다.
병을 배치할 때, 파이프(38)의 단부가 하측으로 방출되는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15)에서 종료되어, 물을 탱크로 복귀시킨다. 이것은 동일하게 물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공기 입구가 인출 핑거부의 물 출구보다 더 높기 때문에, 냉각 탱크(6)는 분배 탭(2 내지 4)에 연결되어 있는 출구보다 훨씬 위까지, 실제적으로 인출 핑거부의 물 입구보다 약간 낮은 높이까지 냉각 탱크(6)의 수위(39)를 상승시키도록 채워져서, 이로 인하여 분배 탭(2 내지 4)에 의한 양호한 인출이 보장된다.
냉각 탱크(6)가 굴뚝부(33)를 통해 대기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굴뚝부의 상측 개구에는 상측 필터 지지체(20)와, 공기 필터(19)와, 공기 통로(49)를 갖는 하측 필터 지지체(18)가 구비되어, 밸브 시트로서 기능을 한다.
만약 병(58)이 천공되면, 물이 공기 필터(19)를 거쳐 빠져나가서 병(58)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치유하기 위해, 시일(17)을 포함하는 부유체(16)가 굴뚝부(33)에 장착되어 있다. 부유체(16)는 굴뚝부(33) 내의 물과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부유체가 하측 필터 지지체(18)의 공기 통로(49)에 인접하게 되어, 공기 통로(49)를 구성하는 시트 상에 그 시일(17)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서의 경우와 같이 냉각 탱크(6)가 물 가열기와 조합되면, 가열 시에 물 가열기 내의 물이 팽창하여, 소정량의 물이 실온수를 위한 출구 연결부(51)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에서 솟아 오른다는 점을 유의하라. 이러한 추가 체적의 물은 굴뚝부(33) 내의 수위를 상승시키고, 이것은 이 과잉의 물을 수용하면서, 물 가열기를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둔 채로 고온수가 병 내로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물 인출 핑거부(32)는, 병을 배치 또는 제거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누설로부터, 물을 배수하도록 회수 트레이(44)(도 4 참조)에 의해 그 기부에서 포위되어 있고, 이 물은 파이프(45)를 거쳐서, 그리고 냉각 인클로져(7) 내에 장착되어 있는 튜브(31)를 거쳐서 흘러, 잔여 물 트레이(62)(도 5 참조)의 캐비티(63) 내로 배출되어, 비워질 수 있다.
시일(11)이 분배 뚜껑(1)의 링(56) 상에 장착되어 냉각 탱크(6)와 밀봉을 이루게 된다.
분배 뚜껑(1)은 2개의 유지 클립(46)을 구비하고, 이 유지 클립은 조립 시에 냉각 탱크(6)의 림(47) 아래에 배치되어, 분배 뚜껑을 적소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른 특징은 냉각 탱크(6) 내에 자유롭게 놓여 있는 제2 제거가능한 탱크(5)를 장착시키는 능력이다. 이 제거가능한 탱크(5)는 합성 재료로 얇은 벽을 구비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냉각 탱크(6)를 차단하는 시일(11)은 직경의 차이를 accommodate한다. 이 얇은 벽을 가진 제거가능한 탱크(5)는 그 벽의 외면에 형성된 채널(48)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은 그 벽의 외부와 냉각 탱크(6)의 벽의 내부 사이에 공기 통로를 구성한다. 이 공기 통로는 제거가능한 탱크(5)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그 기능은 제거가능한 탱크(5)를 냉각 탱크(6) 내에 장착할 때에 냉각 탱크(6)로부터의 공기의 배기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저비용의 교환가능하고 제거가능한 탱크(5)를 제공하여 냉각 탱크(6)의 세척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제거가능한 제 2 탱크(5)는 동일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Agion®이라는 상표명으로 알려져 있는 형태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은 이온의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분배 뚜껑(1)의 상부에는, 냉각 탱크(6)의 바닥으로부터, 출구 커넥터(43)에 장착되어 있는 냉수 유출 딥 튜브(14)를 거쳐서, 물을 배출시키는 냉수 출구(42)가 있다. 또한, 양태에 따라, 실온수를 위한 출구(41, 40)가 있고, 이 출구(40, 41) 아래에 디플렉터(13)가 배치되어 냉각 탱크(5 또는 6)로 유입되는 물을 안내한다.
