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053A - 스키 리프트 시설 - Google Patents

스키 리프트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053A
KR20110082053A KR1020117011678A KR20117011678A KR20110082053A KR 20110082053 A KR20110082053 A KR 20110082053A KR 1020117011678 A KR1020117011678 A KR 1020117011678A KR 20117011678 A KR20117011678 A KR 20117011678A KR 20110082053 A KR20110082053 A KR 2011008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ontact
point
magnet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612B1 (ko
Inventor
노엘 브랜돈
크리스토프 탐보우린
Original Assignee
솜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솜미탈 filed Critical 솜미탈
Publication of KR2011008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키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고, 이는 특히 운송수단들이 매달리는 머리 위 운송 및 견인 케이블(5)을 안내하고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탑승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하선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또한 저-전압 동력 공급부에 연결된 고정 전기적 전도체(20)를 포함하는 연속적으로 운송수단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머리 위 케이블을 안내하고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 상에 배열된 다수의 유연한 전도체 접촉 와이어들 및 이동가능한 전도체(20)가 고정 전기적 전도체의 접촉 와이어들과 접촉할 때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운송부단에 장착된 이동가능한 전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키 리프트 시설{SKI LIFT FACILITY}
본 발명은 공중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케이블 장치(cableway installation)는 보통 스키어(skier)들인 탑승자들이 슬로프 위로 올라가게 한다. 현재 몇몇 형태들이 존재한다. 예인식 리프트(drag lift), 체어리프트(chair lift), 곤돌라 및 케이블카 형태의 장치에 대한 특정 언급들이 있다.
종래 공중케이블 장치는 타워들에 지지된 이동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폐쇄루프를 가지는 이동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탑승자들을 위한 승선 포인트 및 하선 포인트를 포함한다. 의자들 또는 객실들과 같은 운송수단은 캐리어 또는 이동 케이블 상에 그립(grip)을 통해 매달린다; 케이블은 타워들에 의해 지지되고 운송수단이 앞으로 이동하도록 풀리들에 의해 구동된다.
공중케이블 장치들은 높은 안전 수준에서 많은 수의 탑승객들을 이송해야 한다.
공중케이블 장치가 체어리프트 형태라면, 운송수단들은 탈부착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은 의자들이다.
첫번째 경우, 각각의 의자는 연결이 풀릴 수 있다, 즉 승선 또는 하선 포인트 옆으로 올 때 주 이동 케이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의자는 이어서 의자의 이동 속도가 더 제한되는 측면트랙 위로 유도된다. 그러므로 탑승객들의 탑승 또는 하선은 더 큰 안전도로 대체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탑승객들을 위한 이용 편안함이 향상된다.
두번째 경우, 의자들이 분리될 수 없다면, 그것들은 탑승과 하선 포인트들에서도 케이블 상에 남아 있다. 그러므로, 장치의 이러한 형태의 복잡성은 분리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감소된다.
모든 경우들에서, 의자들은 지면 위에서 이동하고, 일반적으로 지면 위의 일정 높이에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각 탑승객들, 특히 어린이들은 안전 레일 위나 아래로 사고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증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WO 2007/135256에 기술된 것과 같은 유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유지 시스템은 각 의자 위에 배열된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이는 의자 위에서 이송되는 탑승객들에 의해 입혀진 자화가능한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하선 포인트 밖으로 의자가 이동할 때 탑성객들을 유지하고 의자가 탑승 포인트를 통과하여 지나갈 때 상기 탑승객을 풀어주게 된다.
유지 시스템은 또한 자석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자 위에 배열되는 제1 전기 결합 수단, 및 의자가 상기 하선 포인트를 지나갈 때 제1 전기 연결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전류를 받고 하선 포인트에 배열되는 제2 전기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자석 부재는 그것이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승객들을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전류를 받을 때 승객들을 풀어주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화가능한 요소를 구비한 탑승객들이 의자 위에서 유지되도록 보증된다. 그러므로 낙하 위험은 제한된다.
하선 포인트에 배열된 제2 전기 결합 수단은 접촉 브러쉬(contact brush)들로 형성된다.
