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086A -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086A
KR20110083086A KR1020100003117A KR20100003117A KR20110083086A KR 20110083086 A KR20110083086 A KR 20110083086A KR 1020100003117 A KR1020100003117 A KR 1020100003117A KR 20100003117 A KR20100003117 A KR 20100003117A KR 20110083086 A KR20110083086 A KR 2011008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rag
alphabet
click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정
Original Assignee
홍용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정 filed Critical 홍용정
Priority to KR102010000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086A/ko
Publication of KR2011008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에서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click외에 방향을 갖는 drag를 통해 하나의 문자 버튼으로 5가지의 문자를 표현하며, 연속 click과 지그재그 drag를 통해 연속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입력 방식을 편리하고 빠르게 하며, 문자표현을 위한 버튼 수를 줄여 버튼 크기를 키울 수 있어 버튼이 작아 생기던 오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The methode of inputting alphabet on the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에서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click 외에 방향을 갖는 드래그(이하 drag)입력방식을 적용하여 적은 자판 버튼으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
1. 기존 터치 스크린에서의 알파벳 입력 방식
1.1)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해 키보드와 같이 서로 독립적인 26개의 키 버튼을 할당 해 놓고, 26개의 알파벳을 각각 26개의 키 버튼에 1:1 로 대응 시킨 후 각각의 독립적인 키 버튼의 click 입력만을 통해 문자을 입력 하는 방법
1.2) 하나의 독립적인 키 버튼에 복수개(3~4개)의 알파벳을 할당해 놓고,
click을 반복적으로 하면, 미리 정해놓은 순서에 의해 해당 알파벳을 선택하여 입력 하는 방법
2. 기존 터치 스크린에서의 알파벳 입력 방식의 문제점.
2.1) 위에 언급한 1) 번의 방법은 스크린상에 많은 버튼이 필요하고,
터치스크린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하여 버튼 자체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오타가 발생하기 쉬우며, 조작하기가 쉽지 않았다.
2.2) 위에 언급한 2번 방법은 버튼 수를 줄일 수 는 있으나, 복수개의 Click 동작으로 인하여 최대 반복 click 순서에 정해진 알파벳의 경우, 하나의 버튼에 할당해 놓은 복수개의 알파벳 만큼의 click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알파벳을 입력 할때 손가락 크기에 비해 자판 버튼크기가 작아 입력시 오타가 생길 확률이 크고, 2~3개의 알파벳이 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 글자 입력시 알파벳 선택을 위해 여러번 클릭 하여야 했으므로 입력이 불편하고, 입력 시간이 많이 걸렸다.
하나의 독립적인 자판 버튼에 5개의 알파벳을 할당 해 놓고,자판 입력 방식을 click뿐 아니라 방향성을 갖는 drag입력을 추가하므로써 하나의 버튼으로 "click", "위로drag", "아래로drag", "좌로drag", "우로drag"의 다섯가지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 버튼으로 5개의 알파벳을 입력 할 수 있다.
1. 자판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한된 터치 스크린에서 기존 방식에 비하여 버튼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문자 입력시 일어나는 오타입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2. 알파벳을 선택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버튼을 click하는 대신, 원하는 알파벳을 방향성을 갖는 drag 동작을 이용하여 바로 선택 입력 할 수 있으므로 입력의 편의성과 속도를 높힐 수 있다.
3. 지그 재그 입력을 통해 연속 입력시 편의성을 더 높힐 수 있다.
도1. 버튼 구조 : 터치 스크린 화면에 표현된 하나의 자판 버튼에 5가지 문자 또는 특수문자를 배열한 예제.
도2. 버튼 입력 방식 예제 : "click" 입력과 "drag"입력을 통한 문제 입력 방식을 나타낸 예제
가) click 입력
나) 좌로drag 입력
다) 위로drag 후 지그재그 입력 (연속 2회 입력)
라) 우로drag 후 지그재그 입력(연속 3회 입력)
도3. 버튼 입력 방식 예제 : 하나의 버튼 범위 안에서는 drag나 click의 위치와 상관없이 click여부와 drag시의 방향만으로 문자가 선택되어 입력됨
알파벳 5글자를 한 키에 집어 넣어 자판을 구성하면 6개의 키로 모든 알파벳을 지원 할 수 있으며, 마지막 키는 예제에서 처럼 구성하여, CHANGE 버튼을 통해 숫자나 특수문자입력 또는 다른 자판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고, 하나의 자판 버튼은 5개의 문자가 표기 되어 있으나 공간은 공유를 하여 입력을 받아 들이므로 예제에서 처럼 하나의 자판 버튼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신호는 같은 신호로 받아 들이므로써 오타율을 줄일 수 있다.
● : click 입력
→←↑↓ : drag 입력

Claims (3)

  1. 터치스크린에서 알파벳을 입력할 때 click 외에 방향성을 갖는 drag 입력을 통해 하나의 버튼에서 여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2. 알파벳 5 글자가 하나의 자판 버튼을 사용하며, 이때의 입력은 "click", "위로drag", "아래로drag", "좌로drag", "우로drag" 다섯가지 입력으로 구별 하는 단계
  3. 한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시 click으로 표현되는 문자는 연속 click으로 연속 입력이 되고, drag로 표현되는 입력은 첫 입력 후 손가락을 때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으로 지그재그 입력을 하므로써 연속 입력을 하는 단계
KR1020100003117A 2010-01-13 2010-01-13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KR20110083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117A KR20110083086A (ko) 2010-01-13 2010-01-13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117A KR20110083086A (ko) 2010-01-13 2010-01-13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86A true KR20110083086A (ko) 2011-07-20

Family

ID=4492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117A KR20110083086A (ko) 2010-01-13 2010-01-13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0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597A1 (ko) * 2013-11-14 2015-05-21 예스텔레콤 셋톱박스 시스템의 문자입력 및 마우스 제어 전용 인터페이스 장치
WO2016060454A1 (ko) * 2014-10-14 2016-04-21 천태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10725659B2 (en) 2014-10-14 2020-07-28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597A1 (ko) * 2013-11-14 2015-05-21 예스텔레콤 셋톱박스 시스템의 문자입력 및 마우스 제어 전용 인터페이스 장치
WO2016060454A1 (ko) * 2014-10-14 2016-04-21 천태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10416781B2 (en) 2014-10-14 2019-09-17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US10725659B2 (en) 2014-10-14 2020-07-28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9457B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及系统
CN102169391A (zh) 触摸设备输入装置和输入方法
KR102260949B1 (ko)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20130169540A1 (en) Moving virtual keyboard
US20140173522A1 (en) Novel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Remote Selection Menu and Touch Screen Movements
KR101189112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20110083086A (ko) 터치 스크린에서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알파벳 입력 방식
CN105807939B (zh) 提高键盘输入速率的电子设备及方法
KR10138050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JP2013219735A (ja) ディスプレー用日本語入力鍵盤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20100122379A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6714A (ko) 16키 한글 통일 자판
KR101612625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 입력 방법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CN104156170A (zh) 基于触摸屏固定路径韵母的汉语拼音输入方法及其系统
KR101653102B1 (ko)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12590A (ko) 스마트폰에서 한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80104408A (ko)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CN203966065U (zh) 电脑或手机的字母键盘
KR20170018280A (ko) 전자기기용 한글자판의 배열 및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자판 입력 시스템
CN108227948A (zh) 一种输入法
CN105786376A (zh) 一种触摸键盘
KR101652881B1 (ko) 터치 환경에서의 피커를 이용한 영문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