또한, 고온수 출구(40)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스토퍼(12)(도 4 참조)가 고온수 출구(40)의 내부 파이프(82)를 차단시킨다. 엘보우 커넥터(73)(특히, 도 9 참조)가 뚜껑의 통로(53)를 통해 통과되고, 스토퍼(29)가 제거되면 고온수 유입 파이프(50)에 연결된다. 파이프로부터 스토퍼(28)를 제거한 후에, 동일한 제2 엘보우 커넥터(72)가 통로(52)를 통해 통과되어 실온수를 위한 출구(51)에 연결된다(특히, 도 2, 도 3 및 도 9 참조). 이 출구는 분배 뚜껑(1) 아래에 마련되어 있는 실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80)와 연통하고 있다(도 6 참조).
변형예에 있어서, 실온수를 위한 유출 파이프(51)가 다른 장치에 물을 급송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도, 냉각실 내에 탱크를 배치할 때, 커넥터(50, 51)에 연결되어 암형 커넥터(74)(특히, 도 9 참조)에의 밀봉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엘보우 커넥터(72, 73)(도 9 참조)를 장착함으로써, 신속 연결을 달성한다. 이들 암형 커넥터(74)는 물 가열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튜브(75, 76)에 연결된다(특히, 도 3 참조).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플렉터(13)에 의해 실온수를 위한 출구 즉, 병 온도의 출구 및/또는 고온수 출구에 물을 급송하도록 병(58)의 출구로부터 직접 물을 인출할 수 있다.
디플렉터(13)는 도 7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디플렉터는 분배 뚜껑(1)과 냉각 탱크(6) 또는 제거가능한 탱크(5) 사이에 배치된 원형판을 포함하고 있다. 디플렉터(13)의 상면은 수직벽으로 이루어져 챔버를 형성하는 안내부(77)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개방 단부는 물 인출 핑거부(32)의 물 출구 아래에 있으며, 이에 따라 병(58)으로부터 직접 물을 받아서, 이 물을 물 출구(40, 41)를 향해 안내한다. 디플렉터(13)의 원형판 내의 구멍(78)이 병(58)으로부터 냉수 탱크(5, 6)로 물을 급송하기 위한 통로(78)를 구성한다.
냉수 유출 딥 튜브(14)는 디플렉터(13)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냉수 출구 커넥터(43) 상에 배치되어 있다.
고온수를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파이프(82)를 차단시키는 스토퍼(12)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물 냉각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분배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의하면 냉수 및 실온수가 분배된다. 그리고, 냉수 출구(42)가 사용되어, 냉각 탱크(6)의 바닥으로부터 출구 커넥터(43) 상에 장착되어 있는 딥 튜브(14)를 거쳐서 물이 인출된다.
실온수를 위한 출구(40)에는 분배 뚜껑(1)의 더 낮은 높이에서 인출된 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토퍼(12)가 사용되지 않는 출구(41)의 파이프(81)를 차단시킨다.
제2 양태에 의하면 냉수 및 고온수가 공급된다. 냉수 출구(42)에서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출구 커넥터(43) 상에 장착되어 있는 딥 튜브(14)를 거쳐서 물이 인출된다.
출구(41)는 사용되지 않고, 스토퍼(12)가 출구(41)로부터 파이프(81)를 차단시킨다.
고온수 출구(40)에서는, 제2 스토퍼(12)가 출구(40)로부터 파이프(82)를 차단시키고, 엘보우 커넥터(73)(특히, 도 2 및 도 3 참조)가 뚜껑의 통로(53)를 통해 통과하며, 스토퍼(29)가 제거되었을 때, 고온수 입구 연결부(50)에 연결되고, 제2 엘보우 커넥터(72)는, 뚜껑의 통로(52)를 통해 통과되고, 스토퍼(28)가 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에, 실온수를 위한 출구(51)에 연결된다.
물 냉각기의 제3 양태는 냉수, 실온수 및 고온수를 공급한다.
냉수 출구(42)에서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출구 커넥터(43) 상에 장착되어 있는 딥 튜브(14)를 거쳐서 물이 인출된다.
실온수를 위한 출구(41)에서는, 분배 뚜껑(1)의 더 낮은 높이에서 물이 인출된다.