종래에 사용된 접촉 브러쉬들은 하선 포인트에서 제1 전기 연결 수단, 의자의 적절한 포지셔닝(positioning)를 필요로 한다. 상기 포지셔닝은 의자들이 분리가능하다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자들의 회전 이동들은 의자가 분리되는 탐승 및 하선 포인트들에서 제한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형태의 접촉 브러쉬는 체어리프트들이 분리가능하지 않은 공중케이블 장치에서 사용하기에는 많이 어렵다. 이러한 경우, 회전 움직임들은 비교적 광범위하고 접촉 브러쉬들과 제1 전기 접촉 수단 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달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상기 접촉 수단과 접촉 브러쉬들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안전-관련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탑승객들에게 전달하는데 유용함이 입증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특히 자석 유지 시스템과 같은 공중케이블 장치의 우송수단에 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 캐리어를 안내하고 구동하기 위한 수단 및 운송수단이 매달리는 이동 케이블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탑승 포인트 및 적어도 하나의 하선 포인트를 포함하는 공중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케이블 장치는 운송수단에 연속적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는 낮은 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고정된 전기 전도체(conductor)를 포함하고, 공중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및 구동 수단 상에 배열된 다수의 유연한 전도 접촉 와이어들 및 운송수단에 탑재된 이동가능 전도체를 포함하며, 이동가능 전도체가 고정된 전기 전도체의 접촉 와이어들과 접촉할 때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탑승이나 하선 터미널에서 타워나 풀리와 같은, 운송수단의 운반/이동 케이블을 안내하는 수단의 근처로 지나갈 때, 체어리프트나 곤돌라와 같은 공중케이블 장치의 운송수단에 신뢰할만하고, 간단하며, 저가의 전기 공급을 보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공중케이블의 운송수단에 전기의 포인트 공급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탑승객 안전 및/또는 안락함을 향상시키는 상당한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예를 들어, 운송수단들이 운송수단들이 탑승 터미널 후 제1 철탑(pylon) 근처를 통과할 때 안전 레일을 내리는 것과 같은 어떤 안전 규칙을 탑승객들에게 상기시키는 음향 신호를 내는 운송수단에 장착된 전자 장치에 공급하는 전기 신호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하선 터미널이 근접한다고 탑승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메세지가 운송수단이 마지막 철탑 근처를 통과할 때 일어날 수 있다.
특별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유지 시스템을 구비한 공중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유지 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체어 위에 배열되고 체어 위 좌석에 앉은 탑승객에 의해 입혀진 자화가능한(magnetisable)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재를 포함하여서, 체어가 하선 포인트 바깥으로 이동할 때 탑승객을 유지하고 체어가 하선 포인트를 통과할 때 상기 탑승객을 풀어준다. 이동가능한 전기 전도체가 자석 부재에 연결되고 고정된 전기 전도체가 하선 포인트에 배열되도록 제공되어서 체어가 하선 포인트에 들어갈 때 이동가능한 전도체는 고정된 전기 전도체와 접촉하고 자석 부재에 에너지를 가하여 자화가능한 요소의 필드(field)에 반대되는 전자기 필드를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어의 회전 움직임의 경우, 유연한 전기 접촉 요소는 제2 전기 연결 수단에 대해 제1 전기 연결 수단의 부족한 포지셔닝을 보상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태의 유지 시스템은 체어리프트들이 분리될 수 있거나 없거나 간에 공중케이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가능성에 따르면, 고정된 전기 전도체는 운송수단의 경로의 일 측 상에 배열된 전도성 재료 내 다수의 유연하고 전도성 있는 접촉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접촉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성에 따르면, 고정된 전기 전도체는 운송수단의 경로의 다른 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전도성 재료 내 다수의 유연한 접촉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접촉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들은 탄소 섬유로 만들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자석 부재는, 체어가 하선 포인트를 통과하거나 그것이 철탑이나 공중케이블 장치의 궤도 위의 다른 요소를 통과할 때, 제1 및 제2 접촉 요소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폴(pole)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1 가능성에 따르면, 자석 부재는 제1 및 제2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들 중 하나는 체어가 하선 포인트를 통과할 때 단일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고, 상기 폴들 중 다른 하나는 예를 들어 체어의 금속 프레임을 거쳐 또는 체어를 운반하는 금속 케이블을 거쳐서 접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절연 재료 내 슬리브를 포함하고, 이는 체어의 링크 암 위에 장착되도록 되며, 그것의 외부 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가 배열되고 자석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반대편에서 접촉 요소가 하선 포인트에 고정되게 장착되게 지탱된다.
