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280A - 전자기기용 한글자판의 배열 및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자판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한글자판의 배열 및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자판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280A
KR20170018280A KR1020170015765A KR20170015765A KR20170018280A KR 20170018280 A KR20170018280 A KR 20170018280A KR 1020170015765 A KR1020170015765 A KR 1020170015765A KR 20170015765 A KR20170015765 A KR 20170015765A KR 20170018280 A KR20170018280 A KR 2017001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key
keys
input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784B1 (ko
KR101828784B9 (ko
Inventor
홍우표
Original Assignee
홍우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572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1828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홍우표 filed Critical 홍우표
Publication of KR201700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84B1/ko
Publication of KR10182878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8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정된 12 개(3X4)의 키를 중심으로 주위에 배열하는 필수 비자모키를 활용하여 적은 수의 키 만으로 많은 수의 키를 지닌 키패드의 효과를 기하고, 더욱이 자음의 복수타나 모음의 산만한 배열 또는 모음의 자소까지 일일이 만들어 쓰는 비효율 등과 불편을 일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성(자음)과 중성(모음)을 각기 독립된 구성으로 서로는 입력 시 동시타하여도 음절 문자(초, 중, 종성을 한 묶음으로 하는 글자 형태)로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타를 절감하고 PC 수준의 입력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APPARATUS AND KEYPAD INPUTTING KOREAN ALPHABET, HANGEUL FOR ELECTRONIC EQUIMENTS}
본 발명은 41 개의 한글 자모의 음소 및 자소와 근원적 구조를 계통적으로 분류, 정리 및 체계화한 뒤, 이를 다시 단순화하여 기존의 한글 입력 기기에서 정신적/ 신체적 피로를 가중시키던 모든 요소/요인을 일소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오타 유발 요인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문자 입력 속도의 고속화를 기한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과,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표시된 다수개의 키(key)들이 배열된 것으로서 이들 키를 타자하여 PC 또는 모바일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을 이루는 장치를 말한다. 키보드가 PC에서는 물리적인 장치로서 제공되지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물리적인 장치로 제공되지 않고 프로그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display)로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PC 등과 같은 경우는 모니터를 보면서 타자를 하게 되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키패드의 경우, 키를 보면서 타자를 하는 경우가 많고, 오타가 많이 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오타를 수정하게 되면 타자를 더욱 느리게 한다. 더구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키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 속도는 상당히 느리며, 오타가 많으며, 다시 오타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입력 속도가 더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PC 등과 같이 출력되는 글을 보면서 타자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안정된 자세로 타자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되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 제0398668호로 한글 자모 배열과 입력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는 본 출원인이 창출한 아래 8 가지의 한글 자판의 배열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들을 설명하고, 이들 원리를 바탕으로 발명된 최적의 키 배열을 공개하고 있다.
(1) "ㅗ, ㅏ, ㅡ, ㅜ, ㅓ , ㅣ" 의 배열 원리
(2) 같은 소리계 (동음계)
(3) 동시타
(4) 코드 조합 방식
(5) 틈새키
(6) 해지 시기 입력 방식
(7) 코드 변환 법칙
(8) 코드 불환 법칙
상기 특허 발명은 키(key)의 숫자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또한 초성과 중성을 각각 타자하지 않고 동시에 타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오타 없이 빠른 타자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만 위 특허에 따를 경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개선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ㅛ, ㅑ, ㅠ, ㅕ"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각각 "ㄴ+ㅗ", "ㄹ+ㅏ", "ㅅ+ㅜ", "ㅇ+ㅓ"를 타자하여야 하는 것이며, 여기서 + 는 동시타를 의미한다. 즉 "'ㄴ + ㅗ"는 'ㄴ'과 'ㅗ'를 어느 하나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누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노'와 같은 경우는 'ㄴ'과 'ㅗ'를 각각 독립적으로 타이핑해야 하고 동시타로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타자해도 무방하도록 한 취지가 일부 미완성이었다.