앞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고온수 출구(40)에 있어서, 제2 스토퍼(12)가 출구(40)로부터 파이프(82)를 차단시키고, 엘보우 커넥터(73)가 뚜껑의 통로(53)를 통해 통과되며, 스토퍼(29)가 고온수 유입 파이프로부터 제거되면, 고온수 유입 파이프(50)에 연결된다. 제2 엘보우 커넥터(72)는, 뚜껑의 통로(52)를 통해 통과되며, 스토퍼(28)가 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에, 실온수를 위한 출구(41)에 연결된다.
출구(40, 41, 42)는 신속 끼워맞춤식 탭, 나사체결식 탭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탭을 수용한다.
신속 끼워맞춤식 탭이 출구 오리피스(40, 41, 42) 내로 도입되고, O링(27)이 탭의 마개부(spigot) 상에 장착되어, 수밀식 연결을 제공한다. 안내부(54)가 수직 배치를 보장하고, 플랜지(55)(도 2 및 도 5 참조)가 이 플랜지(55)의 전방에 배치된 로킹부(21)에 의해 탭의 보유를 가능하게 하지만, 임의의 다른 균등한 조립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O링 시일이 엘보우 커넥터(72, 73)(도 9 참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분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탭(2 내지 4)이 전방 패널(61)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는, 뚜껑의 고정 러그(65)가 물 냉각기 상부의 절결부(64)와 더 이상 일치하지 않도록 물 냉각기의 뚜껑(9)를 회전시킨 후에, 물 냉각기의 뚜껑(9)을 제거하고, 전방 패널(61)의 구멍(67)을 거쳐서 물 냉각기 내로 관통하는 나사식 또는 신속 끼워맞춤식 탭(2, 3, 4)을 제거하며, 도 1 내지 도 8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탱크(6)와 분배 뚜껑(1)으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물 냉각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전방 패널(61)에 개구(66)를 가진 물 냉각기가 도시되어 있고, 이 개구(66)의 전방에 커버(68)가 배치되어 있어서, 분배 탭(2 내지 4)의 레버(22)가 오리피스(69)(도 5 참조)를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도 13에는 물 냉각기의 분배 뚜껑(1)이 동일한 방식으로 제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탭 커버(68)를 제거하고, 탱크(6)와 조립된 뚜껑(1)과 분배 탭(2 내지 4)으로 이루어진 조립체(8)가 물 냉각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냉각 탱크(6)가 물 냉각기 내에 고정되면, 양태에 따라 탭을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는 상태로, 디플렉터(13)를 가진 분배 뚜껑(1)이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하다면 탱크(5)와 함께 물 냉각기로부터 뚜껑(9)을 제거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재에 의해 어떻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예측될 수 없으며, 어떻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가능하게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백조 네크 형상의 내부 파이프를 가진 굴뚝부를 제공함으로써, 물 냉각기의 전체 높이가 감소되고, 탱크가 대기에, 가능하다면 물 가열기에 개방되게 할 수 있다. 백조 네크 형상부의 공기 유입 높이는 인출 핑거부를 통한 실질적으로 병의 물 출구의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디플렉터로 인하여, 실온수 및/또는 고온수 출구가 탱크로부터가 아니라 병의 출구의 높이에서 급송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거가능한 탱크를 사용하면 세척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형태의 물 냉각기는 외부 재킷 또는 바디(145)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외부 재킷 또는 바디에는 각각 냉수와, 실온수{병(142) 온도의 물}와, 고온수 또는 실온수를 전달하는 분배 탭(108, 109, 110)을 거쳐서 상이한 온도의 물을 공급하도록 병(142)에 의해 급송되는 탱크 조립체(100)가 배치되어 있다.