일 가능성에 따르면, 자석 부재는 탑승객의 자화가능한 요소를 유지할 수 있는 영구 자석, 및 에너지가 가해질 때, 자기장이 영구 자석의 자기장에 반대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 그것의 상세한 설명은 공중케이블 장치를 위한 이러한 안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로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케이블 장치의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시스템이 구비된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지 시스템이 구비된, 평면도로부터의, 하선 포인트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리프트 형태의 공중케이블 장치는, 원래 알려진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으로 높은 고도에서의 터미널(1) 및 일반적으로 낮은 고도에서의 터미널(2)을 포함하고, 각각의 터미널(1, 2)은 탑승객들을 위한 탑승 포인트(3) 및 하선 포인트(4)를 포함한다. 터미널들(1, 2)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공중 캐리어 및 이동 케이블(5)에 의해 연결된다; 케이블(5)은 풀리들(6, 7)에 의해 구동된다. 케이블(5)은, 도시되지 않은, 타워들에 의해 지지된다.
대부분의 경우, 하부 터미널(2)의 탑승 포인트(3) 및 상부 터미널(1)의 하선 포인트(4)만이 사용되고, 공중케이블은 슬로프 위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때때로 슬로프 아래로 이동시키는데 공중케이블이 사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규칙적으로 이격된, 다수의 체어들(8)은 이동 케이블(5)로부터 매달려 있고 거기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체어들(8)은 분리가능하지 않으며, 즉 그것들은 이동 케이블(5)로부터 떨어질 수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어(8)는 체어 등받이(10) 및 좌석(11)을 형성하는 금속 프레임(9), 이동 케이블(5)에 프레임(9)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링크 암(12)을 포함한다. 링크 암(12)은, 이동 케이블(5) 아래 그리고 가까이에 배열된, 대체로 수직한 부분(13)을 포함한다.
안전 레일(14)이 프레임(9) 위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이는 탑승객 또는 탑승객들(15)이 앉으면 내려갈 수 있고, 탑승객들이 체어(8)의 바깥쪽 앞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 레일(14)은 체어(8)가 하선 포인트(4)에 도착할 때 탑승객들이 체어를 떠나도록 들어올려진다.
체어의 등받이(10)에는 영구 자석 및/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는 자석 부재(16)가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의 자석 부재는 WO 2007/135256으로부터 알려진다. 전자석은 그것에 에너지가 공급될 때 그것이 영구자석의 자기장에 대향하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탑승객들에게 자화가능한 요소(17)가 구비된다. 자화가능한 요소는, 특히 상술한 자석 요소(16)의 영구 자석에 의해, 그것이 자기장에 높일 때 자화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자화가능한 요소(17)는 탑승객들의 등받이의 높이(15)에 위치된다. 그것은 탑승객들의 옷에 통합되거나 탑승객들에 의해 착용된 보호 등 보호구(dorsal bib)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운송수단 위에서, 이동가능한 전도체는 다음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합성 재료와 같은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슬리브(18)가 체어(8)의 링크 암(12)의 수직한 영역(13) 위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반-원통 형상의 황동(brass)의 두 개의 전도체들(20, 21)은 절연 슬리브(18)의 외측 벽 상에 장착된다. 두 개의 전도체들(20, 21)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두 개의 분리된 전기 접촉 영역들을 형성한다. 각각의 전도체(20, 21)는 전자석의 폴로 전기 케이블(22)을 거쳐 연결된다. 전압이 상기 접촉 영역들(20, 21) 사이에 가해질 때, 전자석에 에너지가 가해지고 영구 자석의 자기력에 대향한다.
각각의 하선 포인트(4)에서, 공중케이블 장치는 고정된 전도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된 전도체는 링크 암(12)의 이론적 궤적(T)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제1 및 제2 접촉 요소들(23, 24)로 형성된다. 각각의 접촉 요소(23, 24)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로 만들어진 다수의 유연하고, 전도성인 접촉 와이어들(25)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26)이 각각의 접촉 요소(23, 24)의 와이어들(25)의 자유로운 단부들 사이에 배열된다.
각각의 접촉 요소(23, 24)는 낮은 전압 전력 공급의 폴(27, 28)에 연결된다.
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탑승 시점에서, 탑승객(15)은 다음 체어리프트(8)를 위해 낮은 고도 터미널(2)의 탑승 포인트(4)에서 기다린다.