둘째, 'ㄱ', 'ㄴ', 'ㄷ', 'ㄹ'과 'ㅜ', 'ㅓ', 'ㅣ'의 거리가 멀어 동시타가 인체공학적으로 불편한 점이 있다.
셋째, 딴이와 관련되어 각각 별도로'ㅣ'를 타이핑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ㅙ' 의 경우 'ㅗ'와 'ㅏ' 와 'ㅣ'를 타이핑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ㅣ'를 타이핑하여야 하는데, 이를 좀 더 간편화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한글에서 딴이가 붙는 중모음이 9개가 있으며, 딴이가 붙는 중모음의 빈도수가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ㅣ' 키를 찾아 일일이 누르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들 사항에 대하여 개선을 이루어 오타 없이 빠른 타자로 한글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데, 본 발명은 주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유용할 것이지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이의 한글의 정확하고 빠른 입력이 필요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으로 오타가 없이 빠른 타자가 가능하게 하는 전자 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자음 키들, 복수 개의 모음 키들 및 적어도 하나의 비자모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음 키들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기본 모음 키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기본 모음 키에 대한 연속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기본 모음 키에 대응하는 모음에 'ㅣ'를 추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상호 간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행 또는 상호 간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음 키와, 상기 복수개의 자음 키가 배치되는 행 또는 열과 평행한 행 또는 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음 키와,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가 배치된 행 또는 열과 평행하고 인접하는 행 또는 열에 배치되는 비자모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판배열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b) 상기키 입력부에서 타자되는 키의 신호를 받아 문자를 편집하는 것으로 (bl) 상기 자음키와 상기 모음키가 동시타되면, 상기 자음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상기 모음키의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하여 편집하는 수단; (b2) 상기 비자모키와 상기 비자모키와 인접한 상기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해당 모음키의 모음의 재출자로 편집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음 키들에 대하여 모음과 동시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성과 중성의 조합으로 편집되어 문자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비자모 키에 대하여 인접한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재출자로 편집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체공학적으로 동시타가 불편하였던 'ㅜ'와 'ㅓ'의 키에 대하여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쉽게 동시타가 가능하게 하여 키의 숫자를 줄이면서 편리한 동시타가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폰(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가지는 키입력부(10)가 독립하여 탈부착식 자판(800)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자판 배열이 적용되는 폴더 폰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3과 다른 실시예로서 탈부착식 자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폰(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000)은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10)를 가지며, 키 입력부(10)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은 복수의 행들과 복수의 열들에 배치된다. 제1 열과 제2 열에는 복수 개의 자음 키들이 배치되며, 제1 열에는 ㄱ, ㄷ, ㅂ, ㅈ 가 배치되고, 제2 열에는 ㄴ, ㄹ, ㅅ, ㅇ가 배치된다.
제1 열 및 제2 열과 평행한 열들인 제3 열 또는 제4 열에는 모음 키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과 인접한 제3 열에는 ㅗ, ㅏ, ㅜ, ㅓ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자음 및 모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으나, 모음을 타이핑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자모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자모 키를 이용하여 인접한 모음 키와 동시타되어 동시타된 모음 키의 재출자로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비자모 키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자모 키를 제3 열과 인접하면서도 제3 열과 평한 열인 제4 열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재출자는 반모음 ㅣ와 ㅗ, ㅏ, ㅜ, ㅓ를 합한 이중 모음을 의미하며, ㅛ, ㅑ, ㅠ, ㅕ를 말한다. 재출자의 반대말은 초출자로서, ㅗ, ㅏ, ㅜ, ㅓ를 의미 한다.