병(142)(도 20 참조)은 위아래가 뒤집어져 있고, 그 네크부는 냉각 탱크(112) 상에 자체가 배치된 전체 플레어 형상을 가진 바디(103)의 형상을 취하는 수용기 뚜껑(분배부)에 놓여져 있다. 냉각 탱크(112)는 냉각 인클로져(102) 내에 배치되어 있고, 냉각 인클로져는 냉각 탱크(112) 둘레에서 접촉하고 있는 열교환 증발기(152)를 포함하고 있다. 냉수를 생성시키도록 되어 있는 냉각 탱크(112)의 부분과 열교환 증발기(152)로 형성된 조립체가 절열 인클로져(153) 내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물 냉각기는 분배 탭 중 하나 아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비이커용 지지판(156)을 포함하고 있고, 이 지지판 아래에는 흘린 물을 수집하기 위한 트레이(154)가 있다. 분배 탭(108 내지 110)은 커버(147) 뒤에 배치되어 있고, 이 커버는 바디(145)의 노치형 전방 패널(146)의 각각의 구멍(70)에 수용되어 있는 수평축(48)을 중심으로 피봇팅하도록 되어 있고, 분배 탭(108 내지 110)의 레버(111)가 관통하는 개구(149)를 포함하고 있다.
분배 탭(108 내지 110)은 특히 도 20 및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탱크(112)의 상부에 배열되어 있다. 이 분배 탭은 탱크(112)에 부착되어 있고, 전술한 설비로 인하여, 물 냉각기로부터 바디(145)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탱크와 함께 추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물 냉각기의 세척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물 냉각기의 바디(145)의 상면(151)은 또한 탱크(112)가 관통하게 되는 원형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이 원형 구멍 둘레에는 탱크(112)의 림(171)을 위한 지지체로서 기능을 하는 림(150)이 있다(특히, 도 18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 18 및 도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유체(104)가 탱크(112)에 장착되어 있고, 탱크(112) 상부에서 숄더부를 구성하는 링(140) 상에 놓여 있다. 이 부유체(104)는 병(142)을 향해 연장되는 공기 유입 통로를 차단시켜서 인출되는 물을 교체한다. 부유체(104)는 벽(139)에 의해 구획되어 림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환형의 중공형 용기(138)의 형태를 갖고 있다. 링은 완벽하지 않고, 노치형이며, 그 위치에서 탱크(112)의 러그(141) 상에 장착되는 수평 피봇(13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유체(104)의 높이는 노치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말단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수평축(136)은 그 중앙부에서 차단 레버(137)를 포함하고, 이 차단 레버는 탱크(112)의 상부(탭의 아래)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유입 통로(174)를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는 외면을 구비하며, 물이 탱크(112)에서 솟아올라 부유체(104)를 피봇팅시킬 때, 통로(174) 내에 수용되는 가요성 시트와 공기 유입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부재(107)를 압박하게 된다. 장착 링(105)에 의해 핀 지지 구조체(75) 상에 장착하기 위해 오리피스의 전방에 공기 필터(106)가 배치된다. 부유체(104)가 피봇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부유 부분을 구성하는 레버 아암의 길이 때문에 부재(107)의 시트 상에 고압이 얻어지고, 그 결과 공기 유입 오리피스의 효과적인 차단도 달성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병(142) 내부로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회로는 분배부(103)의 파이프(129)를 포함하고, 이 파이프는 병(142)의 공기 유입 파이프(127)에 의해 인출 핑거부(122)에 마련되어 있는 공기 유입부(124)에 연결되며, 인출 핑거부에는 공기 유입 파이프(127)가 형성되며, 인출 핑거부는 병(142)의 네크부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인출 핑거부(122)는 또한 수용기 뚜껑(103)의 일부이다.
파이프(129)는 백조 네크 형상부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물 냉각기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174)와 연통하는 유입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는 유입부(13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다시 하측으로 연장되며, 수평 연결 파이프에 의해 수직 파이프(127)에 연결되어 있다. 이 파이프(129)는, 단일부(135)에 고정된 벽(128)과 수용 뚜껑(103)의 부분과 일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단일부(135)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실온수를 위한 탭(109)과 물 가열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향해 병(142)으로부터 나오는 물을 안내하도록 디플렉터(181)가 제공되어, 냉수가 실온수 및 고온수 회로로 급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디플렉터(181)는 부유체(104)와 공기 파이프(127, 129) 아래에서 탱크(1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일반적인 수평 디스크 형상을 갖고, 병(142)으로부터의 물이 탱크(112)의 냉각부로 통과하도록 중앙 구멍(183)을 포함하고, 탱크(112)의 바닥으로부터 냉수를 인출하기 위해 관통하는 딥 튜브(113)용 커넥터(182)를 포함하고 있다.