체어(8)가 탑승 포인트(3)로 들어올 때, 탑승객(15)은 체어 좌석(11)에 앉고 체어의 등받이부(10)에 평평하게 등을 기댄다.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기 대문에, 영구 자석은 자석 부재(16)에 대해 자화가능한 요소(17)를 위치시키고 이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자기장을 생성한다. 이어서 탑승객(15)은 체어(8)의 등받이부(10)에 대해 유지된다.
추가적인 안전 측정으로서, 탑승객은 안전 레일(14)을 내리고 체어는 탑승 포인트(3)를 떠나며 높은 고도 터미널(1)에 있는 하선 포인트(4)를 향한다.
체어(8)가 이러한 포인트(4)에 도달하기 전에, 탑승객은 안전 레일(14)을 위로 들어올린다. 탑승객은 자화가능한 요소(17) 상의 자석 요소(16)에 의해 가해진 인력에 의해 체어 등받이(10)에 유지된 채로 있다.
체어(8)가 상기 하선 포인트(14)에 도달할 때, 링크 암(12), 더 구체적으로는 그것의 부분(13)은 접촉 와이어들(25) 사이에 배열된 공간(26) 내로 들어간다. 접촉 요소(23)의 와이어들(25)의 자유로운 단부들은 접촉 영역(20)과 접촉하고 접촉 요소(24)의 와이어들(25)의 자유로운 단부들은 접촉 영역(21)과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 와이어들(25)은 쉽게 변형될 수 있어서, 링크 암(12)이 그것의 이론적 궤적(T) 상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더라도,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보증한다. 이는 특히 체어(8)가 회전 움직임에 놓일 때의 경우이다. 그러므로 접촉 브러쉬들(23, 24)의 이용은 유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악화시키는 위험 없이 암의 결점 있는 포지셔닝이 오프셋(offset) 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석에 에너지가 가해지고 영구 자석의 자기장에 대항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자석 부재(16)로부터 자화가능한 요소(17)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은 실지로 0(zero), 0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탑승객(15)은 체어(8) 밖으로 나올 수 있고 하선 포인트(14)를 떠난다.
전술한 유지 시스템은 또한 분리가능한 체어들을 포함하는 체어리프트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르면, 전자석의 폴들 중 하나는 금속 프레임(9) 또는 이동 케이블(5)에 접지될 수 있고, 다른 폴은 절연 슬리브(18) 상에 장착된 단일 접촉 영역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단일 접촉 브러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브러쉬들이 하나의 동일한 에너지가 가해지는 폴에 연결된다.
게다가, 유연한 와이어 또는 와이어들은 또한 안전 레일(14)의 풀림 또는 잠금 수단과 상호작용할 수 있어서, 안전 레일(14)은 체어(8)가 하선 포인트(4)로 들어갈 때 풀리고 안전 레일(14)은 체어가 이러한 포인트(4)를 떠날 때 잠긴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 상술한 유지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다양한 변형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특히 다음을 적용할 수 있음이 직시된다.
- 게이트들의 개방 및 닫힘,
- 안전 레일들의 잠금 및 풀림,
- 빛 및/또는 음향 메세지의 발산,
- 체어에 장착된 전기 시스템들로 전류를 공급,
- 존재(presence) 감지.