동시타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0398668호에 공개된 것으로서, 반드시 두 개의 키들이 시간적으로 동시에 눌리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키가 눌린 상태에서 다른 키가 동시에 눌리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열에 ㅗ, ㅏ, ㅜ, ㅓ의 초출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열과 평행하고 인접한 열인 제4 열에 비자모 키가 배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5 행에도 다른 비자모 키가 배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열에는 쉽표 키(,), 마침표 키(.)와 검색 키, 그리고 이동 또는 띄어쓰기 키와 같은 여러 비자모 키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비자모 키는 각각 인접한 제3 열의 ㅗ, ㅏ, ㅜ, ㅓ와 동시타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재출자인 ㅛ, ㅑ, ㅠ, ㅕ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열의 ㅗ와 인접한 제4 열의 쉽표 키가 동시타되는 경우에, ㅛ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전술한 자판 배열을 가지는 키입력부(10)가 제공되고, 제어부(110), 문자편집부(120), 화면출력부(130) 및 메모리(140)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어부(110), 문자편집부(120) 및 화면출력부(130)는 처리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문자편집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10)를 통해 타자되는 키의 신호를 받아 설정된 규칙을 따라 편집한다. 화면출력부(130)는 휴대폰(1000)의 디스플레이창(display window)으로서 문자편집부(120)에 의하여 편집되어 이루어진 문자 등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출력하는 LCD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메모리(140)에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등록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한글의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실질적으로 휴대폰(1000)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제어부(110)에 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위 블록도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발명에 따라 문자편집부(120)가 문자 편집을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외 문자들의 조합과 출력 등일반적인 사항은 공지기술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자음 키와 상기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즉 어느 하나가 눌린 상태에서 다른 하나가 눌리면, 그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그 모음 키의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반드시 자음 키와 모음 키를 동시타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의 편의를 위하여 자음 키와 모음 키를 동시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음 키와 모음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의 자판배열(10)을 참고로, 제1열의 ㄱ과 제3열의 ㅗ를 동시타하면 이들을 조합하여 '고'로 편집하여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고'가 화면 출력부(130)에 출력된다. 이후 'ㅇ'을 타자하면 '공' 이 출력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제3 열의 모음 키와 평행하고 또한 제3열의 모음 키와 인접하여 제4열에 배치된 비자모 키가 동시타 되면, 해당 모음 키의 모음의 재출자로 편집한다.
예를 들어, 제3열의 'ㅗ'의 키를 제4 열의 쉼표 키와 동시타하면, 'ㅑ'로 편집하고, 제3열의 'ㅜ'의 키를 제4열의 마침표 키와 동시타하면, 'ㅑ'로 편집하며, 제3 열의 'ㅜ'의 키를 제4 열의 검색용 키와 동시타하면, 'ㅠ'로 편집하고, 제3열의 'ㅓ'의 키를 제4 열의 이동 또는 띄어 쓰기용 키와 동시타하면, 'ㅕ'로 편집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2열의 'ㄱ'의 키(key)를 타자하고, 제3열의 'ㅗ'키와 제4열의 쉼표 키(,)를 동시타하면, '교'로 문자편집부(120)에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타자하여 그 조합이 출력될 때, 종래에는 2열의 자음 키(ㄴ, ㄹ, 人, ㅇ)와 3열의 모음 키(ㅓ, ㅏ, ㅜ, ㅓ)들 사이에서 인접한 것을 동시타하여도 이들 초성과 중성이 조합되지 못하고 재출자로 편집되어, 제2 열의 자음 키들에 대해서는 초성과 중성을 동시타로 조합하여 편집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제2 열의 자음들에 대하여 제3 열의 모음들과 동시타를 통하여 초성과 중성의 조합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되었다.
특별히, 이 경우, 제4 열의 비자모 키에 대하여 3열의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그 모음의 재출자로 편집되는데, 인접한 3열과 4열에 대하여 동시타를 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재출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있고, 또한, 본래 독립적으로는 부호 또는 기호 등을 출력하는 비자모 키들에 대하여 모음 키와의 동시타로 재출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로서 키의 수를 줄이고 타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비자모 키 중에서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 중 'ㅗ', 'ㅏ'의 모음 키와 인접한 키가 각각 상기 자음 키와 동시타되면, 상기 동시타되는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각각 'ㅜ', 'ㅓ'의 모음의 중성으로 조합하여 문자편집을 이룬다. 이 때, 'ㅗ', 'ㅏ'의 모음 키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으며, 'ㅜ', 'ㅓ'의 모음 키 역시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열의 'ㄱ'과 4열의 쉼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구'로서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구'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열의 'ㅅ'과 4열의 마침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서'로서 조합하여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서'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 제3 열의 모음 키에서 제3행과 제4행에서 각각'ㅜ'와 'ㅓ'가 제공됨에도, 제4열의 비자모 키 중 제1행과 제2행의 것을 동시타하면, 'ㅜ'와 'ㅓ'가 중성으로서 조합을 이루게 하는 것은, 자음과 제3행과 제4행의 'ㅜ'와 'ㅓ' 키를 동시타하기 불편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ㅜ'와 'ㅓ'를 중성으로 하는 문자의 타자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제4열의 복수개의 비자모 키에서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 중 모음 'ㅜ'키와 인접한 것은 상기 자음 키와 동시타되면, 상기 동시타되는 자음 키의 자음을 초성으로 그리고 모음 'ㅣ'를 중성으로 조합하여 편집한다.