분배 캡(108 내지 110)은 탱크(112)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그 물 입구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디플렉터(181) 위에서 탱크(112) 내로 방출되는 파이프(117, 118, 119)가 제공되고, 고온수 탭(110), 실온수를 위한 탭(109) 및 냉수 탭(108)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119)는 디플렉터(181) 아래의 탱크(112)의 바닥으로부터 냉수를 인출하는 딥 튜브(113)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118)는 디플렉터(181)의 바로 위에 있는 탱크(112) 내로, 즉 분배부를 형성하는 수용 뚜껑(103)과, 디플렉터(181)와 탱크(112)에 의해 형성되는 물 분배 격실로 방출된다. 파이프(117)는 또한 디플렉터(181) 바로 위에서 탱크(112)로 방출되지만, 이중 암형 커넥터(164)에 연결되어 있는 이중 커넥터(114)를 포함하여, 실온수를 위한 파이프(115)(특히, 도 14 및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가 실온수를 위한 튜브(169)에 연결될 수 있고, 디플렉터(181) 위에서 격실로부터 나오는 실온수를 물 가열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향해 안내하며, 탭(110)을 향해 고온수를 안내하는 고온수 유입 파이프(116)에 연결되어 있는 고온수 출구(168)를 구비한다.
도 15에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탭(108 내지 110)은 수형 나사부가 탱크(112)에 부착되어 있는 유출 튜브(177), 또는 암형 나사부가 탱크(112)에 부착되어 있는 유출 튜브(179)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탱크(112)에 부착되어 있는 유출 튜브(178) 상에서와 같은 신속 끼워맞춤식 연결 구성이 동일하게 제공되고, O링(180)이 끼워맞춰져 있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는 적어도 유출 튜브 중 하나에, 이 실시예에서는 실온수를 위한 유출 튜브(118)와 냉수 유출 튜브(19)와 같은 이러한 2개의 튜브 중 하나에 연결되는 추가 파이프(172, 173)가 제공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2개의 추가 파이프(172, 173)는 예를 들어 탄산수(carbonated water)를 제공하는 탄산화 유닛 또는 다른 장치에 급송하도록 제공된다.
도 16, 도 17, 도 20 및 도 21에는 탱크(112)의 상부에 내장되어 있고 병(142)의 네크부(184)를 수용하는 수용 뚜껑(103)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수용 뚜껑(103)은 병(142)이 놓여 있는 플레어형 상측 림과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129)를 포함하는 원추절두 중공형 하부를 포함하고 있다.
병(142)의 네크부(184) 내로 수밀식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인출 핑거부(122)가 원추절두형 부분 내에 있다. 이 인출 핑거부(122)는 병(142)으로부터 탱크(112)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물 출구(125)와, 유출되는 물을 교체하도록 병(142)으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공기 입구(124)를 포함하고 있다. 이 공기 입구(124)는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129)에 연결되어 있다. 병(142)의 캡(143)은 인출 핑거부(122)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단부 부재(120)를 구비하고, 중앙 파이프를 핑거부(122)에 고정하기 위해 러그(121)가 마련되어 있는 중앙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인출 핑거부(122) 내의 벽(123)에 의해 탱크(112) 내로 방출되는 물 회로(126)와 공기 회로(127) 사이에 분리가 제공된다.
또한, 도 16에는 수용 뚜껑(103)의 상측 링(134)과, 이 상측 링(134)의 하면(133)이 도시되어 있고, 이 하면은 탱크(112) 상에 놓이도록 의도된다. O링(132)은 탱크(112)와 수용 뚜껑(103) 사이에 밀봉을 제공한다. 러그(131)가 탱크 상에 장착하는 동안에 인덱싱 기능(indexing function)을 갖고, 또한 부유체의 축(136)의 상면을 유지시킨다.
도 21은 물 냉각기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여기에는 특히 대체로 물 냉각기를 폐쇄하도록 수용 뚜껑(103) 상에 배치된 뚜껑(144)(도 20 참조)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병(142)이 천공된다면 공기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129)의 공기 입구 위에서, 환형 부유체(104)가 수용 뚜껑(103)의 원추절두형 하부 둘레에 배치되는 한편, 파이프(129)의 공기 입구는 탱크(112)의 물 입구 위에 즉, 인출 핑거부(122)의 기부 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후자는 핑거부(122)의 상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그 부분에 있어서, 공기 유입 통로(174)가 탱크의 상부에 있는 인출 핑거부(122)의 상부(상단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탭에서 나사 결합할 때 밀봉하기 위해 약간 가요성이 있는 시일(155)이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5에는 본 발명의 후자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물 냉각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 또는 유사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로 식별된다.