1, 2 : 터미널
3 : 탑승 포인트
4 : 하선 포인트
5 : 이동 케이블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탑승 포인트 및 적어도 하나의 하선 포인트를 포함하고,
    운송수단에 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더 포함하고, 낮은 전압 전기 공급부에 연결된 고정된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공중 케이블 안내 및 구동 수단 상에 배열된 다수의 유연한 전도성 접촉 와이어들(25), 및 이동가능한 전도체가 고정된 전기 전도체의 접촉 와이어들에 접촉할 때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송수단에 장착된 이동가능한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캐리어 및 운송수단들이 매달리는 이동 케이블(5)을 안내하고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특히 포함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송수단의 체어(8) 상에 배열되고 체어(8)가 하선 포인트(4) 밖으로 이동할 때 탑승객(15)을 유지하고 체어(8)가 하선 포인트(4)를 통과할 때 상기 탑승객(15)을 풀어주기 위해 체어(8) 위에 앉은 탑승객(15)에 의해 착용된 자화가능한 요소(17)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부재(16)를 포함하는 유지 시스템이 구비되고, 이동가능한 전기 전도체가 자석 부재(16)에 연결되고 고정된 전기 전도체가 하선 포인트(4)에 배열되어서 이동가능한 전도체는 체어가 하선 포인트에 들어갈 때 고정된 전기 전도체와 접촉되고 자화가능한 요소(17)의 필드에 대항하는 전자기 필드를 설정하도록 자석 부재(16)에 에너지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된 전기 전도체는 운송수단의 궤적의 하나의 측면 상에 배열된 전도성 재료인 다수의 유연하고, 전도성인 접촉 와이어들(25)을 포함하는 제1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고정된 전기 전도체는 운송수단의 궤적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전도성 재료의 다수의 유연한 접촉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들(25)은 탄소 섬유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석 부재(16)는 체어(8)가 하선 포인트(4)를 통과할 때 또는 체어가 철탑 또는 공중케이블 장치의 케이블의 궤적 상의 다른 요소 다음을 통과할 때 제1 및 제2 접촉 요소들(23, 24)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석 부재(16)는 제1 및 제2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들 중 하나는 체어(8)가 하선 포인트를 통과할 때 단일 접촉 요소(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폴들 중 다른 하나는 예를 들어 체어(8)의 금속 프레임(9)을 거치거나 체어(8)의 금속 이동 케이블(5)을 거쳐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재료의 슬리브(18)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체어(8)의 링크 암(12, 13) 상에 장착되며, 외측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20, 21)가 배열되고 하선 포인트(4)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접촉 요소(23, 24)가 지탱되도록 하는 자석 부재(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석 부재(16)는 탑승객의 자화가능한 요소를 유지할 수 있는 영구 자석, 및 에너지가 가해질 때 영구 자석의 자기장에 대항하는 자기장을 가지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장치.
KR1020117011678A 2008-11-05 2009-11-04 스키 리프트 시설 KR101623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6170 2008-11-05
FR0806170A FR2937938A1 (fr) 2008-11-05 2008-11-05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053A true KR20110082053A (ko) 2011-07-15
KR101623612B1 KR101623612B1 (ko) 2016-05-23

Family

ID=4068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678A KR101623612B1 (ko) 2008-11-05 2009-11-04 스키 리프트 시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07869B2 (ko)
EP (1) EP2349807B1 (ko)
JP (1) JP5559805B2 (ko)
KR (1) KR101623612B1 (ko)
CN (1) CN102202950B (ko)
CA (1) CA2742203C (ko)
ES (1) ES2389239T3 (ko)
FR (1) FR2937938A1 (ko)
RU (1) RU2505434C2 (ko)
UA (1) UA100950C2 (ko)
WO (1) WO20100524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7938A1 (fr) * 2008-11-05 2010-05-07 Sommital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FR2969100B1 (fr) * 2010-12-17 2013-01-11 Sommital Siege de remontee mecanique avec verrouillage magnetique de garde-corps
FR2970380B1 (fr) * 2011-01-10 2013-02-08 Sommital Dispositif de mise en contact d'un conducteur electrique avec un conducteur electrique embarque sur un vehicule de remontee mecanique
FR2992276B1 (fr) * 2012-06-20 2014-07-18 Sommital Siege de remontee mecanique et installation equipee de ce siege
FR3003222B1 (fr) * 2013-03-14 2016-09-09 Sommital Vehicule de remontee mecanique et installation comprenant ce vehicule
FR3006654B1 (fr) * 2013-06-05 2015-07-17 Pomagalski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e passager destine a etre monte sur un siege d'un telesiege
FR3025163B1 (fr) * 2014-09-01 2016-08-26 Pomagalski Sa Installation et procede de transport par cable aerien
US9579578B2 (en) * 2014-09-16 2017-02-28 Ronald Chasteen Zip line trolley retriever system
JP2017530681A (ja) * 2014-09-25 2017-10-12 アルパイン メディア 移動体にあるシステムにエネルギー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FR3051758B1 (fr) * 2016-05-24 2018-06-01 Poma Vehicule de transport destine a etre tracte par un cable aerien et installation comprenant un tel vehicule
US11211185B2 (en) 2017-02-22 2021-12-28 Airbornway Corporation Electrified-cable system for trans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347401B2 (en) 2017-02-22 2019-07-09 Airbornway Corporation Electrified-cable system for carriage transi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8327730A (zh) * 2017-03-05 2018-07-27 刘贵文 一种索道公共交通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9064A (en) * 1958-02-08 1963-05-07 Electro Chimie Metal Combined permanent magnet and electromagnet
JPS6085080U (ja) * 1983-11-18 1985-06-12 株式会社 明輝電機製作所 可動的索条の接地機構
FR2611557B1 (fr) * 1987-03-04 1994-02-25 Teissier Etienne Machine de transfert libre a chariots independants et motorises
AT388145B (de) * 1987-04-01 1989-05-10 Bischofer Peter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ueberwachen von ausstiegsplaetzen von schleppliften
US5038128A (en) * 1989-07-17 1991-08-06 P S P "Metalsnab" Magnetic gripper
FR2719011B1 (fr) * 1994-04-22 1996-07-12 Pomagalski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à câble tracteur et à moteur embarqué.