이에 따라, 모음 'ㅣ'의 키를 별도로 두지 않고 자음 키와 비자모키의 동시타를 통하여 'ㅣ'를 중성으로 하는 문자의 출력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비자모키는 자음 키 및 모음 키 이외의 키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화 버튼, 메시지 버튼, 띄어쓰기 버튼 등 모든 다른 기능 버튼들을 의미한다.
도 1을 참고로, 예를 들어, 'ㅈ' 과 제4열의 비자모키인 검색키(제4 열 3행의 키)를 동시타하면 '지'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되고 이후 'ㄴ'의 키를 타자하면 '진'으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 중에서 최하단의 'ㅓ'의 키에 대하여 그 하부의 비자모 키와 동시타하여 그 신호가 문자편집부(120)로 전달되면 문자편집부(120)는 이를 모음 'ㅣ'로 편집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에서 어느 두 개의 모음 키가 동시타되면 이들 두 개의 모음 키가 조합된 중모음으로 편집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열1행의 'ㅗ'와 제3열2행의 'ㅏ'가 동시타되면 'ㅘ'로 편집한다. 이에 따라, 'ㄱ'의 키와 'ㅗ' 와 'ㅏ'가 동시타되면, '과'로 편집되어 상기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각각의 모음 키가 반복하여 타자되면 해당 모음에 딴이가 결합된 모음으로 편집한다.
'딴이'란 다른 모음에 붙어서 중모음을 구성하는 한글자모 'ㅣ'를 이르는 말인데, 예를 들어, ㅗ, ㅏ, ㅜ, ㅓ의 키를 각각 반복 타자하면 이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는 각각에 대하여 ㅚ, ㅐ, ㅟ, ㅔ로 편집한다. 따라서 'ㄱ'을 타자하고 'ㅜ'를 반복 타자하면, '귀'가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더욱 나아가서,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에서 어느 두 개의 모음 키의 동시타가 반복되면 상기 두 개의 모음 키가 조합된 모음에 딴이가 결합된 모음으로 편집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ㅗ'와 'ㅏ'의 동시타가 반복되면, 이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를 'ㅙ'로 편집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ㅇ'를 타자하고 이후 'ㅗ'와 'ㅏ'의 동시타를 반복하면, '왜'로 편집되어 화면 출력부(130)에 출력된다. 즉, 4 개의 초출자 모음 키가 반복해서 눌리면, 해당 초출자 모음에 딴이를 첨가한다. 여기서, 초출자는 훈민정음에서 ㅗ, ㅏ, ㅜ, ㅓ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모음 키에서 어느 두 개의 모음 키가 동시타되고, 이후 상기 동시타된 두 개의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타자되면, 상기 동시타된 두 개의 모음 키의 모음의 조합에 딴이가 결합된 모음으로 편집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ㅗ'와 'ㅏ'의 동시타 후 이 중 어느 하나 즉 'ㅗ' 또는 'ㅏ' 의 키를 타자하면, 이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를 'ㅙ'로 편집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ㅇ'를 타자하고 이후 'ㅗ'와 'ㅏ'의 동시타 후 'ㅗ' 또는 'ㅏ' 의 키를 타자하면, '왜'로 편집되어 화면출력부(130)에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비자모키 중에서 쉼표(,)를 반복하여 2번 타자하면 그 앞의 편집된 글자와 연결되어 '~니다.'를 출력하도록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편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노래합'까지가 편집되고 이후 쉼표키를 2번 타자하면 "노래합니다."