이 변형예는 천공된 케이싱(201)을 구비하는 디퓨져(200)의 형태를 취하는 은이온 확산 수단의 사용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와 다른데, 상기 디퓨져에는 은 이온을 디퓨져 내에서 유동하는 물로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는 코팅부를 가진 볼(202)이 수용되어 있다. 이 디퓨져(200)는 교체의 목적으로 디플렉터의 개구에 의해 디플렉터(181)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2차 오리피스(203)가 파이프(129) 내에 제공되어 그 입구(130)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촉진시킨다.
여기서, 이것은 공기 유입 파이프(127)와의 파이프의 접합부 부근에 그리고 인출 핑거부(122)의 기부를 향하는 파이프(129)의 단부에서, 파이프(129)에 마련되어 있다.
실제로, 이것은 병(142)을 인출 핑거부(122) 위에 배치할 경우, 파이프(127)내에 그리고 파이프(129) 내에도 침투할 수 있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계량 오리피스(calibrated orifice)(203)이고, 그 결과 파이프(129)의 입구(130)를 통한 가능한 빠른 공기 흡인을 설정하여 물 냉각기의 최적의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인출 핑거부의 상단부에{공기 출구(124)의 높이에} 시케인(chicane)(204)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고, 이것은 공기 유입 파이프(127)에서 물이 파이프(126)로 유입되는 높이를 지나서 상승하여, 병이 적소에 배치된 후에, 병(142)으로 방출되는 파이프(127)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후자의 2가지 특징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개시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명확하게 설명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균등한 수단을 채용하는 임의의 변형 실시형태로 확장됨이 명확하다. 특히, 비원통형의 굴뚝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굴뚝부의 상측 개구는 그 측벽에 배치될 수 있고, 굴뚝부의 상측 개구를 차단하기 위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유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는 전술한 종류의 부유체 기반 차단 시스템을 구비하는 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
기계적 부유체를 균등한 전기 또는 자기 시스템으로 대체하면 예를 들어 수위 탐지 전극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물 냉각기에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 1 568 652 호에 기재되어 있는 형태의 물 냉각기 어댑터를 사용하여 병 대신에 식수 네트워크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병 급송식 물 냉각기를 본관 급송식 물 냉각기로 바꿀 수 있다.

Claims (27)

  1. 적어도 상호교환가능한 병(58; 142)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인출된 물을 2가지 상이한 온도로 분배하기 위한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로서,
    병의 네크부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인출된 물을 교체하도록 병 내로의 공기 유입 파이프(37; 127)와 물 유출 파이프(36; 126)를 포함하는 물 인출 핑거부(32; 122)와,
    인출 핑거부의 기부에서 물 유출 파이프와 연통하고, 인출 핑거부를 거쳐서 인출된 물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수단(82, 33; 103)과,
    공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된 주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38; 129)을 포함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에 있어서,
    분배 수단과 공기 공급 수단(38; 129)은, 분배 수단(82, 33; 103) 내에서 그리고 인출 핑거부(32; 122)의 기부의 높이 위에서 병(58; 142)으로부터 나오는 물기둥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 수단은 대략 병으로부터 나오는 물을 위한 인출 핑거부의 입구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3. 제2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 수단의 공기 입구로의 방출을 위한 공기 공급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수단은 물기둥의 높이가 의도하지 않게 사전결정된 높이를 초과하면, 물기둥에 의해 상기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 수단은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15; 189)를 포함하고, 그 자유 단부가 공기 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분배 수단은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는 굴뚝부(33)를 포함하고, 상기 굴뚝부는 그 기부에서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격실(82)로 방출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탱크(6)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물 통로 오리피스와, 실온수 인출 출구와, 냉각 탱크로부터 분배부도 포함하는 냉수 인출 출구(42)로 냉수를 급송하기 위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7. 제6항에 있어서,
    물 가열기를 위한 실온수 출구와, 물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물을 위한 인출 출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부분, 즉 굴뚝부를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상부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해 디플렉터(13)의 형태를 취하는 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는 물 냉각기의 냉각 탱크(6)를 밀봉식으로 덮도록 되어 있는 뚜껑(1)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10.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필터(19)가 굴뚝부의 상측 개구에 수용되고, 차단 수단은 공기 필터의 아래에서 굴뚝부에 장착되고 물기둥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부유체에 의해 제어되는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체로 플레어 형상을 갖고,
    공기 공급 수단은 분배부를 따라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백조 네크 형상 파이프를 포함하고, 그 자유 단부는 공기 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 공기 공급 수단은 병을 배치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계량 오리피스(calibrated orifice)(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13. 제1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출 핑거부는 병을 배치하는 도중에 공기 유입 파이프로의 물의 유입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는 시케인(chicane)(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 냉각기용 분배부.