AT410519B (de) * 1999-02-04 2003-05-26 Innova Patent Gmbh Anlage zur bewegung von personen von einer bergstation in eine talstation
CN2400331Y (zh) * 1999-12-03 2000-10-11 北京市城建设计研究院 自行式缆车的供电接触轨连接结点
AR018972A1 (es) * 2000-01-13 2001-12-12 Serrano Jorge DISPOSICIoN AUToNOMA DE TRANSPORTE Y VEHíCULO AUToNOMO DE TRANSPORTE.
US6494145B2 (en) * 2000-09-15 2002-12-17 Joseph F. Kernan Automatic crossbar on ski chair-lift for facilitating passenger dismount
AT500573B1 (de) * 2002-09-03 2007-01-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mit einem trag- und förderseil und mit einer vielzahl von an dieses ankuppelbaren sesseln
AT7477U1 (de) * 2003-03-10 2005-04-25 Seibt Ute Verfahren zum beheizen des sitz- und/oder rückenpolsters eines sessels einer seilbahnanlage und hierfür geeigneter sessel
US7408474B2 (en) * 2003-12-16 2008-08-05 Leitner-Poma Of America, Inc. Sensor damage indicator and method
AT500789B1 (de) * 2004-09-15 2011-10-15 Innova Patent Gmbh Verfahren zum beheizen einer kabine einer seilbahnanlage, hierfür geeignete kabine und seilbahnanlage
FR2901524B1 (fr) * 2006-05-24 2008-07-18 Noel Blandon Systeme de securite pour un siege d'une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FR2937938A1 (fr) * 2008-11-05 2010-05-07 Sommital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US8910578B2 (en) * 2009-07-08 2014-12-16 Cwa Constructions Sa Aerial cable car system having transportation operating equipment for passenger and/or freight trans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2203C (fr) 2016-07-19
FR2937938A1 (fr) 2010-05-07
WO2010052426A2 (fr) 2010-05-14
US8707869B2 (en) 2014-04-29
RU2505434C2 (ru) 2014-01-27
UA100950C2 (en) 2013-02-11
CN102202950B (zh) 2015-02-25
JP5559805B2 (ja) 2014-07-23
KR101623612B1 (ko) 2016-05-23
JP2012507446A (ja) 2012-03-29
EP2349807A2 (fr) 2011-08-03
EP2349807B1 (fr) 2012-08-08
ES2389239T3 (es) 2012-10-24
US20110259235A1 (en) 2011-10-27
WO2010052426A3 (fr) 2010-10-07
CA2742203A1 (fr) 2010-05-14
CN102202950A (zh) 2011-09-28
RU2011148765A (ru)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2053A (ko) 스키 리프트 시설
US8042474B2 (en) Device for suspending and moving an object or person
US9499176B2 (en) Ski lift seat having a magnetic lock for restraining bar
KR101913764B1 (ko) 케이블 카 시스템
KR20070105832A (ko)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KR102098667B1 (ko) 기계식 체어리프트 시트 및 이러한 시트를 구비한 시설
CA2649831A1 (en) Safety system for a seat of a ski lift facilit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FR2496029A1 (fr) Transporteur aerien sur cable a trajectoire courbe
US20160031452A1 (en) Mechanical lift vehicle and installation comprising this vehicle
EP1397281B1 (fr) Systeme de transport automatique et guide de personnes et procede de commande de modules de transport circulant dans un tel systeme
US8701563B2 (en) Footrest and method of operating a chairlift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JP7214188B2 (ja) 索道設備の電力供給装置
JP2021125989A (ja) 索道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