가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비자모키 중에서 마침표(,)를 반복하여 2번 타자하면 그 앞의 편집된 글자와 연결되어 "~ 습니다."를 출력하도록 상기 문자편집부(120)는 편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밥을 먹"까지가 편집되고 이후 마침표키를 2번 타자하면 "밥을 먹습니다."가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의 측면 또는 후면에 키를 추가하고, 이를 제3 열의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재출자로 그 모음 키가 재출자로 편집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 키는 받침을 입력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 배열을 가지는 키입력부(10)가 독립하여 탈부착식 자판(800)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보인다. 이와 같은 탈부착식의 자판(800)을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입력단자를 통하여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전술한 PC, 모바일 단말기 등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공되는 자음 키들 모두에 대하여 모음과 동시타를 통하여 초성과 중성의 조합으로 편집되어 문자를 이를 수 있도록 하고, 비자모 키에 대하여 인접한 모음 키와 동시타하여 재출자로 편집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체 공학적으로 동시타가 불편하였던 'ㅜ'와 'ㅓ'의 키에 대하여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쉽게 동시타가 가능하게 하여 키의 숫자를 줄이면서 편리한 동시타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동시타와 더불어 반복 타자로 딴이의 추가가 쉽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지와 중지의 두 개의 손가락으로 타자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서 한 손은 모바일 단말기를 잡고서 다른 손의 인지와 중지를 활용하여 타자를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게 하여, 출력되는 글자를 보면서 타자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안정적으로 오타 없이 빠른 타자가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판은 1열에는 4개의 열들과 5개의 행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자판 배열을 이용한 예시적인 문자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된소리 입력
제1 열에는 ㄱ, ㄷ, ㅂ, ㅈ가 제2 열에는 ㄴ, ㄹ, ㅅ, ㅇ의 자음 키가 배치된다. 이 때, 사용자는 'ㄱ'과 'ㄷ'을 동시타함으로써 'ㄲ'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ㄷ'와 'ㅂ', 'ㅂ'와 'ㅈ', 'ㅈ'와 'ㅎ/ㅇ'을 동시타함으로써 'ㄸ', 'ㅃ', 'ㅉ'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ㅅ'와 'ㅇ'을 동시타함으로써 'ㅆ'을 입력할 수 있다.
결론으로, 사용자는 ㄱ, ㄷ, ㅂ, ㅈ, ㅅ 각각의 인접한 하위 키를 ㄱ, ㄷ, ㅂ, ㅈ, ㅅ와 동시타함으로써 'ㄲ', 'ㄸ', 'ㅃ', 'ㅉ', 'ㅆ'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하위 키라는 것의 의미는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하위 키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하위 키를 의미한다.
(2) 거센소리 입력
사용자는 ㄱ, ㄷ, ㅂ, ㅈ와 좌 또는 우로(상 또는 하로) 인접한 키를 ㄱ, ㄷ, ㅂ, ㅈ와 함께 동시타함으로써 'ㅋ', 'ㅌ', 'ㅍ', 'ㅊ' 를 입력할 수 있다.
(3) ㅎ, ㅁ의 입력
사용자는 'ㄴ'과 'ㄹ'를 동시타하여 'ㅎ'을 입력할 수 있으며, 'ㄹ'과 'ㅅ'을 동시티하여 'ㅁ'을 입력할 수 있다.