  14. 적어도 물 냉각기 상에 뒤집어져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상호교환가능한 병으로부터 또는 어댑터에 의해 식수 네트워크로부터 중력에 의해 인출된 물로부터 2개의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물 냉각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분배부 아래에 배치되는 2개의 부분의 냉각 탱크(112)를 포함하고,
    이 냉각 탱크의 상부는 분배부와 함께 상이한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해 격실을 형성하며, 냉각 탱크에는 상부에 상이한 온도의 물을 위한 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16. 제3항 및 제15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 통로는 냉각 탱크의 상부에 형성되고, 차단 수단은 냉각 탱크의 상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부재가 마련된 부유체(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탱크(6) 내에 안착되는 제2 제거가능한 탱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탱크는 그 벽의 외면에 형성되어 그 벽의 외부와 냉각 탱크의 벽의 내부 사이에서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채널(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탱크는 은이온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냉각 탱크 또는 제거가능한 탱크 내에 은이온 디퓨져(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1. 제16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 통로 상에 배치된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탭은 냉각 탱크 물 입구의 높이에서 냉각 탱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3. 제22항에 있어서,
    분배 탭은 냉각 탱크에 부착된 유출 튜브 상의 신속 끼워맞춤식 커넥터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실온수 유출 튜브 및/또는 냉수 유출 튜브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추가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5. 제15항에 있어서,
    냉각 탱크 내에 배치되고, 냉각 탱크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디플렉터(1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6. 제25항에 있어서,
    디플렉터는 냉각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냉수를 인출하도록 관통하는 딥 튜브(112)용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27.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속 끼워맞춤식 커넥터에 의해 이중 커넥터에 바람직하게는 동축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고온수 탭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실온수용 파이프와 고온수용 파이프인 2개의 파이프에 의해 물 가열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기.
KR1020117012879A 2008-11-07 2009-11-04 물 냉각기용 분배부 및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 KR20110083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7599A FR2938249B1 (fr) 2008-11-07 2008-11-07 Piece de distribution pour fontaine de distribution d'eau et fontaine comportant une telle piece
FR0857599 2008-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10A true KR20110083710A (ko) 2011-07-20

Family

ID=4051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879A KR20110083710A (ko) 2008-11-07 2009-11-04 물 냉각기용 분배부 및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15114A1 (ko)
EP (1) EP2370344A1 (ko)
KR (1) KR20110083710A (ko)
CN (1) CN102209682A (ko)
BR (1) BRPI0921126A2 (ko)
FR (1) FR2938249B1 (ko)
WO (1) WO2010052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7262B1 (ja) * 2009-03-30 2009-08-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
WO2011076520A1 (en) * 2009-12-22 2011-06-30 Unilever Plc Beverage dispenser with water cooler and concentrate adding device
BR112012015258B1 (pt) 2009-12-22 2020-01-21 Unilever Nv dispensador de bebida e refrigerador de água
ITBO20100276A1 (it) * 2010-05-03 2011-11-04 Campatents B V Distributore di acqua potabile
WO2011138656A1 (en) * 2010-05-03 2011-11-10 Campatents B.V. Drinkable-water dispenser
CN102357003B (zh) * 2011-08-26 2013-07-10 陈晓明 泡茶水极速制备方法
US9527714B2 (en) * 2011-08-29 2016-12-27 Cardomon International Limited Apparatus for dispensing a liquid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WO2016089947A1 (en) * 2014-12-02 2016-06-09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Disposable modular reservoir