(4) 재출자(ㅛ, ㅑ, ㅠ, ㅕ)의 입력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ㅗ, ㅏ, ㅜ, ㅓ의 모음 키와 함께 제4 열의 비자모 키를 동시타함으로써 ㅛ, ㅑ, ㅠ, ㅕ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ㅗ와 그 인접한 비자모키를 입력함으로써 ㅛ를 입력할 수 있고, ㅏ와 그 인접한 비자모키를 입력함으로써 ㅑ를 입력할 수 있으며, ㅜ와 그 인접한 비자모키를 입력함으로써 ㅠ를 입력할 수 있고, ㅓ와 그 인접한 비자모키를 입력함으로써 ㅕ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동시타가 불편하였던 'ㅜ'와 'ㅓ'의 키에 대하여 비자모 키를 활용하여 쉽게 동시타가 가능함으로써, 재출자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
(5) 'ㅡ', 'ㅣ'의 입력
사용자는 'ㅏ'와 'ㅓ'를 동시타함으로써 'ㅡ'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ㅓ'와 비자모키 인 삭제 키가 동시타되면, 'ㅣ'가 입력된다. 여기서, 'ㅏ'와 'ㅓ'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
(6) 'ㅜ', 'ㅓ', 'ㅣ'의 입력
특정 초성과 4열의 쉼표 키가 동시타되면, 특정 초성과 'ㅜ'가 조합 된다. 예를 들어, 1열의 'ㄱ'과 4열의 쉼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구'로서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구'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특정 초성과 4열의 마침표 키가 동시타되면, 특정 초성과 'ㅓ'가 조합된다. 예를 들어, 제2열의 'ㅅ'과 4열의 마침표(.)를 동시타하는 신호를 받은 문자편집부(120)는 이들 신호를 받아 '서'로서 조합하여 편집하여 화면출력부(130)에 '서'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초성과 4열 3행의 키와 동시타되거나, 초성과 메시지 버튼이 동시타되는 경우에, 초성과 중성으로서의 'ㅣ'가 조합된 채로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판은 1열에는 4개의 열들과 5개의 행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자판 배열을 이용한 예시적인 문자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자판 배열은 도 4와 유사하며, 그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출자 'ㅛ', 'ㅠ', 'ㅑ', 'ㅕ'의 입력
사용자는 'ㅗ'와 메시지 버튼, 'ㅜ'와 메시지 버튼을 동시타함으로써 'ㅛ'와 'ㅠ'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ㅏ'와 쉼표 버튼을 동시타하면, 'ㅑ'가 입력되고, 'ㅓ'와 마침표가 동시타되면, 'ㅕ'가 입력된다.
(2) 'ㅡ'와 'ㅣ'의 입력
또한, 'ㅡ'는 'ㅗ'와 'ㅜ'가 동시타됨으로써 입력되며, 'ㅣ'는 'ㅏ'와 'ㅓ' 또는 초성과 메시지 버튼이 동시타됨으로써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ㅎ/ㅇ'과 'ㅅ/ㅂ' 이 상대적으로 상단베 배치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ㅗ'와 메시지 버튼, 'ㅜ'와 메시지 버튼을 동시타함으로써 'ㅛ'와 'ㅠ'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ㅗ'와 'ㅜ'를 동시타하면, 'ㅡ'가 입력된다. 또한, 'ㅣ'는 'ㅏ'와 'ㅓ' 또는 초성과 메시지 버튼이 동시타됨으로써 입력된다.
그리고, 'ㅏ'와 쉼표 버튼이 동시타되면, 'ㅑ'가 입력되고, 'ㅓ'와 마침표가 동시타되면, 'ㅕ'가 입력된다.