US20160222331A1 (en) 2015-01-30 2016-08-04 Anheuser-Busch Inbev S.A. Pressurized beverage concentrates and applian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beverages therefrom
US20180030392A1 (en) * 2015-02-27 2018-02-01 Anheuser-Busch Inbev S.A. Appliances and Containers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Transparent Container
US10563909B2 (en) 2017-09-26 2020-02-18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a quick fill dispenser
WO2019070948A1 (en) * 2017-10-05 2019-04-11 Vitafilta, Inc. WATER COOLER WITH FILTER
US10955187B2 (en) 2018-12-10 2021-03-2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US11662131B1 (en) * 2021-08-25 2023-05-30 Thomas Black Assembly and method for cooling and dispensing draft beer and other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2832A (en) * 1991-08-15 1992-12-22 Sunroc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container
US5611459A (en) * 1995-07-12 1997-03-18 Eaucool Canada Inc. Method of converting an inverted bottle water dispensing system for use with an automatic bottle refill system
US5647416A (en) * 1996-03-15 1997-07-15 Les Produits Addico Inc. Bottled water dispenser system
FR2769610B1 (fr) * 1997-09-30 2000-01-07 Mistral Distribution Appareil de distribution de liquides, en particulier de boissons
US6167921B1 (en) * 1998-10-01 2001-01-02 Oasis Corporation Mounting adapter and related bottle cap for a bottled water cooler
FR2785600A1 (fr) * 1998-11-09 2000-05-12 Dietal Sa Ensemble refroidisseur pour appareil distributeur de boisson
WO2002062664A1 (en) * 2001-02-08 2002-08-15 Oasis Corporation Feed tube adapter for a bottled water cooler
US7640766B2 (en) * 2002-06-17 2010-01-05 S.I.P.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refrigerated water cooler reservoir
EP1568652A1 (en) * 2004-02-24 2005-08-31 Dieau S.A. Adapter manifold for bottled water fountain
GB2429452A (en) * 2005-08-27 2007-02-28 Ebac Ltd Bottle cap and valve assembly for a bottled water station
CN201052084Y (zh) * 2006-09-22 2008-04-30 王永民 一种防空气污染的饮水机装置
US7641076B2 (en) * 2006-11-30 2010-01-05 Tamotsu Nishida Liquid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5114A1 (en) 2011-09-08
CN102209682A (zh) 2011-10-05
FR2938249A1 (fr) 2010-05-14
BRPI0921126A2 (pt) 2016-02-16
WO2010052425A1 (fr) 2010-05-14
FR2938249B1 (fr) 2013-07-05
EP2370344A1 (fr)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710A (ko) 물 냉각기용 분배부 및 이러한 분배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기
KR100226001B1 (ko) 제거가능한 저장기를 갖추며 물통이 놓인 물분배대
EP1118582B1 (en) Bottled liquid dispenser
JP5572099B2 (ja) リザーバシステムおよび多岐水栓を有する水ディスペンサ
CA2248475C (en) Apparatus for dispensing of liquids, in particular of drinks
US4592490A (en) Beverage dispenser system convertable between gravity and pressure
KR100324554B1 (ko) 해체가능한저장조와분기관지지체플렛포옴을구비한병에든물분배대
US4615466A (en) Beverage dispenser system convertable between gravity and pressure
US20110284585A1 (en) Water dispenser
KR20150127130A (ko) 워터 서버
TW201402447A (zh) 飲水機
CN105813948A (zh) 一种用于关闭流体容器的装置
CN110392657B (zh) 具有用于液体食物的内袋的箱
EP1698391B1 (en) Refrigerated core comprising carbonating system for drinks dispenser
US20090120961A1 (en) Multiple Chilled Alcoholic Beverages Dispenser System
JP2006225012A (ja) 飲料サーバー
US20090084271A1 (en) Boiler assembly for hot beverage dispenser
NO154333B (no) Anordning for karbonering av vann.
US2186723A (en) Liquid cool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150300730A1 (en) Portable water cooler
KR102038936B1 (ko) 음료 분배 라인 교체 장치
KR102025672B1 (ko) 음료 냉각 장치
TW200306280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EP1236675A1 (en) Bottled liquid dispensers
CN115443087A (zh) 用于分配处于不同温度的液体的液体分配系统、液流控制组件和液体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