도 7은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자판 배열이 적용되는 폴더 폰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3과 다른 실시예로서 탈부착식 자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여러 개의 자음 키 (ㄱ,ㄴ,ㄷ,ㄹ,ㅂ,ㅅ,ㅈ,ㅇ 8개)와
    여러 개의 모음 키(ㅗ,ㅏ,ㅜ,ㅓ 초출자 4개)및
    여러 개의 비자모 키들을 모두 합하여 4열 6행의 자판 배열을 이루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위 4개의 모음키를 위 8개의 자음키 우측에 인접 배치함에 있어서 이들 4개의 모음키들을 양성모음(ㅗ,ㅏ)과 음성모음(ㅜ,ㅓ)두 개의 묶음으로 나누어 이들 두 묶음을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 배열및 입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위 양성모음 ㅗ키와 위 음성모음 ㅜ키를 동시타하거나
    위 양성모음 ㅏ키와 위 음성모음 ㅓ키를 동시타 하여
    위 처리부가 모음 ㅡ 또는 모음 ㅣ(기본 모음 ㅣ)를 입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위 4개의 모음(초출자 ㅗ,ㅏ,ㅜ,ㅓ) 각 모음을 연속타하여
    그 각 모음에 모음 ㅣ(딴이)를 추가 입력케 하는 것으로서 딴이가 붙는 한글 중모음 총 9개를 4개의 기본키만으로 입력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 입력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4개의 모음키 (초출자 ㅗ,ㅏ,ㅜ,ㅓ) 각각은 이들 키 상하에 인접 배치한 비자모 각 키와 동시타하여 해당 각 모음의 재출자 (ㅛ,ㅑ,ㅠ,ㅕ)를 입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 입력 시스템.
  5. 여러 개의 자음키(ㄱ,ㄴ,ㄷ,ㄹ,ㅂ,ㅅ,ㅈ,ㅇ 8개)와
    여러 개의 모음 키(ㅗ,ㅏ,ㅜ,ㅓ 초출자 4개)및
    여러 개의 비자모키들을 모두 합해 4열 6행의 자판배열을 이루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위 4개의 모음키를 자음키 우측에 일열로 인접배치하고, 위 각 모음키와 그 우측에 인접한 비자모키를 동시타 할 때 위 처리부는 그 각 모음의 해당 재출자(ㅛ,ㅑ,ㅠ,ㅕ) 를 입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 배열및 입력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적용한 자판을 기존의 휴대전화기에 탈부착이 가능토록한 휴대용 한글자판.
KR1020170015765A 2015-04-06 2017-02-03 한글 입력 시스템 및 휴대용 한글 자판 KR101828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8300 2015-04-06
KR1020150048300 2015-04-06
KR1020150115812A KR101705713B1 (ko) 2015-04-06 2015-08-18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2A Division KR101705713B1 (ko) 2015-04-06 2015-08-18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280A true KR20170018280A (ko) 2017-02-16
KR101828784B1 KR101828784B1 (ko) 2018-02-13
KR101828784B9 KR101828784B9 (ko) 2022-02-21

Family

ID=571572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2A KR101705713B1 (ko) 2015-04-06 2015-08-18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KR1020170015765A KR101828784B1 (ko) 2015-04-06 2017-02-03 한글 입력 시스템 및 휴대용 한글 자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12A KR101705713B1 (ko) 2015-04-06 2015-08-18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05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12B1 (ko) 2021-05-14 2023-04-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68B1 (ko) * 2001-03-28 2003-09-19 홍우표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KR100950157B1 (ko) * 2007-09-11 2010-03-31 박찬용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140123406A (ko) * 2013-04-13 2014-10-22 김규리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84B1 (ko) 2018-02-13
KR101828784B9 (ko) 2022-02-21
KR101705713B1 (ko) 2017-02-13
KR20160119673A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638B2 (en)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a limited number of selection keys
CN101334692B (zh) 连连看拼音输入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1828784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휴대용 한글 자판
KR20170133047A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05417A (ko) 한글 간이 키보드 시스템
KR101653906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20120097921A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20180131509A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에서 빠른 속도로 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방법
KR101954910B1 (ko) 영문자 입력 방법, 영문자 입력 장치, 및 영문자 입력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02846B1 (ko)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0609287B1 (ko)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JPH0721797B2 (ja) 中国語入力装置
JPH03189758A (ja) 仮名文字入力方法
KR20140093151A (ko) 중앙 모음 긋기 자판 배열
KR10190459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일본어(카나)의 입력자판 및 입력방법
KR20100122133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일본 가나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427524B1 (ko)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KR101577138B1 (ko) 3차원 공간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230173009A (ko)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KR20120117711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영어 단짝문자 힐 자판과 한글 가족자음 나이러 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46;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528

Effective date: 2021020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6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625

Effective date: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